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캐럴라인 장의 수상 이력'''}}}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챔피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여자 싱글 위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캐럴라인 장.jpg|width=100%]]}}} || || '''이름''' ||캐럴라인 자오 장(張圓圓[* 번체자], 张圆圆[* 간체자])[br]Caroline Zhāo Zhāng[* 아버지가 장씨, 어머니가 조씨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93년]] [[5월 20일]] ([age(1993-05-20)]세)|| ||[[매사추세츠|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신체''' ||165cm||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코치''' ||피터 오피가드[* [[김연아]]의 2010-11 시즌 코치이다.]|| || '''소속''' ||All Year FSC|| || '''가족''' ||부모님[* [[중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살다가 캐럴라인을 낳았다.], 언니[* [[중국]]에서 태어났다.],[br]배우자 그랜트 호치스타인[* [[미국]]의 前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이름의 철자가 Grant Hochstein으로 독일계 이름(호흐슈타인)이나 [[영어]]로는 ‘그랜트 호치스타인’에 가깝게 발음하는 것으로 보인다.]^^(2016년 약혼-현재)^^[br]딸 샬롯 호치스타인([age(2021-04-19)]세)||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arolinezhang, 크기=24)] [[http://instagram.com/caroline___zh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계 미국인]]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노비스 시절 === 5살 때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으며, 2006 전미 주니어선수권 8위에 오르며 유망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 2006-07 시즌 === ||
[[파일:2006 JGP 대만 여자싱글 포디움.png|width=300]] || [[파일:2007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15]] || || [[2006 JGP 대만]] || [[200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7 주니어 세계선수권]] || 주니어 국제대회에 데뷔하여, [[2006 JGP 멕시코]]와 [[2006 JGP 대만]]에서 모두 우승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06-0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2006-07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도 우승했다.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2007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깜짝 우승을 차지한 [[미라이 나가수]]에 밀려 2위를 했지만, [[200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우승을 차지하였다. 참고로 같은 [[미국]] 국적의 미라이 나가수, [[애슐리 와그너]]와 함께 포디움을 독식했다. 이렇게 '''주니어 시즌 스윕을 달성'''하면서 포스트 [[미셸 콴]]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미국에서 주목을 많이 받았다. ~~그렇게 시작되는 주니어 시절 설레발~~ === 2007-08 시즌 === ||
[[파일:2007 스케이트 아메리카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07 컵 오브 차이나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255]] || || [[2007 스케이트 아메리카]] || [[2007 컵 오브 차이나]] || 전년도 주니어 세계선수권 우승자의 자격으로, 만 14세의 나이에 시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했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은메달을 따며 [[2007-08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7-08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당시 파이널에 진출한 선수들 중 최연소였으며, 이 대회에서 4위에 올랐다. ||
[[파일:애슐리 와그너.jpg|width=300]] || [[파일: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17]] || || 2008 전미선수권 || [[2008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 || 2008 전미선수권에서는 [[미라이 나가수]], [[레이첼 플랫]], [[애슐리 와그너]]에 이어 4위를 차지하며 미국 여자 싱글의 완전한 세대 교체가 이루어진 순간이라는 평을 받았다. --그런데 살아남은 게 와그너뿐이다.--[* [[애슐리 와그너]]는 [[미라이 나가수]], [[레이첼 플랫]], 캐롤라인 장과는 다르게 주니어 시절 때 밀리다가 시니어가 돼서야 빛을 본 선수이다. 