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케이시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문서, rd1=케이시(동음이의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케이시 켈리의 2024년 시즌, rd1=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4년)] [include(틀:LG 트윈스/간략(투수))] || '''{{{#ffffff 케이시 켈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케이시 켈리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Champion_LG.pn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한국시리즈|{{{#ffffff 2023}}}]]'''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50]]]][br] '''{{{#ffffff 2022 KBO 리그 다승왕}}}''' || ---- ||<-2> {{{#ffffff 보유 기록}}} || || 연속 경기 5이닝 이상 투구 || 75경기 || ---- ||<-5>
'''{{{#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49번}}}''' || || [[웨이드 르블랑]][br](2009~2011) || {{{+1 →}}} || '''{{{#002d62 케이시 켈리[br](2012, 2015)}}}''' || {{{+1 →}}} || [[세자르 바르가스]][br](2016) || ||<-5> '''{{{#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55번}}}''' || || 앨런 버츠[br](2003~2014) || {{{+1 →}}} || '''케이시 켈리[br](2016)''' || {{{+1 →}}} || [[조시 콜멘터]][br](2016~2017)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68번}}}''' || || [[크리스 스트래튼]][br](2016) || {{{+1 →}}} || '''케이시 켈리[br](2018)''' || {{{+1 →}}} || [[잭 그린(1994)|잭 그린]][br](2019)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번}}}''' || || [[아도니스 가르시아|가르시아]][br](2018) || {{{+1 →}}} || '''켈리[br](2019~)'''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켈리 프로필 사진 LG.png|width=100%]]}}} || ||<-2> '''LG 트윈스 No.3''' || ||<-2> '''{{{+2 케이시 켈리}}}[br]Casey Kelly''' || || '''본명''' ||케이시 패트릭 켈리[br]Casey Patrick Kelly || ||<|2> '''출생''' ||[[1989년]] [[10월 4일]] ([age(1989-10-04)]세) || ||[[플로리다]] 새라소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새라소타 고등학교 || || '''신체''' ||192cm | 100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8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0번, [[보스턴 레드삭스|BOS]]) || ||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2, 2015)[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6)[br]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8)[br]'''[[LG 트윈스]] (2019~)''' ----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s-4.1|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 (2017/18) || || '''계약''' ||2024 / $1,500,000[* 계약금 $400,000 / 연봉 $800,000 / 인센티브 $300,000] || || '''연봉''' ||2024 / $800,000 || || '''등장곡''' ||[[BLACKPINK]] - 《[[KILL THIS LOVE]]》 (2019~) || ||<-2>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팻 켈리(1955)|팻 켈리]], [[어머니]] ---- [[아내]] 아리엘 켈리 [br] [[딸]] 캐머런 켈리, [[아들]] 케이시 켈리 주니어[* 아버지와 동일한 이름. 