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작품의 주인공 캐릭터, rd1=크루엘라 드 빌, other2=미국의 DJ, rd2=Krewella)] [include(틀: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시리즈)] [include(틀: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2> {{{#fe0000 '''{{{+1 크루엘라}}}''' (2021)[br]Cruell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루엘라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디즈니 작품|{{{#ffffff 디즈니 실사 영화}}}]]''' || || '''장르''' ||[[범죄]], [[코미디]], [[피카레스크]] || || '''감독''' ||[[크레이그 길레스피]][*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그녀]], [[파이니스트 아워]], [[아이, 토냐]]를 연출했다.]|| || '''각본''' ||다나 폭스[br]토니 맥너마라|| || '''원안''' ||앨린 브로시 매케나[br]켈리 마셀[br]스티브 지시스|| || '''원작''' ||디즈니 - 애니메이션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br]도디 스미스 - 소설 《101마리 달마시안》|| || '''제작''' ||앤드루 건[br]마크 플랫[br]크리스틴 버|| || '''주연''' ||[[엠마 스톤]][br][[엠마 톰슨]] || || '''촬영''' ||니콜라스 카라카차니스|| || '''편집''' ||타티아나 S. 리겔|| || '''음악''' ||[[니콜라스 브리텔]][* [[문라이트(영화)|문라이트]], [[빅쇼트]], [[바이스(영화)|바이스]]의 음악으로 유명하며, [[배리 젠킨스]]와 [[아담 맥케이]]의 [[페르소나]]다.]|| || '''미술''' ||피오나 크롬비|| || '''의상''' ||제니 비번|| || '''촬영 기간''' ||[[2019년]] [[8월 24일]] ~ [[2019년]] [[11월 26일]]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건 필름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마크 플랫 프로덕션||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2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26일]][* 5월 26일 오후 5시 전 세계 최초 개봉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726033|기사]]]|| || '''상영 시간''' ||134분||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 | [[Dolby Cinema|[[파일:Dolby Cinema 로고.svg|width=110&theme=light]][[파일:Dolby Cinema 로고 화이트.svg|width=110&theme=dark]]]]|| || '''제작비''' ||1억 달러[* [[https://www.forbes.com/sites/scottmendelson/2021/05/29/box-office-cruella-emma-stone-disney-nabs-8-million-friday/?sh=cdb8a172e83b|#]]]|| || '''월드 박스오피스''' ||$233,274,812 ^^(최종)^^ || || '''북미 박스오피스''' ||$86,103,234 ^^(최종)^^ || || '''대한민국 총 관객수''' ||1,983,396명 ^^(최종)^^ || ||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파일:디즈니+ 프리미어 액세스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디즈니+ 프리미어 액세스 로고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https://www.disneyplus.com/|▶]] || || '''상영 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의 [[스핀오프]]격 실사 영화. [[크루엘라 드 빌]]의 젊은 시절을 다루며 배경을 70년대 후반으로 옮겼다. [[말레피센트(영화)|말레피센트]] [[말레피센트 2|시리즈]] 이후 기존 애니메이션 주인공이 아닌 본래 [[디즈니 빌런]]을 메인으로 내세운 두 번째 실사영화이다. == 개봉 전 정보 == * 2011년 제작이 확정되었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disney-preps-live-action-cruella-639169|#]] 각본은 엘린 브로시 매켄나가 작성한다고 발표되었지만 켈리 마르셀로 변경되었다. * 2016년, [[엠마 스톤]]이 [[크루엘라 드 빌]] 역으로 캐스팅되었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emma-stone-talks-play-cruella-852693|#]] * [[007 스펙터]]의 각본가, 제즈 버터워스가 각본을 재작성한다.