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 만화, rd1=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5> [[교토 애니메이션|{{{#ffffff '''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 || [[울려라! 유포니엄 2]][br]2016년 4분기 || → ||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br]2017년 1분기 || → || [[Free!/극장판#s-2|극장판 프리! -타임리스 메들리- 인연]][br]2017년 4월 || [include(틀: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2>
{{{#0b0102 '''{{{+1 코바야시네 {{{#51aa32 메이드래곤}}}}}}''' (2017)[br][ruby(小林, ruby=こばやし)]さんちの{{{#51aa32 メイドラゴン}}}[br]Miss Kobayashi's {{{#51aa32 Dragon Mai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obayashi_maidragon_keyvisual.jpg|width=100%]]}}} || ||<-2> {{{#51aa32,#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51aa32,#ffffff 장르}}}''' ||[[일상물|일상]], [[판타지(장르)|판타지]], [[치유계|치유]] || || '''{{{#51aa32,#ffffff 원작}}}''' ||[[쿨교신자]] || || '''{{{#51aa32,#ffffff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 || || '''{{{#51aa32,#ffffff 시리즈 구성}}}''' ||야마다 유카(山田由香) || || '''{{{#51aa32,#ffffff 캐릭터 디자인}}}''' ||[[카도와키 미쿠]] || || '''{{{#51aa32,#ffffff 총 작화감독}}}''' ||마루키 노부아키(丸木宣明) || || '''{{{#51aa32,#ffffff 미술 감독}}}''' ||와타나베 미키코(渡邊美希子) || || '''{{{#51aa32,#ffffff 색채 설계}}}''' ||요네다 유카(米田侑加) || || '''{{{#51aa32,#ffffff 소품 설정}}}''' ||아키타케 세이이치(秋竹斉一) || || '''{{{#51aa32,#ffffff 촬영 감독}}}''' ||우라 아키히로(浦 彰宏) || || '''{{{#51aa32,#ffffff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 || '''{{{#51aa32,#ffffff 음악}}}''' ||[[이토 마스미]] || || '''{{{#51aa32,#ffffff 음악 제작}}}''' ||[[란티스]] || || '''{{{#51aa32,#ffffff 기획 프로듀서}}}''' ||핫타 히데아키(八田英明) || || '''{{{#51aa32,#ffffff 프로듀서}}}''' ||사카이 리사(阪井利早)[br]나카무라 신이치(中村伸一)[br]사이토 시게루(斎藤 滋)[br]우에츠키 미키오(植月幹夫) || || '''{{{#51aa32,#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 || '''{{{#51aa32,#ffffff 제작}}}''' ||드래곤 생활 향상 위원회[* [[교토 애니메이션]], [[포니캐년]], [[란티스]], [[아사히 방송 그룹 홀딩스|ABC 애니메이션]]][br](ドラゴン生活向上委員会) || || '''{{{#51aa32,#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7년 1월|2017. 01. 12.]] ~ 2017. 04. 06.[br]2017. 09. 20.^^OVA^^ || || '''{{{#51aa32,#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목) 00: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목) 23:30 || || '''{{{#51aa32,#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1841|▶]][br][[왓챠]][br][[Laftel]] [[https://laftel.net/item/36775|▶]][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353886|▶]] || || '''{{{#51aa32,#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51aa32,#ffffff 화수}}}''' ||TVA 13화 + OVA 1화 || || '''{{{#51aa32,#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51aa32,#ffffff 관련 사이트}}}''' ||[[http://maidragon.jp/1s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idragon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을 원작으로 하는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타케모토 야스히로]], 캐릭터 디자인은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애니메이션|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경계의 저편(애니메이션)|경계의 저편]]을 맡았던 [[카도와키 미쿠]]가 담당했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7년 1월|2017년 1월]]. 원작 정발명과 애니메이션 정발명이 다르다. 원작의 경우 [[외래어 표기법]]에 기준한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이지만, 애니메이션의 경우 통용 표기인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으로 들어왔다. 그래서 보통 원작의 애니화 문서는 원작 제목에 (애니메이션)을 붙이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 문서명은 보시다시피... == 공개 정보 == [[애니메이션/2017년 1월|2017년 1월]]부터 동년 4월까지 [[도쿄 MX]]에서 방영되었다. 제작 발표 시기는 2016년 4월.[* 2016년 4월, 일본판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단행본 4권 띠지, 2016년 4월에 공개된 월간 액션 2016년 6월호 표지에 TV애니화를 확정한다는 소식이 공개되었다. 공식 일러스트와 홈페이지는 제작 발표 반년 후, 애니화가 정식으로 발표된 2016년 10월 25일에 오픈되었고, 공식 트위터는 2016년 9월에 개설되었다.] 작품이 원작, 애니를 통틀어 흥행력이 좋았는지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S|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x-cdrHiGd0,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kBHQWnYImg, width=100%)]}}} || || '''PV 제2탄''' || == 특징 == 쿄애니풍으로 디자인하면서도 쿨쿄신자 특유의 느낌이 살아있다. 오프닝의 경우 정신나간 듯한 분위기가 매우 좋다.[* 너무 정신이 나간 나머지 [[모자이크#s-5]] 현상이 발생한다.] 3화에서는 [[다크 소울]]과 [[마리오 카트]] 시리즈, 4화에서는 [[열혈 시리즈]], 12화에는 [[마리미테]]의 패러디가 나왔다.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등장인물)]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 [[青空のラプソディ|OP]]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青空のラプソディ)] ||<-2>