애칭은 CJ이다. ]^^(2021년 9월생)^^ || }}}}}}}}} || ||<-2> [[https://www.lgtwins.com/web/team/player/view/187/|[[파일:LG 트윈스 심볼.svg|width=22]]]][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ustCK3, 크기=20)] [[https://instagram.com/the_real_ck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LG 트윈스]] 소속 우완 [[외국인 선수|외국인 투수]]. LG 트윈스 외국인 프랜차이즈 역사상 가장 오랜 근속년수[*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간 LG에서 뛰었으며, 2024 시즌도 재계약하며 근속년수를 6년으로 늘렸다. 종전 기록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LG에서 에이스로 활약한 [[헨리 소사]].]를 가진 최장수 외국인 투수로, 역대 최초이자 유일하게 LG에서 우승을 경험한 외국인 투수이다. 정규 시즌에선 훌륭한 이닝 이터로서, 포스트시즌에서는 29년만의 통합 우승에 앞장선 최고의 빅 게임 피처[* 역대 최초이자 유일하게 모든 포스트시즌 라운드에서 승리 투수가 된 진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019년 10월 3일 WC 1차전, 2021년 11월 5일 준PO 2차전, 2022년 10월 24일 PO 1차전, 2023년 11월 13일 KS 5차전)]로서 뛰어난 실력과 훌륭한 워크에식으로 많은 LG 팬들에게 사랑받는 선수다.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선수 경력]] == ||<-3> '''통합 선수 경력: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 || ||<-3> [[파일:MLB 로고.svg|width=45]] || ||<-3>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s-1|{{{#white '''MLB 시절'''}}}]] || ||<-3>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19년|'''{{{#white 2019년}}}''']]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0년|'''{{{#white 2020년}}}''']]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1년|'''{{{#white 2021년}}}''']] ||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2년|'''{{{#white 2022년}}}''']]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3년|'''{{{#white 2023년}}}''']] || [[케이시 켈리/선수 경력/2024년|'''{{{#white 2024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플 켈리 직구.gif|width=100%]]}}} || || '''148km/h의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이시 켈리 브레이킹볼.gif|width=100%]]}}} || || '''137km/h의 슬라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이시 켈리07/10.gif|width=100%]]}}} || || '''150km의 투심 패스트볼''' || LG 트윈스에서의 기록을 보면 평균 146km/h정도의 구속으로 투구한다.[* 2019년 7월 들어서는 최고구속 152km/h를 기록하기도 하는 등 구속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메이저리그 트렌드에 맞게 포심과 구속 차이가 1마일[* 1.6km] 안쪽인 [[투심 패스트볼]]을 함께 구사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구종을 구사한다. 앞서 언급했듯 포심과 투심, 두 가지의 패스트볼을 구사할 수 있고 브레이킹볼로는 [[커브]]와 [[슬라이더]], 오프스피드 피치는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투구 폼도 일정하며, [[제구(야구)#s-2|커맨드]] 능력이 좋다. 