즉 시니어가 된 후에는 세대교체를 알린 이 4명의 선수 중 와그너만큼 오래 컨시를 유지한 선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와그너는 이 4명의 사실상 다음 세대였던 [[그레이시 골드]]와 라이벌 수준이 될 정도로 평소 컨시가 좋았다.''' ~~대회날 점프 컨시가 안 좋아서 메달을 못 딴 것뿐이지~~] 디펜딩 챔피언으로 출전한 [[2008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62.60점'''으로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경신하였지만, 뒷 순서였던 [[미라이 나가수]]가 무려 65점을 넘어버리며 곧바로 경신되었다.[* 이전 기록은 [[2006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김연아]]가 세운 60.86점으로, 2년 만에 경신되었다.] 프리에서도 [[레이첼 플랫]]에 밀려 2위, 최종 은메달을 따며 타이틀 방어에는 실패하였다. 그렇지만 [[레이첼 플랫|플랫]]과 [[미라이 나가수|나가수]]와 함께 작년과 마찬가지로 [[미국]] 선수들로 포디움을 스윕했다. === 2008-09 시즌 === ||
[[파일:2008 트로피 에릭 봉파르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애슐리 와그너2.jpg|width=285]] || || [[2008 트로피 에릭 봉파르]] || 2009 전미선수권 || 그랑프리 [[2008 스케이트 캐나다|스케이트 캐나다]]에서 5위, [[2008 트로피 에릭 봉파르|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따라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하였다. 2009 전미선수권에서 3위를 기록해 상위 2명에게 출전권이 부여되는 세계선수권에는 참가하지 못했고, 대신 [[2009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09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하며 첫 시니어 챔피언십 대회를 치렀다. 이 대회에서는 4위를 하였다.[* 이 때 [[아사다 마오]]의 프리 스케이팅 오버스코어 논란이 있었다. 3위와 4위가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
[[파일:2009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09 월드 팀 트로피 미국.jpg|width=287]] || || [[2009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9 주니어 세계선수권]] || [[200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09 월드 팀 트로피]] || 시니어 세계선수권 대신 --또--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어, [[2009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9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실수하는 바람에 10위로 떨어졌다가 프리에서 1위를 하면서 [[알료나 레오노바]]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00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0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프리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개인 3위, [[미국]] 팀은 우승했다. === 2009-10 시즌 === 여름에 무릎 부상을 당한 상태에서 '''체형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묵념-- 거기다 키도 크면서 부상이 더 심해졌다. [[2009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4위, [[2009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프리 경기 중 3F에서 2번을 넘어지는 바람에 점프 하나가 SEQ로 처리된 상태에서 트리플 살코+더블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뛰는 바람에 3연속 점프가 무효로 처리되어 8위를 기록했다. 결국 미국 4인방 중 최하위의 성적을 냈다. 2010 전미선수권에서는 쇼트와 프리에서 한 번씩 넘어지면서 11위에 머물렀다. ||
[[파일:2010 사대륙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1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0 사대륙선수권]] || [[201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0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부상의 여파로 2010 전미선수권부터는 펄스핀을 구사하지 않았다. === 2010-11 시즌 === 코치를 리밍주에서 태미 갬빌로 교체했다. ~~진작에 바꿨어야 했다. 최악의 코치 리밍주, 훗날 [[리쯔쥔]]을 코칭했는데 역시나 선수를 망친다.~~ 코치를 바꾸면서 점프 교정에 들어갔다. 실제로 점프가 상당히 좋아졌다. 하지만 컨시가 상당히 떨어졌고, 부상까지 재발했다. 결국 NHK 트로피에서 7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9위에 올랐다. [[2011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1 전미선수권]]에서는 12위에 올랐다. === 2011-12 시즌 === 코치를 피터 오피가드[* [[김연아]]의 2010-11 시즌 코치이며, [[미셸 콴]]의 前 형부다.]로 교체했다. 여름에 열린 아이스 챌린지에서 우승했다. 전 시즌의 여파로 그랑프리는 스케이트 아메리카 한 차례만 출전했으며, 6위에 올랐다. ||
