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의 카구야님/카구야 님/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리다이렉트 존치는 나무위키 토론에서 지정된 것들입니다. [include(틀: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2>
'''{{{#ffffff,#ffffff {{{+1 카구야 님은 {{{#ff0032,#ff0032 고백}}}받고 싶어}}}[br]{{{#ff0032,#ff0032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ffffff,#ffffff かぐや様は{{{#ff0032,#ff0032 告}}}らせたい[br]{{{-1 {{{#ff0032,#ff0032 〜天才たちの恋愛頭脳戦〜}}}}}}[br]Kaguya-sama: {{{#ff0032,#ff0032 Love Is Wa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카구야님 01.png|width=100%]]}}} || || '''{{{#ffffff,#dddddd 장르}}}''' ||[[학원물|학원]], [[러브 코미디]], [[일상물|일상]] || || '''{{{#ffffff,#dddddd 작가}}}''' ||[[아카사카 아카]] || || '''{{{#ffffff,#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슈에이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학산문화사]] || || '''{{{#ffffff,#dddddd 연재처}}}''' ||[[주간 영 점프]] || || '''{{{#ffffff,#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영 점프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학산코믹스 || || '''{{{#ffffff,#dddddd 연재 기간}}}''' ||2015년 6월호 ~ 2016년 2월호[* 미라클 점프][br]2016년 17호 ~ 2022년 28호[* 주간 영 점프] || || '''{{{#ffffff,#dddddd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8권 ,,(2022. 12. 19.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8권 ,,(2023. 09. 22.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연애는 전쟁! 좋아하게 된 쪽이 패하는 것이다!!''' >---- >— 1권 1화, 작품의 [[캐치프레이즈]][* 13권 122화에서 여주인공 카구야가 속으로 "먼저 좋아하게 된 쪽이 지는 것도 아니고!"라고 해서 "작품의 근간을 부정당함."이란 내레이션이 뜬다. 2쪽 뒤에 철회하지만.] [[인스턴트 불릿]]을 연재하던 [[아카사카 아카]]가 [[영 점프]]에서 연재한 만화. 원래 미라클 점프에서 연재한 작품이었으나, 이후 영 점프로 옮겨 연재했다.[* 미라클 점프는 [[영 점프]]의 증간호 정도의 취급을 받는 잡지다. 그러니까 영 점프로 옮겨간 것은 증간호에서 본지 연재로 '''승격'''한 셈이다.] 사립 명문고 [[슈치인 학원]]의 학생회장 [[시로가네 미유키]]와 [[부회장]] [[시노미야 카구야]]의 [[밀당]]을 다룬 [[러브 코미디]] 만화. [[안녕하살법]]의 원조로도 유명한 만화이다. == 줄거리 == >똑똑한 데다 외모 또한 발군인 두 명의 고등학생 남녀가 있다. 둘은 서로를 좋아하지만 자존심이 드높은 탓에, 먼저 고백받기 위한 두뇌 싸움을 벌이기 시작한다! > >하지만 허점투성이의 그들은 매번 삽질만 하고. 과연, 이 밀당 싸움의 최종 승자는 누구인가? 사랑에 승자란 존재하는 것인가?! 명문 슈치인 고등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들인 학생회장 시로가네 미유키와 부회장 시노미야 카구야의 이야기이다. 둘은 비범한 천재들이면서 한창 사랑에 고민하는 사춘기이기도 하다. 서로를 좋아하면서도 자존심 때문에 고백하기 어려운 상황속에 똑똑한 허당인 둘의 개그밀당은 주변인들에게도 웃음을 선사하는데... 과연 먼저 고백하는 쪽은 누굴까? 아니, 애초에 사랑에 승패가 존재하는 거야?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에피소드 목록|에피소드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에피소드 목록)] == 발매 현황 == === 본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2 '''{{{#ffffff,#ffffff 카구야 님은 {{{#ff0032,#ff0032 고백}}}받고 싶어}}}'''}}}[br]'''{{{#ff0032,#ff0032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fff><:><^|1>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
<-2> '''{{{#ffffff,#dddddd 01권}}}'''[* 분위기가 내용과 너무 갭이 커선지 연재 잡지에서 [[:파일:카구야 1권 어나더 표지.jpg|어나더 Ver.표지]]를 부록으로 줬으며, 한국에선 10권 11권 합본 특전으로 [[:파일:카구야 10권 11권 합본 특전.jpg|pp엽서]]를 줬다.] ||<-2> '''{{{#ffffff,#dddddd 02권}}}''' ||<-2> '''{{{#ffffff,#dddddd 03권}}}''' ||<-2> '''{{{#ffffff,#dddddd 04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님 01.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2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3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4권-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3월 18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7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0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1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0월 2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1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4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8월 23일''' || || [[파일:e북.svg|width=20]] ||'''2018년 11월 01일''' || [[파일:e북.svg|width=20]] ||'''2018년 11월 01일''' || [[파일:e북.svg|width=20]] ||'''2018년 11월 01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1월 17일''' || ||<-8> || ||<-2> '''{{{#ffffff,#dddddd 05권}}}''' ||<-2> '''{{{#ffffff,#dddddd 06권}}}''' ||<-2> '''{{{#ffffff,#dddddd 07권}}}''' ||<-2> '''{{{#ffffff,#dddddd 08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5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6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7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8권-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4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7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10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1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2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3월 