이 다섯 가지의 다양한 구종들과 뛰어난 커맨드 능력을 통해 타자와 승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닝 소화 능력도 준수하다. 기본적으로 좌타자/우타자를 가리지 않고 모든 구종을 구사하지만, 우타자에게는 포심과 커브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좌타자에게는 체인지업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다. LG 트윈스에서 뛴 5년의 기록을 살펴보면 2020년을 제외하고는 좌타자 상대로 10%의 체인지업 구사율을 기록했다. 투심은 우타자 상대로 보인 구사율이 동일한 2021년을 제외하고 우타 상대 구사율이 더 높았다. 팀 동료였던 [[타일러 윌슨]]과는 싱커(투심)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흡사하다. 다만 윌슨은 체인지업을 많이 구사하지 않고, 커브보다는 커터를 잘 활용하는 편이다.[* 스탯티즈 기준 윌슨의 구종별 구사율을 보면 2018년엔 직구 27%, 슬라이더 28.1%, 커브 13.1%, 싱커 27.6%였지만, 2019년부터 2020년까지는 직구 구사율이 10% 초반에 그쳤고 슬라이더 구사율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2.6과 5.2%까지 낮췄다. 그에 반해 커브와 싱커의 구사율은 상당히 높아졌는데 커브 19년과 20년 각각 28%과 36%였고 싱커는 42.8%, 40.1%였다.] 그러나 활용도의 차이가 있을 뿐, 투구 옵션 자체는 매우 흡사한 편이다. 같은 우완인 데다 투구 스타일까지 워낙 비슷해서 해설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선발 로테이션을 돌릴 때 윌슨과 붙여서 내면 안 된다는 의견을 내기도 하였다. 비슷한 예로 [[두산 베어스]]의 [[세스 후랭코프]]도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에게 자신과 [[조쉬 린드블럼]]의 스타일이 비슷해서 자신을 린드블럼과 떨어져서 로테이션을 돌려줄 것을 요청해서 후랭코프는 항상 3선발로 나섰다. 실제로 [[롯데 자이언츠]] 전에서 타일러 윌슨을 상대했던 롯데 타자들이 켈리를 상대했을 때 공이 눈에 익어서 거의 받쳐놓고 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만, 2020년부터는 포심의 2배 가까이 구사하던 투심 패스트볼의 비중을 줄이고, 포심 패스트볼의 비중을 늘리며 파워피쳐로 변신하였고, 결국 후반기에 부활하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내야수 출신으로 본인의 투구 수가 많아지면 이닝이 길어지고 이닝이 길어지면 야수들이 지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빠르고 공격적인 투구 패턴을 가졌다. 이 때문에 투수로서의 수비력도 매우 뛰어나다. 플로리다 출신이어서 그런지 더운 날씨에 상당히 강한 편이다. 사실 플로리다는 물[* 플로리다 해협만 건너면 바로 [[쿠바]]가 나온다.] 하나만 건너면 바로 덥고 습한 중남미와 맞닿아 있으므로 꽤 더운 편에 속한다. 이 때문에 추운 날씨에는 약한 것이 아니냐는 말도 있지만[* LG에서 뛰었던 시즌 모두 전반기에는 후반기에 비해 아쉬운 모습을 보이곤 했다.], [[KBO 포스트시즌]]에서는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년까지, LG는 켈리가 등판한 4경기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었으며(켈리 본인은 2승 무패를 기록.), 총 '''평균자책점은 1.78'''을 찍고 있는 등, 포스트시즌만 놓고 봤을 때는 괴물 투수라는 말이 아깝지 않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성적을 자랑하고 있다. 다만, 켈리가 입단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켈리가 등판하지 않은 경기에서 LG는 전패를 기록하고 있었다가, LG가 [[2023년 한국시리즈]] 2차전을 이기면서 이 징크스는 깨졌다. 그리고 본인도 5차전 선발승을 거두며 우승했다.] 이러한 모습을 보면 기온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기 보다는 '슬로우스타터'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그래도 시즌을 거듭할 수록 전반기와 후반기의 편차를 점점 줄여나가고 있으며, 전반기가 끝나지 않은 2022 시즌 현재까지의 성적은 리그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로테이션을 잘 거르지 않고 꾸준히 등판하는, 외국인 투수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75경기 연속 5이닝 이상 소화 등 기록으로 증명할 수 있다.