[[https://www.tracking-board.com/spectre-scribe-jez-butterworth-tapped-to-rewrite-emma-stone-starring-cruella-for-disney-exclusive/|#]] * 알렉스 팀버스가 영화를 감독하고 맷 프랫이 제작한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disneys-live-action-cruella-finds-director-954271|#]] * 알렉스 팀버스가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고 [[크레이그 길레스피]]로 교체되었다.[[https://deadline.com/2018/12/emma-stone-craig-gillespie-cruella-director-live-action-1202514016/|#]] * [[엠마 톰슨]]이 캐스팅되었고 토니 맥나마라와 도나 폭스가 각본을 작성한다.[[https://variety.com/2019/film/news/emma-thompson-cruella-emma-stone-disney-1203215057/|#]] * 폴 월트 하우저가 호레이스로[[https://variety.com/2019/film/news/paul-walter-hauser-live-action-cruella-disney-1203283163/|#]], 조엘 프라이가 재스퍼로[[https://variety.com/2019/film/news/disney-cruella-joel-fry-emma-stone-1203295464/|#]] 캐스팅되었다. * [[D23]] 엑스포에서 스틸컷이 공개되었다.[[https://variety.com/2019/film/news/cruella-first-look-emma-stone-disney-d23-1203313244/|#]] * [[마크 스트롱]][[https://twitter.com/TobyonTV/status/1171709665346039808|#]], 에밀리 비컴[[https://deadline.com/2019/09/cruella-cannes-best-actress-winner-emily-beecham-joins-disney-live-action-prequel-with-emma-stone-1202739455/|#]], 크리비 하웰[[https://variety.com/2019/film/news/cruella-kirby-howell-baptiste-killing-eve-emma-stone-1203348166/|#]]이 캐스팅되었다. * 2019년 11월 26일 촬영이 종료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B5V-Td0DpeN/|#]] * [[디즈니 플러스]]로 공개된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들려왔는데, 2020년 12월 11일(한국시각) 열린 '디즈니 투자자의 날' 라인업 공개 행사에서는 극장 개봉 작품으로 소개됐다.[* 디즈니 플러스로 공개되는 작품들은 제목 주변에 꼬리표로 '디즈니+'가 달리는데, 크루엘라는 달리지 않았다.] * 2021년 3월 24일, [[디즈니+]]를 통해 '프리미어 액세스'로 극장과 동시에 개봉하는 것으로 발표했다.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ARtwiKmRmk)]}}}|| || '''{{{#ffffff 티저 예고편}}}''' || 예고편이 묘하게 영화 《[[조커(2019)|조커]]》와 비슷해서 꼭 [[DC 확장 유니버스]]의 [[할리 퀸(DC 확장 유니버스)|할리 퀸]]을 보는 것 같다는 반응들이 많다. 외모는 물론 헤어 스타일도 할리 퀸처럼 절반씩 다른 색깔로 염색되어 있어서 서로 닮았다는 평. 물론 [[크루엘라 드 빌]]은 [[1961년]]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가 개봉할 때부터 저런 스타일이었고 할리 퀸의 최초 등장 연도는 1992년이기에, 거꾸로 크루엘라 쪽이 원조라고 보는 것이 옳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ojAZlrJz_s)]}}}|| || '''{{{#ffffff 스페셜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fSMTFzw-Kw)]}}}|| || '''{{{#fffff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처음부터 난 알았어. 