'''{{{#51aa32,#ffffff OP[br]青空のラプソディ[br]푸른 하늘의 랩소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video, src=https://jjmp4.ofscdn.com/TveeMovie/aniplus/maidragon/maidragon_op.mp4, width=100%)]}}} || ||<-2> '''{{{#51aa32,#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aKok2RItxM, width=100%)]}}} || ||<-2> '''{{{#51aa32,#ffffff Full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rFYVd8BiL8, width=100%)]}}} || ||<-2> '''{{{#51aa32,#ffffff 슈퍼 초로곤즈 ver.}}}'''[* 애니메이션 성우들이 직접 참여한 버전. 2기 기념으로 2021년 7월 1일에 공개되었다.] || || '''노래''' ||<|2> [[fhána]] || || '''편곡''' || || '''작사''' || 하야시 히데키(林 英樹) || || '''작곡''' ||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 '''연출''' || || '''작화감독''' || 마루키 노부아키(丸木宣明)[br][[카도와키 미쿠]] || }}}}}}}}} || ==== ED ==== ||<-2>
'''{{{#51aa32,#ffffff ED[br]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br][ruby(이슈칸, ruby=이종간)] 커뮤니케이션[* 보통 일본에서 이종간(異種間) 교류라고 하면 각각 다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경우에 쓰이는데, 여기서는 종족이 다르다. '1주일(1週間)'이라는 가사는 발음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언어유희라기 보다는 [[Rhyme]]을 살린 것이라 보는 것이 나을듯 하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video, src=https://jjmp4.ofscdn.com/TveeMovie/aniplus/maidragon/maidragon_ed.mp4, width=100%)]}}} || ||<-2> '''{{{#51aa32,#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hOesCYSnso, width=100%)]}}} || ||<-2> '''{{{#51aa32,#ffffff Full ver.}}}''' || || '''노래''' || 초로곤즈[* '쉽게 넘어간다', '매우 속이기 쉽다'는 뜻의 쵸로이+드래곤을 조합한 단어이다. 작중 코바야시가 자신의 구슬림에 금새 넘어가는 토르를 놀릴 때 표현한 단어다.][br]{{{-3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칸나 카무이|칸나]], [[엘마(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엘마]], [[루코아]])}}} || || '''작사''' || 마츠이 요헤이(松井洋平) || || '''작곡''' ||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 || '''편곡''' || [[rionos]]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 '''연출''' || || '''작화감독''' || 마루키 노부아키(丸木宣明)[br][[카도와키 미쿠]]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색깔별로 {{{#orange 토르}}}, {{{#thistle 칸나}}}, {{{#deepskyblue 엘마}}}, {{{#lime 루코아}}}으로 분류된다. パラッパパパラ パーパラパーパラ 파랏파파파라 파-파라 파-파라 빠라빠 빠빠라빠 빠라빳빠라 パパラパ 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파파라파 잇슈칸 코뮤니케-숀 빠빠라빠 이종간 커뮤니케이션 パラッパパパラ パーパラパーパラ 파랏파파파라 파-파라 파-파라 빠라빠 빠빠라빠 빠라빳빠라 パパラパ マジチョロイマジネーション 파파라파 마지쵸로 이마지네-숀 빠빠라빠 정말 쉬운 이메지네이션 {{{#orange 劣等種だっていいんです}}} {{{#orange 레토쥬닷테 이인데스}}} {{{#orange 열등종이라도 괜찮아요}}} {{{#orange 誠心誠意尽くします}}} {{{#orange 세이신세이 츠쿠시마스}}} {{{#orange 성심성의를 다할게요}}} {{{#thistle いつだって一緒にいて}}} {{{#thistle 이츠닷테 잇쇼니이테}}} {{{#thistle 언제든 함께 있고}}} {{{#thistle 仲良くなって遊びたい}}} {{{#thistle 나카요쿠낫테 아소비타이}}} {{{#thistle 친해져서 놀고 싶어}}} {{{#deepskyblue 甘くて満たされていく}}} {{{#deepskyblue 아마쿠테 미타사레테이쿠}}} {{{#deepskyblue 달콤하고 만족스러운}}} {{{#deepskyblue なんという幸福、お代わりだ}}} {{{#deepskyblue 난토이우코우후쿠 오카와리다}}} {{{#deepskyblue 엄청난 행복, 더 주세요}}} {{{#lime 寄り添ってもいいんだよ}}} {{{#lime 요리소웃테모 이인다요}}} {{{#lime 다가와도 괜찮아}}} {{{#lime こっちへおいで触れあおうよ}}} {{{#lime 콧치에 오이데 후레아오우요}}} {{{#lime 이리 와서 함께하자}}} {{{#thistle 何でルールはきゅうくつ?}}} {{{#thistle 난데루루와큐쿠츠?}}} {{{#thistle 왜 규칙은 갑갑해?}}} {{{#lime 胸が締まっちゃうね}}} {{{#lime 무네가 시맛챠우네}}} {{{#lime 가슴이 답답해져}}} 下等で愚かな価値観 카토데 오로카나 카치칸 하등하고 어리석은 가치관 {{{#deepskyblue 駄目って決定する}}} {{{#deepskyblue 다멧테 켓테이스루}}} {{{#deepskyblue 안 된다고 결정하는}}} {{{#orange 倫理なんていりませんよ}}} {{{#orange 린리난테 이리마센요}}} {{{#orange 윤리 따윈 필요 없어요}}} {{{#orange あー、殲滅したい!}}} {{{#orange 아- 센메츠시타이!}}} {{{#orange 아, 섬멸하고 싶어!}}} Let's 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Let's 이슈칸 코뮤니케-숀 Let's 이종간 커뮤니케이션 強い気持ちは世界を超える 츠요이 기모치와 세카이오 코에루 강한 마음은 세계도 뛰어넘어 こんな一週間なんてどうでしょう? 콘나 잇슈칸난테 도우데쇼? 이런 일주일은 어떤가요? 永遠なんかより尊い時間 에이엔난카 요리 토우토이지칸 영원보다 소중한 시간 過去も未来もどうだっていい 카코모 미라이모 도우닷테이이 과거도 미래도 어떻든 좋아 ここにいることが 코코니 이루 코토가 여기 있는 것이 ここにいる人が 코코니 이루 히토가 여기 있는 사람이 大好き 다이스키 정말 좋아 パラッパパパラ パーパラパーパラ 파랏파파파라 파-파라 파-파라 빠라빠 빠빠라빠 빠라빳빠라 パパラパ 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파파라파 잇슈칸 코뮤니케-숀 빠빠라빠 이종간 커뮤니케이션 パラッパパパラ パーパラパーパラ 파랏파파파라 파-파라 파-파라 빠라빠 빠빠라빠 빠라빳빠라 パパラパ マジチョロイマジネーション 파파라파 마지쵸로 이마지네-숀 빠빠라빠 정말 쉬운 이메지네이션 ジョーシキを滅しちゃえば 죠우시키오 메시챠에바 상식도 없애버리면 パラダイス! パラダイス!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 || }}}}}}}}} || === 음반 === ||<-4><:>