[* 2022년 8월 5일 키움전에서 종료] == 연도별 성적 == * '''{{{#blue,#0000ff 푸른 글씨}}}'''는 KBO 최다,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16> {{{#ffffff 역대 성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2 ||<|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6 || 29 || 2 || 3 || 0 || 0 || 6.21 || 39 || 5 || 13 || 26 || 23 || 20 || 1.69 || || 2015 || 3 || 11⅓ || 0 || 2 || 0 || 0 || 7.94 || 19 || 1 || 4 || 7 || 13 || 10 || 1.94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6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10 || 21⅔ || 0 || 3 || 0 || 0 || 5.82 || 30 || 1 || 12 || 7 || 14 || 14 || 1.7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8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7 || 23⅔ || 0 || 3 || 0 || 0 || 3.04 || 28 || 3 || 7 || 16 || 10 || 8 || 1.39 || ||<-2>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 통산'''(4시즌) || 26 || 85⅔ || 2 || 11 || 0 || 0 || 5.46 || 116 || 10 || 36 || 56 || 60 || 52 || 1.6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9 ||<|5> [[LG 트윈스|LG]] || 29 || 180⅓ || 14 || '''12'''[br](5위) || 0 || 0 || '''2.55'''[br](4위) || 164 || 7 || 57 || 126 || 70 || 51 || '''1.14'''[br](5위) || || 2020 || 28 || 173⅓ || '''15'''[br](3위) || 7 || 0 || 0 || 3.32 || 160 || 16 || 51 || 134 || 67 || 64 || '''1.15'''[br](5위) || || 2021 || 30 || '''177'''[br](4위) || 13 || 8 || 0 || 0 || 3.15 || 160 || 12 || 74 || 142 || 64 || 62 || 1.24 || || 2022 || 27 || 166⅓ || '''{{{#red 16}}}'''[br]{{{-1 (1위)}}} || 4 || 0 || 0 || '''2.54'''[br](5위) || 144 || 10 || 37 || 153 || 50 || 47 || '''1.08'''[br](5위) || || 2023 || 30 || '''178⅔'''[br] (5위) || 10 || 7 || 0 || 0 || 3.83 || '''{{{#red 183}}}'''[br]{{{-1 (1위)}}} || 10 || 45 || 129 || '''87'''[br] (2위) || '''76'''[br] (2위) || 1.24 || ||<-2> '''[[KBO 리그|KBO]] 통산'''(5시즌) || 144 || 875⅔ || 68 || 38 || 0 || 0 || 3.08 || 811 || 55 || 261 || 684 || 338 || 300 || 1.17 || == 여담 == * 덥수룩한 수염에 가려져 있지만 [[라이언 레이놀즈]]를 닮은 미남이다.[* 하이톤의 목소리와 밝은 말투까지 비슷하다.] 2019년 2월 3일 불펜 피칭때 모습을 보였는데 수염을 싹 밀었다. 이 모습을 본 팬들은 [[데이비드 허프]]와 닮았다는 반응도 있었다. * 아내의 이름은 이름은 '아리엘 켈리', 결혼 전엔 '아리엘 우드'였다. [[NBA]] [[피닉스 선즈]]의 댄싱팀 일원 출신이었다고 한다. 언론에도 자주 나왔을 정도의 유명인사였다는듯.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kbotown&id=201903020028337897&select=sct&query=켈리&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6jTGY2A6hjRKfX@h-j9Gf-Yhhlq|과거 모습]]. * [[kt wiz]]의 선수인 [[멜 로하스 주니어]]와 친분이 있는 듯하다. 