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0년 개봉 일본 영화, rd1=카게무샤(영화))] [목차] == 개요 == '''카게무샤'''([ruby(影武者, ruby=かげむしゃ)][*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가게무샤'''이다.])는 중세 [[일본]]에서 [[다이묘]] 등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가짜 주군'으로, 일종의 위장용 [[대역]] 역할을 하는 무사를 가리켰다. == 역사 == [[헤이안 시대]]에 이미 카게무샤의 존재가 기록된 바가 있으며, [[센고쿠 시대]]에 이르러서는 카게보시(陰法師)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패권이 난립하던 당시 일본의 [[다이묘]]는 항상 신변의 위협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언제나 암수를 전문으로 훈련받는 무사인 [[닌자]]들이 그들의 목숨을 노리고 있었고, 권력 투쟁에 이르면 일가붙이도 믿을 수 없는 사태에 빠진다. 한 예로 [[오다 노부나가]]도 초기에는 일가 친척들과 대결해야 했다. 무사들의 전쟁은 성의 주인을 베는 것이 곧 승리를 선언하는 명분이 되었으므로 전쟁 중 항상 최우선 표적이 되므로 생존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 이 때문에 다이묘들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났다. 매일 밤 방을 바꾸는 정도는 기본이며 처자식에게도 당일 잠들 곳을 비밀로 했고, 심복이 잠자리를 깔아준 뒤에 또 방을 바꾸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영주(중세)|영주]]들은 심복 중의 심복들을 시켜서 자신과 외모가 비슷한 사람들을 골라서 [[대역]]을 맡기게 되었는데 이런 사람들을 바로 카게무샤라고 한다. 말하자면 [[총알받이]]용 대역. 물론 표면에서 대역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적의 공격이나 [[암살]]에 노출되는 위험이 늘 있다. 그냥 [[옷]]만 입혀놓으면 대역을 뽑은 의미가 없으므로 실제 영주와 똑같은 대접을 하고 똑같은 일과를 보냈으며, 똑같은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너는 영주님의 [[신하]]다."라는 점을 계속해서 강조했는데, 당연히 이 카게무샤가 자신을 영주라고 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몇몇 카게무샤들이 실제로 '''[[옹고집전|"내가 영주다! 저 자가 내 카게무샤다!"]]''' 하고 나섰던 적도 있다고 한다. 이들은 위험한 행사에서는 영주의 대역으로, 전쟁터에서도 함께 출정해서 [[미끼]]가 되는 역할을 맡았다. === 역사적 사례와 학설 === * [[다케다 신겐]]도 카게무샤를 두었다고 한다. 이때 신겐의 대역을 맡은 사람은 신겐의 두 동생인 [[다케다 노부시게]]와 [[다케다 노부카도]]였다. 특히 노부카도는 신겐이 죽은 후 조문 사절로 온 [[호죠]] 가의 가신 이타베오카 고젯사이 앞에서 훌륭히 신겐 역할을 수행해 감쪽같이 고젯사이를 속였다. ~~낚인~~ 고젯사이는 본국으로 돌아가 주군인 [[호죠 우지마사]]에게 신겐이 아직 살아 있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 [[우에스기 겐신]]도 카게무샤를 두었으며 이 역할을 맡은 이는 [[아라카와 나가자네]]라고 한다. 제4차 [[카와나카지마 전투]]에서 다케다군의 본진으로 돌격해 다케다 신겐에게 칼을 휘두르고 신겐이 들고 있던 군바이로 막은 일화의 주인공이 겐신이 아닌 카게무샤 나가자네라는 설이 있다. * [[사나다 유키무라]]는 [[오사카 전투|오사카 성 여름의 진]] 당시 자신의 카게무샤를 활용해서 도쿠가와 측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 야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쇼군으로서의 일생은 사실 카게무샤의 연기였다는 설이 제기되곤 한다. 이에야스 카게무샤설에서 '진짜 이에야스가 언제 죽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오케하자마 전투]] 전후, [[혼노지의 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공방전]] 등. 이 설은 꽤 널리 퍼졌고 픽션의 소재로 쓰기에 적합하기 때문인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여러 미디어에서 카게무샤와 자주 엮이곤 한다. == 해외의 유사 사례 == [[한국사]]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한국에는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다가 [[고구려]] 경비정에게 잡힐 위기에 처한 [[신라]]의 [[김춘추]]를 구하기 위해 김춘추의 옷으로 바꿔 입고 대신 죽음을 당한 [[온군해]]의 사례가 있으며, [[공산 전투]]에서 [[후백제]] [[견훤]]에게 포위된 [[고려]] [[왕건]]을 탈출시키기 위해 [[신숭겸]]이 왕건의 옷으로 바꿔 입고 싸우다가 전사한 일화가 있다. 