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ffff00 세븐 스타즈}}}''' || || [[텐죠인 후부키|다크니스]] || [[카뮬라]] || [[타니아(유희왕)|타니아]] || [[돈 잘우그]] || [[아비도스 3세]] || [[타이탄(유희왕 GX)|타이탄]] || [[아므나엘]] || ||<-7> '''{{{#c0c0c0 카게마루}}}''' || [include(틀:듀얼 아카데미아 등장인물)] ||[[파일:Kagemaru_Tube.jpg|width=100%]]|| || 첫 등장 당시 모습 || '''影丸''' / '''오사드''' / '''Kagemaru''' [목차] == 개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등장인물.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무기히토]](노년기), [[칸나 노부토시]](청년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송준석(성우)|송준석]], [[고구인]]([[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두 성우 모두 노년기와 청년기 양쪽을 담당했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데이비드 윌스(노년기), [[마크 톰슨]](청년기) [[듀얼 아카데미아]]를 창립한 이사장. 이미 연세가 100세를 넘은 고령이며, [[생명유지장치]]에 들어가지 않으면 일어설 수조차 없을 정도로 심각하게 노쇠해진 상태이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유희왕 GX의 분기별 보스)] || [[파일:Kagemaru.png|width=100%]] || [[파일:KagemaruMD.png|width=100%]] || || 평소 모습 || [[삼환마]]의 힘으로 젊어진 모습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 48화부터 등장. '[[삼환마]]'를 두고 [[세븐 스타즈]]라는 세력과 대립하던 [[유우키 쥬다이]] 일행의 1학년 시절을 다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의 최종 흑막으로, 다름아닌 세븐 스타즈의 우두머리에 해당하는 인물. 그의 목적은 [[삼환마]]의 힘을 통해 영원한 생명과 세계 패권을 손에 넣는 것으로, 삼환마에 깃들어있는 힘을 부활시키기 위해 듀얼리스트의 투지가 찬 공간을 만들고자 [[듀얼 아카데미아]]를 세웠다. 즉 듀얼 아카데미아의 모든 학생과 교사, 그리고 [[카이바 세토|투자자]]도 처음부터 이 이사장의 손에 놀아나고 있었다는 것.[* 그런데 듀얼 아카데미아는 본래 카이바 코퍼레이션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정인데, 카게마루가 얼마나 개입했는지는 불명. 카게마루가 "자본적 의미에서" 학교를 운영하는 이사장을 맡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본래는 이 사람도 오랫동안 카이바 코퍼레이션 소속이었던 걸로 보인다.(더 정확히 분석하자면 계열 회사의 회장으로 보인다.) 100세 넘는 고령이라는 점으로 보면 최소 카이바 세토의 양할아버지, 즉 고자부로의 아버지 시대 쯤(카이바 중기공업 시절)부터 소속되었다 볼 수 있다. 세상에서 제일 듀얼에 대한 --광기와-- 애정이 있는 카이바지만 KC가 세계구급 기업인지라 모든 사업에 본인이 세세하게 관여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이토쿠지(유희왕)|다이토쿠지]]의 연금술 연구를 뒤에서 지원했고,[* 참고로 다이토쿠지가 연금술을 연구할 당시에는 이미 후부키를 비롯한 수많은 학생들이 다크니스 사건에 휘말려 실종된 상태였고, 다이토쿠지와 카게마루는 진상은 몰라도 듀얼리스트 용병으로 써먹을수 있다는 생각에 다크니스의 편린에 세뇌되어있던 후부키를 철저히 이용했다.] 구 블루 기숙사 학생들의 행방불명 사건에도 관여하고 있다. 사실 목소리만 등장한 것은 꽤 빠른 27화부터인데, 다이토쿠지와 비밀리에 연락하여 쥬다이를 주목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카게마루의 최종 목적에는 쥬다이의 정령을 다루는 힘이 필요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세븐 스타즈]]와의 싸움도 삼환마를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라 세븐 스타즈로 하여금 듀얼리스트의 투지를 모으게 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쥬다이 일행이 세븐 스타즈를 모두 격파했음에도 불구하고 삼환마의 봉인은 끝내 풀려버렸다.