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캔터베리 대주교)]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padding:8px; color:#670000" '''캔터베리 대주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종교별 최고 지도자)] ---- [Include(틀:잉글랜드의 성공회 교구장 주교)] ---- [Include(틀:영국 귀족원의 원내 구성)]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0%, #e6bd0e 20%, #e6bd0e 80%, #e6bd0e)" [[파일:200px-Angl-Canterbury-Arms.png|width=70]] '''{{{#fff {{{+1 캔터베리 대주교}}}[br] Archbishop of Canterbury}}}'''}}} || ||<-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저스틴 웰비 대주교.jpg|width=100%]]}}} || || '''{{{#fff 현임}}}''' ||<-4>[[저스틴 웰비]] (Justin Welby) || || '''{{{#fff 선출}}}''' ||<-4>[[2012년]] [[11월 9일]] || || '''{{{#fff 승좌}}}''' ||<-4>[[2013년]] [[3월 21일]] || || [[파일:캔터베리대교구문장.svg.png|width=100%]][* 다른 버전 [[파일:200px-Angl-Canterbury-Arms.png]]] || [[파일:저스틴 웰비 대주교 문장.svg.png|width=100%]] || || 캔터베리 대주교의 문장(紋章). [[캔터베리교구]]의 문장이기도 하다. || 현임 [[저스틴 웰비]] 대주교의 문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캔터베리 대주교는 [[성공회|세계성공회]]의 명목상 수장이자 [[성공회 캔터베리교구]]의 교구장이다. == 역할과 지위 == 캔터베리 대주교는 잉글랜드 성공회의 최고 성직자이자 전세계 성공회의 일치의 상징으로서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를 대표한다. 잉글랜드 교회를 치리하고, 세계 성공회의 주교 회의인 람베스 회의(The Lambeth Conferences)를 주최하며, 잉글랜드 밖 성공회에 사목적 권고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캔터베리 대주교는 [[천주교]]의 [[교황]]처럼 [[교회]]의 수장(Supremacy)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성공회는 다른 [[개신교]] 종파와 마찬가지로, 교황과 같은 특정인이 교회의 수장을 맡는 체제를 부정하며 창설됐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세계 성공회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캔터베리 대주교는 [[잉글랜드 국교회]] 산하의 다른 대주교와 달리 선출 과정에서 국교회 외부의 주교들에게도 발언권이 주어진다. 2023년 기준, 선출위원회 17인 중 성공회 교구로부터 채워지는 인원을 살펴보면 [[성공회 캔터베리교구]]로부터 3인 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국교회 외부 즉 [[세계성공회공동체]]로부터 5인[* 대륙별로는 아프리카 1인, 북미 1인, 중동 및 아시아 1인, 오세아니아 1인, 유럽 1인]이 투표권을 가진다. [[https://www.archbishopofcanterbury.org/news/news-and-statements/global-anglican-communion-given-voice-choice-future-archbishops-canterbury|#]] 캔터베리 대주교에게는 두 채의 공관(런던 람베스 궁, 캔터베리의 올드 팰리스)이 제공되며, 람베스 궁에 상주하는 비서 주교[* 이 주교는 "캔터베리와 요크 대주교의 직속 주교"라는 정식 명칭이 있다. 비서직과 동시에 캔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 사이의 메신저 역할도 하며, 람베스 회의의 실행위원장 역할도 맡는다.] 