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항공사)] ||<-4><#fff><:> [[파일:컨티넨탈 항공 로고.svg|width=100%]]|| ||<-4><:><#0c325e>'''{{{#white 컨티넨탈 항공[br]Continental Airlines}}}'''|| ||<-2> '''부호 ''' ||||'''[[항공사]] [[호출 부호]]''' CONTINENTAL[br]'''[[IATA#s-3]]''' CO '''[[ICAO#s-3]]''' COA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24[* [[유나이티드 항공]]에 먹혔다.] || ||<-2> '''항공권식별번호''' ||||005 || ||<-2> '''설립년도''' ||||[[1934년]] || ||<-2> '''소멸년도''' ||||[[2011년]] [[11월 30일]][* [[유나이티드 항공]]에 합병] || ||<-2> '''허브공항''' ||||[[클리블랜드 홉킨스 국제공항]][br][[휴스턴]]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 공항]][br][[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br][[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 국제공항]] || ||<-2> '''자회사''' ||||컨티넨탈 익스프레스[br][[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br]컨티넨탈 커넥션 || ||<-2> '''보유항공기수''' ||||348 + 92 (자회사 항공기 제외) || ||<-2> '''취항지수''' ||||140 (자회사 / [[코드셰어]] 운항 제외) || ||<-2> '''마일리지''' ||||OnePass || ||<-2> '''항공동맹''' ||||윙스 (1999-2004)[br][[스카이팀]] (2004-2009)[br][[스타얼라이언스]] (2009-2011) || ||<-2> '''링크''' ||||~~[[https://web.archive.org/web/*/http://www.continental.com/|웹사이트]]~~ || [목차] [clearfix] || [[파일:컨티넨탈 항공의 보잉 747-100.jpg|width=100%]]|| [[파일:컨티넨탈 항공의 보잉 787-8.jpg|width=100%]]|| || [[보잉 747-100]] || [[보잉 787|보잉 787-8]][* 주문한 상태에서 합병되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이쪽에서 주문한 기체들은 [[유나이티드 항공]]의 신도색이 적용되었고, 유나이티드의 신도색은 기존의 '튤립' 마크에서 컨티넨탈의 지구본 꼬리날개를 계승했다.] || || [[파일:The.Shining.1980.US.DIRECTOR'S.CUT.REMASTERED.1080p.10bit.BluRay.6CH.x265.HEVC-PSA-0002.jpg|width=100%]]|| || [[DC-10|맥도넬 더글라스 DC-10-10CF]] / N68052[* 해당 기체는 그 유명한 영화 [[샤이닝(영화)|샤이닝]]에도 나왔던 기체로 이후에 페덱스 익스프레스 화물기로 개조되었다가 2007년에 운항을 종료하였다. [[https://www.planespotters.net/airframe/mcdonnell-douglas-md-10-n68052-fedex-express/en4702|#]]] || == 개요 == [[미국]]의 항공사. 1934년 설립되어, 전성기인 1990년대에는 [[미국]] 내에서도 상당한 레거시 항공사로 성장하였다. 주 운항은 [[국내선]] 위주였으며, [[보잉 737]]과 [[보잉 757]]을 주로 굴렸다. 하지만 [[2001년]] 발생한 [[9.11 테러]]와 기타 실속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됨에 따라 항공산업이 크게 위축되자, 실속을 위시로 하는 트렌드에 따라 [[2011년]] [[유나이티드 항공]]에 합병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990년 11월부터 계열사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 항공(CS)이 괌-서울 노선에 취항했으며, 1993년에는 괌-타이베이-제주노선[* 제주공항 최초의 외항사 정기노선이다.]에 취항했으나 [[1997년 외환 위기]] 시절 단항한 이후 정기편 운항은 없었다. 뒷날 [[무안국제공항]]에 [[보잉 737]] 전세기를 띄운 적은 있다. == 역사 == === 창립과 발전 === 1934년 [[텍사스]]에서 창립되어 그 해 7월 15일에 첫 운항을 시작했다. 창립 당시의 이름은 바니스피드 항공. 창립자 월터 토머스 바니[* 1888년 12월 26일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출생. 이 사람은 이전에도 항공사를 세웠다가 그 회사가 [[보잉]]에 합병된 적이 있다. 그 항공사는 [[유나이티드 항공]]의 전신이 된다. 1967년 1월 25일 작고.]의 이름을 땄다. [[193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미 남서부에서 우편 및 승객 운송을 시작하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 주와 [[텍사스]] 주에서 세력을 강화해나가기 시작했다. 