19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3월 19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5월 21일''' ||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2월 14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5월 02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7월 25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7월 25일''' || ||<-8> || ||<-2> '''{{{#ffffff,#dddddd 09권}}}''' ||<-2> '''{{{#ffffff,#dddddd 10권}}}''' ||<-2> '''{{{#ffffff,#dddddd 11권}}}''' ||<-2> '''{{{#ffffff,#dddddd 12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9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10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11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12권-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4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6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9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6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2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2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28일''' ||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08월 01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11월 28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11월 28일''' || [[파일:e북.svg|width=20]] ||'''2019년 12월 19일''' || ||<-8> || ||<-2> '''{{{#ffffff,#dddddd 13권}}}''' ||<-2> '''{{{#ffffff,#dddddd 14권}}}''' ||<-2> '''{{{#ffffff,#dddddd 15권}}}''' ||<-2> '''{{{#ffffff,#dddddd 16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13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14 (한).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고백15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16권(한).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1월 18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3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7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1월 2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2월 1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4월 24일[* 본래 2020년 3월 발매 예정이었으나, 출판사인 학산문화사의 공지에 따르면 카구야 15권은 원작자의 사정으로 인해 미뤄졌다고 한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15일''' || || [[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1월 16일''' || [[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4월 02일''' || [[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6월 25일''' || [[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7월 30일''' || ||<-8> || ||<-2> '''{{{#ffffff,#dddddd 17권}}}''' ||<-2> '''{{{#ffffff,#dddddd 18권}}}''' ||<-2> '''{{{#ffffff,#dddddd 19권}}}''' ||<-2> '''{{{#ffffff,#dddddd 20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17.webp|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18.webp|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19권.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0권(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1월 1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4월 1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7월 1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7월 2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2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3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1월 05일''' || || [[파일:e북.svg|width=20]] ||'''2020년 09월 17일''' || [[파일:e북.svg|width=20]] ||'''2021년 01월 28일''' || [[파일:e북.svg|width=20]] ||'''2021년 05월 06일'''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02월 10일''' || ||<-8> || ||<-2> '''{{{#ffffff,#dddddd 21권}}}''' ||<-2> '''{{{#ffffff,#dddddd 22권}}}''' ||<-2> '''{{{#ffffff,#dddddd 23권}}}''' ||<-2> '''{{{#ffffff,#dddddd 24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1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2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3권(한국).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4권(한).