고려 후기 [[공민왕]]이 [[흥왕사의 변]]에서 [[김용(고려)|김용]]의 모반으로 죽을 위기를 맞았을 때 공민왕과 닮은 [[안도치]]라는 환관이 공민왕을 피신시키고 대신 죽음을 맞기도 했고, [[임진왜란]] 때 [[곽재우]]는 자신과 같은 복장을 한 10명을 각 부대의 선봉으로 배치하여 후퇴한 일본군 앞에 또 다른 곽재우가 서있어 [[충격과 공포]]에 빠지게 하는 심리전으로 사용했다. [[중국사]]에는 [[고제(전한)|한 고조 유방]]의 부하 장수였던 [[기신(초한쟁패기)|기신]]이 유방으로 위장하여 [[항우]]에게 목숨을 잃은 일화가 유명하고, [[삼국지]]에서도 [[제갈량]]이 [[위나라]] 장수들에게 혼란을 주려고 [[위연]] 외 2명의 장수를 자신처럼 변장시켜 엄청난 혼란을 줬다. 때마침 야간인지라 더욱 혼란스러웠다. [[사공명주생중달|자기가 죽은 다음에는 목각인형까지 카케무샤로 사용했다.]] [[베트남사]]에서도 [[응우옌반후에]]가 [[건륭제]]의 팔순 축전에 직접 참석하여 조공하는 걸 조건으로 안남국왕으로 책봉을 받았으나 결국 본인이 직접 가지 않고 자신과 용모가 비슷한 조카 범공치를 보낸 바 있다. 다만 일본처럼 조직적으로 카게무샤 제도를 운영한 사례는 드물고 위급상황에 처했을 때 임시변통으로 사용한 사례가 많은 편이다. 실존 인물들 중 최근의 인물로는 [[버나드 로 몽고메리]] 알라메인 [[자작(작위)|자작]][* 밀리터리 마니아들이 잘 아는 그 사람 맞다.]이 있는데 이 경우는 암살 방지가 아니라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독일군에게 상륙지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흘리기 위해서였다. 이름은 Meyrick Edward Clifton James(M. E. Clifton James). 이 이야기는 전후에 몽고메리 원수의 대역을 맡았던 본인 주연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영화 제목은 <나는 몬티의 대역이었다(I Was Monty's Double)>. 본래 직업이 배우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로, 영화에서 몽고메리 원수와 본인으로 1인 2역을 연기했다. 원래 예비역 장교였는데 몽고메리와 워낙 닮아서 위문공연 중 몽고메리를 잠깐 연기했다가 거기서 정보당국의 눈에 띄어 캐스팅되었다고 한다. [[https://en.m.wikipedia.org/wiki/Operation_Copperhead|여기서 그 사람이 몽고메리로 위장한 사진을 볼 수 있다]]. 현대에 들어 웬만한 권력자와 [[독재자]]들은 신변안전을 위해 카케무샤와 같은 대역을 두었으며 또 두고 있다. [[엔베르 호자]]도 암살을 두려워해 대역을 두었다고 한다.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도 정말이지 꽤나 닮은 가짜를 두었다고 한다. 우다이 후세인의 대역을 다룬 영화가 리 타마호리 감독의 '데빌스 더블.'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아자지야 기지와 알 유미히라야 기지에 카다피가 있다는 정보로 [[엘도라도]] 작전을 개시해 [[리비아]]를 [[폭격]]했을 때 [[무아마르 카다피|카다피]]도 대역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훗날 카다피는 [[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으로 죽었는데 덕분에 대역이 죽은 것이 아니냐는 말도 나왔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유명 독재자들에겐 뭐만 하면 대역이 아니냐, 진짜는 죽고 대역이 대신 통치하고 있는거 아니냐는 식의 온갖 음모론이 떠도는데 과거로 거슬러올라가면 스탈린부터 현대에 오면 대표적으로 북한의 김정일, 김정은이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해외 언론과 호사가들이 멋대로 지어낸 소리에 불과하며, 김정일이 대역을 뒀다는 그 어떤 증거도 없으며, 심지어 대역이 반드시 나와야 하는 상황에도 안나왔다. 2008년 김정일이 뇌졸중으로 쓰러졌을 때 북한의 비준 시스템은 그대로 중단됐고 주요 국가행사에도 김정일은 예고도 없이 불참해버려 북한 지도부들조차 어쩔 줄을 몰라했다. 일본의 시게무라 도시미쓰같은 사기꾼 자칭 북한통들이 김정일은 이미 죽었고 그 대역이 통치하고 있다는 개소리를 해서 일부 언론을 낚았으나 이 사람은 학계에서 대놓고 사기꾼 취급당하면서 언론 섭외도 끊긴 인물이다. 이 음모론을 차용한 것이 웹툰 [[스틸레인(웹툰)|스틸레인]]이지만 스틸레인 3부작 자체가 기초 고증도 안한 황당한 내용에 불과하다. 특히 뒤로 갈수록 완성도가 조악하다. 이후 아들 김정은이 세습한 후에도 서방 찌라시들은 김여정이 김정은을 몰아내고 대역을 내세워 통치하고 있다는 3류소설을 퍼뜨리고 다녔지만 이런 음모론적 찌라시 유통기한도 2020년대에는 다한 후라서 약간 흥하고 헛소리로 무시당했다. 사실 대역은 매체의 발전으로 두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고화질 사진과 영상으로 땡겨보면 가짜인지 진짜인지 금방 간파당하고, 또 원판 독재자가 살이 찌고 빠지고 머리숱이 늘거나 주는 모든 세세한 변화를 다 따라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장 김정은만 해도 2020년대에 급격히 체중이 줄었다 늘었다를 반복했는데 대역이 이런 변화를 어떻게 다 따라가서 변장한단 말인가? 