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2><:>{{{+3 {{{#0038a9 '''콜롬비아군''' }}}}}}[br]{{{#0038a9 Fuerzas Militares de Colombia[br]Military Forces of Colombia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Fuerzas_Militares_de_Colombia.svg.png|width=150]]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 '''{{{#fff 상비군}}}''' ||295,000명 || || '''{{{#fff 예비군}}}''' ||35,000명 || || '''{{{#fff 병역제도}}}''' ||[[모병제]]|| ||<-2> '''육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차|{{{#fff 전차}}}]] ||0대 || || [[장갑차|{{{#fff 장갑차}}}]] [br] {{{-2 (APCs/IFVs)}}} ||485대 || || [[자주포|{{{#fff 자주포}}}]] ||6문 || || [[다연장로켓|{{{#fff 다연장로켓}}}]] ||0문 || || 수송 차량 ||- ||}}}}}}}}} || ||<-2> '''해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해군 전투함 총합''' ||234척 || ||<-2> '''주력 수상함''' || || [[호위함|{{{#fff 호위함}}}]] ||4척(+5척) || || [[초계함|{{{#fff 초계함}}}]] ||2척 || ||<-2> '''잠수함''' || || [[재래식 잠수함|{{{#fff 재래식 잠수함}}}]] ||4척 ||}}}}}}}}} || ||<-2> '''공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4세대 / 4.5세대 전투기|{{{#fff 4세대 전투기}}}]] ||23기 || || {{{#fff '''공군기 총합'''}}} ||270기 || || [[헬리콥터|{{{#fff 헬리콥터}}}]] ||272기 || || {{{#fff '''항공기 총합'''}}} ||490기 ||}}}}}}}}} || [목차] [clearfix] == 개요 == [[콜롬비아]]의 [[군대]]. == 상세 == 현재 병력이 약 290,000명 규모로, [[남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군]] 다음가는 규모이다.[* 한때는 33만의 병력으로 남미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병력을 자랑했다.] 사실 콜롬비아가 현대에는 군부가 딱히 집권했던 적이 없던 민주국가임에도 군대 규모가 중남미에서 브라질 다음으로 유난히 큰 것은 모두 내전 때문이다(...) 내전으로 한때 [[FARC]]를 비롯한 반군에서 영토의 40%를 내어준적도 있고, 현재도 반군이 상당한 세를 확보하고 있기도 하다. 더군다나 지금도 명성이 약해졌다고 하지만 상당한 마약이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측에서도 이를 막으려고 콜롬비아군의 증강에 도움을 주면서 군대 규모가 작을래야 작을수가 없게 된 것이다. [[마약 카르텔]] 및 반군과의 전투로 인해 실전경험도 많은 편이다. 경제 규모에 비해 사병의 봉급이 상당히 박한 편이다. 또한 콜롬비아의 실업 문제가 심각하기때문에 군인들도 전역을 하고나서 콜롬비아에서 구직활동해봐야 백수로 사는 비일비재한지라 그간의 경력을 살려 용병으로 전직해서 돈을 버는 일이 많다. 특히 콜롬비아의 특수부대 출신의 전역자들이 국제 [[용병]] 시장에서 인기가 많다고 한다. 오랜 내전으로 다져진 실전 경험을 갖춘데다 콜롬비아가 저개발 개도국이라서 전투력에 비해 값싸게 굴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이하게도 국가 경찰도 군의 일부로 취급된다. 다만 군인 병력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국가 경찰을 포함하면 인원 수가 50만에 육박한다.] == 역사 == 남아메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6.25 전쟁]]에 유엔군으로 참전하여 1951년 5월 카르테헤나 항구에서 파딜라호[* 함정, 함정 1척을 파견하여 우리의 바다를 지켰으며 당시 파딜라호의 중위 '에드아르도 윌스 올라야'의 손자(윌스 벨레스)는 2014년 콜롬비아 해군 참모총장으로 소개되었다.]를 이용하여 지상군 1,068명을 파병을 시작으로 1953년까지 4개 대대 전투병력 4,058명을 파병해준 고마운 국가다. 그런데 자세한 내막을 들여다보면, 당시 콜롬비아는 우파정권과 좌파반군의 갈등으로 내전이 진행 중인 혼란한 시국이었다.[* 1948년 유력한 차기대권 주자였던 호르헤 가이탄이 우파진영에서 보낸 암살범에 의해 살해 당한 것이 시초였다.] 그래서 대부분의 병력이 반군 진압에 투입되는 제 코가 석자인 상황이었기에 한국으로 지원군을 보낼줄만한 상황이 아니었다. 하지만 미국의 강한 압력으로 인해 어쩔수없이 한국으로 전투 병력을 파병했던 것. 특히 다른 나라 유엔군들은 대부분 지원자들로 구성되었지만 콜롬비아군은 무작위 [[차출]]로 뽑혔다. 그것도 반군과 싸우는 1선급 부대는 빼고 전투력이 떨어지는 후방 사단이나 국경수비대에서 뽑아갔다. 물론 차출이다보니 지원만 하면 100% 뽑혀간다는 걸 이용하여 사촌과 같이 지원했던 사람도 있다. 그래도 차출이고 여기에다 참전용사들이 전후 내전, 게릴라 토벌에 동원되면서 참전용사에 대한 국내적 인식이 악화됨과 동시에 사회에서 소외되어서 참전 콜롬비아군들의 수기에는 상당히 부정적인 뉘앙스가 많다. 심지어 참전용사 모임도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고 한다. 미군에 배속된 콜롬비아군은 고지대 국가라는 이유로 험한 산악전에 투입됐다. 금성진격전[* 1951.10.13~21, 중공군이 점령한 주요 3개 고지를 탈환했다. 