주 업무는 승객 및 우편 운송이었다. [[1959년]]에는 최초의 제트 여객기인 [[보잉 707]]을 도입하였고 [[1966년]]에는 [[DC-9]]를, [[1970년]]에는 [[보잉 747]]을 도입하면서 성장가도를 달렸다. [[1963년]] [[로스앤젤레스]]로 본사를 이전했고,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수송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1982년]] [[휴스턴]]으로 이전하게 된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643941.jpg|width=450]] [[1968년]]에는 전설적인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 Saul Bass, 1920~1996. 영화계에 타이틀 디자인 분야를 확립한 인물이기도 하며, 6년 뒤인 1974년에는 나중에 컨티넨탈 항공을 인수한 [[유나이티드 항공]]의 로고도 디자인했다.]를 고용해 로고를 위와 같이 변경했다.[* 참고로 이 로고는 한눈에 보면 알 수 있듯 [[대우그룹]]의 로고와 매우 비슷한데, 그 때문에 표절 논란이 일기도 했다.] [[1985년]]에는 [[보잉 737]]을 도입했는데,[* 상단의 기체는 단 30대밖에 팔리지 못한 보잉 737의 최초형인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100]]이다.] 상당히 늦은 도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플래그쉽 모델을 먹었다.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컨티넨탈 항공이 [[유나이티드 항공]]에 합병되던 2010년에 [[보잉 737]]은 240대를 굴리고 있었고, 26대가 주문 중이었다고 하며, 소멸 당시까지 굴려왔던 737의 총합은 무려 352대였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도 2022년 12월 기준 [[사우스웨스트 항공]]에서 '''현역으로''' 굴리는 737 기체 총합(809개)의 절반도 안 된다.][* 참고로 컨티넨탈 항공은 [[보잉 737 MAX]] 이전 737 세부 기종을 -400과 -600 빼고 모두 운용하여 도합 7종의 737 세부 기종을 운용했는데, 이는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운용한 737 세부 기종 개수와 똑같다. 참고로 가장 많은 737 세부 기종을 운용한 항공사는 후에 컨티넨탈 항공을 합병하게 되는 유나이티드 항공(9종)이다.] === 시련 === [[1978년]] 항공 자유화 정책이 도입되자 실적이 악화되었다. [[1981년]] 컨티넨탈 항공은 1억 달러의 적자를 보았으며, 그해 11월 기업사냥꾼인 프랭크 로렌조에게 인수되었다. [[1982년]] 텍사스 국제항공을 흡수한 후 [[휴스턴]]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이어 계속된 경영 악화로 [[1983년]] 프랭크 로렌조는 파산신청을 한 후 직원을 전원 해고하고, 임금을 대폭 삭감한 고용조건을 받아들인 직원만 재고용한다. 상당히 거친 방법인데, 이 방법은 이후 기업 재건 전략의 하나로써 주목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직원들의 반발을 샀다. [[결과는 좋았다|그래도 효과는 있었는지]] [[1986년]] 완전히 회생하였다. [[1987년]] [[미국]] 내 [[저가 항공사]] 몇몇을 합병하여 미국에서 3번째로 큰 항공사가 되었다. 하지만 [[스위스에어|무리한 인수합병으로]] 경영상태가 좀처럼 호전되지 않았다. [[1991년]], 여기에 [[걸프전]]이 간당간당했던 컨티넨탈 항공의 재정에 직격타를 날려버렸다. [[1991년]] 자회사였던 컨티넨탈 익스프레스에서 [[컨티넨탈 익스프레스 2574편 추락 사고|사고]]가 일어나자, 컨티넨탈 항공은 다시 파산 신청을 하였고, 여러 가지 해결책을 모색했지만 [[1994년]]까지 경영진이 8번이나 교체되는 와중에도 회사는 전혀 나아지지 않으며 주가는 '''3달러 25센트까지 하락'''하였다. 이 당시 컨티넨탈 항공에 대한 직원들의 불신은 상당히 대단했으며, 사내 분위기도 전체적으로 좋지 않았다. 직원들은 일이 끝나면 회사 배지를 즉시 떼어 버렸으며, 정시 도착률과 수하물 분실률은 가히 최악이라 할 만한 수준이었다. 당연히 승객들은 컨티넨탈 항공을 기피하게 되었다. 그 당시에 컨티넨탈 항공의 이미지가 얼마나 악화되었냐면, 당시 컨티넨탈 항공의 이미지는 서비스 질의 악화로 극도로 이미지가 안 좋던 2010년대의 [[유나이티드 항공]]보다도 나을 바가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경영진은 마지막 회생을 위해 고든 베이슨이라는 전문경영인을 영입한다. 그리고 [[기사회생|베이슨은 컨티넨탈의 영웅이 되었다.]] === 재건 === [[1994년]] 2월 고든 베이슨이 사장 겸 COO에 부임한다. 처음에는 부진했지만 그해 12월 CEO에 부임하면서 여러 가지 개혁에 시동을 걸기 시작하였다. 이때 그가 시작한 계획은 'Go-Foward' 계획이라 명명되었으며, 이 계획에서는 4가지 방침을 결정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 1. Fly to win -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을 만듦 > 1. Fund to Future - 비용을 제어함으로써 이익을 높임 > 1. Make Reliability a Reality -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 1. Working Together - 직원을 소중히 취급하기 먼저 고든 베이슨은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편시켰다. 