켈리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LG 트윈스]]와 계약했다는 소식을 올리자, 그 글에 로하스가 '''"내년에는 LG를 상대로 더 많은 홈런을 쳐보겠다."'''라는 장난스러운 댓글을 남겼을 정도. * [[KBO 리그]]행을 추천해준 사람은 KBO를 거친 외국인 선수가 아니라 의외로 [[황재균]]이라고 한다.[* 켈리가 2017년 중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으면서 반 시즌을 황재균과 함께 뛰었다.] * 前 동료 [[타일러 윌슨]]과 마찬가지로 마운드 위에서 경기 전 점프를 뛰며 몸을 푼다. 아무래도 윌슨한테 배운 듯. 윌슨이 LG를 떠날 때도 그와는 각별한 사이여서 그런지 윌슨의 앞날을 누구보다 응원해줬다. * [[김현수(1988)|김현수]]에게 자신의 이름이 한글로 자수가 놓여진 글러브를 선물 받았다. [[https://youtu.be/xMkF7Rl_SlI|출처: 주간신기자 유튜브 채널 영상]] * 직업 의식/윤리관이 훌륭한 선수로 유명하다. 팀원들에게 적극적으로 파이팅을 불어넣고 사기를 북돋는다. 야수들에게 늘 감사하는 것도 잊지 않는 겸손한 선수. 그리고, 무엇보다 15승 7패의 ERA 3.32의 훌륭한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0/12/13/KUBWBQPSR3TBMPQ5GP7Z44UAXQ/|코로나로 구단 재정이 악화되었다는 것에 대해 고통 분담을 해주어서 프런트가 감동했다.]] '''보장금액 기준으로 20만불, 총액 기준으로 10만불 삭감을 했다.''' 외국인 선수들은 짧고 굵게 돈을 벌려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연봉에 민감하다. 비록 케이시 켈리의 연봉이 한국에 오는 외국인 선수들 중에 탑급[* 2020 연봉 기준 총액 150만불]수준이긴 하나 이 정도 성적과 누적 성적을 보면 당연히 인상을 요구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게 얼마나 놀라운 사실인가 하면 KIA [[애런 브룩스]]의 경우 불과 2년째에 보장금액 120만불 + 옵션 30만불(추정)에 계약을 했고, 롯데 [[댄 스트레일리]] 역시 2년째에 보장금액 120만불 + 옵션 50만불의 총액 170만불 계약을 했다. '''그런데 2년간 353⅔이닝 29승 17패 ERA 2.93을 올린 선수가 같은 시즌 3년차에 이들보다 싼 보장금액 100만불[* 옵션 40만불 별도, 총액 140만불]에 계약을 한 것'''이다. 심지어 켈리는 처음 올 때부터 100만불을 채워서 왔던 선수.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호성적에 연봉을 자진 삭감한 최초의 사례[* [[삼성 라이온즈]]의 [[벤 라이블리]]의 경우 성적이 안 좋아서 어쩔 수 없이 삭감을 받아들인 사례]이다. 또한 임신한 아내가 출산임박[* 2021년 9월 14일 예정]하여 출산휴가를 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위해 휴가를 반납했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17&aid=0003535633|출산휴가 NO '에이스'의 큰 결단, 사령탑 "작은 선물이라도…"]] * 이러한 켈리의 뛰어난 워크에식의 사례로 [[2023 한국시리즈]] 1차전 패배 직후 락커룸에서 코치진에게 '''자신이 4차전, 7차전에 나서겠다는'''[* 즉, 한번의 한국 시리즈에서 '''세차례 선발'''로 나서겠다는 뜻이다.] 용병 투수는 물론 한국인 투수도 쉽게 하지 못하는 말을 전했다는 [[김정준]] 수석 코치의 인터뷰가 있었다. [[파일:Screenshot_20211106-023022.jpg]] * [[앤드류 수아레즈]]의 홈경기 첫 승 기념 인터뷰에서 직접 사진을 찍어주는 친근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팀이 크게 이기고 있거나 홈런을 칠 때 [[http://crazzzybaseball.com/news/board_list_view.php?gisa_uniq=20190924104350&fbclid=IwAR1ddUp00cn2-ehrLR2TuV18IBcwdC5qw9T2595EVidkJfQ8OngbXtVRSLI|반응이 워낙 눈에 띄어서]] '켈반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상당히 유쾌한 성격인듯. ||