'''{{{#51aa32,#ffffff 青空のラプソディ}}}''' || ||<-2><|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푸른 하늘의 랩소디.png|width=100%]]}}} ||<|2><:>'''카탈로그 넘버''' ||<:>LACM-14564[*아티스트판]|| || LACM-14565[*애니판] || ||<:>'''발매일''' ||<:>2017.01.25 || ||<:>'''러닝타임''' ||<:>04:38 || ||<:>'''{{{#51aa32,#ffffff 트랙}}}''' ||<-2><:>'''{{{#51aa32,#ffffff 곡명}}}''' ||<:>'''{{{#51aa32,#ffffff 비고}}}''' || ||<:>1 ||<-2><:>'''青空のラプソディ''' ||<:>[[https://youtu.be/A2qfQD-P0Ew|유튜브]]|| ||<|2><:>2 ||<-2><:>'''現在地'''[*아티스트판] ||<:> [[https://youtu.be/XXytZyWlAqU|유튜브]] || ||<-2><:>'''Forest Map'''[*애니판] ||<:> || ||<:>3 ||<-2><:>'''青空のラプソディ -instrumental-''' ||<:> [[MR(신조어)|MR]] 버전. [[https://youtu.be/SOvobkF8ImI|유튜브]] || ||<|2><:>4 ||<-2><:>'''現在地 -instrumental-'''[*아티스트판] ||<:> [[MR(신조어)|MR]] 버전. [[https://youtu.be/VnMj1YP0zdA|유튜브]] || ||<-2><:>'''Forest Map -instrumental-'''[*애니판] ||<:> || ||<-4><:>
'''{{{#51aa32,#ffffff 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 ||<-2><|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슈칸(이종간) 커뮤니케이션.png|width=100%]]}}} ||<:>'''카탈로그 넘버''' ||<:>LACM-14566|| ||<:>'''발매일''' ||<:>2017.02.08 || ||<:>'''러닝타임''' ||<:>04:01 || ||<:>'''{{{#51aa32,#ffffff 트랙}}}''' ||<-2><:>'''{{{#51aa32,#ffffff 곡명}}}''' ||<:>'''{{{#51aa32,#ffffff 비고}}}''' || ||<:>1 ||<-2><:>'''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 [[https://youtu.be/WhOesCYSnso|유튜브]] || ||<:>2 ||<-2><:>'''A DAY IN THE DRAGON’S LIFE''' ||<:> [[https://youtu.be/S1n9VzhO3H0|유튜브]] || ||<:>3 ||<-2><:>'''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off vocal)''' ||<:> [[MR(신조어)|MR]] 버전 || ||<:>4 ||<-2><:>'''A DAY IN THE DRAGON’S LIFE(off vocal)''' ||<:> [[MR(신조어)|MR]] 버전 || == 회차 목록 == * 서브타이틀의 형식이 '일반적인 제목+[[취소선 드립|괄호로 토르의 적절한 코멘트]]' 형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타이틀 공개 시 토르가 벽을 불태우는 모습이 나온다. 다만 마지막화에서는 토르가 인간세계서 자리를 비운 탓인지 타이틀이 물방울 파장이 나오면서 벽이 없어지며 나온다. * 전화 총 작화감독: 마루키 노부아키(丸木宣明)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7> '''TVA''' || || #1 || {{{-2 史上最強のメイド、トール![br](まあドラゴンですから)[br]사상 최강의 메이드, 토르![br](뭐, 드래곤이니까요)}}} ||<|2> {{{-2 야마다 유카[br](山田由香)}}} ||<|2>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2 [[후지타 하루카]]}}} || {{{-2 [[카도와키 미쿠]][br]마루키 노부아키[br](丸木宣明)[br]마루코 타츠나리[br](丸子達就)}}} || {{{-2 日/韓:[br]2017.01.12.}}}[br],,[[https://www.youtube.com/watch?v=OuuiN2Eg-sY|하이라이트]],, || || #2 || {{{-2 第二のドラゴン、カンナ![br](ネタバレ全開ですね)[br]제2의 드래곤, 칸나![br](완전 스포일러네요)}}} || {{{-2 [[사와 신페이]]}}} || {{{-2 츠노다 유키[br](角田有希)}}} || {{{-2 日/韓:[br]2017.01.19.}}}[br],,[[https://www.youtube.com/watch?v=dJL1YhRC7DA|하이라이트]],, || || #3 || {{{-2 新生活、はじまる![br](もちろんうまくいきません)[br]새로운 생활, 시작되다! [br](물론 뜻대로 안 돼요)}}} ||<-2>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2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 {{{-2 오카무라 코헤이[br](岡村公平)}}} || {{{-2 日/韓:[br]2017.01.26.}}}[br],,[[https://www.youtube.com/watch?v=G0GzIM1FXqA|하이라이트]],, || || #4 || {{{-2 カンナ、学校に行く![br](その必要はないんですが)[br]칸나, 학교에 가다![br](그럴 필요는 없지만요)}}} || {{{-2 니시카와 마사시[br](西川昌志)}}} ||<-2> {{{-2 야마무라 타쿠야[br](山村卓也)}}} || {{{-2 [[이케다 카즈미]]}}} || {{{-2 日/韓:[br]2017.02.02.}}}[br],,[[https://www.youtube.com/watch?v=2S1-IIwfa7s|하이라이트]],, || || #5 || {{{-2 トールの社会勉強![br](本人は出来てるつもりです)[br]토르의 사회공부![br](본인은 잘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 {{{-2 [[시모 후미히코]]}}} || {{{-2 [[이시다테 타이치]][br][[오가와 타이치]]}}} || {{{-2 오가와 타이치}}} || {{{-2 [[우에노 치요코]]}}} || {{{-2 日/韓:[br]2017.02.09.}}}[br],,[[https://www.youtube.com/watch?v=aMPVul0oq-c|하이라이트]],, || || #6 || {{{-2 お宅訪問![br](してないお宅もあります)[br]가정방문![br](안 한 집도 있어요)}}} || {{{-2 야마다 유카}}} ||<-2> {{{-2 [[키가미 요시지|미요시 이치로]][br](三好一郎)}}} || {{{-2 마루코 타츠나리}}} || {{{-2 日/韓:[br]2017.02.16.}}}[br],,[[https://www.youtube.com/watch?v=TFe42hmYEeA|하이라이트]],, || || #7 || {{{-2 夏の定番![br](ぶっちゃけテコ入れ回ですね)[br]여름의 정석![br](솔직히 말해 특별편이네요)}}} || {{{-2 타케모토 야스히로}}} ||<-2> {{{-2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 {{{-2 묘켄 유코[br](明見裕子)[br]카도와키 미쿠[br]마루코 타츠나리}}} || {{{-2 日/韓:[br]2017.02.23.}}}[br],,[[https://www.youtube.com/watch?v=Park2Giqx2I|하이라이트]],, || || #8 || {{{-2 新たなるドラゴン、エルマ![br](やっと出てきましたか)[br]새로운 드래곤, 엘마![br](드디어 나오는군요)}}} || {{{-2 시모 후미히코}}} ||<-2> {{{-2 [[야마다 나오코]]}}} || {{{-2 [[니시야 후토시]]}}} || {{{-2 日/韓:[br]2017.03.02.}}}[br],,[[https://www.youtube.com/watch?v=7WMEYZ6F0zE|하이라이트]],, || || #9 || {{{-2 運動会![br](ひねりも何もないですね)[br]운동회![br](아주 평범해요)}}} || {{{-2 타케모토 야스히로}}} ||<-2> {{{-2 사와 신페이}}} || {{{-2 츠노다 유키[br]묘켄 유코[br][[이케다 쇼코]]}}} || {{{-2 日/韓:[br]2017.03.09.}}}[br],,[[https://www.youtube.com/watch?v=hhIqI8f8u6o|하이라이트]],, || || #10 || {{{-2 劇団ドラゴン、オンステージ![br](劇団名あったんですね)[br]극단 드래곤, 온 스테이지![br](극단 명이 있었군요)}}} || {{{-2 니시카와 마사시}}} || {{{-2 [[이시하라 타츠야]]}}} || {{{-2 후지타 하루카}}} || {{{-2 오카무라 코헤이}}} || {{{-2 日/韓:[br]2017.03.16.