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2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5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8월 18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17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3월 0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5월 25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8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9월 23일''' ||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04월 07일'''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07월 28일'''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09월 15일'''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10월 27일''' || ||<-8> || ||<-2> '''{{{#ffffff,#dddddd 25권}}}''' ||<-2> '''{{{#ffffff,#dddddd 26권}}}''' ||<-2> '''{{{#ffffff,#dddddd 27권}}}''' ||<-2> '''{{{#ffffff,#dddddd 28권 ,,(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5권 (한).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6권 (한).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7권 (한).webp|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 28권 (한).webp|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03월 18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06월 1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0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19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5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03월 2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05월 25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09월 22일''' ||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12월 29일'''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04월 27일'''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06월 22일'''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10월 19일''' ||}}}}}}}}}}}} ||}}} * 표지 일러스트에서 제목 글자 중 '고(告)' 부분이 캐릭터의 눈에 들어가는 게 특징이다. 예외적으로 10권에선 카구야, 치카, 미코가 그리고 있는 손 하트 안에 '고'가 들어가며, 14권, 22권, 26권은 평범하게 중앙에 '고'가 위치해 있다. * 한국어판은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이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원제를 직역하면 '카구야 님은 고백시키고 싶어'로, "시키고"란 적극적인 뉘앙스에서 '받고'란 수동적인 뉘앙스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본 작품의 주요 테마인 '연애 두뇌전'의 느낌을 완벽히 전달하지 못하고 평범한 순애물로 보이게 만드는 왜곡이 일어났다.[* 정발 이전부터 불법 번역본들에 의해 현재의 제목으로 익히 알려졌는지라 국내 정발명도 이쪽으로 정해진 것으로 보인다.] *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판은 ''''''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뜻은 '카구야님: 사랑은 전쟁'. * 러시아어판은 '''<Госпожа Кагуя: В любви как на войне>'''이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뜻은 '카구야 양: 전쟁 같은 사랑에서'. * 대만에서 중국어판은 '''<輝夜姬想讓人告白~天才們的戀愛頭腦戰~>'''[* 한어병음으로 적으면 'huīyè jī xiǎng ràngrén gào bái~tiāncái mén de liànài tóunǎo zhàn~']이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뜻은 '카구야 양은 고백시키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카구야'를 빛날 휘(輝) 자와 밤 야(夜)로 음역했다. 달로 간 공주라는 [[타케토리모노가타리]]에서의 설정에서 따온듯.] * 28권으로 완결되었다. * 27권과 28권 표지 일러스트는 이어진다. 그 와중 [[후지와라 치카]]만 [[반갈죽]]을 당했다.[* 자세히보면 카구야도 전체적으론 28권 표지에 있지만 조금 27권 표지에 잘려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28권(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27권(일).jpg|width=100%]]}}} || ==== 표지 인물 일람 ==== * 1권 - [[시노미야 카구야]] * 2권 - [[후지와라 치카]] * 3권 - [[하야사카 아이]] * 4권 - [[시로가네 케이]] * 5권 - 시노미야 카구야, [[시로가네 미유키]] * 6권 - [[카시와기 나기사]], [[타누마 츠바사]], [[시죠 마키]] * 7권 - [[이이노 미코]] * 8권 -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 9권 - [[이시가미 유우]], 시로가네 미유키 * 10권 -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시로가네 미유키, 이시가미 유우, 이이노 미코 * 11권 - 하야사카 아이 * 12권 - [[코야스 츠바메]] * 13권 - [[시죠 마키]] * 14권 - 시노미야 카구야, 시로가네 미유키 * 15권 - 시노미야 카구야(얼음공주, 바보 카구야) * 16권 - 이시가미 유우, 이이노 미코 * 17권 - [[오노데라 레이]], [[오사라기 코바치]] * 18권 - 이시가미 유우, 시노미야 카구야 * 19권 - 하야사카 아이 * 20권 - 시로가네 미유키 * 21권 - 시로가네 케이 * 22권 -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 23권 - 시노미야 카구야 * 24권 - 이이노 미코 * 25권 - 시죠 마키 * 26권 - 시노미야 카구야, 시로가네 미유키 * 27권 - (오른쪽부터) 이시가미 유우, 타누마 츠바사, 카시와기 나기사, 시로가네 미유키,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 28권 -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하야사카 아이, 시죠 마키, 이이노 미코 === 스핀오프 === ==== 동인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ffffff,#dddddd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ff0032,#ff0032 동인판}}}''' || ||<-2> '''{{{#ffffff,#dddddd 01권}}}''' ||<-2> '''{{{#ffffff,#dddddd 02권}}}''' ||<-2> '''{{{#ffffff,#dddddd 03권}}}''' ||<-2> '''{{{#ffffff,#dddddd 04권 ,,(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동인1일본.