하지만 음모론자들은 살이 빠졌으니 대역이 틀림없다는 궤변을 떠들어댔는데, 대역을 둘 거면 똑같은 사람을 두지 왜 누가봐도 다르게 생긴 사람을 대역으로 둔단 말인가? 정작 김정일의 카게무샤를 둔 것은 북한이 아니라 남한이다. 진짜 목적은 김정일의 사상이나 사고방식을 잘 공부해 뒀다가 외교협상 등을 할 일이 있으면 한국 쪽 특사가 실제 김정일과 마주 대하는 것처럼 리허설 및 모의전(?)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아침에 일어나 [[로동신문]]을 읽는 것이 하루 일과의 시작이며, 북한 방송과 원전을 보며 철저히 연습하기에 몸은 남한에 있지만 생각은 거의 북한 사람과 다를 바가 없었다고 한다. 여러 명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전 남북회담사무국장 김달술[* 2020년 4월 7일에 사망했다.[[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08/100548281/1|#]]]은 언론에 공개된 인물이다. 김달술은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2000 남북정상회담]]을 다녀오기 1주일 전에 가상회담 파트너를 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김대중 대통령은 "그런 좋은 제도가 있는데 왜 안 하냐"라면서 적극 수용했다고 한다. 노동당 대남 비서 김용순의 대역은 [[정세현]]이 맡음으로써, 김달술과 정세현이 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리허설을 했는데, 김 대통령은 적대적으로 맹공을 퍼붓는 대역들에 유연하게 대처했다고 한다. 실제 정상회담의 질문도 리허설의 예상을 벗어나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http://nk.joins.com/news/view.asp?aid=2967539|기사1]] [[http://nk.joins.com/news/view.asp?aid=2991519|기사2]]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67751|기사3]] [[설경구]] 주연의 영화 [[나의 독재자]]는 여기서 모티브를 따 왔다. [[김학의 별장 성접대 사건|별장 성접대 사건]]의 주인공인 [[김학의]]도 해외 도피 시 외모가 비슷한 인물을 대동하여 시선을 분산시키려 시도했는데 당시 언론사 취재진들이 감쪽같이 속아넘어가면서 카게무샤라는 논란이 터졌다. [[https://news.v.daum.net/v/20190325214621343|[앵커브리핑] '진짜 김학의를 찾아라']] [[2022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쿠데타]]나 [[암살]]을 피하려고 대역을 두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https://www.fmkorea.com/best/5601245467|#]]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aver?mode=LSD&mid=shm&sid1=001&oid=081&aid=0003262782&rankingType=RANKING|#]] == 여담 == * 상술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카게무샤라는 어휘는 오늘날 일본에서 '대역'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일본 법조계에서는 [[최고재판소]]에서 실질적으로 판결문 작성을 담당하는 [[재판연구관]]들을 가리키는 은어로도 쓰이곤 한다. * [[천황]] 부부의 무남독녀 [[아이코 공주|도시노미야 아이코 공주]]에 대해서도 "카케무샤"라는 근거 없는 비방이 있다. 장남인 천황 일가를 싫어하며 차남 [[후미히토]] 친왕 일가를 좋아하는 우익 세력에 의해 제기된, 터무니없는 소리이다. 황실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적응장애 등 심신의 병을 이유로 칩거하고, 무엇보다 아들을 낳지 못한 [[마사코 황후|마사코 황태자비]]에 대한 반감으로부터 비롯된 비난이다. 아이코 공주는 어머니를 닮아 학교 성적도 우수하며 중3이던 2016년 즈음부터는 살이 빠지며 외모도 예뻐지기 시작했는데 이를 두고 "진짜 아이코 공주는 장애아이며 숨겨져 있고, 다른 아이를 아이코 공주인 양 내세우고 있다!!"고 주장--망언--하는 것이다. * 카게무샤를 영어로 번역한 게 바로 섀도우 워리어(Shadow Warrior). 다만 이 단어는 말그대로 영(그림자)무자(전사)라는 단어를 그대로 영어로 번역한 거나 다름없어서 원래 실제로는 어떤 의미인지 알기 힘들다. 3D 렐름즈의 FPS인 [[쉐도우 워리어]]도 여기서 따왔기때문에 맵 곳곳에 影武者라는 단어가 '''거꾸로''' 쓰여있다. == 매체에서의 카게무샤 == [include(틀:스포일러)] [[파일:external/www.cuhkacs.org/1119819155_01.jpg]] [[파일:external/www.cuhkacs.org/ie.jpg]] ([[하라 테츠오]]의 <카게무샤 도쿠가와 이에야스>. 왼쪽이 진짜 이에야스. 