}}}[br],,[[https://www.youtube.com/watch?v=lJm1IwOyqDw|하이라이트]],, || || #11 || {{{-2 年末年始![br](コミケネタありません)[br]연말연시![br](코믹 마켓 이야기는 없어요)}}} || {{{-2 야마다 유카}}} ||<-2> {{{-2 야마무라 타쿠야}}} || {{{-2 이케다 카즈미}}} || {{{-2 日/韓:[br]2017.03.23.}}}[br],,[[https://www.youtube.com/watch?v=qiKO8tuMp38|하이라이트]],, || || #12 || {{{-2 トールと小林、感動の出会い![br](自分でハードル上げてますね)[br]토르와 코바야시, 감동의 만남![br](스스로 어렵게 만드네요)}}} || {{{-2 니시카와 마사시}}} ||<-2> {{{-2 오가와 타이치}}} || {{{-2 우에노 치요코}}} || {{{-2 日/韓:[br]2017.03.30.}}}[br],,[[https://www.youtube.com/watch?v=wg_YXGLVemQ|하이라이트]],, || || #13 || {{{-2 終焉帝、来る![br](気がつけば最終回です)[br]종언제, 오다![br](정신이 드니 마지막 회예요)}}} || {{{-2 야마다 유카}}} ||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2 미요시 이치로[br]사와 신페이}}} || {{{-2 마루코 타츠나리[br]오카무라 코헤이[br]이케다 쇼코}}} || {{{-2 日/韓:[br]2017.04.06.}}}[br],,[[https://www.youtube.com/watch?v=KydaNi5mRC0|하이라이트]],, || ||<-7> '''OVA''' || || #14 || {{{-2 バレンタイン、そして温泉![br](あまり期待しないでください)[br]밸런타인, 그리고 온천![br](그다지 기대하진 마세요)}}} || {{{-2 니시카와 마사시}}} || {{{-2 후지타 하루카[br]이시하라 타츠야}}} || {{{-2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 {{{-2 묘켄 유코[br]이케다 마사코[br]츠노다 유키[br]마루코 타츠나리}}} || {{{-2 日^^선행^^: 2017.09.20.[br]日^^발매^^: 2021.09.30.[br]韓: 2022.03.18.[br][[https://youtu.be/nxKQW3PmvvI|하이라이트]]}}} ||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에피소드 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앵커=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 앵커=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평가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3206, user=7.98)] ## 2022. 10. 16 기준 reviewers : 682,375 2017년 일상 판타지물에서 최고로 꼽힌 작품이다. 제작사 [[교토 애니메이션]]이 2017년 한해 동안 TVA로 내놓은 유일한 작품이지만, 연초에 방영했음에도 연말까지 언급되었을 정도로 흥행하였다.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의 명성에 맞는 작품으로도 꼽힌다. 작화면에서는 일상물이면서도 여러 동작을 캐치한 움직임을 보여주며, 역동적인 작화와 디테일이 살아있는 인물 및 배경 묘사가 호평을 받았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내에서는 평가가 그렇게까지 높지 못했는데, BD 판매량은 약 3,000장 정도를 기록했다. 일상물의 광매체 판매량은 대체적으로 낮게 나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선방한 성적이다. 그러나 하단의 해외방영 문단에서 서술하듯, 중국에서 크게 흥행하여 VOD 스트리밍을 통해 엄청나게 흥행하여 수익을 쓸어담았다. == 아이캐치 == [[파일:maidragon_eye.png]] --조건문 if-- 특이하게 작품 중간중간에 노란 배경에 특수문자 혹은 영어를 섞은 글자가 5개가 나오곤 하는데, 다음에 나올 짤막한 개그씬[*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씬이다.]이나 맥락의 흐름을 문자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2화에서 칸나에게 네모난 초콜릿을 먹여 길들이는(?) 장면 전에는 초콜릿을 닮은 검은 마름모 문자가 나온다거나, 3화에서 [[마리오 카트]] 패러디에 대한 개그씬이 나오기 전에는 A+B+C라는 왠지 특수 커맨드 스러운 문자가 나온다거나 하는 식이다. 이런 장면에서도 특유의 센스가 돋보이는데, FOR이나 IF같은 경우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명령어로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Python 반복문 에선 중괄호는 안 쓴다~~[* 중괄호는 C-Like 언어의 특성이다. [[C]], [[C++]], [[C\#|C#]], [[Java]], [[JavaScript]], [[PHP]], [[Go(프로그래밍 언어)|Go]] 등...] 이게 반응이 좋았는지 원작가도 만화에서 써먹기 시작했다. 최종화에선 진지한 분위기 때문에 나오지 않았다. == 해외 방영 == [[퍼니메이션]]을 통해 영어 더빙판이 제작됐다. 일어나 한국어 명칭으로도 제목에 들어간 말장난을 살린 반면 영어 더빙판은 말장난이 사라진 'Miss Kobayashi's Dragon Maid'가 공식 명칭이 되었다.[* 코믹스 또한 같은 제목이다.] 일본 현지에서 4화 방영 중에 1화 더빙판이 공개되었기에 대략 3주 정도의 방영분의 텀을 두고 제작중인 걸로 보인다. 작중 내내 흘러가는 형식의 텔롭은 전부 영어로 수정되었으며 기타 자막 또한 일본판과 동일한 이펙트를 사용하고 있다. 북미쪽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VRChat]]에서도 본 작품의 캐릭터가 많이 돌아다니고 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북미 더빙판에선 [[정치적 올바름]]을 중요시해서 대사를 바꿨다는 의견이 있다. 북미 공식 자막판에선 정치적 올바름으로 인한 대사 변경이 없다. 대표적인 게 1화에서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코바야시]]가 자신을 사랑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에게 "난 여자인데."라고 말하는 부분은 원래 일본어 더빙판의 대사이다. 하지만 북미 더빙판에서는 "난 여자나 드래곤은 좋아하지 않는다.(I'm not into women and dragons.)" 으로 조금 뉘앙스가 달라졌다. 일본어 더빙판의 대사는 듣는 사람에 따라서 여자끼리 사랑하면 안 된다는 뉘앙스로 들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레즈비언]], [[바이섹슈얼]]에 대한 무시나 비하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북미 더빙판에서 바뀐 대사는 단순히 코바야시가 레즈비언이나 바이섹슈얼이 아니라는 개인적인 성향이 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12화에서도 [[케찰코아틀(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케찰코아틀]]이 주변인들에게 자신의 [[폭유]]를 지적받고 노출도 적은 옷으로 바꾸는 장면이 있다. 이 장면이 일본어 더빙판에서는 루코아가 "다른 사람들이 나한테 뭐라고 하길래 옷을 갈아 입었다."라는 투의 말이었고 그걸 본 토르가 "몸을 바꾸는 게 나을 것 같은데."라고 반박한다. 북미 자막판에서도 일단 이 대사로 나온다. 하지만 북미 더빙판에서는 루코아가 "권위적인 남자들이 나한테 뭐라고 하는 게 짜증나서 옷 바꿨다."라고 말하며, 토르는 "[[변태#s-2|그런 놈들은]] 1주일 뒤면 다시 야한 옷 입어달라고 너한테 부탁할거다."라고 말한다. 더빙판의 "몸을 바꿔라." 같은 대사는 정치적 올바름에 따르면 여성에 대한 성차별이나 여성 몸매에 대한 성희롱이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여성에게 선정적인 옷을 입지 말라고 요구하는 것이 남성이 여성에게 권위적인, 혹은 가부장적인 말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가 수입하여 동시방영했다. 