투자액의 행방을 알 수 없었던 기존 시스템을 뜯어고쳤으며, 계약 중이던 [[A300]]의 주문을 취소시켰다. 노선을 개편시켜 수익성이 적은 노선에 대한 리서치를 하였다. 이후 도입한 것은 정시도착 보너스였는데, [[1995년]] [[운수부|미국 운수부]]가 발표하는 월별 정시 도착률에서 항공사가 5위 안에 들어갔을 때 전 직원에게 65달러의 보너스를 지급한다는 게 주 골자였다.[* 사실 이 65달러에는 고든 베이슨의 약간의 계산이 있었는데, 정시 도착을 못했을 때의 손실금 500만 달러의 절반을 직원 수로 나눈 금액이 65달러였다고 한다.] 이 정책은 직원들의 사기 진작과 함께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서, [[1995년]] 2월부터 순위권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1996년]]과 [[1997년]] 약간의 변경이 있었다.[* 1997년 바뀐 내용은 정시 도착 비율이 80%가 넘어갔을 때 순위 관계없이 무조건 65달러의 보너스를 지급하였다.] 이로 인한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났는데, [[1995년]] 1월 컨티넨탈 항공의 주가가 6달러 50센트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47달러 50센트를 기록했는데, 거의 8배에 달하는 성장을 한 것이다. [[1996년]]에는 항공기 소음 규제가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3년간 항공기의 60%를 신 기체로 교체하였다. [[1999년]] 컨티넨탈 항공의 항공기 평균 기령은 7.4년이었으며, [[9.11 테러]] 당시 컨티넨탈 항공에서 손실을 그나마 적게 내는 데 일조했다. [[1999년]]에는 친하게 지내던 [[노스웨스트 항공]] 측의 권유에 따라 [[항공동맹]] '윙스'에 가입한다. 이 [[항공동맹]]은 [[노스웨스트 항공]], [[KLM 네덜란드 항공|KLM]], 컨티넨탈 항공 이렇게 세 회사로 이루어졌으며, 양측에서 활발한 [[코드셰어]]가 이루어졌다. [[2004년]] 이 항공동맹이 [[스카이팀]]에 흡수되면서 [[스카이팀]] 소속이 되었다. === [[유나이티드 항공]]과의 흡수합병 === [[노스웨스트 항공]]이 [[2008년]] [[델타 항공]]에 흡수합병되어 사업 파트너가 없어진 컨티넨탈 항공은 [[유나이티드 항공]]과 업무 제휴를 시작하는데, 이로 인해 [[스카이팀]]을 탈퇴해 [[스타얼라이언스]]로 이적했으며, 기타 공항 터미널도 완전히 [[스타얼라이언스]] 터미널로 이동하였다. [[2010년]] 이사회에서 [[유나이티드 항공]]과의 합병을 결정하고 [[미국 법무부]]에서 이를 승인하면서, [[2010년]] [[10월 1일]] 유나이티드 항공의 지주회사로 들어가면서 합병되었다. 사후 작업은 [[2011년]]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이날부로 완전히 소멸하였다. 다만 흔적을 찾을 수는 있는데, [[유나이티드 항공]] 항공기들의 도색이 컨티넨탈 항공 도색으로 바뀌었으며, 로고도 같게 바뀌었다. 또한 컨티넨탈 항공의 경영 시스템을 적용하면서, 대등 합병이라는 것을 명시하였다. == 특이사항 == === 특유의 기업문화 === 상당히 열린 경영을 지향했고, 사내 정보를 철저히 공개하기로 유명했다. 모든 부서에 'Go-Foward' 게시판을 설치하고, 전날의 정시 도착률/탑승률/수하물 분실 건수/주가정보 등을 표시하였고, 심지어 사내 큰 사건들도 여과 없이 붙였다. 엘리베이터 홀 같은 대기시간이 생기는 곳에서도 전광판을 설치하여 전날 정시 도착률/탑승률/주가 정보 등을 내보냈다. 이러한 정보 공개로 컨티넨탈 항공은 상당히 투명한 경영을 할 수 있었다는 효과와 함께, 직원들의 순조로운 반응도 잘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일례로 [[9.11 테러]] 직후 [[정리해고]] 관련 협상 때 [[노동조합]]이 상당히 고분고분하게 나와 순조롭게 협상할 수 있었다.] 부장급 이상에게는 개인 [[사무실]]이 주어지는데, 문은 항상 열린 상태로 유지하게 하였다. 이로써 경영진과 직원들 사이에서 [[소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사내 분위기도 상당히 유연해졌다고 전해진다. === 아일랜드 호퍼 === 컨티넨탈 항공의 자회사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는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에서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까지 잇는 노선을 [[마셜 제도]]의 마주로와 콰잘레인,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코스라에[* 일부는 미경유], 폰페이, 추크를 경유해서 가는 노선을 굴렸다. 한때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마주로-[[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도 있었지만 지금은 단항. 