이를 통해 철원-김화-평강(철의 삼각지대)를 통제하는데 혁격한 공을 세운다.]을 시작으로 김화 400고지 전투, 불모고지 전투[* 1953.03.23, 현재 DMZ 너머 북한지역 275고지~경기도 연천 북방 천덕산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로 적군 600여 명을 사살함]까지 6.25 전쟁의 한 획을 그었다. 참고로 콜롬비아는 [[눈(날씨)|눈]]이 안 내리고 평균 고도가 높으며 건조한 기후라서 콜롬비아군 장병들은 혹한의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의 한국 날씨로 인해 고통이었다.[* 한국인들의 고정관념과 달리, 콜롬비아는 인구의 대부분이 일년 내내 날씨가 선선한 고산지대에 산다. 물론 콜롬비아의 국토가 꽤 넓기 때문에 카리브 해에 맞닿은 지역이나 내륙의 정글등 무더운 열대기후 지역도 존재하지만 여기에 사는 인구는 고작 15%에 불과하다.] == 수뇌부 == ||<-4><#FCD116>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장.svg|width=100]]]] || || {{{#003893 '''통수권자''' }}} || {{{#003893 '''국방장관''' }}} || {{{#003893 '''합동군사령관''' }}} || {{{#003893 '''합동참모의장'''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이반 두케|{{{#FFFFFF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 }}}]] || {{{#FFFFFF '''이반 벨라스케스 장관''' }}} || {{{#FFFFFF '''루이스 나바로 육군대장''' }}} || {{{#FFFFFF '''호르헤 레온 곤잘레스 파라 공군대장''' }}} || || {{{#003893 '''육군참모총장''' }}} || {{{#003893 '''해군참모총장''' }}} || {{{#003893 '''공군참모총장''' }}} || {{{#003893 '''경찰청장'''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5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FFFFFF '''에두아르도 엔리케 자파테이로 알타미란다 대장''' }}} || {{{#FFFFFF '''가브리엘 알폰소 페레즈 가르세스 대장''' }}} || {{{#FFFFFF '''람세스 루에다 루에다 중장''' }}} || {{{#FFFFFF '''호르헤 루이스 바르가스 발렌시아 대장''' }}} ||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롬비아 육군)] ===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롬비아 해군)] ==== 해군보병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롬비아 해군보병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Infanteria_de_Marina_de_Colombia.svg.png]] Infantería de Marina Colombiana. 콜롬비아에서는 [[해병대]]를 해군보병대라고 부른다. 인원은 2020년 기준으로 53,123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Infantes_de_marina_colombia.jpg]] 포즈를 취한 해병대원들. === 공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롬비아 공군)] === 국가 경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colombian_national_police.svg.png]] Policía Nacional de Colombia. 인원은 17만 명 수준이다.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rmy_of_Colombia#Organization|육군(영어판)]], [[https://es.wikipedia.org/wiki/Ej%C3%A9rcito_Nacional_de_Colombia#Organizaci%C3%B3n|육군(스페인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Colombian_Navy#Organization|해군(영어판)]], [[https://es.wikipedia.org/wiki/Armada_de_la_Rep%C3%BAblica_de_Colombia#Organizaci%C3%B3n|해군(스페인어판)]] [[https://en.wikipedia.org/wiki/Colombian_Naval_Infantry#Organization|해병대(영어판)]], [[https://es.wikipedia.org/wiki/Infanter%C3%ADa_de_Marina_de_Colombia#Organizaci%C3%B3n|해병대(스페인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Colombian_Air_Force#Organization|공군(영어판)]], [[https://es.wikipedia.org/wiki/Fuerza_Aeroespacial_Colombiana#Unidades_A%C3%A9reas|공군(스페인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Police_of_Colombia#Organization|국가헌병대(영어판)]], [[https://es.wikipedia.org/wiki/Anexo:Estructura_de_la_Polic%C3%ADa_Nacional_de_Colombia|국가헌병대]][[https://es.wikipedia.org/wiki/Anexo:Regiones_de_la_Polic%C3%ADa_Nacional_de_Colombia|(스페인어판)]] [[분류:콜롬비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