방영명은 원작 정식 발매명과는 다른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이다. 2017년 [[애캐토]]에서 [[칸나 카무이]]가 2위를 한 것을 기념해 2018년 1월 4일부터 2018년 1월 18일까지 2주간 무료 VOD 서비스를 하였다.[* 여담으로 썸네일이 모두 칸나였다.] 이걸 보듯이 한국에서도 인기를 꽤나 끌었다. 당장 [[김창동|칸나의 이름을 닉네임으로 따온 프로게이머]]도 나왔다. 중국에선 <小林家的龙女仆> 라는 이름으로 [[빌리빌리]]에서 VOD 서비스되었다. 빌리빌리에서 다른 유명 애니메이션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기록적인 조회수[* 유료인데도 8500만 가까이 조회되었다.]로 대히트해서 화제가 되었고 팬덤도 크다. 현재는 일본에서도 일본보다 중국에서 더 인기있는 작품의 대표로 꼽기도 한다. 2022년 내로 시즌 1의 표준 중국어 더빙이 제공될 예정이며, 빌리빌리에서 독점 스트리밍된다. 결과적으로는 전세계적으론 다 잘나가는데 정작 일본에서만 묻힌 작품이 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BD / DVD === ||<-3>
'''{{{#51aa32,#ffffff Blu-ray & DVD 발매 목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aidragon.jp/bd_1_j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ss Kobayashi's vol.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71JRSU8JGuL._SL1354_.jpg|width=100%]]}}} || || '''제1권'''[br]2017.03.15[br]판매량: 4,397장 || '''제2권'''[br]2017.04.19[br]판매량: 3,992장 || '''제3권'''[br]2017.05.17[br]판매량: 3,509장 || ||<-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71%2BIUGKjkAL._SL1350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ss kobayashi's vol.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ss kobayashi's vol.6.jpg|width=100%]]}}} || || '''제4권'''[br]2017.06.21[br]판매량: 3,247장 || '''제5권'''[br]2017.07.19[br]판매량: 3,387 장 || '''제6권'''[br]2017.08.18[br]판매량: 3,241장 || ||<-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d_7_jk.jpg|width=100%]]}}} || || '''제7권'''[br]2017.09.20[br]판매량: - 장 || || || 일본에선 부진했으나 해외에서 상당한 히트를 기록해 적자는 커녕 대박이 났다고 한다. 중국의 '용 사랑' 덕분에 종영 후 중국에서만 공식 유료 스트리밍으로 8천만번 이상이었으니 대략 1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린셈이다. 현재까지도 스트리밍을 계속 보고있을테니 수익은 꾸준히 발생할 것이다. 다른 분기 애니메이션과 비교했을 때 BD가 잘팔린 다른 애니 만큼 혹은 그 이상의 수익을 스트리밍으로 벌어들인 셈. 참고로 기존 BD 판매량은 평균 3500+ 이상이니 본전이상은 벌었고 스트리밍과 BD 판매량을 합하면 어마어마한 이익을 벌었다. 사실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은 일상물이고 성우진의 중복이 꽤 된다[* 나카무라 유이치나 오노 다이스케 등 중복이 꽤 있다. 주역 4인방 중 루코아 역의 타카하시 미나미도 스태프롤에는 나오지 않지만 중복으로 맡은 부분으로 추측되는 부분도 있는만큼 특정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코바야시, 토르, 칸나와 상대적으로 출연 시기가 늦었던 엘마를 제외하면 모든 성우가 한 번씩은 본 배역 이외에 다른 배역을 맡은 셈이다.]. ==== 미니 앨범 ==== ||<-12><:>
'''{{{#51aa32,#ffffff 小林さんちのメイ曲集}}}''' || ||<-6><|7><:>[[파일:miss kobayashi's dragon maid_Character Song Mini-album.jpg|width=100%]] ||<-2><:>카탈로그 넘버 ||<-4><:>LACA-15636 || ||<-2><:>발매일 ||<-4><:>2017.03.15 || ||<-2><:>발매사 ||<-4><:>[[란티스|[[파일:란티스 로고.svg|width=90]]]] || ||<-2><:>노래 ||<-4><:>아래 참조 || ||<-2><:>작사 ||<-4><:>아래 참조 || ||<-2><:>작곡 ||<-4><:>아래 참조 || ||<-2><:>편곡 ||<-4><:>아래참조 || ||<:>'''{{{#51aa32,#ffffff 트랙}}}''' ||<-5><:>'''{{{#51aa32,#ffffff 곡명}}}''' ||<-6><:>'''{{{#51aa32,#ffffff 비고}}}''' || ||<|2><:>1 ||<-5><|2><:>'''オムライスとLoveの定義''' ||<-6><:> 노래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 : 사쿠마 카오루 (佐久間薫)[br]편곡 : 미타니 슈호 (三谷秀甫)|| ||<|2><:>2 ||<-5><|2><:>'''迷子のかいじゅう''' ||<-6><:> 노래 : [[칸나 카무이|칸나]]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편곡 : 야토키 츠카사 (矢鴇つかさ) || ||<|2><:>3 ||<-5><|2><:>'''Believe in Myself''' ||<-6><:> 노래 : [[엘마(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엘마]]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편곡 : 사사키 히로시 (佐々木裕) || ||<|2><:>4 ||<-5><|2><:>'''リトルライダー''' ||<-6><:> 노래 : [[케찰코아틀(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루코아]]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 : 이즈미 노리츠 (泉典孝)[br]편곡 : 미타니 슈호 (三谷秀甫) || ||<|2><:>5 ||<-5><|2><:>'''おうちかえろ''' ||<-6><:> 노래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칸나 카무이|칸나]]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편곡 : 시라토 유스케 (白戸佑輔) || ||<|2><:>6 ||<-5><|2><:>'''○●つけまSHOW?!''' ||<-6><:> 노래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엘마(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엘마]] || ||<-6><:> 작사 : 나카무라 카나타 (中村彼方)[br]작곡/편곡 : 히로사와 유야 (廣澤優也), 신페이 나스노 (奈須野新平) || ==== OST ==== ||<-12><:>