한 명도 배속받는다. 캔터베리교구장 업무는 평소에 캔터베리교구 교구장대리[* 도버의 주교]가 대행한다. 잉글랜드 국교의 지도자라는 그 권위에 걸맞게 영국의 의전서열에서 왕족을 제외하고 1순위에 해당하며, [[영국 귀족원]]의 당연직 성직귀족 5명 중에서도 최상위에 해당한다. 캔터베리 대주교는 은퇴 후에도 최고로 대접받는데, 1928년부터 관례적으로, 은퇴한 캔터베리 대주교에게는 영국 왕실에서 직접 [[남작|남작위]]를 부여하며, 대주교의 고향 혹은 그가 가장 오래 머무른 곳을 명목상 남작령으로 지정해준다. 예를 들어, [[로완 윌리암스]] 대주교는 자신의 고향인 스완지에 속해 있는 촌락인 오이스터마우스의 남작 칭호를 받았다. 만약 은퇴한 캔터베리 대주교가 유명한 학자였다면, 영국 내 여러 대학들에서 총장(명예직) 제의가 쏟아지기도 한다. == 목록 == * 여기서 성인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공경하는 성인들이며, 성공회식 표기를 따른다.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30% , #e6bd0e 20%, #e6bd0e 20%, #e6bd0e 30%)" '''{{{#fff 역대 캔터베리 대주교}}}'''}}} || || '''대수''' || '''이름''' || '''재임''' || '''재임기간''' || '''비고''' || || 초대 ||[[파일:001_캔터베리의아우구스티누스.png|width=50]]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성 어거스틴]] || 597년 ~ 604년 5월 26일 || ||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는 다른 인물로, 이름 앞에 캔터베리 지역명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 || 2대 ||[[파일:002_캔터베리의라우렌시오.png|width=50]] [[캔터베리의 라우렌시오|성 로렌스]] || 604년 경 ~ 619년 2월 2일 || || [* [[라우렌시오|성 라우렌시오]]와는 다른 인물로 이름 앞에 캔터베리 지역명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 || 3대 ||[[파일:003_멜리투스.png|width=50]] [[멜리투스|성 멜리투스]] || 619년 ~ 624년 4월 24일 || || [*명칭 일반적으로 이름 앞에 캔터베리 지역명을 붙여 불린다.] || || 4대 || [[유스투스|성 유스투스]] || 624년 ~ 627년 11월 10일 || || [*명칭] || || 5대 ||[[파일:005_호노리우스.png|width=50]] [[캔터베리의 호노리우스|성 호노리우스]] || 627년 ~ 653년 9월 30일 || || [*명칭] || || 6대 || [[데우스데디트|성 데우스데디트]] || 655년 3월 ~ 664년 7월 14일 || || [*명칭] || || 7대 ||[[파일:007_타르수스의테오도르.png|width=50]] [[타르수스의 테오도르|성 데오도르]] || 668년 3월 26일 ~ 690년 9월 19일 || 22년 5개월 24일 || [* 일반적으로 이름 앞에 출생지인 탈수스 지역명을 붙여 '탈수스의 성 데오도르'라고 불린다.] || || 8대 ||[[파일:008_베르흐트왈드.png|width=50]] [[베르흐트왈드]] || 693년 6월 29일 ~ 731년 1월 13일 || 37년 6개월 15일 || || || 9대 || [[타트위네]] || 731년 6월 10일 ~ 734년 7월 30일 || 3년 1개월 20일 || || || 10대 || [[노스헬름|성 노스헬름]] || 735년 ~ 739년 10월 17일 || || || || 11대 ||[[파일:011_캔터베리의쿠트베르투스.png|width=50]] [[캔터베리의 쿠트베르투스|성 커스버트]] || 740년 경 ~ 760년 10월 26일 || || || || 12대 ||[[파일:012_브레고윈.png|width=50]] [[브레고위네|성 브레고위네]] || 761년 9월 27일 ~ 764년 8월 26일 || 2년 10개월 30일 || || || 13대 || [[얜베르흐트]] || 765년 2월 2일 ~ 792년 8월 12일 || 27년 6개월 10일 || || || 14대 ||[[파일:014_에셀하르드.gif|width=50]] [[애델하르드]] || 