[* 여담으로 이 시기가 [[만죠메 쥰]]이 [[텐죠인 후부키]]와 짜고 [[텐죠인 아스카]]를 꼬셔보겠다고 칠정문의 열쇠를 모두 훔쳐가서는 뻘짓 듀얼을 하다가 진 직후였기 때문에 만죠메는 자기가 대형사고를 친 게 아닌가 하면서 쫄아버렸다.(...)] 직후 카게마루가 모습을 드러내 삼환마의 카드를 획득. 다이토쿠지의 경고[* 머지않아 새로운 재앙이 닥쳐올 것.]대로 쥬다이는 삼환마를 손에 넣은 카게마루와 결전을 치르게 된다. 사용 덱은 [[삼환마]] 덱. 처음에는 굳이 [[츠쿠모 유마|"함정 카드를" 세트하겠다]]고 하여 "저 사람 듀얼 할 줄이나 아는 건가?" 라는 의문을 자아냈지만, 사실은 삼환마를 특수 소환하기 위한 코스트였고, 그 막대한 코스트[* 다만 우리아와 하몬은 세트해둔 카드도 특수 소환의 코스트로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소환 자체는 굉장히 쉬웠다.]를 필드 마법 실락원의 효과로 매 턴 2장씩 드로우하여 모조리 충당하는 데다가 삼환마의 효과는 등장 당시 정말 전설의 카드다운 효과[* 몬스터 효과는 받지만, 함정 카드의 효과를 아예 받지 않고 마법 카드의 효과는 발동한 턴까지만 받는다.]를 자랑했기 때문에 쥬다이는 사바티엘의 효과를 써서 간신히 승리할 수 있었다.[* 직후 사바티엘은 역할을 다하고 소멸했다. 이 때문에 쥬다이는 후에 3기에서 삼환마를 탈취한 카노 마르탄(유벨)과 대결하기 전에, 이번엔 그 힘이 없어서 질지도 모른다며 걱정했다. 실제로 요한의 희생으로 겨우 무승부까지 갈수있었다.] 그가 이런 정신나간 대사건[* 오컬트적 요소를 믿지 않는 크로노스조차 미친 짓이라고 반응할 정도.]을 벌인 이유는 젊은이들이 열정적으로 듀얼하는 걸 보고는 자신도 젊어져서 저렇게 되고 싶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어이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애초에 젊음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지녔으며, 카게마루의 후술할 젊은 시절에 비해 현재는 생명유지장치 없이는 제대로 된 거동조차 할 수 없게 되었을 정도로 노쇠해졌기 때문에 그의 젊음에 대한 갈망은 남달랐을 것이다. 그 때문에 세븐 스타즈를 장기말 취급하는 매우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 쥬다이가 다이토쿠지는 죽는 순간까지 당신을 걱정했다 일갈하자 어차피 그놈도 장기말 중 하나였다고 반박한다.] 그래도 쥬다이와의 듀얼 후 개심, 쥬다이에게 [[지그 브리커]]를 당하고 병원으로 실려간다. 그 후, 3기부터는 생명유지장치 없이 휠체어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잠깐 등장한다. ||
[[파일:external/blog-imgs-51.fc2.com/kagemaru-ngowwwwwwww.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geocities.jp/1126085791052.jpg|width=100%]] || [* 하몬이 소환된 직후의 모습으로 이 때 모습은 약간 회춘한 정도라 얼굴에 주름이 약간 져 있었고 라비엘이 소환되고 삼환마가 모두 필드에 갖춰지고 나서야 완전히 젊어진다.] 젊어졌을 땐 생명유지장치 안에 속옷만 입은 채로 들어가 있다가 그대로 뛰쳐나왔기 때문에 훈도시 외엔 아무것도 걸치지 않았다. 게다가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엄청난 근육질. 몇 백 킬로그램은 나가 보이는 기계를 맨손으로 들어서 던져버리는 걸 보면 왕년에 대체 어떤 남자였는지 심히 궁금해진다. 삼환마의 힘 덕분에 왕년보다 더 강해진 것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카게마루 자신이 젊어졌을 때 젊음과 육체를 되찾았다는 언급을 했던 것을 보면 젊었을 때는 정말로 강력한 힘을 가진 인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젊어지기 전의 노쇠한 몸을 봐도 근육은 상당히 꽉 잡혀있었다. [[사메지마(유희왕)|사메지마]] 교장도 이 모습을 보고 한참동안 못 알아본 걸 보면 젊었을 땐 만난 적이 거의 없던 듯하다. 