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동인2일본.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동인3일본.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구야동인4일본.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3월 1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1월 1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7월 17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작가는 [[https://twitter.com/sakayama_shinta|사카야마 신타(茶菓山しん太)]].[* [[관희 챠이카]]의 만화판을 그린 바가 있으며, 현재는 '유즈카와 양은, 이해받고 싶어(柚子川さんは、察して欲しい。)'라는 만화를 연재중이다.] 격주로 연재됐으며, 33화(4권)로 완결됐다. 2020년 7월에 100만 부를 돌파했다. 본편과 무관한 IF 스토리만을 그린, 말 그대로 스핀오프 만화. 연재 극초기엔 본편에서 안 나온 [[서비스신]]이나 에로 코드를 주제로 했으며, 여타 러브 코미디 작품 등에서도 간간이 번외편으로 쓰이는 IF 스토리가 주된 테마였다. 매번 설정이 달라진 옴니버스식 전개지만, 장편이라 할 수 있는 에피소드 역시 몇 가지 있다. 이 스핀오프는 본편과 달리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이라는 부제가 붙지 않는다. * 슈치인 유치원: 총 6편(12, 16, 18, 22, 25, 32). 여기선 [[시로가네 미유키|시로가네]]와 [[하야사카 아이|하야사카]]가 유치원 교사이며, 교장은 유치원 원장, 나머지 주연 학생들은 유치원생으로 등장.[* 대략 [[진격! 거인 중학교]]나 [[귀멸의 칼날|귀멸학원]]과 비슷하다.] 여기서도 카구야가 시로가네를 좋아하는 건 여전하나, 5살짜리 아이와 20세 이상의 성인인 관계로 진지하게 다뤄지진 않고 대신 '''하야사카가 시로가네를 좋아한다.''' 즉, 유치원 설정은 첫 화에나 제대로 쓰인 핑계에 가깝고, 사실상 하야사카 루트에 가까운 에피. 자세한 건 [[하야사카 아이#s-3.3]] 문서 참고. * 전래동화: 전래동화에 작중 등장인물들을 대입시킨 단편 에피소드. 총 4편([[모모타로]](13), [[신데렐라]](15), [[빨간 두건]](17), [[인어공주]](23)). 각 캐릭터 설정을 잘 살리면서 묘하게 맞는 듯하면서도 하나 같이 결국 비틀린 결말에 이르는 게 포인트. [[시죠 마키]]가 주연으로 등장한 에피소드에선 [[카시와기 나기사]]가 NTR하는 전개가 나온다. * 슈치인 여학원: 슈치인 학교가 여학원이란 설정으로 진행된 이야기. 총 3편(19, 27, 31). 이에 따라 시로가네를 비롯한 남성진은 모두 여자로 TS되어 등장했다. 31화에선 [[시로가네의 아버지]]도 파마머리 아주머니가 되어 등장한다. 이 때문에 여기선 시로가네와 카구야가 옆에서 끈적거린다고 표현할 정도로 서로 들러붙는다. 즉 [[백합(장르)|백합물]]이란 소리. 본편과 달리 또래 나이대에 걸맞는 소녀다운 카구야와 솔직하고 잘 챙겨주는 언니 같은 시로가네의 모습이 포인트. * 스낵 카구야: 카구야와 치카가 바를 운영하고 있다는 설정으로 나온 에피소드. 총 2편(21, 30). 시로가네가 안 나오는 얼마 안 되는 에피소드 중 하나이며[* 대신 대사에서 카구야와 잘 되고 있다고 언급된다.], 대신 회사에서 퇴근하면서 한잔 마시러 오는 이시가미가 주인공이다. * 안드로이드 카구야: 때는 근미래, 평범한 회사원인 미유키에게 가정용 안드로이드인 카구야가 보내져서 집안일을 돕게 된다는 이야기. 2번째 화에선 치카가 합류했다. 총 2편(28, 29). * 악몽: 시로가네가 학생회실에 가자 학생들이 [[수영복]], [[바니걸]] 등 야한 옷을 입고 있었는데, 마지막에 남캐들이 그 옷을 입고 OME를 연출해 시로가네가 기겁하며 잠에서 깨자 케이의 수영복을 베고 잤다든가 케이의 어린 시절 토끼 무늬 팬티를 손에 쥐고 자서 위와 같은 악몽을 꿨다는 이야기. 2편(11.5, 24.5). * 두 사람은 언제나 함께 있고 싶어: 미유키와 사귀게 된 카구야는 매우 기뻤지만 한편으로는 언젠가 이 일상이 부서질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게 되어 도망치려 하고, 그렇게 카구야의 존재가 모두에게 잊히고 만다. 하지만 그녀와의 추억을 되짚어가며 미유키는 결국 그녀를 기억해내 찾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참고로 카구야가 잊힌 세계에서는 치카가 부회장이다.] 아마도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의 패러디인 듯 하다.[* 아마도 작가가 모에 토너먼트에서 카구야 vs 마이의 라이벌리를 알고 이러한 패러디를 한 듯.] 마지막화(33). 그 외에도 몸이 뒤바뀌는 에피소드(14), 회장이 어려지는 에피소드(24), 편의점 알바 에피소드(26) 등 단편들이 있다. 참고로 동인판의 작가는 원래 [[후지와라 치카]]를 소재로 한 [[에로 동인지]]를 2편 정도 그린 적이 있었는데, 이후 신작으로 [[시노미야 카구야]]를 소재로 한 동인지를 내려다 원작자로부터 스핀오프를 그려달란 제의를 받아서 무산된 바가 있다.(...)[* 이걸 두고 [[장 피에르 폴나레프]]가 [[DIO]]의 스탠드 능력을 보고 횡설수설하는 장면을 패러디하며 자신의 당혹감을 표현한 짤을 올리기도 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 만화의 극초반 에피소드들에선 서비스신이 많이 나오는 편. ==== [[카구야 님을 이야기하고 싶어]]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카구야 님을 이야기하고 싶어|'''{{{#ffffff,#dddddd 카구야 님을}}} {{{#c8000a,#dddddd 이야기}}}{{{#ffffff,#dddddd 하고 싶어}}}''']] || || [[카구야 님을 이야기하고 싶어|[[파일:카구야이야기1한국.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을 이야기하고 싶어)] === 공식 팬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fffff,#dddddd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br]공식 팬북 ~천재들의 연애전술~}}}''' || ||<-2> [[파일:카구야 연애전술 (한).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1월 18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5일''' || }}} 일본 13권과 동시 발매한 팬북으로, 각종 설정 소개와 40개 이상의 컬러 일러스트, 단행본 미수록 에피소드 2개 등이 수록됨 한국에서는 2022년 11월 25일 25권과 같이 발매 되었다.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특징|특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특징)]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등장인물)] == 설정 == * '''[[슈치인 학원]]''' 본작의 무대가 되는 학원. * '''[[시노미야 그룹]]''' * '''시죠 그룹''' 시노미야 그룹의 과격파와 갈등을 빚은 온건파가 반추방 형태로 이탈해 설립된 그룹. 시노미야 그룹이 일본 내에선 방해하기에 외국이 주요 거점이다. 시노미야 그룹의 방해에도 프랑스 은행 인수를 성공하여 자산만은 시노미야 그룹과도 맞먹게 됐으며[* 자산총액 100조엔 이상으로 시노미야 그룹 자산총액의 절반을 넘는다.] 시노미야 본가는 시죠 그룹에 대한 대책을 세우느라 바쁜 상황이 됐다고 카구야를 통해 언급된다. 그런데 후반부에서 시노미야 그룹이 갑작스레 무너지면서 전세가 역전, 이 때만을 손꼽아 기다렸다는듯 무차별적으로 시노미야 그룹을 공격하며 철저하게 복수하기 시작했다. 가족끼리도 싸우며 냉정하고 인간미라고는 없는 시노미야 그룹과 달리 구성원끼리 상당히 끈끈한 유대를 자랑하는 듯 보인다.