793년 7월 21일 ~ 805년 5월 12일 || 11년 9개월 21일 || || || 15대 || [[울프레드]] || 805년 10월 경 ~ 832년 3월 21일 || || || || 16대 || [[페올로일드]] || 832년 6월 8일 ~ 832년 8월 30일 || 2개월 22일 || || || 17대 || [[체올노스]] || 833년 7월 27일 ~ 870년 2월 4일 || 36년 6개월 8일 || || || 18대 || [[애델레드]] || 870년 ~ 888년 6월 30일 || || || || 19대 ||[[파일:019_플레이문드.png|width=50]] [[플레이문드]] || 890년 ~ 923년 8월 2일 || || || || 20대 || [[애델헬름]] || 923–925년 경 ~ 926년 1월 8일 || || || || 21대 || [[울프헬름]] || 926년 경 ~ 941년 2월 12일 || || || || 22대 || 오도 || 941년 ~ 958년 6월 2일 || || || || 23대 || 앨프시예 || 958년 ~ 959년 || || [* 승좌 이후 관구장으로서 팔리움을 받기 위해 로마로 향하던 중 알프스 산맥에서 사망함.] || || 24대 || 뷔르흐트헬름 || 959년 || || [* 왕에 의해 강제 전보.] || || 25대 || 성 둔스탄 || 959년 ~ 988년 5월 19일 || || || || 26대 || 애델가르 || 988년 ~ 990년 2월 || || || || 27대 || 시예리치 || 990년 ~ 994년 10월 28일 || || || || 28대 || 애빙던의 성 앨프리치 || 995년 4월 21일[*선출일 승좌일이 아닌 선출일이다.] ~ 1005년 11월 16일 || [*공란 승좌일을 명확히 알 수 없으므로 공란으로 둔다.] || || || 29대 || 성 앨프해아흐 || 1006년 ~ 1012년 4월 19일 || || || || 30대 || 뤼빙 || 1013년 ~ 1020년 6월 12일 || || || || 31대 || 애델노스 || 1020년 11월 13일 ~ 1038년 10월 30일 || 17년 11개월 17일 || || || 32대 || 성 애아드시예 || 1038년 ~ 1050년 10월 29일 || || || || 33대 || 쥐미에주의 로버트(로베르) || 1051년 6월 29일 ~ 1052년 9월 || || || || 34대 || 스티간드 || 1052년 ~ 1070년 4월 11일 || || || || 35대 || 성 란프랑크(란프랑코) || 1070년 8월 29일 ~ 1089년 5월 28일 || 18년 8개월 29일 || || || 36대 || [[안셀무스|성 안셀름]] || 1093년 12월 4일 ~ 1109년 4월 21일 || 15년 4개월 17일 || || || 37대 || 에스퀴르의 레이프(라울) || 1114년 4월 26일[*선출일] ~ 1122년 10월 2일 || [*공란] || || || 38대 || 코르베유의 윌리엄(기욤) || 1123년 7월 22일 ~ 1136년 11월 21일 || 13년 3개월 30일 || || || 39대 || 베크의 티볼드(티보) || 1139년 1월 8일 ~ 1161년 4월 18일 || 22년 3개월 10일 || [* 일반적으로 소속 수도원이 위치했던 프랑스의 지명 '베크(Bec, 현 르베크엘루앵·Le Bec-Hellouin)'를 붙여 '베크의 티볼드'라고 불린다.] || || 40대 || [[토마스 베켓|성 토마스 베켓]] || 1162년 6월 3일 ~ 1170년 12월 29일 || 8년 6개월 26일 || || || 41대 || 도버의 리처드 || 1174년 4월 7일 ~ 1184년 2월 16일 || 9년 10개월 9일 || [* 일반적으로 소속 수도원이 위치했던 영국의 지명 '도버(Dover)'를 붙여 '도버의 리처드'라고 불린다.] || || 42대 || 포드의 볼드윈 || 1184년 12월 ~ 1190년 11월 19일 || || [* [[제3차 십자군 원정]]에 참여해 예루살렘에서 사망함.][* 일반적으로 소속 수도원의 이름인 '포드(Forde)'를 붙여 '포드의 볼드윈'이라고 불린다.] || || 43대 || 휴버트 월터 || 1193년 11월 7일 ~ 1205년 7월 13일 || 11년 8개월 6일 || || || 44대 || 스티븐 랭턴 || 1207년 6월 17일 ~ 1228년 7월 9일 || 21년 22일 || [*추기경][* [[마그나 카르타]]에 서명함.] || || 45대 || 리처드 러그랜트 || 