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2 코알라 키드: 영웅의 탄생}}}''' (2012)[br]''The Outba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코알라 키드 영웅의 탄생 포스터.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애니메이션]] || || '''{{{#000000 감독}}}''' ||이경호 || || '''{{{#000000 각본}}}''' ||스콧 클레벤저, 크리스 덴크, 티모시 웨인 피터넬 || || '''{{{#000000 제작}}}''' ||다니엘 츄바, 마크 A.Z. 디페, 애쉬 R. 샤흐, 조슈아 손, 알렉스 J. 유 || || '''{{{#000000 기획}}}''' ||손석현 || || '''{{{#000000 음악}}}''' ||[[https://movie.daum.net/person/main?personId=140403|마이클 예제르스키]] || || '''{{{#000000 출연}}}''' ||[[태민]], [[써니(소녀시대)|써니]], [[윤다훈]] 외 || || '''{{{#000000 제작사}}}''' ||[[https://movie.daum.net/production?productionId=763|디지아트프로덕션]] || || '''{{{#000000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 || || '''{{{#000000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1월 12일]] [b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0]] [[2012년]] [[4월 19일]]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2012년]] [[8월 17일]]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2012년]] [[10월 25일]] [br]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0]] [[2013년]] [[1월 4일]] [b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2013년]] [[10월 31일]]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14년]] [[5월 1일]] || || '''{{{#000000 화면비}}}''' ||1.85:1 || || '''{{{#000000 상영 시간}}}''' ||85분 || || '''{{{#000000 제작비}}}''' ||530만 달러(70억 원)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8,106,158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06,528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 [[1월 12일]]에 개봉한 대한민국, 미국 합작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시놉시스 == 글로벌 전략으로 만들어진 <코알라 키드>는 익숙한 구조의 영웅 탄생기를 그린다. 튀는 외모로 소외받던 알비노(백색증) 코알라 쟈니(태민)는 욕심 많은 매니저 하미쉬(윤다훈)를 만나 서커스단에 들어가며 영웅을 꿈꾼다. 우연한 사고로 서커스단 무리에서 이탈한 쟈니는 아웃백의 친구들을 만나고 악당 악어 보그의 위협에서 동료를 구하면서 진짜 영웅이 된다. == 예고편 == [youtube(_kRZ2WqYOGY)] == 등장인물 == * 쟈니 - [[태민]]/[[롭 슈나이더]]/[[타카나시 켄고]] 역 * 미란다 - [[써니(소녀시대)|써니]]/이본 스트라홉스키/[[히구치 아카리]] 역 * 하미쉬 - [[윤다훈]]/브렛 맥캔지/[[토비타 노부오]] 역 * 샬롯 - 정은별/제니 풀로스/[[하야미 사오리]] 역 * 보그 - [[이장원(성우)|이장원]]/[[알란 커밍]]/[[마미야 야스히로]] 역 * 히긴스 - 변현우/[[프랭크 웰커]] 역 * 맥 - [[방우호]]/로버트 카이트/[[시무라 토모유키]] 역 * 퀸트 - [[장광]]/놈 맥도날드 역 * 블랙투스 - [[정훈석]]/[[팀 커리]]/[[히로타 코세이]] 역 * 러그/헥스/불/몬티 - [[홍진욱]]/ 러그:필 프록터, 헥스: [[놀란 노스]], 빌: 에릭 로페즈, 몬티:닐 로스 역 * 보리스 - [[유동균]]/[[크리스 에절리]]/코모리 소스케 역 * 와일드 부시맨 - 유동균/에릭 로페즈/[[미야케 켄타]] 역 * 로키 - 방우호/찰리 버리 역 * 커터 - 변현우/[[프레드 타타시오르]] 역 [[연예인 더빙]] 작품으로, 주역인 쟈니와 미란다에 [[샤이니]]의 태민과 [[소녀시대]]의 써니가 캐스팅되었다. 둘의 연기는 역시 처참하다는 평을 받았다. 그리고 그 이외에는 성우들을 캐스팅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outback_2012, tomato=0, popcorn=2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867086, user=4.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outback-2012, user=2.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68520, user=8.7)] ||애니메이션이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괜찮은 거라니! 어떤 캐릭터의 발음도 호주 억양에 가깝지 않다. 풍경은 부정확하고 묘사된 야생동물은 호주 생물과는 거리가 멀다. 이 영화의 제작자들은 제프리 러시, 휴 잭맨 또는 니콜 키드먼과 같은 훌륭한 호주 목소리를 고용했다면 훨씬 더 잘했을 것이다. 호주 억양을 묘사하기 위해 뉴질랜드와 미국 배우를 고용하는 것은 호주에 대한 모욕이다. 그들은 또한 아웃백의 풍경을 더 정확하게 보기 위해 호주를 방문했어야 했다! 내가 추천해줘서 하는 말인데, 오씨(Aussie)들의 스테레오타입을 원한다면 저거 대신 [[크로커다일 던디]]를 보길 바란다. ---- 한 호주인이 IMDb에 남긴 글.|| 전체적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걸 감안하면 무난히 볼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성우 기용은 혹평일색이었다. == 흥행 == [include(틀: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박스오피스)] 전국 관객 206,528명으로 제작비 대비 한참 손해가 되었다. 아예 해외에선 묻혔다. 이것도 역시 [[세금 도둑|공기업으로부터 금액 지원을 받은 애니이다.]] [[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한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