[[파일:켈리가족.jpg|width=200]]|| || 켈리의 부모님과 그의 딸. || * 아버지 [[팻 켈리(1955)|팻 켈리]]는 [[신시내티 레즈]]의 벤치코치를 했으며 현재 [[신시내티 레즈]] 산하 AAA팀 감독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포수. 이래 봬도 마이너리그 감독으로 [[https://twitter.com/LouisvilleBats/status/1426362985883258889|통산 1800승]]을 거둘 정도로 잔뼈 굵은 지도자이다. [[KBO 준플레이오프/2021년|2021년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아들의 경기를 직관하였고, 3차전에서 시구를 하였다. [[KBO 플레이오프/2022년|2022년 플레이오프]], [[2023년 한국시리즈]] 때도 다같이 관전을 했다. * 2020 시즌부터는 머리와 수염을 계속 기르고 있는데 상당히 잘 어울린다. * 2021년 9월 9일 한화와의 경기에서 6이닝을 던지며 '''48경기 연속 5이닝 이상 투구'''라는 KBO 신기록[* 이전 기록은 [[양현종]]의 47경기]을 세웠다. 이후 5+이닝 투구를 끝까지 이어나가며 2022년 7월 10일 '''73경기까지''' 기록을 늘렸다. 하지만, 8월 5일 키움전에서 3이닝 7실점을 하면서 이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하지만 2022년 5월 5일 어린이날 경기에서 8실점을 하는 와중에도 감독의 기록 집착으로 인해 겨우겨우 5이닝 채우고 내려가는 바람에 팀이 대패했다는 점에서 팬들은 이 기록에 다소 씁쓸해하고 있다. 그러나 그 경기를 제물로 개인 8연승을 달리며 이번 시즌 리그에서 처음으로 두자릿수 승수 달성에 성공하며 다승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미스터 옥토버|가을에 매우 강하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포스트시즌에 8경기 선발 등판했고 그 중 팀이 6승을 거둘 정도로[* 그 중 선발승이 4승이며, 전부 다른 시리즈에서 기록했다.] 트윈스의 에이스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특히 [[LG 트윈스]]의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포스트시즌 승리경기는 5경기[* 2019 와일드카드 결정전(vs NC), 2019 준플레이오프 3차전(vs 키움), 2020 와일드카드 결정전(vs 키움), 2021 준플레이오프 2차전(vs 두산), 2022 플레이오프 1차전(vs 키움)] 뿐이었는데, 이 때의 선발투수가 전부 켈리였을 정도로 LG는 켈리 등판 경기 이외에는 가을야구에서 전패였다.[* 비슷한 예시로 히어로즈의 [[앤디 밴 헤켄]]이 있다.] 이후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2023년에는 1차전과 5차전 모두 준수한 활약을 했지만 1차전에는 아쉽게 패배하고 5차전 우승날에 승리투수가 되었다. * [[뉴욕 양키스]]의 1루수 [[앤서니 리조]]와 친분이 있다. * 처음 KBO 리그에 왔을 당시, 타자들이 너무 잘 해서 깜짝 놀랐다고 한다. “재계약은 커녕 시즌 중간에 방출되는 게 아닌가 싶었다”고. * 외모와는 다르게 목소리가 얇은 편인 데다가 미성이다. 인터뷰할 때 잘 들어보면 목소리가 매우 가늘다. * 특히 20시즌부터 눈에 띄게 길어진 머리와 턱수염[* 매년 길어지고 있다.]의 조화로 '''켈신, 켈수님, [[더스틴 니퍼트|잠실예수]][* 이 별명은 원래 니퍼트가 가지고 있던 별명인데, 켈리 역시 팀의 에이스 투수이며, 잠실을 홈으로 쓰고, 한국에서 오랫동안 활약한다는 점 등등 니퍼트와 비슷한 점이 많다.], 지저스''' 등등 많은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22시즌에는 꾸준한 호투와 승리를 기록하면서 더더욱 그 별명에 의미를 불어넣고 있다. * [[LG 트윈스]]에서 오래 선수 생활을 한 만큼 팀원들과의 관계도 매우 좋다. 2023년 [[애리조나]] 스프링캠프 당시 훈련장에서 20분가량 떨어진 자신의 집으로 선수단 전원을 초대해서 홈파티를 개최했다. * [[KBO 리그]] 내에서 친한 외국인 선수로는 [[삼성 라이온즈]]의 [[데이비드 뷰캐넌]]이 있다. 가족 단위로도 자주 놀러가는 등 꽤 가까운 사이로 보인다. * [[유강남]]이 FA로 롯데로 이적한 뒤 [[댄 스트레일리]]에게 “너네 포수 뺏어 왔다“ 라는 문자를 받았다고 한다. * [[KBO 리그]] 장수 외인 답게 한국 문화에도 완벽하게 적응을 한 듯 하다. 2023 [[애리조나]] 스프링캠프 당시 [[LG 트윈스]] 훈련장을 방문한 [[박용택]]을 보고 "안녕하십니까" 하며 90도로 인사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다. * 2023년 맥주 [[한맥]]의 광고모델이 되었다. 한맥 측에서 하이트진로에서 출시한 맥주인 켈리와 맞서기 위해 모델로 선정한 듯 하며, 팬들 사이에서도 화제가 되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케이시 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