1229년 6월 10일 ~ 1231년 8월 3일 || || || || 46대 || 애빙던의 성 에드먼드(에드몽) || 1234년 4월 2일 ~ 1240년 11월 16일 || || || || 47대 || 사부아의 보니페이스(보니파스) || 1245년 1월 15일 ~ 1270년 7월 18일 || || || || 48대 || 로버트 킬워드비 || 1273년 2월 26일 ~ 1278년 6월 5일 || || [*추기경][*생전퇴임] || || 49대 || 존 페컴 || 1279년 2월 19일 ~ 1292년 12월 8일 || || || || 50대 || 로버트 윈첼시 || 1293년 9월 12일 ~ 1313년 5월 11일 || [*공란] || || || 51대 || 월터 레이놀즈 || 1314년 2월[*선출일] ~ 1327년 11월 16일 || [*공란] || || || 52대 || 사이먼 메펌 || 1328년 6월 5일 ~ 1333년 10월 12일 || || || || 53대 || 존 더스트랫퍼드 || 1333년 11월 3일[*선출일] ~ 1348년 8월 23일 || [*공란] || || || 54대 || 토머스 브래드워딘 || 1349년 7월 19일 ~ 1349년 8월 26일 || || || || 55대 || 사이먼 아이슬립 || 1349년 12월 20일 ~ 1366년 4월 26일 || || || || 56대 || 사이먼 랭엄 || 1366년 7월 24일[*선출일] ~ 1368년 11월 28일 || [*공란] || || || 57대 || 윌리엄 휘틀시 || 1362년 2월 6일 ~ 1374년 6월 5일 || || || || 58대 || 사이먼 서드베리 || 1362년 3월 20일[*선출일] ~ 1381년 6월 14일 || [*공란] || || || 59대 || 윌리엄 코트니 || 1370년 3월 17일[*선출일] ~ 1396년 7월 31일 || [*공란] || || || 60대^^{{{-3 (1기)}}}^^ || 토머스 애런들 || 1396년 9월 25일[*선출일] ~ 1397년 11월 8일 || [*공란] || [*생전퇴임] || || 61대 || 로저 월든 || 1397년 11월 8일[*선출일] ~ 1399년 10월 19일 || [*공란] || [*생전퇴임] || || 60대^^{{{-3 (2기)}}}^^ || 토머스 애런들 || 1399년 10월 19일[*선출일] ~ 1414년 2월 19일 || [*공란] || || || 62대 || 헨리 치철리 || 1408년 6월 17일 ~ 1443년 4월 12일 || || || || 63대 || 존 스태퍼드 || 1443년 5월 13일 ~ 1452년 5월 25일 || || || || 64대 || 존 켐프 || 1452년 7월 21일[*선출일] ~ 1454년 3월 22일 || [*공란] || [*추기경] || || 65대 || 토머스 바우처 || 1455년 1월 26일 ~ 1486년 3월 30일 || || || || 66대 || 존 모턴 || 1486년 10월 6일[*선출일] ~ 1500년 9월 15일 || [*공란] || [*추기경] || || 67대 || 헨리 딘 || 1501년 4월 26일[*선출일] ~ 1503년 2월 15일 || || || || 68대 || 윌리엄 워럼 || 1503년 11월 29일[*선출일] ~ 1532년 8월 22일 || [*공란] || || || 69대 || [[토머스 크랜머|성 토마스 크랜머]] || 1533년 3월 30일 ~ 1555년 12월 4일 || || [*생전퇴임][* 종교 개혁 시기 최초의 개신교계(성공회) 캔터베리 대주교.] || || 70대 || 레지널드 폴 || 1556년 3월 22일 ~ 1558년 11월 17일 || || [*추기경][* 최후의 천주교계 캔터베리 대주교.] || || 71대 || 매슈 파커 || 1559년 12월 17일 ~ 1575년 5월 17일 || || || || 72대 || 에드먼드 그린들 || 1575년 12월 29일 ~ 1583년 7월 6일 || || || || 73대 || 존 휘트기프트 || 1583년 8월 14일 ~ 1604년 2월 29일 || || || || 74대 || 리처드 밴크로프트 || 1604년 10월 9일 ~ 1610년 11월 2일 || || || || 75대 || 조지 애벗 || 1611년 3월 4일 ~ 1633년 8월 4일 || || || || 76대 || 윌리엄 로드 || 1633년 8월 6일 ~ 1645년 1월 10일 || || || || 77대 || 윌리엄 적슨 || 1660년 9월 25일 ~ 1663년 6월 