[* 시죠 미카도가 시죠 그룹의 간부 중 하나의 공부법으로 1등했다 하자 정말이냐며 기뻐한다던가,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자 감탄하는 등, 가족에게도 인간적인 모습이라곤 보이지 않는 시노미야 오코와 달리 상당히 인간적인 모습을 보인다. 시노미야 오코가 시죠 그룹의 인간들은 이상론만 말한다며 짜증내는걸 보면 온갖 더러운 수를 쓰며 세를 불려온 시노미야 그룹과 달리 경영 방식도 깨끗한걸로 보인다. 한국 재벌이나 전전 일본 재벌처럼 정경유착으로 성장한 시노미야 그룹과 달리, 시죠 그룹은 기반도 없는 외국에서 세를 불려 나갔기에 시노미야처럼 대놓고 탈법 경영을 하기 어려웠을 확률이 높다. 경영진 성향도 애초에 시노미야의 방침에 반발해서 떨어져 나간 온건파이기도 하고.] 여담으로 일본 제87대 천황 [[시죠 덴노]]와 한자까지 같다. * '''[[오늘은 순한맛으로]]''' * '''기타 기업''' * '''카시와기 조선''' [[카시와기 나기사]]의 부친이 운영하는 선박 회사. 42화에서 "카구야는 인터넷을 날씨나 뉴스 체크 정도로밖에 안쓴다"는 나레이션의 설명 뒤에 카시와기 조선사 3/4분기 결산 보도가 나온다. * '''코세 된장 간장 주식회사''' [[코세 에리카]]의 부친이 운영하는 식품회사로 [[카구야 님을 이야기하고 싶어]]에서 거래하는 라면 가게에 에리카가 방문하는 장면이 나왔다. * '''키노쇼보''' [[키노 카렌]]의 부친이 운영하는 잡지사로 그냥 이름만 나왔다. == 인기 == [include(틀: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트렌드를 역행하는 [[러브 코미디]] 장르임에도[* 2010년대 초반까진 [[라이트 노벨]]쪽에서 관련된 작품이 쏟아졌지만, 지금은 [[일본식 이세계물]] 등으로 트렌드가 넘어갔다.] 비슷한 시기에 [[5등분의 신부]]와 함께 가장 크게 성공한 러브 코미디 만화다. 2023년도 기준 누계부수 2100만부를 넘어가며 21세기 러브 코미디 작품 중 가장 높은 누계부수를 기록하였다.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아져서 [[만화 갤러리]] 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후 언급량이 폭발적으로 늘더니 [[만화 갤러리]]에서 1화를 중계하는 등 큰 인기를 끄는 중. 애니화 당시엔 5등분의 신부의 평이 나쁜 반면, 카구야는 [[원작초월]]을 논할 정도로 애니메이션이 잘 나와서 픽시브 1위도 카구야짤이 차지하는 등 엄청나게 떡상하면서 흥행 기폭제가 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애니 3화의 [[후지와라 치카]] 엔딩씬. Animax Plus 계정으로 올라온 [[https://www.youtube.com/watch?v=xMmbLJcnp0s|영상]]의 조회수는 600만을 넘겼고, 일본에선 '''2000만 조회수'''를 돌파하면서 성우인 [[코하라 코노미]]가 직접 감사멘트를 전했다.] 다만 연재 초반에는 러브 코미디 중에서 독보적인 판매량까진 달성하지 못했다. 21세기 러브 코미디로 한정해도, 오리콘 판매량으론 동시기에 애니화됐던 [[5등분의 신부]]가 거의 2배 격차로 이겼고, 권당 판매량은 [[오타쿠에게 사랑은 어려워]]도 2배로 이기며 1위를 차지했다.[* 동시기 경쟁작 외에도 누계로는 장기 연재로 누계 발행부수 2천만 부를 찍은 [[마법선생 네기마]]와 [[하야테처럼!]]이 있다.] 아무래도 다른 러브 코미디에 비해 접근성과 대중성이 떨어지는게 원인으로 보이는데, 카구야 님은 제목 그대로 카구야란 1명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연애 두뇌전'이란 '''독특한 컨셉'''이라 이게 안 맞으면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분석.[* 5등분의 신부는 1명의 남주인공에게 5명의 개성있는 히로인들이 비슷한 비중으로 해프닝을 만드는 정석적인 러브 코미디라 쉽게 읽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요즘 러브 코미디에는 흔하지 않은 단순한 작화나 복잡한 설정들도 호불호가 갈리는 요소. 그러나 애니메이션으로 [[후지와라 치카]]를 대표로 한 조연들이 대거 홍보가 되고, 원작 스토리도 문화제 편 이후 연애 두뇌전의 비중이 줄어들고 정석적인 순애물 스토리로 전환되면서 인기가 더욱 올라갔다. 작품 자체는 남성향 러브 코미디물에 가깝지만, 전개 자체는 [[순정만화]]의 레파토리와 상당히 유사하고[* 전반적인 설정이나 전개가 순정만화 [[그 남자! 그 여자!]]랑 유사한 구석이 있다. 남녀 주인공이 전교 1-2등을 다투는 우등생이고, 얼핏보면 유복한 집안에 뛰어난 학생처럼 보이지만 실은 가정사와 관련해 암울한 과거와 성격을 지닌 자([[아리마 소이치로]], [[시노미야 카구야]])와 평범한 집안 출신이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정점에 오른 자([[미야자와 유키노]], [[시로가네 미유키]]) 간의 밀당 로맨스, 가문과 관련된 심각 노선의 전개가 그렇다.] 자극적인 서비스신이 적고 매력적인 남성 캐릭터들도 많아서 여성층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5등분의 신부]]도 여성독자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두 작품 모두 트렌드를 역행하는 작품임에도 크게 흥행한 이유중 하나가 성별을 가리지 않고 인기를 끌은 것도 한몫하는 듯. 캐릭터를 필두로 한 [[모에 토너먼트]] 부분에서는 굉장히 신예인 축에 들어가는 진영임에도, 2020년대부터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미유키x카구야 커플은 [[BGC]]나 [[국사모]]같은 외국 대형 투표의 우승을 가져갔고, 이시가미 역시 국사모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며[* 20년에는 4위 21년에는 8강에 진출했다.] 하야사카나 치카 등 조연들도 이보단 덜하지만 준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애당초 치카나 하야사카 같은 캐릭터들이 호성적을 거두는 것 자체가 카구야의 인기를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진영이 거대해서인지 높은 레벨에서 팀킬이 자주 일어나는데, 하야사카의 경우 포스트시즌에서 주인인 카구야에게만 3번 만나(20년 국사모 8강, 21년 국사모 16강, 20년 BGC 4강) 모두 졌고, 이시가미도 미유키를 2번 만나(20년 국사모 4강, 21년 BGC 결승) 모두 졌다.] 특히 [[Best Girl Contest|BGC]]에서는 거의 역대 최강의 진영 포스를 뿜는데, 일례로 그 영향력이 절정에 이른 22년 여성부 예선에서는 카구야 없이도 '''무려 9명(!)'''이나 지명받았다. 심지어 작품별 출전 인원 제한 때문에 실제 본선 진출자는 치카(1위), 하야사카(6위), 이이노(9위), 케이(12위), 마키(32위)에서 끊겼다. 나머지 중 츠바메(46위), 나기사(77위)는 두 자릿수 시드임에도 떨어졌고, 오사라기(226위)나 모에하(...)(332위) 역시 마찬가지다. 물론 이 이상의 진출자를 내고 있는 진영은 많지만, 여기는 '''일상/청춘물의 무덤'''인 BGC라는 점을 상기하자.[* 실제로 이번 대회에서 카구야 이상의 진출자를 낸 작품은 코노스바, 리제로, 페이트, 진격의 거인, 나히아 같은 양덕계의 작품들이다.] 결국 해당 대회에서 [[하야사카 아이]]가 우승을 거머쥐었고, 이듬해 남성부에서는 [[이시가미 유우]]가 우승을 거머쥐며 '''총 4명의 우승자를 배출하는 어마무시한 기록을 세웠다.''' 최소한 BGC에서는 적수가 없는 역대 최강의 진영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카구야 캐릭터들이 처음 나온 2020년부터 거의 매년 우승자를 배출했다. 차레로 2020 여성부 카구야, 2021 남성부 미유키, 2022 여성부 하야사카, 2023 남성부 이시가미.] === 누계발행부수 === 대형 잡지사인 [[주간 영 점프]]의 작품임에도 애니화가 늦어졌다가 애니화 이후 대폭 성장한 대표적인 만화다.[* 애니화를 기점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같은 1분기에 [[약속의 네버랜드]] 등 그 이상으로 버프를 받은 시리즈들이 있어서 별로 티가 안 나는 편이다.] 2017년 7월 19일 6권 발행과 함께 누계 부수 100만 부를 돌파했고, 12권 띠지에서 누계 부수 350만 부 돌파하면서 히트작 배열에 진입했다. 