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ScatteredAndTorpidAppliance, 합의사항1=문서명을 칠곡교회에서 칠골교회로 변경으)] [include(틀:평양시의 랜드마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종교시설'''}}}[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조선그리스도교련맹[br]{{{+1 칠골교회}}}[br]칠골敎會[br]{{{-2 Chilgol Church}}}'''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칠골교회 현판_수정.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칠골교회.jpg|width=100%]]}}} || ||<-2> {{{-1 '''▲ 칠골교회의 모습'''}}} || || '''설립''' ||[[1899년]][br][[1989년]][* 더디게 진행되다가 [[1992년]] [[11월 29일]]에 완료됐다.], [[2014년]] {{{-2 (재건축)}}} || || '''종교''' ||[[개신교|{{{#!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white" [[파일:75px-Christian_cross.svg.png|width=15]] {{{#black 개신교}}}}}}]] || || '''소속''' ||[[조선그리스도교련맹]] || || '''대표자''' ||백봉일 {{{-2 (담임목사)}}}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3183391157458%2c125.6751828221653&zoom=13,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7514A; color: white" '''칠골교회'''}}} {{{-2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종교시설.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에 있다. [[개신교]] 소속 [[교회/개신교|교회]]로서, 한국전쟁 이후 두 번째로 북한 땅에 설립된 예배당을 가진 교회다. 1989년 착공되어 공사 진행 중 다시 처음부터 짓다시피 해서 1992년에 완공되었다. 1992년 11월 29일에 첫 예배를 드렸다. 북한 공인 개신교 단체인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소속이다.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 집사가 출석하던 교회이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재건축이 이뤄졌다.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에 있던 하리교회[* 1899년 설립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다.][* 김일성의 어머니가 하리교회에 출석했다.] 터에 예배당이 건립된 것으로 유명하다. 근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재판소|중앙재판소]], [[칠골혁명사적관]], [[청년호텔]], [[향만루대중식당]], [[청년운동사적관]], [[평양교예극장]] 등이 있다. == 특징 == || [[남북의 창|[[파일:남북의 창 로고.png|width=80]] [[파일:남북의 썰 로고.pn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vPnCUwCUpE, width=100%, start=240)]}}} || || '''북한의 종교[br](2022년 10월 6일 공개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철골교회 1.jpg|width=100%]]}}} || || '''리모델링 전의 칠골교회당''' ||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동에 있다. [* 이 지역 이름은 룡악산에 뿌리를 둔 7개의 골짜기 중에 일곱 번째 골짜기라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칠골교회 역시 봉수교회처럼 1989년 13차 평양 청년학생 축전을 앞두고 건설을 하려 했으나, 우선순위에 밀려 1993년에야 설립되었다. 2013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다시 짓다시피 [[리모델링]] 공사를 했다. 리모델링 공사비는 전적으로 남한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서 지원했다. 칠골교회 예배당은 1층으로 되어있다. 예배당은 예배실과 화장실, 음향시설과 강대상을 갖추고 있다. 예배당 양옆에는 교육관과 창고 등이 있으며 뒤에는 목사관이 있다. 또한 예배당 건너편에는 최초[* 1989년에 건축된 건물.]의 칠골교회 예배당이 남아있다. 칠골교회의 초대 담임목사는 유병철 목사였으며 그 후 박춘근 목사, 황민우 목사를 거쳐 현재 담임목사는 백봉일 목사다.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에 주일예배를 드린다. 주일예배에는 북한 교인들 뿐만 아니라 북한에 체류하고 있는 관광객, 사업가, 외교사절 및 외교관, 국제기구 직원 등 외국인들도 참석한다. 설사 북한의 주장대로 실제 개신교도들의 모임이라 치더라도, 인구 280만의 평양에 국가에서 허용하는 교회가 달랑 100여명의 신도이며, 평양 이외에는 아예 존재 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북한도 인정하는 판에, 100명 정도의 신도로 북한에 교회가 존재한다는 로동당의 주장에 대한 여부 판단은 알아서 하자. == 연혁 == * 1대 유병철 목사: 1992년부터 1996년 지병으로 사임할 때까지 칠골교회 담임목사직을 맡았다. 칠골교회 부임 전에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선기독교도련맹]] 선전부장을 맡고 있었다. * 2대 박춘근 목사: 1996년부터 2001년 2월 3일까지 칠골교회 담임목사직을 맡았다. 칠골교회 부임 전에는 봉수교회 부담임목사직을 맡고 있었다. * 3대 황민우 목사: 1996년 2월 3일부터[[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161|#]] 2014년 7월까지 칠골교회 담임목사직을 맡았다. 본래 이름은 황시천으로, 칠골교회 부임 전에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선기독교도련맹]] 국제부장을 맡고 있었다. * 4대 백봉일 목사: 2014년 7월 칠골교회 재건축이 마무리된 때부터 칠골교회 담임목사직을 맡고 있다. 칠골교회 부임 전에는 평양 남산가정예배처소 책임자[* 전도사.], 평양신학원 교무처장을 맡고 있었다. 2006년 평양신학원 교무처장으로 재직 중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칠골교회 담임목사직을 맡기 전 이미 칠골교회 부담임목사직을 맡고 있었다. == 기타 == * 탈북자 [[김길선]]에 의하면, 칠골교회 주변에 살았는데 칠골교회 쪽으로 걸어다니면 보위원들이 왜 왔냐고 꼬치꼬치 묻고 귀찮게 굴어서 주민들이 일부러 돌아다녔다고 한다. [youtube(HPpFDzskXRs)]2013년 7월 칠골교회 재건축 현장 영상. 영상에 나오는 북측 목사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소속 백봉일 목사. [youtube(JgfGahqSPxA?t)]2014년 9월 14일 칠골교회 주일예배 영상[* 개신교 신자가 아닌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예배 순서나 절차 같은 큰 부분은 남한 개신교와 그리 차이가 없다. 시작시 찬송가 '만복의 근원 하나님'을 부르는 것, 대표 기도자가 중보기도와 참회기도를 하는 것, 설교 전까지는 일어서서 예배를 드리다가 중보 기도와 설교 때는 자리에 착석하고 마무리 경에 다시 일어나는 것, 중년 연령대 여성 성도의 비율이 압도적인 점까지 비슷하다. 차이라면 예배가 문화어라는 것, 양복보다는 한복을 입은 사람의 비율이 높다는 것, 그리고 북한 특유의 조국 언급이 조금 많이 보인다는 것 정도.]. 백봉일 목사 집례. == 관련항목 == * [[조선그리스도교련맹]] * [[봉수교회]] * [[강량욱]] * [[북한/인권]] * [[통일전선부]] [[분류:북한의 교회]][[분류:평안남도]][[분류:198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