내가 특별하단 걸 >그게 불편한 인간들도 있겠지만 모두의 비위를 맞출 수는 없잖아? >그러다 보니 결국, 학교를 계속 다닐 수가 없었지 > >우여곡절 런던에 오게 된 나, 에스텔라는 재스퍼와 호레이스를 운명처럼 만났고 >나의 뛰어난 패션 감각을 이용해 완벽한 변장과 빠른 손놀림으로 런던 거리를 싹쓸이 했어 > >도둑질이 지겹게 느껴질 때쯤, 꿈에 그리던 리버티 백화점에 낙하산으로 들어가게 됐어 >거리를 떠돌았지만 패션을 향한 나의 열정만큼은 언제나 진심이었거든 > >근데 이게 뭐야, 옷에는 손도 못 대보고 하루 종일 바닥 청소라니 >인내심에 한계를 느끼고 있을 때, 런던 패션계를 꽉 쥐고 있는 남작 부인이 나타났어 >천재는 천재를 알아보는 법! 난 남작 부인의 브랜드 디자이너로 들어가게 되었지 > >꿈을 이룰 것 같았던 순간도 잠시, 세상에 남작 부인이 '그런 사람'이었을 줄이야… > >그래서 난 내가 누군지 보여주기로 했어 >잘가, 에스텔라 > >난 이제 크루엘라야! == 등장인물 == * '''[[크루엘라 드 빌#크루엘라|크루엘라 드 빌]](에스텔라)''' * 성인: [[엠마 스톤]] ([[소연(성우)|소연]][* 캐리건, 카구라 못지 않는 뛰어난 악녀 연기를 선보였다.][* [[101마리 달마시안(TV 시리즈)|TV 시리즈]] 재더빙판에서 맡았다.]/[[시바사키 코우]]) * 12세: 티퍼 세이퍼트 클리브랜드 ([[곽지혜]]) * 5세: 빌리 개즈던 반은 검고 반은 하얀 머리칼을 가진 평범하지 않은 소녀. * '''남작 부인(바로네스)''' - [[엠마 톰슨]] ([[전숙경]]/시오다 토모코) 부유한 재산을 상속받은 귀족으로 패션계를 꽉 잡고 있는 유명 디자이너이다. * '''재스퍼''' * 성인: 조엘 프라이 ([[송준석(성우)|송준석]]/[[노지마 히로후미]]) * 12세: 지기 가드너 (최은후) 크루엘라와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낸 가족같은 친구로 마른 체형에 영리한 편이다. * '''호레이스''' * 성인: 폴 월터 하우저 ([[이장원(성우)|이장원]]/[[카누카 미츠아키]]) * 12세: 조셉 맥도날드 (김규동) 크루엘라와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낸 가족같은 친구로 뚱뚱한 체형에 조금 멍청하고 과격한 편이다. 애꾸눈 강아지 '윙크'를 기른다. * '''아니타 달링''' * 성인: 커비 하웰 밥티스트 ([[이다슬]]/[[무라나카 토모]]) * 12세: 플로리사 카마라 ([[장미(성우)|장미]]) 크루엘라의 어린 시절 친구이자 동창으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존''' - [[마크 스트롱]] ([[이봉준]]/[[히로세 아키오]]) 남작가의 집사이다. * '''캐서린 밀러''' - 에밀리 비첨[* 2019년 리틀 조로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배정미]]/[[츠네마츠 아유미]]) 크루엘라의 어머니이다. * '''아티'''[* [[데이비드 보위]]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다. [[https://screenrant.com/cruella-artie-androgynous-david-bowie-homage/amp/|기사]] ] - 존 맥크레 ([[정재헌]]/[[하나에 나츠키]]) 의상 디자이너로 2nd time around(두번째 인연) 가게 대표이며 크루엘라의 의상제작에 도움을 준다. * '''로저''' - 카이벤 노박 ([[홍진욱]]/하타나카 히로시) 남작 부인의 변호사. * '''제럴드''' - 제이미 드메트리우 ([[손종환]]/[[마츠모토 시노부]]) 남작 부인의 부하 중 한 명이다. 크루엘라가 리버티 백화점에 고용되어 있을 당시 크루엘라를 청소부로 부려먹던 백화점 상사이기도 하다. * '''제프리''' - 앤드류 렁 ([[위훈]]/[[카와다 신지]]) 남작 부인의 부하 중 한 명이다. == [[크루엘라/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크루엘라/줄거리)] == 사운드트랙 == [include(틀:푸디토리움의 명반시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를 대표하는 명곡들을 대거 삽입했다. 이 중 15곡을 추려 사운드트랙으로 발매되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Lb5zNlBR1RTRLofJNa16eHwR60dcvJmc|사운드트랙 플레이리스트]] * [[Florence + The Machine]] - "[[https://youtu.be/ON2_e1HB1JM|Call me Cruella]]" 본 작의 메인 테마. 원작의 크루엘라 노래를 기반으로 재창조했다. * [[슈퍼트램프|Supertramp]] - "Bloody Well Right" : 크루엘라가 어렸을 때 * Helen Reddy - "I Am Woman" : "I am woman, Hear me roar" 가사 인용. 