이는 당시까지 주간지에서 연재 중인 러브 코미디 만화 판매량 1위의 기록이었다. 2019년 1월 13권 띠지에서 누계 발행부수 400만 부 돌파(종이판과 전자판 합계)를 알렸고, 2019년 3월 14권 판매 시점엔 시리즈 누계 발행부수 500만 부, 1기 애니메이션 최종화를 대비해 추가 발행하며 550만 부를 기록했다. [[https://twitter.com/kaguya_comic/status/1111165396088807424|2019년 3월 29일 공식 트위터]]에서 누계 600만 부를 눈 앞에 뒀다고 했으며, 137화 연재분에서 650만 부 돌파를 알렸다. 이후 16권 발매 직후 850만 부, 2019년 12월엔 [[https://twitter.com/kaguya_comic/status/1202585095439175682?s=19|900만 부]], 2020년 3월엔 '''1000만 부'''를 돌파했다. 여기에 카구야 2기 애니 방영과 맞물려 2020년 6월 초엔 1100만 부, [[https://twitter.com/kaguya_comic/status/1281167000488665088|7월 17일]] 본편과 스핀오프 합산 3권이 동시발매되며 '''시리즈 누계 1200만 부'''를 돌파했다.[* 2020년 7월 17일 발매한 스핀오프 띠지에 스핀오프 누계 100만 부라고 별도로 적힌 걸 보아, 구체적으론 본편 19권 1100만 부+스핀오프 7권 100만 부=시리즈 1200만 부다.] 2020년 9월 말엔 1300만 부, 2021년 1월 초엔 1400만 부를 돌파, 2021년 9월엔 1650만 부를 돌파했다. [[https://twitter.com/kaguya_comic/status/1529727941936283648?s=20&t=yT63T1Cz0_0yt9oj0bIIuA|2022년 5월 26일]] 기준으로 1800만 부를 돌파했으며 2023년 마지막 권인 28권을 기점으로 2200만 부를 돌파했다. === [[안녕하살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녕하살법)] === [[치카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카댄스)] === [[귀여우셔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귀여우셔라)] == 평가 == 상술되어 있듯이 연애 두뇌전이라는 참신한 컨셉과 클리셰를 깨부수는 전개와 개그, 매력적인 캐릭터, 치밀한 스토리와 관계 묘사까지 제대로 살려낸 러브 코미디로서 가히 수작이라 불리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작품이었다. 하술된 비판점에도 불구하고 이 만화의 전체적인 작품성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이 호평이 우세했었다. 초반에는 어디까지나 '참신한 러브 코미디'로서 호평을 받았으나, 불꽃놀이 에피소드와 학생회 선거 에피소드를 거치며 진지한 스토리물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운동회 편에서 다뤄진 이시가미의 과거 스토리부터 폭발적으로 평이 올라갔으며 문화제 에피소드에서 인기와 평가가 절정에 달했다. 이 시기에 애니메이션도 방영을 시작하면서 인기에 박차를 가했고, 이후 수학여행 편에서 하야사카 스토리로 다시 높은 평을 받으며 호평을 이어나갔다. 다만 3학기 편 들어서 이시가미-츠바메-미코라는 다소 낯선 인물들이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오며 그들의 삼각관계가 주요 플롯이 되자 호불호가 갈리기 시작했고, 졸업식 에피 전후로 좀 나아지나 싶더니 [[오사라기 코바치|오사라기]] 에피에서 스토리 평판이 바닥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이시가미가 분명 모종의 사건들로 인한 오해만 아니면 꽤 매력적인 캐릭터인건 맞지만, 이제 겨우 너드를 탈출한 개그캐가 작중에서 예쁘기로 탑을 찍는 히로인들과 4각 관계를 형성하는 전개 자체가 지나치게 작위적이라는게 중론. 이 와중에도 특유의 개그와 전개 방식은 호평을 받았으니, 그야말로 납득하기 어려운 '''날림설정'''으로 인해 무너져가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 직후 본래 전개될 예정이었던 수많은 에피소드를 그냥 스킵하고 느닷없이 최종 에피소드인 시노미야 카구야의 소실 편이 시작되어버렸다.[* 타이밍 때문에 오사라기 에피소드가 실패한 게 큰 영향을 끼친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자세한 것은 [[오사라기 코바치]] 문서 참고.] 5대 난제 에피소드 중 단 2개의 에피소드(츠바메, 오사라기)만 연재되고 나머지 3개의 에피소드(시라누이, 류쥬, 호라이)는 연재조차 되지 못한 것. 최종 에피소드도 문제인데, 카구야가 본가에 발이 묶여 정략결혼을 강요당하고 학생회 멤버들이 이를 구한다는 스토리가 되면서 전형적인 하이틴물의 전개가 되었다. 시노미야 그룹은 초반부터 최종보스로서 언급된 존재였음에도 그룹 내 권력 싸움과 주인공 커플이 인정받는 과정이 너무 쉽게 마무리되고 전개도 상당히 작위적이며, 최종 보스 포지션이 된 오코는 악역으로서의 매력이 전무하게 비춰졌다. 물론 본질이 러브 코미디인 작품은 맞지만, 카구야의 인생이 달린 중대한 상황에서조차 카구야의 아버지에게 냅다 혼인신고서를 내민다거나 말 몇마디로 100억을 받아내는 등 작가의 뜬금없는 개그욕심과 날림전개 때문에 작품의 최종보스인 시노미야 그룹이 '''지나치게 무능하고 멍청한 집단'''처럼 비춰지며, 이 때문에 작품 초반부터 기대했던 '성적 말고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미유키가 어떻게 재벌집 딸과 맺어질까'에 대한 과정이 지나치게 코미디만으로 채워지게 되었다. 결국 모두가 기대하던, 미유키의 밑바닥 자수성가와 권력에 대한 도전에서 오는 카타르시스도 지나치게 빈약하게 다가오게 되었다.[* 도대체 시로가네의 아버지가 어떻게 회사를 뺏겼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직원만 90만 명이 넘는 대기업이 자금력, 인맥, 정보력 어느 하나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무능한 깡패집단으로 나온다.] 완결에 가까워진 후로는 에필로그식으로 매화마다 주요 캐릭터 하나를 주인공으로 잡고 그 캐릭터의 이야기를 마무리짓는다는 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연출과 간간이 나오는 개그 코드는 여전히 호평이며, 회수되지 않은 떡밥들도 부족하게나마 차근차근 회수가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그 이전까지의 떡밥 회수와 비교하면 졸속 수준인지라 스토리 측면에서는 비판이 많다.[* 예를 들어 [[시로가네의 어머니]]는 작품 초반부터 끌고 온 떡밥이었으며 관련된 캐릭터도 많은데 [[시로가네 케이]] 에피소드에 등장시켜 짧은 대담 한 번으로 끝내버렸다. 겨우 한 화만에 끝난 에피소드라 [[시로가네 미유키]]나 [[시로가네의 아버지]]와는 너무 접점이 부족했고, [[시노미야 카구야]]는 아예 등장조차 없었다. 케이가 카구야와 만나고 어머니를 떠나게 되었다는 과거 사건에 대한 언급도 전혀 없다. 미유키가 카구야 집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전한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자세한 것은 [[시로가네의 어머니]] 문서 마지막 문단 참고.] 특히 주요 캐릭터의 스토리를 마무리짓는 것만으로도 벅차다 보니 [[류쥬 모모]]나 [[시라누이 코로모]]처럼 에피소드를 배정받지 못한 캐릭터들이나 아예 등장조차 제대로 못하고 떡밥만 나왔던 캐릭터들과 교직원들은 허무하게 퇴장했다.[* 류쥬 모모와 시라누이 코로모는 에피소드를 배정받지 못해 비중 자체는 적지만 그래도 자주 등장한 편이라 취급이 좀 낫지만 다른 캐릭터들은 취급이 비참하다. 작중에서는 4대 난제가 언급되었지만 원작격인 타케토리모노가타리에서는 5대 난제가 등장해서 작품 외적으로 언젠가는 등장할 거라는 떡밥만 있고 존재 자체가 불분명했던 호라이산의 옥가지를 모티브로 삼은 캐릭터는 여태까지 존재 자체를 꽁꽁 숨겨둔 것이 허망하게도 후지와라 치카 최종회에서 가까스로 등장은 했지만 이름(호라이 타마키), 얼굴, 설정 정도만 공개되고 대사 한마디 하지 못한 채 그대로 퇴장했다. 