오른쪽이 카게무샤 세라다 지로사부로) [[북두의 권]]의 작가로 유명한 [[하라 테츠오]]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진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전사하고 카게무샤가 그 자리를 이었다는 내용으로 <[[카게무샤 도쿠가와 이에야스]]>(한국 해적판 제목은 <영무자 덕천가강>)이라는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다른 2차 창작물의 이에야스는 후덕한 풍채로 나타나곤 하는데 반해 여기서는 슬림한 미중년으로 등장한다. 6권 분량이고,[* 사실상 [[연중]]이다. [[시마 사콘]]을 연재해서 완결한 뒤에는 '''두 번 다시''' 뒷이야기가 나올 리 없다.] 뒤로는 [[시마 사콘]]을 주인공으로 한 2부격인 스토리가 이어지는데 여기서는 도로 후덕한 풍채로 돌아온다. 사실 하라 테츠오의 이 만화는 일본의 소설가 류 케이이치로(隆慶一郎)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만화로, 드라마화도 두 번 되었다. 1998년에는 [[테레비 아사히]]에서 10부작 드라마로, 2014년에 [[테레비 도쿄]]에서 2부작 스페셜 드라마로 방영되었다. 2014년판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겸 세라다 지로사부로를 연기한 배우는 도쿠가와 쇼군 전문 배우로 유명한 [[니시다 토시유키]]. 또한 [[사무라이 디퍼 쿄우]]에서도 카게무샤 이에야스가 등장하는데, 여기는 초상화처럼 후덕한 이미지의 이에야스가 카게무샤였고, 이에야스 옆에 있던 닌자의 수장 [[핫토리 한조]]가 진짜 이에야스였다. [[충무공]] [[이순신]]을 주인공으로 다룬 [[가공전기]] [[조선비첩]]의 작가 아라야마 토오루(荒山徹)의 소설 '토쿠쵼카캉(덕천가강)'에서는 카게무샤 이에야스가 임진왜란때 조선에서 [[포로]]로 끌려간 [[조선인]] [[승병]]이라는 파격적인 설정으로 나온다. [[슈팅 게임]] [[바사라]]와 [[노부나가의 야망]] 7 '장성록'에서는 전쟁 중일 때 총대장이 퇴각하면 다른 부대가 총대장을 바꾸는 형태의 숨겨진 특기로서 이 설을 채용했으며 13 '천도'는 무장 이미지와 능력치를 완전히 바꾸는 형태로 이 설을 채용하고 있다. 막장 [[성인물|에로물]]에선 카케무샤가 주군의 [[성욕]]까지 받아줘야 하는 경우가 나오기도 하는데 빼닮은 생김새여서 [[자공자수]]를 겸하기도 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 영화 [[카게무샤(영화)|카게무샤]] === * [[카게무샤(영화)]] 문서 참조. === 카게무샤(대역)가 등장하는 매체 목록 === 만화,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는 악역인 경우 대부분 '''[[페이크 최종 보스|최종 보스들의 훼이크다 이 병신들아! 스킬을 시전하는 아이템]]''' [[클리셰|역할]]이 대부분이다. 아주 적은 사례이지만 주인공이 사실 카게무샤라는, 사람 벙찌게 만드는 [[충공깽]] 전개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가면라이더 지오]]와 [[사무라이전대 신켄저]]가 그런 경우.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브레이브 ~Survive하라! 부활의 비스트 라이더 스쿼드~]] - [[킹 다크]]([[홀로그램]]) → [[재단 X]] * [[가면라이더 아마존]] - [[제로 대제|전능한 지배자(대역)]] → [[전능한 지배자|본인]][* 자세한 사항은 해당문서를 참조.] * [[가면라이더 지오]] - [[토키와 소고]] → [[토키와 SOUGO]][* 아이러니하게도 카게무샤가 진짜보다 더 강한 얼마 안되는 사례다.]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6조화]] → [[리얼 6조화]] * [[란치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란치아]] → [[로쿠도 무크로]] * [[거짓의 윤무곡]] - ???([[세르딕]][* 패도루트 진행시 말이다.]/알토리우스) → [[세르딕]] 왕도 루트 진행 시 마리가 지어준다. * [[검이 그대]] - 카요(여주인공) → 히사히메 * [[경성스캔들]] - 차송주 → 이수현 * [[광해, 왕이 된 남자]] - 하선 → [[광해군]] * [[그레너디어(만화)]] - [[텐도 루슈나]] → 천자 애니메이션판 한정. 코믹스에서는 전대의 섬사인 스승이 난파선에서 발견해 키운 이방인 아기였다. * 그림자 무사(무협소설) - 별도作. 남궁세가 소가주의 그림자 무사가 주인공인 작품. * [[기동전사 건담]](THE ORIGIN도 포함) - [[캐스발 렘 다이쿤|샤아 아즈나블]][[에드와우 마스|(가짜)]] → [[샤아 아즈나블(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진정한 샤아]]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미아 캠벨]] → [[라크스 클라인]] * [[기동전사 건담 ZZ]] - [[미네바 라오 자비]] → [[미네바 라오 자비|본인]] 카게무샤의 이름은 나오지 않고 그리고 그 후 행방은 알 수 없다.