[[분류:치치하얼시]] [include(틀:헤이룽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000,#ddd 헤이룽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齐齐哈尔, ruby=Qíqíhā'ěr)][ruby(市, ruby=Shì)] | ᠴᡳᠴᡳᡤᠠᡵ}}}'''[br]치치하얼시 | Qiqihar City | Цицикар}}} || ||<-3> [include(틀:지도, 장소=齐齐哈尔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젠화구[br]신밍제27호[br]黑龙江省齐齐哈尔市建华区[br]新明街27号 || ||<-2> '''{{{#ffff00 지역}}}''' || [[둥베이]] || ||<-2> '''{{{#ffff00 면적}}}''' || 42,205.82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7구 8현 1현급시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367,003명 ^^(2020)^^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97.53% | [[만주족]] 0.94%[br][[다우르족]] 0.52% | [[몽골족]] 0.40%[br][[조선족]] 0.26% | [[후이족]] 0.23%[br]기타 0.11%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30명/km² || ||<-2> '''{{{#ffff00 서기}}}''' || 왕강(王刚) || ||<-2> '''{{{#ffff00 시장}}}''' || 선훙위(沈宏宇)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75억 1,800만 ^^(2019)^^ || || '''{{{#ffff00 1인당}}}''' || $4,660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정향|자정향]] || || '''{{{#ffff00 시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黑B'''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齐'''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23'''0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452''' || ||<-2> '''{{{#ffff00 우편번호}}}''' || '''161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L-02''' ||}}}}}}}}} || ||<-3> [[http://www.qqhr.gov.cn/|홈페이지]] || [[파일:치치하얼 중국.jpg|width=450]] 치치하얼 시내 [[파일:치치하얼 중국 1.jpg|width=450]] 치치하얼 구역사 [[파일:중국 치치하얼.jpg|width=450]] 치치하얼 신역사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동북부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인구는 540만명으로 성에서 [[하얼빈]]에 이어 2번째로 큰 도시이다. [[퉁구스어족|퉁구스어]] 또는 [[다우르어]]로 '천연 목장'이라는 뜻으로, 그들의 발음인 치치하르라고도 불린다. 한국식 한자발음으로는 '''제제합이'''지만, 음차라서 별 뜻이 없는데다가 어감상의 문제로 인하여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이는 같은 음차발음인 하얼빈과도 공유하는 특징. 또한 [[몽골인]]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가장 동쪽의 도시이기도 하다. == 기후 == [[만주]], 그 중에서도 북만주에 있기 때문에 매우 춥다. 최난월인 [[7월]]기준 평균기온이 23°C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최한월인 [[1월]]에는 기온이 −18.6°C까지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연평균 기온이 3~4°C를 왔다갔다하는 지역으로, 강수량도 연평균 415mm밖에 오지 않는 지역이다. 그러나 [[체르노젬]] 토양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악조건에도 농산물은 많이 생산된다. == 역사 == [[파일:중국 치치하얼 1.jpg]] 옛 치치하얼 성벽 고대에는 [[말갈]]이나 [[실위]]의 거주지였으며, [[부여]]의 영토였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이후 5~8세기 경에 이곳 근처에 [[두막루]]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 치치하얼의 위치에 도시를 세운건 12세기 초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이며, 당시에는 [[상경임황부]]와 동경요양부가 분할관할을 하였다. 이후 [[금나라]]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쭉 [[중화권]] 국가들이 통치하였으나 너무 기후가 척박하여 역사적으로 별 두각을 드러내지는 못 하였고, 이 곳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다우르족]]과 [[시버족]]이 목축 혹은 수렵을 하는 정도로만 존재하였다. 이후 1674년에 [[러시아 제국]]의 원정대가 기지로 썼는데,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청나라]] 영토가 된 후로는 러시아와의 무역을 담당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시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중화민국]]시기에는 넌장성(嫩江省)의 성회로 작용하였으며, [[만주국]]이 건국되면서 [[관동군]]이 이 곳에 공단을 건설하기 시작하였고, 그와 함께 도시는 크게 성장한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면서 [[헤이룽장성]]에 편입된다. 