[[파일:애슐리 와그너3.jpg|width=300]] || [[파일:2012 사대륙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2.jpg|width=300]] || || [[2012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2 전미선수권]] || [[201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2 사대륙선수권]] || [[2012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2 전미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트리플 룹+트리플 룹 컴비네이션'''을 수행하고 프리 클린하며 '''4위'''에 올랐다.[* 우승자가 [[애슐리 와그너]]였는데, 주니어 시절의 순위 등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하다.] 쇼트 경기가 끝난 후 눈물을 글썽이는 장면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자국에서 열린 [[201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2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 2012-13 시즌 === 부상 때문에 제대로 된 훈련을 하지 못했다. 2번의 그랑프리 시리즈에도 출전했으나 10위와 9위를 기록했다. === 2013-14 시즌 === 그랑프리는 [[2013 스케이트 아메리카]] 한 곳에만 배정을 받아 10위를 차지하고, [[2014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4 전미선수권]]에서는 19위를 기록했다. === 2014-15 시즌 === [[2015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5 전미선수권]]에서 17위에 올랐다. 이듬해 3월에 골반 수술을 받았다. 골반 뼈 4군데를 다시 맞추는 대수술이었고, 회복을 위해 2015-16 시즌에는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 2016-17 시즌 === 지역 대회인 Glaciar Falls에서 3위에 올랐고, 전미선수권 1차 예선에서 우승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7 전미선수권]]에서는 5위에 올랐다. === 2017-18 시즌 === 챌린저 시리즈 두 대회에 나가 각각 4위와 6위를 기록했다. [[2018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8 전미선수권]]에서는 11위에 올랐다. 이 대회를 끝으로 은퇴하였다. == 기술 및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펄스핀.gif|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캐럴라인 3Lo3Lo.gif|width=285]]}}} || || 펄 스핀 || 3Lo+3Lo || 비점프 요소 중 '''스핀'''에 굉장한 강점을 보였으며, '''펄 스핀의 창시자'''이다. 펄 스핀은 레이백 헤어컷 자세의 변형으로 엄청난 유연성을 요구하며, 비엘만으로 넘어가면서 '''속도가 붙는다.''' 일반적으론 비엘만 자세 도입시 스핀 속도가 줄며 심하면 반토막 나는 경우도 많은데 비엘만 도입 시 속도가 붙는것은 큰 매력포인트이다. 이 때문에 스핀에서는 가산점 만점인 1.5점을 거의 매번 받아갔다. 그녀가 은퇴한 뒤에도 [[마리아 소츠코바]], [[옐레나 라디오노바]], [[위서영]] 등 많은 선수들이 펄 스핀을 구사하면서 피겨 스핀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가 되었다. 한편 한 때 점프가 좋지 못한 선수의 예시로 상당히 많이 등장한 선수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주니어 시절 가벼움을 잘 이용하지만 장은 유독 그 점이 심했다. 토 계열 점프에서 정말 가벼움만으로 다리를 높이 들어 내려찍는 점프를 구사하였는데, 성인이 되고 체형 변화가 오자마자 비거리와 높이가 형편 없어졌으며 랜딩도 제대로 못했다. 그래도 이후 코치를 바꾸고 점프를 교정한 2010-11 시즌 이후부터는 점프로 안 좋은 소리를 듣는 일은 많이 줄었으며 위 사진에도 있는 3Lo+3Lo 컴비네이션 점프를 주 무기로 삼았다.[* 트리플 룹+트리플 룹 컴비네이션은 기초점만 9.8, 후반에 성공 시 10.78점으로 기본 점수 자체가 높기에 주무기로 삼을 수 있다면 굉장히 매력적인 점프다. 다만 높은 점수만큼 난이도도 높아서 뛰는 선수는 적은 편.] 사실 기본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컨시만으로 꾸준한 상위권 성적을 내던 선수라 부상을 당하거나 체형 변화가 오면 무너질 거라는 예상이 많았다. 오히려 늦게라도 기본기를 다시 다지고 밑바닥부터 올라오는 모습에 팬이 된 사람이 많았다. == 기록 == === 세계신기록 === * 2017-18 시즌까지 적용된 채점제에서 주니어 쇼트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4>
'''{{{#white 주니어 여자 싱글 쇼트 기록}}}''' || || '''날짜''' || '''점수''' || '''대회''' || '''비고''' || || 2008.03.01 || 62.60 ||[[2008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같은 날 [[미라이 나가수]]에 의해 경신.|| === 득점 이외의 기록 === * '''스핀에서 가산점(GOE) 만점을 받은 최초의 여자 선수''' *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 시즌에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4번째 여자 선수[* [[안도 미키]](04-05) - [[아사다 마오]](05-06) - [[김연아]](06-07) - 본인(07-08) 순.], 최초의 [[미국]] 여자 선수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62.60([[2008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 || '''프리''' ||117.44([[201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2 사대륙선수권]])|| || '''총점''' ||176.48([[2007-08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7-08 그랑프리 파이널]])|| == 커리어 == ||<-3>