현재는 유나이티드로 계승되어 각역 정차 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물론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 직항도 있다.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은 과거 컨티넨탈 항공의 허브로서, 지금은 유나이티드로 계승되었다. [[보잉 737]]을 투입한다. === [[기내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선구자 === 컨티넨탈 항공은 IFE계에서는 시대를 앞섰다고 할 정도로 기발한 아이디어들을 선보이기도 했다. 먼저 컨티넨탈 항공은 [[세계 최초]]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로 전자 오락을 즐길 수 있게 한 항공사이기도 한데, 정확히는 1975년 4월에 [[DC-10]]의 기내 라운지에 [[퐁]]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IFs5UuikfHQ|당시 광고]] 거기다가 [[보잉 707]]을 도입한 1959년에는 무려 '''기내 1등석 라운지에 [[텔레비전]]을 설치하는 서비스'''도 제공했다고 한다. [[https://wahsonline.com/wp-content/uploads/2017/12/sz-Fig-4a.jpg|당시 광고]] [* 참고로 당시 제트기에는 영화 상영 서비스조차 도입되지 않았는데,(제트기 내 영화 상영 서비스는 그로부터 2년 뒤인 1961년에 [[트랜스 월드 항공]]에 의해 도입되었다.) 그랬던 시절에 이 서비스가 당시 사람들에게 얼마나 혁명적인 서비스로 받아들여졌는지는 두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참고로 1965년 7월 1일에 컨티넨탈 항공 12편(보잉 707-124)이 [[캔자스시티]]의 찰스 B. 휠러 다운타운 공항에서 활주로 이탈 사고를 일으킨 것에 대해 민간항공위원회(CAB)가 1966년에 작성한 보고서 9쪽에도 1등석 라운지에 TV 세트가 있었다는 언급이 있었다는 언급을 감안하면 이 서비스는 적어도 1965년까지도 계속된 것으로 보인다.] === 사건사고 === * [[컨티넨탈 익스프레스 2574편 추락 사고]] * [[컨티넨탈 항공 11편 폭파 사건]] - 승객이 보험 사기를 치기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몸에 두르고 폭파시켜 B707-120이 추락했다. * [[컨티넨탈 항공 1404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덴버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던 B737-500이 강풍으로 활주로를 벗어난 사고. * [[컨티넨탈 항공 1713편 추락 사고]] - 덴버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던 DC-9이 결빙으로 이륙 즉시 지상에 닿아 좌측 날개가 부숴지며 우측으로 구른 사고. 2006년 1월 16일, 컨티넨탈 1515편 [[보잉 737]]기가 [[엘패소]] 공항에서 주기된 상태로 엔진 검사를 받고 있던 중[* 오일 누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엔진 출력을 70%까지 올린 상태였다.] '''[[http://edition.cnn.com/2006/US/01/16/airplane.fatality/index.html|정비사가 엔진에 빨려 들어가 사망하는]]''' [[https://www.ntsb.gov/about/employment/_layouts/ntsb.aviation/brief2.aspx?akey=1&ev_id=20060131X00140&ntsbno=DFW06FA056|끔찍한 사고가 벌어졌다.]] 비행 중 사고가 아니고 승객 피해가 없었기에 크게 다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사건 직후의 사진들을 보면 정말 끔찍한 광경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고기(N32626)는 엔진을 정비한 다음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계속 쓰이다가 [[https://www.airfleets.net/ficheapp/plane-b737-27530.htm|2014년 나이지리아 항공사에 인도되었다.]] 2000년 7월 25일, 활주로에 떨어져있던 이 회사 [[DC-10]]의 부품을 그 다다음 이륙하던 [[콩코드]]가 밟으며 연료탱크가 터져 [[에어 프랑스 4590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콩코드가 이륙하기 전에는 [[에어 프랑스]] 747기가 이륙했다. 참고로 이 항공기는 FOD를 피했다.] 1992년 10월 14일에는 [[서울]] [[김포공항]]에 착륙중이던 DC-10의 우익 [[플랩]]이 [[양천구]] [[신월동(서울)|신월동]] 가정집 두 채를 덮치는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101500329123006&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2-10-15&officeId=00032&pageNo=23&printNo=14554&publishType=00010|사고가 있었지만]] 천만다행으로 인명사고는 없었다. [[분류:미국의 없어진 항공사]][[분류:컨티넨탈 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