4일 || || || || 78대 || 길버트 셸던 || 1663년 9월 9일 ~ 1677년 11월 9일 || || || || 79대 || 윌리엄 샌크로프트 || 1677년 1월 27일 ~ 1690년 2월 1일 || || [*생전퇴임] || || 80대 || 존 틸럿슨 || 1691년 5월 31일 ~ 1694년 11월 22일 || || || || 81대 || 토머스 테니슨 || 1694년 12월 6일 ~ 1715년 12월 14일 || || || || 82대 || 윌리엄 웨이크 || 1715년 12월 17일 ~ 1737년 1월 24일 || || || || 83대 || 존 포터 || 1737년 2월 9일 ~ 1747년 10월 10일 || || || || 84대 || 토머스 헤링 || 1747년 10월 21일 ~ 1757년 3월 23일 || || || || 85대 || 매슈 허턴 || 1757년 3월 29일 ~ 1758년 3월 18일 || || || || 86대 || 토머스 세커 || 1758년 3월 8일 ~ 1768년 8월 3일 || || || || 87대 || 프레더릭 콘월리스 || 1768년 8월 12일 ~ 1783년 3월 19일 || || || || 88대 ||[[파일:088_존무어.png|width=50]] [[존 무어]] || 1783년 3월 31일 ~ 1805년 1월 18일 || || || || 89대 || 찰스 매너스서턴 || 1805년 2월 1일 ~ 1828년 7월 21일 || || || || 90대 || 윌리엄 하울리 || 1828년 8월 6일 ~ 1848년 2월 11일 || || || || 91대 || 존 버드 섬너 || 1848년 2월 17일 ~ 1862년 9월 6일 || || || || 92대 || 찰스 롱리 || 1862년 10월 20일 ~ 1868년 10월 27일 || || || || 93대 || 아치볼드 캠벨 테이트 || 1868년 11월 28일 ~ 1882년 12월 3일 || || || || 94대 || 에드워드 화이트 벤슨 || 1883년 3월 29일 ~ 1896년 10월 11일 || || || || 95대 || 프레더릭 템플 || 1896년 11월 9일 ~ 1902년 12월 23일 || || || || 96대 || 랜들 데이비드슨 || 1903년 2월 12일 ~ 1928년 11월 12일 || || [*생전퇴임] || || 97대 || 코즈모 고든 랭 || 1928년 12월 4일 ~ 1942년 3월 31일 || || [*생전퇴임] || || 98대 || 윌리엄 템플 || 1942년 4월 17일 ~ 1944년 10월 26일 || || || || 99대 || 제프리 피셔 || 1945년 1월 12일 ~ 1961년 3월 31일 || || [*생전퇴임] || || 100대 || 마이클 램지 || 1961년 6월 1일 ~ 1974년 11월 15일 || || [*생전퇴임] || || 101대 || 도널드 코건 || 1975년 1월 24일 ~ 1980년 1월 25일 || 5년 1일 || [*생전퇴임] || || 102대 ||[[파일:로버트런시.jpg|width=50]] [[로버트 런시]] || 1980년 3월 25일 ~ 1991년 1월 31일 || 10년 10개월 6일 || [*생전퇴임] || || 103대 ||[[파일:조지 캐리 캔터베리 대주교.jpg|width=50]] [[조지 캐리]] || 1991년 4월 19일 ~ 2002년 10월 31일 || 11년 6개월 12일 || [*생전퇴임] || || 104대 ||[[파일:로완 윌리암스 대주교3.jpg|width=50]] [[로완 윌리암스]] || 2003년 2월 27일 ~ 2012년 12월 31일 || 9년 10개월 4일 || [*생전퇴임] || || 105대 ||[[파일:Justin_Welby.jpg|width=50]] [[저스틴 웰비]] || 2013년 3월 21일 ~ || 현임 || 현임 || === 종교개혁 이전 === *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켄터베리의 어거스틴]]: 일반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라 알려진 교부시대 [[아우구스티누스|히포의 어거스틴]]과는 다른 인물이다. 