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강화인사 → [[엘란 케레스]] * [[기신대전 기간틱 포뮬러]] - [[스사노오 10식]] → [[10식 오닉스]] * ~~[[나도 가수다]] - 정재범 → [[임재범]]~~ * [[나루토]] - [[토비(나루토)|우치하 마다라(가짜)]] → [[우치하 마다라|본인]] * [[낮에 뜨는 달]] - [[이타]] → [[한리타]] * [[내 남자의 비밀]] - [[한지섭(내 남자의 비밀)|한지섭]] → [[강재욱(브래드 윤)|강재욱]] * [[네오 콘트라]] - [[네오 콘트라(조직)#s-2.6|마스터 콘트라]] → [[프로젝트 C|본인]] * [[노부나가의 야망 천도]] - 세라다 모토노부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로 진행하기 전에 '이에야스 카게무샤 전승을 믿겠습니까?'라는 질문에 '네'라고 하면 이벤트로 '''진짜 이에야스가 암살당하고''' 세라다 모토노부(世良田元信)의 이름이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바뀌어 카게무샤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원래 특기도 '혼란'이지만 진짜 이에야스의 특기인 '철벽지비'로 바뀐다. 1555년 시나리오에서 이에야스가 죽는 이벤트가 있는데, 여기서 선택을 잘 하면 이에야스도 살리고 모토노부도 그대로 쓸 수 있다. 모토노부는 이에야스와 비교해 통솔과 무용이 낮지만 지모가 높다. * [[노블☆웍스]] - 후지시마 타쿠미 → 카네모토 슈리 * [[노블레스(웹툰)|노블레스]] - [[하이든(노블레스)|하이든]] → [[1장로]] * [[니들리스]] - [[아담 아크라이트|사텐(대역)]] → [[사텐|본인]] * [[대항해시대 오리진]] - 카게무샤 → [[다테 마사무네]] 도쿠가와의 출국금지령을 어기고 나가면서 카게무샤를 대신 영지에 두고 갔다. 그러나 카게무샤가 너무나 띨띨한데다 애꾸눈인 다테 특유의 외눈 안대도 안 해놓아서 도쿠가와에게 단박에 간파당한다. * [[단간론파 시리즈]] - [[이쿠사바 무쿠로|에노시마 준코(대역)]] → [[에노시마 준코|본인]] * [[더 슈퍼 시노비]] - 마스크드 닌자 → 섀도우 마스터 * [[데스노트]] - [[린드 L 테일러]] → [[L(데스노트)|L]] * [[데이브(영화)]] - 데이브 코빅 → 미 대통령 빌 미첼 * [[데이트 어 라이브]] * [[토키사키 쿠루미]]의 분신 → 본인 * [[이츠카 시도]] → [[타카미야 신지]] * [[덴마]] - [[고산 공작|고산 공작(아바타)]] → [[고산 공작]]([[마빈(덴마)|마빈]]) * [[드래곤볼]] * 메탈 [[쿠우라]] → 거대화 메탈 쿠우라 * 잭키 춘 → [[무천도사]] * [[디스아너드 2]] - 아르만도 → 루카 아벨 * [[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 - 알렉산더 아이작스(대역) → [[알렉산더 아이작스|본인]] * [[록맨 X8]] - 가짜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 본인 * [[록맨 제로 시리즈]] - [[카피 엑스]]→[[엑스(록맨 제로 시리즈)|엑스]] * [[록맨 ZX 어드벤트]] - 더미 보디 → DAN-000 오리지널 [[마스터 알버트]] * [[루시퍼(드라마)]] - 시너맨(대역) → 본인(마커스 피어스) * [[슈퍼 마리오]] - 1 스테이지- 7 스테이지 까지의 [[쿠파]] → 본인 *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 [[미츠루기 메이야]] → [[코부인 유우히]] 설정상 완전한 대역이 아닌 쌍둥이기는 하지만 성장 배경이 애초에 카게무샤에 가까운 위치였고 구국 쿠데타 당시 잠시 동안 역할을 바꿔서 상황을 어느 정도 지연시켰다. * [[마신영웅전 와타루2]] - [[도아루다]] → [[도아쿠다]] * [[마왕성에서 잘 자요]] - [[서큥]] → [[오로라 스야 리스 카이민]] * [[마이오토메]] - [[오쿠자키 아키라#s-2|오쿠자키 아키라]] → [[토키하 타쿠미|토키하 타쿠미노카미 타다요리]] * ~~[[막장 드라마]] - [[의도는 좋았다|훈훈한 기획의도]] →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막장 드라마를 만들려는 제작진의 본심]]~~ * [[메이플스토리]] - [[메이플스토리/NPC/미나르숲#s-2|미리암]] →[[메이플스토리/NPC/미나르숲#s-2|이안(이오네 드 크리티아스)]], [[듀얼블레이드]][* [[듀얼블레이드]]의 대만메이플 명칭이 영무자이다.] *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 [[베놈 스네이크]][* 이쪽은 단순한 카게무샤를 넘어서는 분신이자 동등한 존재에 가깝다. 