'''{{{#51aa32,#ffffff 小林さんちのイシュカン・ミュージック[br]ORIGINAL SOUNDTRACK}}}''' || ||<-6><|7><:>[[파일:miss kobayashi's dragon maid soundtrack.jpg|width=100%]] ||<-2><:>카탈로그 넘버 ||<-4><:>LACA-9496 ~ 9497 || ||<-2><:>발매일 ||<-4><:>2017.04.12 || ||<-2><:>발매사 ||<-4><:>[[란티스|[[파일:란티스 로고.svg|width=90]]]] || ||<-2><:>노래 ||<-4><:> - || ||<-2><:>작사 ||<-4><:>[[이토 마스미]] || ||<-2><:>작곡 ||<-4><:>[[이토 마스미]] (伊藤真澄)[br]코토링고 (コトリンゴ)[br]곤도 켄지 (近藤研二) || ||<-2><:>편곡 ||<-4><:>[[이토 마스미]] (伊藤真澄)[br]코토링고 (コトリンゴ)[br]곤도 켄지 (近藤研二) || ||<:>'''{{{#51aa32,#ffffff 트랙}}}''' ||<-5><:>'''{{{#51aa32,#ffffff 곡명}}}''' ||<-6><:>'''{{{#51aa32,#ffffff 비고}}}''' || ||<-12><:> '''{{{#51aa32,#ffffff DISC 1}}}''' || ||<:>1 ||<-5><:>'''いってきます''' ||<-6><:> [[https://youtu.be/Lkc6bfikhUo|유튜브]] || ||<:>2 ||<-5><:>'''空飛ぶトール''' ||<-6><:> [[https://youtu.be/9CVVsod2alI|유튜브]] || ||<:>3 ||<-5><:>'''青空のラプソディ (TV size)''' ||<-6><:> [[https://youtu.be/8iQZhQF2SUY|유튜브]] || ||<:>4 ||<-5><:>'''ドタバタちょろゴンず''' ||<-6><:> [[https://youtu.be/0Ia7fQ0WJhA|유튜브]] || ||<:>5 ||<-5><:>'''はてな''' ||<-6><:> [[https://youtu.be/AER6zSsG58U|유튜브]] || ||<:>6 ||<-5><:>'''ドラゴン探検隊''' ||<-6><:> [[https://youtu.be/4t5oPEZ4Hbo|유튜브]] || ||<:>7 ||<-5><:>'''うきうき新生活''' ||<-6><:> [[https://youtu.be/iHVW9VPMcjg|유튜브]] || ||<:>8 ||<-5><:>'''かえりみち''' ||<-6><:> [[https://youtu.be/bFnoz5rzwNk|유튜브]] || ||<:>9 ||<-5><:>'''止まった時計''' ||<-6><:> [[https://youtu.be/Mm-h5VshRks|유튜브]] || ||<:>10 ||<-5><:>'''あらたな朝''' ||<-6><:> [[https://youtu.be/0GcLDYPnqlU|유튜브]] || ||<:>11 ||<-5><:>'''謎のドラゴン、エルマ''' ||<-6><:> [[https://youtu.be/VQIfOsei6kQ|유튜브]] || ||<:>12 ||<-5><:>'''迫る影''' ||<-6><:> [[https://youtu.be/TojItCqx7G0|유튜브]] || ||<:>13 ||<-5><:>'''別れのセレナーデ''' ||<-6><:> || ||<:>14 ||<-5><:>'''マッチの灯火''' ||<-6><:> [[https://youtu.be/nNH-an9oI2w|유튜브]] || ||<:>15 ||<-5><:>'''妖しい魔法使い''' ||<-6><:> [[https://youtu.be/bSDKVH4rt4U|유튜브]] || ||<:>16 ||<-5><:>'''混乱と企み''' ||<-6><:> [[https://youtu.be/I8y6ZVaM4tk|유튜브]] || ||<:>17 ||<-5><:>'''さようなら''' ||<-6><:> [[https://youtu.be/vO20dZILDDk|유튜브]] || ||<:>18 ||<-5><:>'''トールの思い出''' ||<-6><:> [[https://youtu.be/gKOVXH5K_LE|유튜브]] || ||<:>19 ||<-5><:>'''真心を胸に''' ||<-6><:> [[https://youtu.be/g6cend6cccQ|유튜브]] || ||<:>20 ||<-5><:>'''夢の中へ''' ||<-6><:> [[https://youtu.be/wmjDQPm4j2E|유튜브]] || ||<-12><:> '''{{{#51aa32,#ffffff DISC 2}}}''' || ||<:>1 ||<-5><:>'''小林さんち''' ||<-6><:> [[https://youtu.be/1aATCj4etQE|유튜브]] || ||<:>2 ||<-5><:>'''メイドラゴンのテーマ''' ||<-6><:> [[https://youtu.be/oKGYE40aiW4|유튜브]] || ||<:>3 ||<-5><:>'''非凡な毎日''' ||<-6><:> [[https://youtu.be/2fUiIHDZ0tM|유튜브]] || ||<:>4 ||<-5><:>'''ドラゴン行進曲''' ||<-6><:> [[https://youtu.be/lS3xhEOAHnU|유튜브]] || ||<:>5 ||<-5><:>'''勇者と仲間たち''' ||<-6><:> [[https://youtu.be/SY5678M6Lkw|유튜브]] || ||<:>6 ||<-5><:>'''夢への挑戦''' ||<-6><:> [[https://youtu.be/pci9cLoIKBs|유튜브]] || ||<:>7 ||<-5><:>'''おひるねカンナ''' ||<-6><:> [[https://youtu.be/wf_0ZfYGskA|유튜브]] || ||<:>8 ||<-5><:>'''ひとやすみ''' ||<-6><:> [[https://youtu.be/DP6x8anl9io|유튜브]] || ||<:>9 ||<-5><:>'''ルコアの誘惑''' ||<-6><:> [[https://youtu.be/9vG46NWHEF0|유튜브]] || ||<:>10 ||<-5><:>'''ミスターマジック''' ||<-6><:> [[https://youtu.be/7rjW9Ayohpo|유튜브]] || ||<:>11 ||<-5><:>'''秘密の洞窟''' ||<-6><:> [[https://youtu.be/LrxY9ifIIN0|유튜브]] || ||<:>12 ||<-5><:>'''心の距離''' ||<-6><:> [[https://youtu.be/zbysQgCPsZ8|유튜브]] || ||<:>13 ||<-5><:>'''立ちはだかる壁''' ||<-6><:> [[https://youtu.be/Vjk3dR4CaF4|유튜브]] || ||<:>14 ||<-5><:>'''トールの父''' ||<-6><:> [[https://youtu.be/tRQl367Qax8|유튜브]] || ||<:>15 ||<-5><:>'''守るべきもの''' ||<-6><:> [[https://youtu.be/6XJSXCWB2n8|유튜브]] || ||<:>16 ||<-5><:>'''勝利のために''' ||<-6><:> [[https://youtu.be/4MRAKztXNvw|유튜브]] || ||<:>17 ||<-5><:>'''ひとりぼっち''' ||<-6><:> [[https://youtu.be/DP6x8anl9io|유튜브]] || ||<:>18 ||<-5><:>'''黄昏''' ||<-6><:> || ||<:>19 ||<-5><:>'''はじまり''' ||<-6><:> || ||<:>20 ||<-5><:>'''イシュカ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 (TV size)''' ||<-6><:> [[https://youtu.be/LvIf82-d2IE|유튜브]] || ||<:>21 ||<-5><:>'''おやすみ、また明日''' ||<-6><:> [[https://youtu.be/G-pRthoaRKw|유튜브]] || ==== 코바야시네 ○○드래곤 ==== 블루레이 특전 영상으로 '메이드 + 드래곤'처럼 ~드래곤으로 끝나도록 이름을 짓는 코너이다.[* 그러나 아래의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단 '''1화'''만에 때려친다.] 등장인물들이 각 제목별로 해당되는 모습을 꾸미는 게 특징이다. 각 단어에 따라 코바야시가 보여주는 반응도 일품. 그리고 2화까지 모두 등장인물이 마지막에 민망한 장면을 보여주다 경찰에게 잡혀가는 엔딩이 나왔다. 보통 에피소드가 추가되는 다른 애니에 비하면 블루레이 특전치고는 너무 날로 먹기 같다는 얘기가 현지에서도 나와서 그런듯.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드래곤.png|width=100%]]}}} || * 1편: 코바야시네 ○○드래곤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밴드 + 드래곤 - 3명의 장르의 방향성이 달라서 실패. * 머메이드 + 드래곤 - 하반신이 아니라 상반신이 물고기 이것도 틀린건 아니다. 그리고 아가미 호흡이라 숨을 못 쉬고 괴로워한다. * 인도 + 드래곤 - '인도=카레' * 아이슬란드 + 드래곤 - '아이스'ㄹ란드라서 꽁꽁 얼어버리는 아재개그. * 뉴질랜드 + 드래곤 - 양 인형탈을 쓴다. * 아보카도 + 드래곤 - 칸나가 아보카도 복장을 한다, 속 씨앗은 토르. * 도레미파솔라시도 + 드래곤 - 토르가 피아노가 된다. * '''누드''' + 드래곤 - 경찰 코바야시가 체포로 마무리.