로마 출신으로 서기 597년 [[교황]]에 의해 [[잉글랜드]]에 파송된 초대 캔터베리 대주교. [[천주교]]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본다. 605년에 선종하였다. * 앨프해아흐(Ælfheah): 이명은 '앨피지(Alphege)'. [[앵글로색슨족]] 지배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 1012년 [[데인족]]([[바이킹]])의 잉글랜드 침략 당시에 포로로 잡혔으나, 자신의 몸값을 마련하기 위해 가난한 이들이 세금을 내게 할 수 없다면서 몸값을 내는 것을 거부, 결국 바이킹들에게 소뼈로 돌팔매질을 당한 뒤 도끼자루에 맞아 순교하였다. 바이킹들은 거룩한 이의 피를 흘리게 하는 것이 불길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천주교]]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본다. * [[토마스 베켓]]: 1118년에 출생하여 1170년에 살해당한 주교이자 종교재판관. [[헨리 2세]] 시절 국왕이 원하는 것보다 죄인들에게 온건한 처벌을 내려 왕의 심기를 건드렸고, (국왕의 직접 명령인지 아니면 수하들의 과잉 충성의 결과인지는 불확실하지만) 헨리 2세의 부하들에게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무참히 살해당한다. 사후 즉시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천주교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본다. 이후 1531년, 수장령을 선포하며 교회와 관계를 단절하는 등 파격적 행보를 보이던 헨리 8세가 뜬금없이 360년 전에 죽은 그를 역모 혐의로 기소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와 동시에 이의를 제기하고 싶으면 30일 간의 기한을 줄 테니 법정에 출두하라고 했지만 죽은 베켓이 법정에 출두하는 일은 당연히 없었다. 30일 뒤 개최된 궐석재판에서 헨리 8세는 그에게 유죄를 선고한 뒤 캔터베리 성당에 안치된 그의 유골을 불태우고 조문객들이 바친 헌금을 싸그리 털어갔다.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의 "대성당의 살인"에도 등장한다. * 토머스 브래드워딘: 신학자로서의 칭호는 '심오한 박사(Doctor Profundus)'. [[아우구스티누스]] 학파의 신학자로 대주교직에 재임한 기간은 겨우 38일에 불과하다(흑사병으로 선종). 사실 천주교 시대에 재임하기는 하였으나, [[존 위클리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마르틴 루터]] 신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반펠라기우스주의[* Semi-Pelagianism, 구원이 하느님의 은총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맞지만, 그 은총에 [[인간]]이 [[선행]]으로 응답하여야만 완성된다는 주장이다. 신인협동설이라고도 한다. 정통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에 경도되어 있던 당시 신학계에 맞서서 구원은 오직 하느님의 은총으로만 주어지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1290년에 출생하여 1349년에 선종하였다. * 레지널드 폴 추기경[* [[메리 1세]] 시절 영국이 천주교로 복귀했던 때. 성공회에는 추기경 직위가 없다.]: 마지막 가톨릭계 캔터베리 대주교. 부제 때 추기경에 서임되고, 20년 후에 주교로 서품됐다. 1556년 착좌, 1558년 선종. === 종교개혁 이후 === * [[토마스 크랜머]]: [[가톨릭]]이 아닌 [[성공회]]로서의 첫 캔터베리 대주교, 전례 개혁자, [[종교 개혁]] 순교자. [[성공회 기도서]]와 [[성공회 39개 신조]]를 집필했으며 현재 성공회 및 [[잉글랜드 국교회]]를 탄생시킨 주역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성공회에서는 [[성인(기독교)|성인]]으로 공경하며 순교일인 3월 21일을 잉글랜드 국교회에서는 축일로, [[대한성공회]]에서는 기념일로 지낸다. 물론 토마스 크랜머를 [[세례명|신명]]으로 쓸 수도 있다. 1489년에 출생하여 1556년 [[메리 1세]] 여왕 시기에 화형당했다. * 매슈 파커: 개혁 신학에 따른 [[성공회 39개 신조]]를 작성하였다. 