진실이 밝혀지는 엔딩에서 [[빅 보스]] 본인이 언급.] → 이스마엘 = [[네이키드 스네이크]]([[빅 보스]]) * [[명군이 되어보세!]] - [[원균|가짜 원균 → 본인]] * [[명일방주]] - [[리드(명일방주)|리드]] → 에블라나 * [[무한도전]] * 스피드 특집 - 불에 탄 [[노홍철|홍]]카 → 진짜 홍카 * 맞짱 특집 - [[윤종신]] → [[하림(가수)|하림]] * [[무한도전 술래잡기]] - [[유재석]] 카메라맨 → [[유재석]] * [[미남이시네요]] - 고미남(고미녀) → 본인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존 라크(대역) → [[존 라크|본인]]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 [[아이노 미나코|세일러 비너스]] → [[츠키노 우사기|세일러 문]] * [[미카구라 학원 조곡]] - [[비미]] → 미카구라 학원의 학원장 * [[바사라]] - 세라다 지로사부로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버추어 캅]] - 죠 팽(대역) → 본인[* 자세한 건 [[https://m.blog.naver.com/eeuu1133/220996029582|관련 글]] 참조.] * [[배트맨 비긴즈]] - [[라스 알 굴|라스 알 굴(대역)]] → [[헨리 듀커드|본인]] * [[보더랜드 2]] - 티모시 로렌스 → [[핸섬 잭]] * [[보더랜드: The Pre-Sequel]] - [[핸섬 잭#s-8.1|잭(플레이어 클래스)]][* 위의 티모시 로렌스와는 다른 인물.] → [[핸섬 잭#s-8|본인]] * [[블리치]] * [[경화수월(블리치)|아이젠 소스케(가짜)]] → [[아이젠 소스케|본인]] * [[로이드 로이드|유하바하(가짜)]] → [[유하바하|본인]] * [[사무라이 디퍼 쿄우]] - 가짜 도쿠가와 이에야스 → [[핫토리 한조|본]][[도쿠가와 이에야스|인]] 물론 실제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에 봉직한 닌자로 잘 알려져 있지만 여기서 핫토리 한조란 이름은 바로 진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모습을 감추기 위한 가짜 모습이다. 단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원작의 가짜 이에야스가 진짜로 본인. * [[사쿠라 대전 2]] - 쿄고쿠 케이고(대역) → 본인 * [[삼국기]] - 연개소문(대역) → [[연개소문]] 이 드라마 속에서 진짜 연개소문은 백제가 멸망하기 직전에 당군과 전투 중에 죽는다. 연개소문이 당을 대파한 전투로 알려진 662년의 [[사수대첩]](蛇水大捷)을 이끈 연개소문은 대역. 이것은 의도한 바가 아니라 '[[어른의 사정]]' 때문에 연개소문 역의 조경환이 조기하차(...)했기 때문이다. * [[삼국지연의]] * [[조무]] → [[손견]] 연의뿐만 아니라 정사에서도 조무가 손견의 대역이 되었다. 단 연의에서는 조무가 전사하지만 정사에서는 살아남는다. * 이름 불명의 병사 → [[장비]] 파촉 점령전때 엄안이 우주방어에 들어가자 유인책을 위해 자신과 닮은 사람을 대역으로 써 엄안을 낚는다. 판본에 따라서는 비슷한 덩치의 사람을 자신으로 분장시켰다고도 한다. * [[샤이닝 스타(애니메이션)|샤이닝 스타]] - [[바닐라(샤이닝 스타)|바닐라]] → 크림 * [[슈퍼로봇대전 Z]] - [[에델 베르날]] → [[디 에이 베이벨]] *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 * [[전격전대 체인지맨]] - [[성왕 바즈|성왕 바즈 → 거대 혹성 고즈마 스타]] * [[파워레인저 지오]] - [[황태자 부르돈트|스프로켓 왕자 → 가스켓 왕자]] * [[격주전대 카레인저]] - [[총장 가이나모]] → [[폭주황제 에그조스]] * [[파워레인저 터보]] - 디바톡스 → 맬리고어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시바 타케루]] → [[시바 카오루]] * [[파워레인저 사무라이]] - 제이든 시바 → 로렌 시바 다만 [[비혈연]]인 타케루, 카오루와 달리 이 쪽은 피가 이어진 남매다. * [[우주전대 큐레인저]] - 돈 아르카게 → [[돈 아르마게]] 단 이 카게무샤 설정은 [[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VS 큐레인저]]에서 추가된 설정이다. * [[스타 글래디에이터]] - [[에드워드 빌슈타인|고스트 빌슈타인(가짜) → 본인]] *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 [[사베]] → [[파드메 아미달라]] 1인 2역이 아니고 [[사베]] 역은 당시 무명 [[키이라 나이틀리]]가 연기했다.[[http://metgabi.egloos.com/9820017|참고]] *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 - 코르데 → [[파드메 아미달라]] 영화 도입부에 사보타주로 사망하는 역할 * [[스페이스 킹]] [[스페이스 킹/도플갱어|도플갱어 에피소드]] - 도플갱어 → 가르강트 황제 * [[십이야(웹툰)|십이야]] - [[이휘]] → [[이적(십이야)|이적]] * [[리얼 바웃 아랑전설]] - [[기스 하워드]] → [[기스 하워드]] * [[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에밀리(아메리카노 엑소더스)|에밀리]] → [[아메리카노 빈즈]] * [[악의 연대기]] - 김진규(대역) → 진짜 김진규(차동재 형사) * [[에빌리오스 시리즈]] * [[알렌 아바도니아]] →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 [[메이라나 블로섬]] → [[이리나 클락워커|줄리아 아벨라르]] * [[아이언맨 3]] - [[만다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만다린(대역)]] → [[알드리치 킬리언|본인]][* 다만 이 경우, [[웬우|실제 만다린]]은 따로 존재했으며, 킬리언 또한 그의 이름을 무단으로 가져다 썼던 것으로 밝혀진다.] * [[알드노아. 