당시까지만 해도 중국 기준으로는 작은 도시였으나 50년대의 공업화가 가속화되어 동북지역 개발에 힘입어 발전하였다. 시가지는 [[아무르강]]의 지류인 넌강(嫩江, 눈강)에 접해 있으며 강에는 섬이 여럿 있다. == 경제 == 주 산업은 2차 산업이다. 애초부터 이 지역이 도시로 발전한 이유도 관동군의 공업화 때문이었으며, 2019년 기준 치치하얼에 기반을 둔 공업회사는 302개라고 한다. 이 중에서도 [[중공업]]이 주 산업이며, [[석유]]도 나기 때문에 석유정제업도 발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러스트 벨트인 만주지역답게 경제적 수준은 매우 낮은데, 2019년 기준 1인당 [[GDP]]가 4,660달러밖에 되지 않아 중국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 하였다. 이는 치치하얼뿐 아니라 만주지역 도시 전반에 나타나는 문제로, 부성급시인 [[하얼빈]]조차 1인당 GDP가 중국 평균인 1만달러에 못 미칠 정도로 심각하다. 농업은 척박한 기후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지만, 이 지역의 토양은 다름아닌 '''[[체르노젬]]'''이기 때문에 엄청난 추위에도 불구하고 2019년 기준 농산물이 무려 '''1,189만 톤'''이나 생산되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옥수수]]로, 약 770만 톤이 생산된다. 또한 의외로 [[쌀]] 생산량이 265만 톤으로 꽤 많은데, 이는 체르노젬+[[조선족]]의 영향이다. == 교통 == 철도로는 [[치치하얼역]]과 [[치치하얼난역]]이, 공항은 민군복합인 [[치치하얼 싼자쯔 공항]]이[* 북부전구 다롄기지 3여단] 있고, 그외에 고속도로와 배편이 있다. === 국내선 === ||<:>'''운항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다싱]]|| ||<:>[[중국남방항공]]||[[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선양 타오셴 국제공항|선양]]|| ||<:>[[중국동방항공]]||다롄, 지난, 청두,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산둥항공||[[칭다오 류팅 국제공항|칭다오]], 다롄|| ||<:>중화항공||[[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차이나 유나이티드||[[베이징 다싱 국제공항|다싱]]|| == 하위 행정구역 == ||<-6> '''치치하얼시의 행정구역''' || ||<-6> [[파일:Qiqihaer-map.png|width=100%]] || || 행정 구역 ||([[중국어]] [[간체]]) ||([[중국어]] [[정체]]) ||면적(km²) ||인구(`20) ||민족 구성(`20) || ||젠화구 ||建华 [br]Jiànhuá ||建華 [br]ㄐㄧㄢˋ ㄏㄨㄚˊ ||120.61 ||332,566 ||한족 96.68% [br]만주족 1.01%[br] || ||룽사구 ||龙沙 [br]Lóngshā ||龍沙 [br]ㄌㄨㄥˊ ㄕㄚ ||153.15 ||355,849 ||한족 97.89% [br]만주족 0.75% || ||톄펑구 ||铁锋 [br]Tiěfēng ||鐵鋒 [br]ㄊㄧㄝˇ ㄈㄥ ||742.69 ||271,372 ||한족 97.84% [br]만주족 1.10% || ||앙앙시구 ||昂昂溪 [br]Áng'ángxī ||昻昻溪 [br]昻 昻 ㄒㄧ ||748.27 ||67,824 ||한족 94.16% [br]만주족 4.18% || ||푸라얼지구 ||富拉尔基 [br]Fùlā'ěrjī ||富拉爾基 [br]ㄈㄨˋ ㄌㄚ ㄦˇ ㄐㄧ ||375.21 ||197,424 ||한족 96.07% [br]다우르족 1.89% || ||녠쯔산구 ||碾子山 [br]Niǎnzǐshān ||碾子山 [br]ㄋㄧㄢˇ ㄗˇ ㄕㄢ ||299.37 ||56,553 ||한족 98.02% [br]만주족 0.97%[br] || ||메이리쓰 다우르족구 ||梅里斯 [br]Méilǐsī ||梅里斯 [br]ㄇㄟˊ ㄌㄧˇ ㄙ ||2,000.21 ||125,399 ||한족 89.22% [br]다우르족 6.96% || ||너허시 ||讷河 [br]Nèhé ||訥河 [br]ㄋㄜˋ ㄏㄜˊ ||6,659.90 ||436,906 ||한족 98.52% [br]만주족 0.78% || ||룽장현 ||龙江 [br]Lóngjiāng ||龍江 [br]ㄌㄨㄥˊ ㄐㄧㄤ ||5,887.24 ||414,285 ||한족 97.31% [br]만주족 1.53% || ||이안현 ||依安 [br]Yī'ān ||依安 [br]ㄧ ㄢ ||3,676.42 ||353,872 ||한족 99.41% [br]만주족 0.32% || ||타이라이현 ||泰来 [br]Tàilái ||泰來 [br]ㄊㄞˋ ㄌㄞˊ ||3,917.78 ||249,153 ||한족 95.82% [br]몽골족 0.94%[br] || ||간난현 ||甘南 [br]Gānnán ||甘南 [br]ㄍㄢ ㄋㄢˊ ||4,790.74 ||288,203 ||한족 98.84% [br]만주족 0.47% || ||푸위현 ||富裕 [br]Fùyù ||富裕 [br]ㄈㄨˋ ㄩˋ ||4,017.53 ||224,040 ||한족 95.42% [br]다우르족 1.72% || ||커산현 ||克山 [br]Kèshān ||克山 [br]ㄎㄜˋ ㄕㄢ ||3,186.12 ||255,041 ||한족 99.21% [br]만주족 0.53% || ||커둥현 ||克东 [br]Kèdōng ||克東 [br]ㄎㄜˋ ㄉㄨㄥ ||2,083.21 ||156,983 ||한족 99.16% [br]만주족 0.46% || ||바이취안현 ||拜泉 [br]Bàiquán ||拜泉 [br]ㄅㄞˋ ㄑㄩㄢˊ ||3,597.01 ||282,019 ||한족 99.09% [br]만주족 0.63% || == 출신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치치하얼시 출신 인물)] *[[축서단]] *[[심등]] *장한 *모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