타케토리모노가타리에서 카구야에게 구애한 5인방 중 4명이 주인공 일행(학생회)이 되었기에 최후의 1명인 아베 히후미도 주인공 일행이 될 것이며, 시라누이 코로모와 모종의 관계가 있다는 거창한 떡밥까지 여러 차례 살포되었지만 결국 주인공 일행이 되기는커녕 '''등장조차 못했다.''' 교직원들도 처음 등장했을 때는 무언가 활약할 거라는 암시가 있었지만 결국에는 조연이라고 하기도 민망할 정도로 비중이 없는 엑스트라로 전락했다. 굵직한 떡밥만 봐도 5대 난제 에피소드(아베 히후미&시라누이 코로모가 얽힌 사건, 후지와라 치카&호라이 타마키가 얽힌 사건, 66기 학생회&류쥬 모모가 얽힌 사건)와 교직원이 얽힌 사건 등이 본래 연재될 계획이었으나 취소되거나 대거 축약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사실상 그나마 제대로 마무리되었다고 할 수 있는 건 카구야와 미유키의 연애사 단 하나뿐이고 그 외의 스토리는 카구야와 미유키의 과거사를 포함해서 거의 전부 흐지부지되었다. 완결 직후인 2022년 11월 2일, 작가가 트위터를 통해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277/read/2286445|완결 후기]]를 올렸는데 만화가를 은퇴하고 앞으로는 스토리 작가로만 활동을 하겠다는 소식을 공개하였다. 즉 작품이 급완결을 맞이한 이유는 '''작가가 더 이상 그림을 그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던 것. 다만 작가도 이 작품의 떡밥이 회수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고는 있는지 조만간 회수되지 않은 중요한 떡밥을 되도록 최고의 형태로 독자들에게 전할 생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에 독자들은 아마 66기 학생회를 다루는 에피소드를 (작화를 다른 사람이 그린) 스핀오프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으로 회수할 것 같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정리하면 2학기 편까지는 종합적으로 준수하다고 할 수 있었지만 3학기 편은 [[연재 중단]]에 버금가는 급전개로 인해 수많은 캐릭터들과 떡밥이 증발했으며 스토리의 퀄리티도 호불호가 갈리기에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한 [[용두사미]]라는 평을 받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나마 가장 중요한 주인공 커플의 연애사만큼은 준수하게 마무리했기 때문에 주인공 커플의 연애사조차도 제대로 다루지 못한 작품들보다는 평가가 조금이나마 나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비슷한 시기에 연재를 했던 [[5등분의 신부]].] 작품이 인기가 없는 것도 아니고, 단행본과 애니 모두 최전성기의 인기를 구가함에도 단지 '''그림을 그리고 싶지 않다'''는 황당하고 어이없는 이유로 후반부를 떡밥이고 뭐고 다 무시하고 급전개로 완결을 내버린 행보에 전 세계의 팬들이 당혹스러움을 느낀 작품.[* 이 작품 외에도 작가의 의욕 저하로 갑작스러운 완결을 맞이해 크나큰 논란이 되었던 러브 코미디물로는 [[신만이 아는 세계]]라는 전례가 있다.] === 미회수 떡밥 === 여러 복선과 떡밥이 작가의 완결 공언과 그로 인한 작품의 급완결에 따라 [[미회수 떡밥]]으로 남았다. 아래는 그중 대표적인 것들이며, 이에는 주인공인 시로가네 미유키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암시된 중요한 과거사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였다. * [[시노미야 카구야]]의 올케 언니, 그리고 그녀가 보내준다는 도우미 메이드 * [[류쥬 모모]]가 [[시로가네 미유키]]와 [[코야스 츠바메]]에게 입었다는 은혜[* 이게 동일인지 별개인지 알 수 없지만 츠바메에게 입은 은혜는 대략적으로 언급됐는데, 자세한 내막은 등장하지 않았다.] * '''66기 학생회의 7월 학생총회에서 시로가네가 난투를 벌인 이유와, 이 사건 이후 66기 학생회장이 전교생에게 미운털이 박힌 이유''' * 66기 학생회장의 졸업을 축하해주러 온 66기 학생회의 다른 임원들과 오지 않은 임원 * 67기 학생회의 2학년 멤버들과 모종의 일로 사이가 어색해져서 학생회실에서 일만 하고 갔다는 67기 학생회의 3학년 멤버들 * 신입생 아베 히후미. 분명 중요한 캐릭터가 될 것처럼 언급되었고, 이름의 유래를 생각해도 비중이 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으나 끝까지 얼굴조차 나오지 않았다. * 학생회실에 설치된 비밀방의 사용[* 애니에서는 창고로 나왔다(3기 13화). 또한 문화제 준비 기간 중 카구야가 코스프레 의상을 학생회실에 반입했을 때 시로가네가 입어서 보여달라고 하자 여기서 갈아입었다.] * '''시로가네 케이가 과거에 카구야와 만나, 그로 인해 카구야를 동경하게 되고 어머니를 떠나 미유키 가족에게 돌아온 사건''' * 시죠 미카도의 전화 상대와 그 전화 내용을 물어본 여성의 정체 진지한 떡밥 외에 개그성 떡밥 몇가지도 언급만 되고 에피소드화되지 않았다. 이쪽은 개그성이기 때문에 아쉽다는 사람은 있어도 떡밥을 회수하지 않았다고 크게 비판받지는 않는 편이다. * 대(對) 시로가네 7가지 비밀도구[* 방전된 [[배터리]]와 [[전기충격기]]만 나왔다.] * 후지와라의 특훈 시리즈 - 시로가네의 벌레 혐오/[[맥주병]] 극복기 == 수상 == [include(틀:차세대 만화대상/만화, a=등을 쭉! 펴고, b=등을 쭉! 펴고 (2016년), c=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2017년), d=내세에는 남남이 좋겠어, e=내세에는 남남이 좋겠어 (2018년))] [include(틀: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2017 일본 [[차세대 만화대상]] 1위 * 2019 [[소학관 만화상]] 일반향 부문 수상 == 미디어 믹스 == === 소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fffff,#dddddd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소설판[br]~슈치인 학원 7대 불가사의~}}}'''[* 원제 かぐや様は告らせたい 小説版 ~秀知院学園七不思議~] || ||<-2> [[파일:카구야소설일본.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0월 19일''' || }}}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애니메이션)]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실사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 == 기타 == * 중간의 물결 기호까지 합치면 총 22자로, 제목이 길어서 팬들은 그냥 ''''카구야 (님)''''이라고 부른다. 공식 라디오에서도 성우들이 대놓고 '카구야 님'이라 제목을 줄여 부르기도 했다. * 129화에서 이시가미가 언급한 걸 보아 작중 시간은 [[2021년]]이며, 신년이 지나서 [[2022년]]이 됐다. * 다만 애니메이션에서는 2기 5화의 68기 학생회 선거가 [[레이와 시대]] 첫 학생회 선거라고 언급되므로 2019년경이 된다. * [[마술선배]], [[기숙학교의 줄리엣]]과 [[협업|컬레버레이션]]된 단편이 있다. 단행본 5권 49화 참조. * 영 점프에서 연재한 지 1주년이 됐을 때 나온 59화에서 뜬금없이 1년간 고마웠다는 말로 시작하며 지난 58+@회간의 추억들을 회상하는 장면과 함께, 이걸로 학생회가 종료됐단 내용이 연재됐다. 이에 대부분의 독자들은 설마 이대로 완결나는 거냐며 당황하기도 했다. 물론 해당 화에서의 작가 코멘트가 "연재 1주년, 애독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였으며 차회 예고 코멘트도 "이걸로 끝!? 엣!? 