제로]] - 1화에서 사고를 당한 금발의 인물 → [[어세일럼 버스 앨루시아]], [[렘리나 버스 엔버스]] → [[어세일럼 버스 앨루시아]] * [[엑스맨(코나미)]] - [[미스티크|매그니토(대역)]] → [[매그니토|본인]] * [[엔젤하트(만화)]] - 리 치엔도 → 리 지엔치앙 * [[역전검사2]] - 가짜 [[오 테이쿤]] → 진짜 [[오 테이쿤]] * [[영웅전설 1]] - 가짜 아그니쟈 → 진짜 아그니쟈 * [[오버로드(소설)]] - [[판도라즈 액터]] → [[아인즈 울 고운]] * [[용과 같이 7: 빛과 어둠의 행방]] - 김용수 → [[한준기(용과 같이 시리즈)|한준기]][* 하지만 본인은 6부에서 이미 사망했다고 한다.] * [[용자성전 반간]] - [[그란다크|그란다크(가짜)]] → [[세르츠 바하|그란다크(진짜)]] * [[왕이 된 남자]] - 하선 → 이헌 * ~~[[왕자와 거지]] - 톰 캔티 → [[에드워드 6세]]~~ * [[원신]] * [[라이덴 에이]] → [[라이덴 마코토]] * [[푸리나]] → [[포칼로스]] * [[월야화원]] - 유선 → 서혜원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리시드]] → [[마리크 이슈타르]] * [[유희왕 ZEXAL]] -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폰타]] → [[기라그]][* 전생 한정.] * [[은하!]] - 물일렁왕국의 개구리 공주(언니) → 개구리 여왕(동생)[* 원래는 태어나자마자 반골로 태어난 동생이 죽을 운명이었으나, 언니가 혀를 희생하여 벙어리가 되면서까지 동생을 보호해 동생을 후계자로 올리고 자신이 카게무샤를 자처했다. 하지만 가리쿠스와 결탁한 적대세력에 의해 동생이 죽으면서 유일한 적장자가 된다.] * [[은혼]] - 카케마루 → [[도쿠가와 시게시게]] * [[은하영웅전설]] - [[가짜 총대주교]] → [[지구교 총대주교]] * [[이노티아 연대기]] - 자하 쿠르핫의 쌍둥이 동생이 카게무샤 노릇을 하고 있었다. * [[이퀼리브리엄]] - 신부(리브리아의 영도자) → 듀 폰트 * [[임진록 2]]의 확장팩 조선의 반격의 방어구 아이템 카케무샤의 투구 [[와키자카 야스하루|와카자키]]도 그렇고 [[불랑기포|불량기포]]도 그렇고 이 게임 오타가 너무 많다... 방어구 중 가장 낮은 방어력이지만 장착한 장수가 공격했을 때 기본 스펙이 똑같은[* 백설산삼 등으로 체력을 증가시켰을경우 체력까지 말이다.] 분신이 생긴다. 투구를 해제해도 분신이 사라지지는 않으며 초당 3씩 체력이 깎여 체력이 0이 될 시 사라진다. * [[재혼 황후]] - [[알레이시아(재혼 황후)|알레이시아]] → 로코레드 말로노(클로디아 대공부인) [* 클로디아 대공이 부인이 몸이 너무 약하다며 대신 부인과 많이 닮은 알레이시아를 부인의 대역으로 삼았었다.] * [[좋은 사람(2016)|좋은 사람]] - 변춘자 → [[차옥심]]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2부 [[전투조류]] - [[돌가면의 흡혈귀|카즈(대역)]] → [[카즈(죠죠의 기묘한 모험)|본인]] * 8부 [[죠죠리온]] - [[아케후 사토루|토오루(대역)]] → [[토오루(죠죠의 기묘한 모험)|본인]] *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 혼다 마사야스 = 마사얀 → [[효도 카즈타카]] * [[중전기 엘가임]] - [[미안 쿠 하우 앗샤]] → [[올드나 포세이달]]([[아만다라 카만다라|본인]]) * [[차나왕 요시츠네]] - 효타 →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 [[채운국 이야기]] - [[향령]] → [[홍수려]] * [[초인기 메탈더]] - 쿨긴 → 갓 네로스 * [[초한지]] - [[기신(초한쟁패기)|기신]] → [[고제(전한)|유방]] * [[카게무샤(영화)|카게무샤]] - 카게무샤[* 영화 주인공이지만 본인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 [[다케다 신겐]] * 카게무샤 도쿠가와 이에야스([[하라 테츠오]] 작) - 세라다 모토노부→도쿠가와 이에야스 * [[카드캡터 사쿠라]] - [[크로우 카드/J-P#s-8|The Mirror]] → [[키노모토 사쿠라]] * [[카르세아린]] - [[카르세아린(카르세아린)|카르세아린]] → [[카르세아린#s-5.3|이오네 엘 카르셀]] * [[카이저 너클]] - [[아스테카(카이저 너클)|대역]] → [[제너럴(카이저 너클)|제너럴]] * [[카케구루이]] - [[부회장(카케구루이)|모모바미 리리카]] → [[모모바미 키라리]]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 [[피델 카스트로]](대역) → 본인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하데스(대역) → [[하데스(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하데스]] 본인 * [[크레용 신짱]] 22기 극장판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 텟켄지 토카츠 → [[쿠로이와 진타로]] * 클레오파트라와 이틀밤(Due notti con Cleopatra) - 니스카 → [[클레오파트라 7세|클레오파트라]] * [[킹덤(만화)|킹덤]] - [[표(킹덤)|표]] → [[진시황(킹덤)|진시황]] * [[타임 