그리고 이 장면에서 남자아이를 마운트로 패는 장면이 나온다. * [[비 지스|Bee Gees]] - " Whisper Whisper" : 1960년대 남작부인 윈터콜렉션 방문 * [[애니멀스|The Animals]] - "Inside Looking Out" : 달마시안 추격 - 캐서린 사망 * Sandy Gaye - "Watch the dog Theat Bring the Bone" : 재스퍼 & 호레이스와의 첫 만남 *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 - "[[She's a Rainbow]]" - 10년 후 * Joe Tex - "I Gotcha" - 재스퍼가 에스텔라 이력서 제출/남작부인이 싫어하는 귀부인들 설명(청승맞은 여자, 푸들을 데리고 온 여자 등등) * [[좀비스|The Zombies]] - "[[Odessey and Oracle|Time Of The Season]]" - 에스텔라의 리버티 백화점으로의 첫 출근 * Nancy Sinatra - "These Boots Are Made for Walkin" - 에스텔라가 리버티 백화점 쇼윈도를 엎기 전 흥얼거리던 노래.[* 길리스피 감독은 엠마 스톤에게 이 노래를 외워두길 주문했고, 앞서 언급한대로 위스키에 잔뜩취한 엠마의 흥얼거림과 BGM이 겹치는 재밌는 개그씬이 완성되었다.] * [[도어즈|The Doors]] - "Five To One" - 남작부인의 리버티 백화점 방문 * [[니나 시몬|Nina Simone]] - "Feeling Good" - 에스텔라의 하우스 오브 바로네스로 첫 출근 * [[Ohio Players]] - "Fire" - 에스텔라와 아티의 첫 만남 * [[티나 터너|Ike&Tina Turner]](원곡 [[Led Zeppelin]]) - "[[Whole Lotta Love]]" - 블랙 앤 화이트 파티에 가는 에스텔라 * Suzi Quatro - "The Wild Ond" - 블랙 앤 화이트 파티 배경음악 * [[딥 퍼플|Deep Purple]] - "Hush" - 붉은 드레스 크루엘라[*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예고편이나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등에 사용되었던 Kula Shaker판의 원조 곡이다.]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Electric Light Orchestra]] - "Livin' Thing" - 파티장에서 탈출 * [[퀸(밴드)|Queen]] - "[[Stone Cold Crazy]]" - 자동차로 탈출 * Rose Royce - "Car Wash" - 달마시안 납치 *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 "Boys Keep Swinging" - 처음으로 같이 토트넘을 보는 호레이스와 달마시안 * [[블론디(밴드)|Blondie]] - "One Way Or Another" - 남작부인에게서 대중의 관심을 빼앗는 크루엘라 * Tony Martin - "I Get Ideas" - 남작부인 몰래 골목에서 그림을 그리는 크루엘라 * [[더 클래시|The Clash]]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 쓰레기 드레스 퍼포먼스를 하는 크루엘라 * Georgia Gibbs - "I Love Paris" - 달마시안을 산책시키는 재스퍼와 호레이스 * Ken Dodd - "Love Is Like A Violin" - 남작부인의 스프링 컬렉션을 완성시킨 크루엘라 * Norrie Paramor & HIs Orchestra - "A Summer Place" - * [[도리스 데이|Doris Day]] - "Perhaps, Perhaps, Perhaps" - 하우스 오브 바로네스를 침입하는 재스퍼와 호레이스[* 메인 예고편에도 사용되었다.] * Joe Dolan - "You're Such A Good Looking Woman" - 남작부인의 스프링 컬렉션 * John McCrea[* 본작에서 아티 역] - "[[I Wanna Be Your Dog]]"[* 원곡은 [[이기 팝]]이 보컬로 있던 [[스투지스]]의 곡이다.] - 리젠트 공원에서의 패션쇼 * [[주디 갈런드|Judy Garland]] - "Smile" - 불타는 집에서 크루엘라[* [[조커(2019)|영화 조커]]의 1차 트레일러에서 사용된 그 노래가 맞다. 