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내용 == {{{+1 Cooling Brake}}} [[축구]] 경기 도중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혹서기]] 무더위 간 [[휴식]]을 뜻하는 말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월드컵]]부터 도입되었고 [[2016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도 도입되었다. 선수들은 물을 충분히 공급받고 휴식을 취한다. 당연하게도 이 시간은 추가시간으로 추가된다. 이 틈에 감독들은 새로운 지시 사항을 전하기도 하는데, 그런 점에서 보면 심판이 허가한 [[타임아웃|작전 타임]]이나 마찬가지다. == 사례 == [[브라질]]은 기본적으로 큰 나라라서 북부 지방으로는 [[적도]]가 지나가 1년 내내 무덥다. 그래서 낮에는 40도까지 올라가며 쿠이아바와 [[마나우스]], 레시페 등 북부 도시들의 경우 선수들의 탈진 등을 우려해 이를 도입한 것. 물론 4계절이 뚜렷한 온대인 남부는 관련이 없었고 [[상파울루]]와 포르투 알레그레 등에는 도입되지 않았었다. [[2016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도 전반적으로 무더위를 발산하는 [[미국]]의 여름 날씨를 고려해 도입했다. 그럴만 한게 경기가 열리던 구장 대부분이 남쪽에 있는데다 전반적으로 미국의 여름은 무더위가 심해서이다.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 등은 무려 40도까지 올라가곤 하는데 쿨링 브레이크 도입이 당연하다. 미국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충분히 무더위를 발산하는 [[한국]]과 [[일본]]에서 열리는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2017년 대한민국 U-20 월드컵]]과 [[2020년 도쿄 올림픽]]도 개최 시기가 5~6월일 경우 적용될 수 있다.[*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 중 두 번 쿨링 브레이크가 선언 되었다.][* 2017년 U-20 월드컵은 6월~9월이 우기인 한국에서 열려 장마를 피하고자 6월 중순이 아닌 5월 중순에 개막했다.] [[K리그]] 경기에서도 기온이 높은 날에 적용되기도 한다. 역대 최악의 폭염이 왔던 2018 시즌에는 거의 항상 쿨링 브레이크를 시행했다. 영국에서는 Drinks Break라고 부르며 [[코로나19]] 사태로 중단 이후 재개 당시 2019-20 시즌 [[프리미어리그]] 및 FA컵에서도 잔여경기에 적용되었는데, 사실상 거의 모든 감독들이 작전타임으로 사용하였다. 22-23시즌 시즌 초에 실시하다가 다시 슬슬 더워지는 시즌 말에 재개됐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대회에서도 도입됐다. [[분류:축구/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