설마, 정말로!?"란 코멘트였기에 그냥 연재 시간과 작중에서 흐른 시간을 일치시켰을 뿐이며, 이후 학생회가 다시 결성되면서 연재가 계속됐다. 미유키와 카구야 둘 중 1명이 고백하면 완결일 거라 예측됐으나, 이후 인터뷰에 따르면 작가는 소재 걱정도 없고 언제 끝낼지 아직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둘이 사귀면 본작의 전제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질문엔 [[순정만화]]도 데이트 기간이 길다고 답변했다.] 그러다가 [[https://gall.dcinside.com/kaguya/50197|2020년 3월 19일자 인터뷰]]에서 미유키와 카구야가 고등학교 3학년 10월이 됐을 때 작품을 완결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작중에서 학생회 선거가 열리고 68기 학생회가 해산되는 때이며, 적어도 미유키는 조기졸업하고 스탠포드로 유학 가는 시기다.] 그런데 갑자기 3학년 6월 프랑스 교류회가 끝나고 최종장이 선언되었다. * 만화 내에서 주인공들이 특정 제품의 브랜드를 사용하는 부분들이 이따금 나온다. 대표적으로 아래의 예가 있다. * 색남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카구야를 위해 [[iPhone|iPhone의 'Siri'를 불러 음성검색 기능을 활성화 하는]] 후지와라. * 유선 이어폰 때문에 부끄러운 일을 겪은 후 [[AirPods Pro|신종 AirPods]]을 산 이이노. * 일부러 안하무인으로 게임을 하던 이시가미가 [[Nintendo Switch|아예 게임기에서 패드를 뽑고 학생회실 TV 화면에 연결]]해서 시로가네와 함께 [[마리오 카트 8|자동차 경주 게임]]하는 장면. * 이이노와 카구야와 함께 사진을 찍을 때 [[스노우(애플리케이션)|얼굴인식 스티커 사진 앱을 사용하는]] 후지와라. * 시로가네에게 [[라인(메신저)|메신저 ID을 물어보는]][* 라인은 [[네이버]] 산하 자회사인 [[LINE]]에서 개발한 메신저로 일본에서는 한국의 [[카카오톡]]과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최근엔 라인이 일본 애니에서도 많이 부각되는데, 그 예가 [[너의 이름은.]]과 [[날씨의 아이]]와 같은 [[신카이 마코토]] 작품.] 카구야. * 이시가미의 방에 붙여 있는 [[PUBG: BATTLEGROUNDS|게임 포스터]]. 그리고 교내 매스미디어부 취재 때 [[삼뚝]]을 쓰고 있는 TG부원, 아울러 그 옆에서 삼뚝을 쓰면 카구팔로 헤드샷을 날려도 한 방에 안 죽는다고도 하는 후지와라. * [[Omega]]의 [[스피드마스터]](일명 [[문워치]])를 착용하는 [[시로가네의 아버지]]. * 이이노 앞에서 [[링 피트 어드벤처]]를 하는 이시가미. * 열심히 공부하는 이시가미를 위해 이시가미의 회계 업무를 대신할 때 [[서피스 랩탑 고]]를 사용하는 시로가네. * 단행본 속표지는 작가의 비틀린 센스를 잘 보여준다. '[[https://gall.dcinside.com/kaguya/1930|속표지 만화는 원래는 아무것도 없어도 무방한 공간임에도 뭔가 기대하게 돼서 부담된다. 그냥 대충 그리고 넘어가고 싶다.]]'는 걸 주제로 속표지 만화를 그려놓는다든가, '[[https://gall.dcinside.com/kaguya/1935|속표지 만화 휴재 공지]]' 같이 정체불명의 컨셉을 남발하는 게 포인트다. * 학산문화사가 1권을 정발하면서 '''썸남썸녀에게 성공할 고백 기술'''을 쓰면 영화표를 주는 [[https://blog.naver.com/haksan_comic/221102753537|이벤트]]를 열었는데, 응모자 수(4명)가 당첨자 수(12명)보다 부족한 [[https://blog.naver.com/haksan_comic/221152760570|해프닝]]이 있었다. 이후에 다시 리뷰를 써준 '''솔로 12명'''에게 영화표를 주는 이벤트를 열었는데, [[https://blog.naver.com/haksan_comic/221160337168|또 응모자 수(7명)가 당첨자 수(12명)보다 적었다.]] * 2018년 9월에 발행한 11권부터 '''전 "주간만화지"에서 연재 중인 러브 코미디 매상 No.1'''이란 캐치프레이즈를 써서 광고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 만화 판매량 문제는 각종 사이트에서 랭킹을 매기며 인터넷 게시판에서도 매상 배틀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단골 키배 소재인 만큼, 비공식적인 발언이라면 문제가 안 됐을 것이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키배 차원의 얘기고, 공식 광고에서 No.1 같이 매상 랭킹을 논하는 건 다른 만화에 비교하며 무시한단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자기 만화의 발행부수만 말하는 게 상식이다. 더군다나 러브 코미디는 월간만화가 강한 편인데, '주간만화'란 조건을 달아가며 범위를 한정시켜서까지 No.1로 선전한 것 때문에 더 빈축을 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1월 발행한 13권까지 꾸준히 이 문구를 넣었고, 한술 더 떠서 '''러브 코미디 No.1'''이라 줄여서 광고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3월 발행한 14권에선 이 문구가 사라졌는데, 2019년 3월부터 한동안 [[5등분의 신부]]가 주간 러브 코미디물 판매 1위를 했기 때문이다. * 작중 전개나 인명, 그리고 각종 플롯 장치들이 [[타케토리모노가타리]], 즉 카구야 공주 이야기와 연관이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각 등장인물들의 문서를 참고. 다만 그렇다고 이 작품이 타케토리모노가타리의 이야기를 그대로 따라가는 건 아니고 어디까지나 모델이 된 것에 불과하며 오히려 내용을 뒤튼 부분도 나오기에 재미삼아 참고만 하자. * Inspyre란 게임과 콜라보를 2020년 11월 8일까지 진행했다. * 단행본과 연재본 화수가 다르다. 연재본은 미라클 점프에서 10화를 연재한 뒤에 영 점프로 이동하면서 다시 1화부터 세는데, 단행본은 그대로 이어서 11화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 점프로 이동한 뒤로는 (단행본 화수)=(연재본 화수+10)이다. 자세한 내용은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단행본 목록|해당 문서]] 참고. * 연기하는 성우들과 캐릭터의 성격이 다른 건 당연하지만, 이 작품의 출연진들은 성격과 서로의 관계가 캐릭터들과 '''180도 반대'''라서 벌어지는 재미를 주는지라 라디오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코가 아오이vs스즈키 료타가 특히 유명하다. * 치카랑 똑같은 성격의 코가 아오이(카구야 성우) * 털털한 성격의 코하라 코노미(치카 성우) * 코하라에겐 깍듯이 선배로 대하지만 코가 아오이는 만날 놀리는 스즈키 료타(이시가미 성우) * [[네이버 웹툰]]에 연재되었던 [[여자를 사귀고 싶다]]라는 웹툰이 카구야를 여러차례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고 제작사와 네이버 웹툰측이 표절사실을 인정하면서 연재가 중단되는 사건이 있었다.[[https://www.news1.kr/articles/?5163081|기사]] * 한국 모바일 게임 [[여기사 아가씨]]에서 본작의 이름을 패러디한 '세리스 님은 휴가받고 싶어'라는 엔딩이 나왔다.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승패 일람|각화 승패 일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승패 일람)] == 외부 링크 == * [[https://twitter.com/akasaka_aka|작가 트위터]] * [[https://twitter.com/kaguya_comic|만화 공식 트위터]] * [[https://shonenjumpplus.com/episode/10833519556325021954|소년 점프 플러스 연재처]] [[분류: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