{{{#white 사대륙선수권}}} || || 동메달 ||[[201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0 전주]]||여자 싱글|| || 동메달 ||[[201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여자 싱글|| ||<-3> {{{#white 월드 팀 트로피}}} || || 금메달 ||[[200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09 도쿄]]||단체전|| ||<-3>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200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7 오버스트도르프]]||여자 싱글|| || 은메달 ||[[2008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8 소피아]]||여자 싱글|| || 은메달 ||[[2009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9 소피아]]||여자 싱글|| ||<-3> {{{#white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2006-0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2006-07 소피아]]||여자 싱글|| ---- ||<-17>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01–02''' || '''02–03''' || '''03–04''' || '''04–05''' || '''05–06''' || '''06–07''' || '''07–08''' || '''08–09'''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6–17''' || '''17–18''' || ||사대륙선수권|| || || || || || || || 4th || 3rd || || 3rd || || || || || || ||GP 파이널|| || || || || || || 4th || || || || || || || || || || ||GP 로스텔레콤 컵|| || || || || || || || || || || || 10th || || || || || ||GP NHK 트로피|| || || || || || || || || || 7th || || || || || ||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 || || || || || 3rd || 4th || || || || || ||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 || || || || || 5th || 8th || || || 9th || || || || || ||GP 컵 오브 차이나|| || || || || || || 2nd || || || || || || || ||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 || || 3rd || || || 9th || 6th || || 10th || || || || ||CS 탈린 트로피|| || || || || || || || || || || || || || || || 4th || ||CS 네펠라 메모리얼|| || || || || || || || || || || || || || || || 6th || ||챌린지 컵|| || || || || || || || || || || || || || || 2nd || || ||네벨혼 트로피|| || || || || || || || || || || || 12th || || || || || ||아이스 챌린지|| || || || || || || || || || || 1st || || || || || || ||<-17> '''{{{#white 국제대회:주니어}}}''' || ||주니어 세계선수권|| || || || || || 1st || 2nd || 2nd || || || || || || || || || ||JGP 파이널|| || || || || || 1st || || || || || || || || || || || ||JGP 대만|| || || || || || 1st || || || || || || || || || || || ||JGP 멕시코|| || || || || || 1st || || || || || || || || || || || ||NACS|| || || || 1st N || 4th J || || || || || || || || || || || || ||<-17> '''{{{#white 국내대회}}}''' || ||전미선수권|| || 4th V || 3rd I || 4th N || 8th J || 2nd J || 4th || 3rd || 11th || 12th || 4th || 11th || 19th || 17th || 5th || 11th || ||태평양 연안 지역예선|| || || || 4th N || 3rd J || || || || || || 2nd || || 4th || 4th || 2nd || || ||남서부 태평양 지역예선|| 9th V || 2nd V || 4th I || 2nd N || 2nd J || || || || || || || || || 3rd || || || ||<-17> '''{{{#white 단체전}}}''' || ||월드 팀 트로피|| || || || || || || || 1st T[br]3rd P || || || || || || || || || ||<-17>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T=팀 결과, P=개인 결과,[br]J=주니어, N=노비스, I=인터메디에이트, V=쥬브나일 || [각주] [[분류:미국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보스턴 출신 인물]][[분류:중국계 미국인]][[분류:199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