1504년에 출생하여 1575년에 별세하였다. * 윌리엄 로드: 고교회파(Anglo-Catholic)로서 성공회(당시 잉글랜드 국교회)에 [[가톨릭]]적 전례와 [[제의]]를 다시 도입하여, [[청교도]]들의 집중 타겟이 되어 처형당한다. 1573년에 출생하여 1645년 [[영국 내전]] 도중에 왕당파들이 숙청당할 때 처형되었다. 국교회 예식을 비판하는 청교도들을 잡아 귀와 코를 베고, 종신형에 처했으며 찰스 1세 시대에는 성실청(Star Chamber)이라는 특수 법정에 종교재판을 남발하여 악명이 높았기 때문이다. * 윌리엄 적슨 * 윌리엄 웨이크 * 윌리엄 하울리 * 존 버드 섬너 * 찰스 롱리 * 윌리엄 템플: [[노동운동]]과 [[교회 일치 운동]]에 헌신하였다. 당시 비단 성공회 신자뿐 아니라 모든 [[기독교인|그리스도인]]들에게 큰 귀감이 되었다. 1881년에 출생하여 1944년에 별세하였는데 최초로 [[화장(장례)|화장]]된 캔터베리 대주교이기도 하다. * 제프리 피셔: 1959년에 방한하여 [[대학로교회]](당시 성 베다 교회) 성당을 축성하였다. [[세계교회협의회]] 총장을 맡기도 했다. 때문에 세계교회협의회를 반대하는 일부 개신교인들이, 피셔 대주교가 [[프리메이슨]] 회원이라는 낭설을 유포하고 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프리메이슨]]이 음지에서 암약하며 세계를 입맛대로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프리메이슨은 실제로는 [[이신론]] 신봉자의 사교 단체에 불과하며 어떠한 정치적 실권도 가지고 있지 않다. 차라리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이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 마이클 램지: 가톨릭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회일치운동에 관해 대화를 한적이 있다. 1973년 방한한 이력이 있다. 방한하여 [[박정희]] 당시 대통령을 예방하고 [[동국대학교]]에 가서 [[불교]]계 지도자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 도널드 코건: 1909년에 출생하여 2000년에 별세하였다. NEB 성경(The New English Bible) 번역에 참여하였다. * 로버트 런시: 1921년에 출생하여 2000년에 별세하였다. 자유주의적 고교회파(Liberal Anglo-Catholic)로서 교회 일치 운동에 헌신하였다. * [[조지 캐리]]: 1935년생이다. [[킹스 칼리지 런던]], [[더럼 대학교]] 출신. 캐리 대주교 때에 잉글랜드 교회에서 처음으로 여성 사제를 서품하였다. * [[로완 윌리암스]]: 웨일스 사람이다. [[장로회]] 출신으로, 자유주의적 고교회파(Liberal Anglo-Catholic)다.[* 의외로 다른 개신교에서 성공회로 옮겨온 사람들이 전례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그 중에서도 로완은 [[동방 정교회]]의 전통과 영성을 성공회에 들이려 했고, 결국 성공회에는 '앵글로 정교회'(Anglo-Orthodoxy)라는 새로운 개념까지 생겨났다.] 여성 주교 서품 문제, 동성애 수용 문제, 불륜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던 [[카밀라 파커 보울스]]와 [[찰스 3세]]의 결혼식 주례, 샤리아법 옹호 발언 등으로 많은 논란을 야기했다. * [[저스틴 웰비]]: 런던 사람이다. [[이튼 칼리지]],[* 이튼 칼리지는 이튼 스쿨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의 [[국제중학교]]와 비슷하게 주로 부유층 자제들이 진학하는 학교다. 웰비 대주교는 이튼 칼리지 졸업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하여,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졸업. 성직 입문 전에는 정유회사 임원으로 일했다. 현임 캔터베리 대주교(105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공회, version=2024, paragraph=5.1)] [[분류:캔터베리 대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