오히려 처음에는 카게마루의 아들인줄 알았을 정도. ~~저런 모습으로 듀얼하자고 하면 다들 안 하려 할 걸?~~ 쥬다이가 졸업을 앞둔 때, 자기 나름대로 조사를 거쳐 [[다크니스(유희왕)|다크니스]]의 조짐을 간파하고 [[사이오 타쿠마]]와 함께 쥬다이에게 그것을 알리려 했다. 훗날 졸업식에도 모습을 드러낸 만큼 일단 용서받는 데엔 성공한 듯. == 듀얼 실력 == 삼환마라는 신급 카드빨에 묻히는 경향이 있지만 한 시즌의 보스치고는 듀얼 실력은 다소 미숙한 편에 속한다. 리버스 카드를 세트할 때 굳이 카드의 종류를 선언한 것은 삼환마 소환 조건을 채우기 위한 것이라 그러려니 했고 그에 따른 극심한 패 소모도 실락원이라는 카드로 커버한 것까지는 괜찮았지만 문제는 삼환마를 전부 소환한 이후부터. 삼환마 자체의 사기적인 효과로 쥬다이를 궁지에 몬 것까지는 괜찮았으나 정작 그 삼환마가 공략당할 때의 상황은 예측하지 못하고 삼환마 보호 대책을 세워두지 않은 것이 그 미숙한 듀얼 실력의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책은 전작의 노아 편 보스인 고자부로도 저지른 바 있다.] == 사용 카드 == [[삼환마]] 덱을 사용. OCG화 되지 않은 카드들 중 일부는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 등장.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OCG화 되었다. === OCG화 된 카드 === * 메인 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신염황제 우리아]]''' * '''[[번개황제 하몬]]''' * '''[[환마황제 라비엘]]''' * [[창세신]][*D 49화에서 [[환마의 순교자]]의 효과로 패에서 버려지는 카드로 등장.] * 마법 카드 * [[실락원(유희왕)|실락원]] * [[욕망의 항아리]] * [[환마의 순교자]] * [[심연의 지명자]][*A [[번개황제 하몬]]의 특수 소환을 위해 묘지로 보낸 카드로 등장.] * [[죽은 자의 환생]][*A] * [[성급한 매장]][*A] * 함정 카드 * [[연쇄 작약]][*C [[신염황제 우리아]]의 효과 코스트로 패에서 묘지로 보낸 카드로 등장.] * [[욕망의 단지]][*C] * [[세머테리 폭탄]][*C] * [[천벌(유희왕)|천벌]][*D] * [[융합 실패]][*B [[신염황제 우리아]]의 특수 소환을 위해 묘지로 보낸 카드로 등장.] * [[페널티 게임!]][*B] * [[황금의 사신상]][*B]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부활의 제물 ==== || 한글판 명칭 ||'''부활의 제물'''|| || 일어판 명칭 ||'''[ruby(復活, ruby=ふっかつ)]の[ruby(生け贄, ruby=いけにえ)]'''|| || 영어판 명칭 ||'''Resurrection Tribute'''||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 파괴된 턴에 발동 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를 1장을 선택하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수비 표시로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 기타 == 쥬다이와의 듀얼로 회춘하기 전 생명유지장치에 장착된 기계 수족으로 듀얼을 하는 모습이 굉장히 아스트랄하게 보여서 외부 커뮤니티에서 '생명 유지 장치에 갇힌 채로 듀얼을 하는 광기' 라는 식의 짤방으로 돌기도 한다.[* 물론 이건 반쯤 농담으로, 당시 상황상 듀얼에서 이기기만하면 회춘과 함께 영원한 젊음이 약속되는데 이 상황에서 듀얼 안 할 사람은 없을것이다.] 왠지 모르게 후속작에서부터는 완력으로 싸우는게 아님에도 적들이 이 양반처럼 [[렉스 고드윈|듀얼 전]] [[Dr. 페이커|근육질로]] [[No.96 블랙 미스트|변신하는 게]] 전통이 되었다. 게다가 [[유희왕 5D's]] 이후엔 아예 카드 실력을 키우기 위해 신체 훈련을 하는 괴짜스런 짓까지 한다. 일명 [[듀얼근]]. [[삼환마]]를 사용할 때 나왔던 삼환마 초기의 효과들은 먼 훗날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 나온 신규 카드들로 구현되었다. [[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분류:세븐 스타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