}}}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애니멀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애니멀드래곤.png|width=100%]]}}} || * 2편: 코바야시네 애니멀드래곤(+루코아)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고양이 + 드래곤 - 루코아는 비키니[* 7화에서 바다에 갔을 때 입었다가 안전요원한테 재재당했던 비키니다.]를 입고 머리에 그냥 고양이귀만 달았다.[* 그런데 토르와 칸나가 입은 고양이 복장도 속옷 같은 느낌이라 수위가 살짝 있다.] * 곰 + 드래곤 - 칸나는 곰 인형탈, 토르는 곰모양 잠옷. 루코아는 아까 그 비키니 그대로, 귀만 곰귀로 바꾸었다. * 수달 + 드래곤 - 분장하기 귀찮은지 이번엔 윗부분만 조개껍데기로 입고 해달이라 우긴다. 그 와중에 토르와 칸나는 조개까기 귀찮아서 껍데기 채로 먹는다. * 바니 + 드래곤 - 토르와 루코아는 바니걸이다. 칸나는 달토끼 * '''드래곤 + 드래곤''' - 코바야시왈 '입는 의미 없잖아.' * 코알라 + 드래곤 - 토르와 칸나가 이렇게 입었으며 코바야시가 유일하게 칭찬했다고 하지만... * 젖소 + 드래곤 - 토르와 칸나가 코알라 차림을 할때 루코아가 바디 페인팅이라면서 맨몸에 얼룩만 칠했다. 결국 경찰 코바야시의 명령을 받은 경찰 칸나에게 체포된다.}}}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유니폼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유니폼드래곤.png|width=100%]]}}} || * 3편: 코바야시네 유니폼드래곤(+루코아)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간호사 + 드래곤 * 여고생[* 동영상 내에서는 JK라고 말한다. 일본어로 여고생을 뜻하는 약어.] + 드래곤 * 스튜어디스[* 동영상 내에서는 CA라고 말한다. Cabin Attendant의 약어] + 드래곤 * 경찰 + 드래곤 ~~자막에 [[오탈자|urrest]]라 쓰여 있다.~~ * '''메이드 + 드래곤''' - 토르는 그냥 기본 복장, 루코아는 전 복장까지 정상적으로 입는 줄 알았는데... 알몸 에이프런을 선보이다 결국 메이드 칸나에 의해 퇴장.}}}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배틀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배틀드래곤.png|width=100%]]}}} || * 4편: 코바야시네 배틀드래곤(+파프닐, 엘마, 타키야)[* 3편 마지막에서 토르가 제목을 스포일러 했다(...), 칸나는 빠졌다.]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서부극 + 드래곤 * 간류지마 + 드래곤 * 쿵푸 + 드래곤 * RPG + 드래곤 * 전쟁 + 드래곤 초반의 2개는 토르 때문에 엘마가 고생하고 파프닐과 타키야는 정상적이다 못해 너무 리얼하기까지 하며 쿵푸는 전부 태극권, RPG는 토르의 공격 한방으로 끝나고 전쟁은 베트남전을 모티브로 한듯하며 토르는 [[M16 소총|M16]], 엘마는 [[M1 카빈#M2|M2 카빈]], 타키야는 [[AK-47]], 파프닐은 [[M60 기관총|M60]]을 들고 '''토르&엘마'''VS파프닐&타키야로 코바야시네에서 싸우는 탓에 코바야시가 "딴 데서 해!!" 라고 소리치게 했으며 마지막에는 코바야시가 "진짜로 배틀하는 건 없지 않아?"라고 하자 토르가 "인간 기준이니까 이렇죠.."라고한다. 이에 파프닐은 '''진지하게 할까?'''라고 말했는데 이에 토르는 '''좋아요! 진짜 드래곤 배틀이란 걸 보여줄 때네요!''' 이에 엘마는 '''너희들이 날뛰면 무리해서라도 막을 거야'''라고 하며 셋이서 싸움 시작..[* 이에 배경이 지구 밖이 되는데 '''폭발이 지구 밖에서도 보인다'''.] 그리고 엔딩 멘트는 코바야시가 담당, 타키야는 "굉장하지 않소이까?"라고 했고, 코바야시는 "이제 지쳤어...."라며 끝.}}}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스포츠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스포츠드래곤.png|width=100%]]}}} || * 5편: 코바야시네 스포츠드래곤(+칸나, 엘마[* 루코아의 대역이라고 한다.])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축구 + 드래곤 * 배구 + 드래곤 * 수영 + 드래곤 * 검도 + 드래곤 * 치어리더 + 드래곤 엘마의 뿔 때문에 대부분의 경기를 망쳤다. 구기종목은 공이 뿔에 박히고 수영은 피니시 라인에 뿔이 박히고 검도는 뿔부분만 집중적으로 가격당한다. 마지막 치어리더는 토르, 칸나가 '''드래곤 모습'''으로 올라타고 적당한 아부로 엘마를 구슬린다.}}}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미스터리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미스터리드래곤.png|width=100%]]}}} || * 6편: 코바야시네 미스터리드래곤(+칸나, 루코아)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 2시간 서스펜스 + 드래곤 * 클로즈드 서클 + 드래곤 * 밀실 트릭 + 드래곤 * 시간표 트릭+ 드래곤 * 협박장 + 드래곤 * 홈즈+ 드래곤 2시간 서스펜스에서는 범인이 루코아라고 지목됐는데 증거가... 현장에서 '''알몸으로 도망치고 있는''' CCTV의 영상이며 클로즈드 서클에서는 토르가 [[킨다이치 하지메]] 흉내를 내고 눈보라치는 산장에서 범인을 잡겠다고 각오를 했지만 루코아는 '''murder 라고 쓰여져 있는 티셔츠를 입고 전기톱을 들고있는채로 몸 주변에 피가 묻어있었다.''' 그리고 밀실 트릭과 시간표 트릭은 전부 마법진으로 해결할수 있다고 하며, 협박장 에피소드에서는 협박장이 사실 토르가 쓴 러브레터, 홈즈 에피소드에서는 루코아가 왔을때 토르가 목욕을 하다 나왔다고 알려줬는데, 이유가 덜 마른 머리카락, 땀에 젖은 피부, 그리고 '''옷도 안 걸친 모습'''이라고 하는데 결국 마무리는 다시 칸나가 체포, 역시 루코아하면 알몸인 건 여전하다...}}} ||
{{{#51aa32,#ffffff '''코바야시네 웨딩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바야시네 웨딩드래곤.png|width=100%]]}}} || * 7편(完): 코바야시네 웨딩드래곤(+칸나, 엘마, 루코아) {{{#!folding 줄거리 [ 펼치기 · 접기 ]▼ 본인편을 제외한 모든 편에서 토르는 감옥에 갇혀 있었다. 토르가 '''코바야시가 자기 이외의 다른 여자와 결혼이라니, 인정못해!!'''라며, 난동을 피우는 바람에(...) * 엘마 : [[시로무쿠]](일본 전통혼례에서 신부가 입는 복장) 신부 복장 중 모자인 츠노카쿠시(角隠し : 한자로 표현하면 뿔 숨기기(...))를 이용한 말장난 * 루코아 : 제물혼례 (마야 종족의 전통 혼례에서 혼례 때 사람의 심장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 풍습이 너무 잔인하다며, 다른 제물을 올리자는 코바야시... 그런데 올린 두 개가 맥주와--에↗에↘에에에?-- 출혈 서비스 안주--우↘에↗에에에?-- --루코아의 서비스 복장은 덤-- * 칸나 : [[마트료시카]] 역시 귀요미 담당이라, 마트료시카 인형에 들어가 있다가 나오는 모습이 모에하다.--스빠시~바--[* 러시아어로 "고마워"라는 뜻.] 하지만, 결혼 절차는 너무 사무적이었다. * 토르 : 버진 로드(일반적으로 결혼식에서 신부가 걷는 길) 제대로 된 신부 복장에 뭔가 큥한 걸 느낀 코바야시 였으나, --절대로 뺄 수 없는-- 저주의 반지와 신혼여행 무시한 바로 첫날 밤 보내자에 질색하는 걸로 마무리된다.}}} === 게임 ===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이 게임으로 출시되었다. 제목은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s-8.3|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작렬! 