다만 조커는 지미 듀란테의 것을, 크루엘라는 주디 갈런드의 것을 차용했다.] * The J. Geils Band - "Nightmares" - 경찰서를 들이 받기 전 크루엘라 * The J. Geils Band - "Gettin Out" - 경찰차와 추격전을 하는 크루엘라 * Brigitte Fontaine - "Eternelle" - 크루엘라가 아티에게 도움을 다시 한 번 더 부탁할 때 두번째 인연 가게 배경음악 * [[티나 터너|Ike & Tina Turner]](원곡 [[비틀즈|The Beatles]]) - "[[Come Together]]" - 남작부인에게 복수 준비를 하는 크루엘라 패밀리 * [[블랙 사바스(밴드)|Black Sabbath]] - "The Wizard" - 에스텔라의 장례식을 마친 크루엘라 *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 - "[[Sympathy for the Devil]]" - 헬먼 홀을 차지한 크루엘라 * [[코니 프랜시스#s-1|Connie Francis]] - "Who's Sorry Now" * The Hit House & Gibberish - "Bang You Head" * Audiomachine - "Under Lock and Key" 한편 크루엘라의 [[오리지널 스코어]]는 니콜라스 브리텔이 작곡했다. 브리텔은 [[문라이트]]와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등의 스코어로 알려진 작곡가이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Qo2LfwI6RLtovdf5DvbYN9YHl_itZ_h8|오리지널 스코어 플레이리스트]]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cruella, critic=59, user=7.1)]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cruella, tomato=75, popcorn=97)] [include(틀:평가/IMDb, code=tt3228774, user=7.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ruella, user=3.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24395, presse=3.6, spectateurs=4.1)]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804662, user=7.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5940, user=4.34)]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8946,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703121, user=6.8)]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VQ34z,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6426, light=96.4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7322, expert=6.63, audience=9.51, user=9.42)]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8699, expert=없음, user=8.7)] [include(틀:평가/CGV, code=84643, egg=98)]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A)] > '''맵시있게 변주된 캐릭터가 열정과 냉정 사이의 런웨이를 화려하게 누빈다''' >---- > - [[이동진]](★★★) > '''세차고 우아하고 익숙한 퍼포먼스''' >---- > - [[박평식]] ([[씨네21]]) | ★★★ > '''빌런다운 빌런의 탄생''' > [br] 디즈니답지 않기에 오히려 디즈니다운 엄청난 캐릭터가 탄생했다. 착하고 순수한 주인공 대신 빌런을 주역으로 세운 점은 이미 낯익지만 단순한 선악의 대립이 아니라 악인과 악인이 대결하며 오직 욕망을 위해 싸우는 모습은 색다르다. 순수한 열정을 가진 에스텔라가 광기 어린 크루엘라로 변해가는 과정을 매혹적으로 표출해낸 엠마 스톤의 연기가 불을 뿜고, 잔인하고 냉혹한 남작 부인으로 완벽하게 변신한 엠마 톰슨과의 연기 맞대결도 흥미롭다. 매력적인 캐릭터와 이야기 말고도 패션계의 전쟁을 다룬 만큼 다채로운 의상이 눈을 즐겁게 하고, 1970년대를 사로잡던 전설의 록 음악이 심장을 울린다. >---- > - 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 > '''매력 넘치는 '악녀 비긴즈'''' > [br] 우러진 재미가 상당하다. 새로운 작품을 지향하면서도 원작 동화와 애니메이션부터 1990년대 실사영화로 이어진 '101마리 달마시안' 스토리와의 연결점은 착실하게 챙겨 변주했다. 정통의 왕좌를 물려받아 새로운 시대 감수성을 이식하는 건, 요즘 디즈니가 가장 잘하는 일이다. 천국에 갈 착한 여자로 사는 대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스스로 기꺼이 악녀가 된 인물들의 대결이 짜릿하다. 에스텔라가 왜 크루엘라의 삶을 살게 됐는지를 가공할 캐릭터 해석력과 매력으로 선보인 엠마 스톤, 냉혈한 남작부인으로 변모한 엠마 톰슨. 