프린세스]] 패션 하우스 편 - 마르그리트 고티에 → 마리사 퐁텐 * [[토미카 히어로 레스큐 파이어]] - [[돈카엔|가짜 돈카엔 → 본인]] * [[트리니티 블러드]] - [[미르카 포르투나]] → [[세스(트리니티 블러드)|황제]] * [[트릭(드라마)|트릭]] - 양로원의 대역 노인들 → 작중에서 이미 고인인 해당 노인들[* 즉, 죽은 사람을 산 것처럼 위장시켜 자식들이 연금 수령이나 재산상속상의 부정을 행하는 것을 도와주는 양로원인 것이다.] * [[파이널 판타지 11]] - Orcish Overlord → [[오버로드 박고덱]]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아이샤 코단테]], [[하인드 킬]] → [[아마테라스]] 비상시에 아마테라스의 카게무샤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이샤 자체의 명성이 너무 알려져서 거의 안한다. 되려 동생인 와스챠나 친척인 [[사리온]] 아이샤의 카게무샤를 한 사례가 있을 정도. * [[파 크라이 4]] - 페이건 민(대역) → [[페이건 민]] 본인 * [[펜트하우스 시리즈]] - [[심수련]] ↔ [[나애교]]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 [[판테라(푸른 뇌정 건볼트)|가짜 판테라 → 본인]] * [[풍운 시리즈]] - [[사자왕(SNK)|사자왕(대역)]] → [[진 사자왕|본인]] * [[프리큐어 시리즈]] * [[후레쉬 프리큐어!]] - [[뫼비우스(후레쉬 프리큐어!)|가짜 뫼비우스 → 본인]] 가짜 뫼비우스는 중년 남성의 모습을 한 안드로이드이며 진짜 뫼비우스는 [[라비린스(후레쉬 프리큐어!)|라비린스]]를 관리하는 슈퍼컴퓨터다. * [[심쿵! 프리큐어]] - 가짜 [[마리 앙주]] → 본인과 [[레지나(심쿵! 프리큐어)|분]][[마도카 아구리|신]][[아이짱|들]] * [[스타☆트윙클 프리큐어]]의 [[노트레이#s-3.1.12|다크네스트(대역)]] → [[다크네스트|본인]] * [[하렘 시리즈|하렘 페이크]] - 우드 → 더들리 다만 여기서는 오히려 [[하렘]] 구성원들이 카게무샤인 주인공의 활약 및 [[정력]](!?)에 반해 무능한 '''원래 주군을 가짜로 몰아 내친다'''. * [[화봉요원]] - [[장료/기타 창작물|장료]] → [[여포/기타 창작물|여포]]/[[조조/기타 창작물|조조]] 이 작품에서 장료는 주군인 여포의 대역을 했었고, 조조 휘하에 들어간 뒤에는 [[관도 전투]]에서 조조의 대역이 되기도 했다. * [[화이트 블러드]] - 신 → 서요한 그 동안 신이라고 활동한 자는 가짜 신이였고 서요한이 진짜 신이였다. * [[흑신]] - 시시가미 레이신(대역)[* 16권에서 자룡일족의 암살을 대비해 데려온 사람이었다.] - [[시시가미 레이신|본인]] * ~~[[∀건담]] - [[키엘 하임]] ↔ [[디아나 소렐]]~~ 왕자와 거지처럼 서로 옷을 바꿔입고 양쪽을 왔다갔다 한다. * [[A특공대]] 극장판 - 머독 → 러셀 모리슨 인질 역할이기 때문에 봉투를 뒤집어쓰고 녹음된 대화를 사용하여 린치의 눈을 속였다. * [[Fate 시리즈]] * [[고르곤(Fate 시리즈)|가짜 티아마트]] → [[티아마트(Fate 시리즈)|본인]] * [[마신왕 게티아|가짜 솔로몬]] → [[솔로몬(Fate 시리즈)|본인]] * [[헤파이스티온(Fate 시리즈)|헤파이스티온]] → [[이스칸다르(Fate 시리즈)|이스칸다르]] * [[U-올가마리]] → [[칼데아스]] * [[알테라]]와 [[크림힐트(Fate 시리즈)|크림힐트]]는 생전에 서로 만난 적도 없이 대역끼리 정략결혼했다. * [[Cytus II]] - [[Cytus II/등장인물#질|Jill]] → [[Ilka]] Ilka가 재소집된 권고자 조직에 돌아올 때까지 Jill이 Ilka의 대역으로 활동했다. * [[Sdorica]] * [[클로버(Sdorica)|클로버]](가짜) → [[다이애나 후안 고메즈]](진짜)[* 원래는 후안 가문에서 왕위 쟁탈전이 벌어지기 전까지 클로버는 진짜 다이애나를 보호할 호위병으로 데려온 전쟁고아였으나, 진짜 다이애나를 비롯한 후안 가문이 몰살당하면서 대부인 [[레이저 버나드]]의 지지로 대타로써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대립 상태에 있는 [[디비어스 루이스 마르코]]에게 이 사실을 이미 들킨 상황이다.] * [[히마와리(Sdorica)|가짜 히마와리]] → [[히마와리(Sdorica)|진짜 히마와리]][* 이클립스 본편에서 자주 보는 히마와리는 인간으로 위장한 가짜로, 미란다의 회상에 의하면 진짜 히마와리는 순수한 석호족 수인이며, 석호족은 오래 전 [[센노스케]]에 의해 씨가 말려진지 오래고, 진짜 히마와리는 가짜 히마와리에게 석호족의 힘을 물려주고 사망한 상태. 또한 로우와 함께 유년기 시절 미란다를 격려해준 지인이기도 했다. 성격도 본편의 가짜 히마와리는 찌질함이 난무하는 못된 악녀같은 성격에 비해 사망한 진짜 히마와리는 신비스럽고 상냥한 성격.] * [[Skibidi Toilet]] - [[가짜 G맨 토일렛]] → [[G맨 토일렛]] * [[Summer Pockets]] - [[츠무기 벤더스]]의 곰인형 → [[츠무기 벤더스#s-4]] * [[WORKING!!]] - 야마다(?) 키쿠노 → [[타카나시 시즈카]] [[분류:동음이의어]][[분류:센고쿠 시대/창작물]][[분류:직업]][[분류:클리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