쵸로곤 ☆ 브레스]]"이며 [[동방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종스크롤([[탑뷰]]) [[슈팅 게임]]이다. 2022년 3월 24일에 [[PS4]]와 [[Nintendo Switch|NS]]로 발매, 동년 10월 26일에는 [[Steam]]으로 발매되었다. == 기타 == * 주연인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코바야시]]의 직업이 소프트웨어 개발자인지라 중간중간 깨알같은 요소들이 많이 나온다. [[파일:maidragon_screen.png]] 6화에서 코바야시가 사원에게 코드 설명을 하는 부분에서 나왔던 장면의 언어는 [[Python]].[* 재밌게도 Python([[파이선]]) 단어 자체는 [[그리스 신화]]에서 등장하는 드래곤 혹은 뱀 형태의 괴물인 '[[피톤]]'의 영어식 표현이다. (다만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의 명칭은 직접적으로는 [[몬티 파이선]]에서 따왔다.)][* 현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와 [[C]]/[[C++]]이긴 하지만, Python은 전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순위 중 5위 안에 개근하고 있고, [[스타트업]]이나 새로 개발되는 프로젝트 등에서 점점 비중이 커지고 있다.] Flask 모듈을 이용한 웹 백엔드 코드였다. 여러모로 PEP8을 준수하지 않은 코드.[* 이에 관해 원작 55화에서 엘마가 자기 업무량이 너무 많다며 대우 개선을 요구하고자 만든 개선안을 본 코바야시 왈 '''"우리 회사 프로그래밍 언어가 난해해서 신입이 안 옵니다."''' 사실 파이선은 난이도로 따지면 쉬운 축에 속하는 언어라는 건 함정이기는 한데, 원작의 뉘앙스는 회사 고유 개발언어라는 뉘앙스에 가까운 걸 보아 진짜로 파이선을 쓰는 건 아닌 듯. 연재분 56화에서 코바야시가 토르에게서 받은 일종의 마법 입문서를 살피던 도중, 작업중인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유사성을 발견하는 씬이 나온다. 57화에서 코바야시가 내선전화로 전무에게 물어보니, 그 언어를 작성한 게 자신들 마법사들이라 당연하다나.] 애니메이션에서 프로그래밍 장면의 감수는 일본 SI회사인 [[NEC]] 솔루션 이노베이터즈가 맡았다. *상술한 파이선 외에도 용과 관련된 명칭이 다수 등장한다. 코바야시가 토르를 처음 만나기 전에 마시며 취한 [[사케#s-5.2.4|니혼슈]]의 이름은 다이긴조 '''류'''고로시(大吟醸 [[드래곤 슬레이어|'''竜'''殺し]]), 회사 근처에 있는 고속도로 노선명 세키류도(赤'''龍'''道/적룡도), 자주 가는 술집 사케도코로 스이류도(酒処酔'''龍'''洞: 취한 용의 동굴). 또한 코바야시의 집이 있는 곳은 오보로즈카('''朧'''塚), 코바야시가 회사에 갈 때 내리는 역은 타키노구치('''瀧'''ノ口), 해당 지역에서 갈 수 있는 고속도로 노선명 타키토도('''滝'''東道/타키노구치와 도쿄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추정), 직장동료의 이름은 타키야('''滝'''谷)인데 모두 용을 뜻하는 한자는 아니지만 부수를 빼면 용을 뜻하는 한자가 된다. 그리고 정육점 주인의 이름은 탓타('''辰'''田)로 [[십이지]]의 용을 뜻하는 한자이다. * 1화 마지막에서 토르가 과거의 악몽을 꾸는 장면은 원작에는 없는 장면으로, 시리즈 구성을 맡은 야마다 유카가 아이디어를 내고 감독과 원작자인 [[쿨교신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 2화에서 토르와 [[칸나 카무이]]가 [[https://www.youtube.com/watch?v=xEPY5AjpaCg|드래곤들은 어떻게 노는지]] 알려주는데, 이 모습이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의 한 장면[* [[펄기아]]의 [[파동탄]]과 [[디아루가]]의 [[파괴광선]]이 교차하는 장면.]과 비슷하다.[*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는 [[디아루가]], [[칸나 카무이]]는 [[펄기아]]. 그리고 디아루가, 펄기아 둘 다 드래곤 타입이다.] 이것은 아마도 패러디인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그냥 그렇게 보이는 걸 수도 있다. * 8화에서 쇼타가 밤에 잘 때 루코아의 가슴에 짓눌리는 장면이 있었다. 애니플러스에서는 TV방영시 해당 장면을 삭제 및 수정으로 내보냈다. 다만 애니플러스 웹사이트 VOD에서는 잘리지 않고 그대로 나온다. * 성우들의 [[중복 캐스팅]]이 어마어마한 작품이기도 하다. 사실상 레귤러로 나온 모든 성우가 한두 번씩은 엑스트라의 목소리에 참여했으며 특히 [[고토 유코]]는 캐릭터 이름도 있는 캐릭터를 두 개([[칸나 카무이|칸나]]&[[사이카와 리코|리코]]의 담임선생님, [[사이카와 죠지]]) 맡았을 정도. 스탭롤에 나오지는 않지만 코바야시의 성우인 [[타무라 무츠미]]와 토르의 성우인 [[쿠와하라 유우키]]까지 엑스트라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 애니매이션 작중 배경은 등장인물들의 거주지 및 대부분의 에피소드 배경이 [[사이타마현]] [[코시가야시]],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코바야시]]의 직장이 [[도쿄도]] [[주오구(도쿄도)|주오구]]이다.[* 하지만 코믹스에서는 [[아다치구]]에 있는 지고쿠메구리 상사 [[키타센쥬역|키타센쥬]] 사무소라고 말한다.] 마지막화에 나온 코바야시의 고향의 배경이 된 장소는 [[이바라키현]] [[카사마시]](정확히는 [[카사마역]] 근처)로 보인다. 시간적 배경은 애니 5화에 나온 코바야시의 회사 달력이 2016년 5월 달력이고, 토르와 칸나가 찾아온 지 2달이 되었다고 5화에서 회상을 하는 모습이 나온다. 그래서 토르가 코바야시를 산기슭에서 처음 만나고 코바야시의 집에 찾아왔을 때는 2016년 3월 쯤. 12화에서 코바야시가 술에 잔뜩 취한 채로 토르 등에 박힌 검을 빼내었을 때는 1화 바로 전 날 이야기다. 4화 칸나 입학 에피소드는 일본은 입학식을 4월에 하니까, 2016년 4월쯤. 7화 여름 에피소드는 당연히 2016년 7~8월달이고, 9화 운동회는 가을 운동회라는 전제 하에, 2016년 9~10월. 10화는 크리스마스, 연말 에피소드니까 2016년 12월이다. 그리고 애니 11화에서 새해 선물로 502호 조각~~ [[탈모르파티|원형탈모]]~~ 아저씨가 닭 모형을 선물로 줄 때, 새해 특집이 2017년 정유년 새해 특집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OVA는 발렌타인데이, 겨울 온천 여행 특집인데, 발렌타인데이는 2월 14일이니, 2017년 2월 쯤이다. 즉, 애니 처음부터 11화 카운트다운까지는 2016년, 11화 카운트다운 후부터 끝까지는 2017년이 배경 시간대이다. 마침 애니 제작 시기도 2016년이고, 애니 방영 시기도 2017년 연초다. * [[일론 머스크]]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이라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purikone_redive/4492320|#]] 실제로 일론 머스크는 일본 서브컬처 [[덕후]]로도 유명하다. * [[넷플릭스]]에서의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는 2021년 5월 31일에 만료되었다. * 보면 알겠지만 애니메이션 제목은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으로, 원작 정식 번역본 제목인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과 다르다. 이는 애니플러스에서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이란 이름으로 현지화 했기 때문. * 중국 모바일게임 [[백야극광]] 과 2022년 1월 13일에 콜라보 할 예정이다. 토르가 6성 불 버스터로 나오고 칸나, 엘마, 루코아는 5성으로 나올 예정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 version=346)] [[분류: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7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교토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