두 배우의 표정과 몸짓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황홀하게 즐겁다. >---- > -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 > '''스스로 새 이름을 붙인 여자의 이야기''' > [br] <크루엘라>는 [[101마리 달마시안]]을 원작으로 두고 있지만 소설과 애니메이션에서는 크루엘라의 이름과 캐릭터 설정만 가져왔다. 에스텔라(엠마 스톤)가 왜 크루엘라가 되기를 선택했는지 찬찬히 따라가며 알려주는 영화에서 달마시안 가죽 코트를 향한 광기의 자리는 패션에 대한 열정이 차지한다. 주류사회에 대한 반항과 전복이 터져 나오던 1970년대 런던과 크루엘라가 만들어내는 옷이며 그를 호위하는 펑크록이 맞아떨어져서 나오는 시각적, 청각적 쾌감이 상당하다. 무엇보다 배우로서, 패셔니스타로서의 역량을 제대로 뿜어내는 엠마 스톤을 언제까지고 보고 싶어진다. >---- > -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 > '''익숙한 듯 낯선 매닉 픽시 나이트메어 걸의 도래''' >---- > - 남선우 (★★★) > '''디즈니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담긴 화려한 쇼케이스''' >---- > - 이주현 ([[씨네21]]) | ★★★☆ > '''디즈니의 영리한 자사 IP 재해석''' >---- > - 임수연 ([[씨네21]]) | ★★★☆ > '''과거를 벗어던진 빌런의 화려한 런웨이''' >---- > - 조현나 (★★★) 2021년 5월 14일 소셜 엠바고가 풀렸다.[[https://editorial.rottentomatoes.com/article/cruella-first-reactions-emma-stone-is-fabulous-in-impeccably-designed-perfectly-cast-reimagining-of-a-classic-disney-villain/|#]] 대체적으로 좋은 반응이 나왔다. 리뷰 엠바고가 5월 26일에 풀렸고, 거의 모든 부분들이 논란에 휩싸여서 평가가 굉장히 좋지 않았던 [[뮬란(2020)|뮬란]]과는 달리 [[알라딘(영화)|알라딘]]과 비슷하게 평론가들보단 관객들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스토리는 비교적 부실하지만 이를 6 ~ 70년대 팝송들의 훌륭한 선곡 센스와 펑크 시대 특유의 튀는 패션 센스로 보충한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노래는 [[데이비드 보위]]나 [[이기 팝]]같은 펑크 록들을 위주로 선곡하면서 혼란스러운 6 ~ 70년대 런던의 시대상을 묘사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는 평도 많다. 평론가와 관객 평가가 다소 갈리는 양상이다. 평론가들의 평가는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데 비해 관객 평가는 호가 좀 더 많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평론가와 리뷰어, 그리고 관객 모두에게서 [[엠마 스톤]]과 [[엠마 톰슨]]의 연기가 압도적이란 호평을 받았다. 엄연히 말하자면 크루엘라는 원작과는 완전히 다른 인물로 취급해야 한다는 평가가 많은데, 그 이유는 원작의 크루엘라는 이번 실사 영화에 나오는 변신하는 악녀 이미지가 아니라 완전히 정신 나간 인물로 묘사되었기 때문.[* 사실 원작 크루엘라는 모피에 집착하는 매우 평면적인 악당 캐릭터라 그대로 주인공 삼기엔 무리가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와의 묘사 차이가 지나치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원작 생각하지 않고 보면 주인공의 매력 자체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지만, 원작과의 괴리감이 있기 때문에 원작을 알고 보는 관객에게는 반영 요소에서 감점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점은 대부분의 네임드 리뷰어가 지적하는 부분으로, 분명히 실사화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적으나, 소재 요소로써는 의견이 다분한 편이다. 다만, 원작을 모르는 관객들은 대체로 호평을 내렸다. 상술한 것처럼 원작과 이번 영화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 작품만 놓고 본다면 크루엘라가 빌런이 아닌 안티히어로로 보인다는 평도 있을 정도. [[크리스 스턱만]]은 이상하긴 한데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전반적인 호평 부분은 전체적인 디자인의 요소가 합격점으로 뽑혔다. 본인의 경우 과거에 일로 변하는 캐릭터에 대한 요소에 대해서 기대를 걸었다고 한다. 또한 엠마 톰슨이 이번 디즈니 빌런들 중에서 손꼽히는 베스트로 평했다. 영화 자체 음악보다는 70년대 히트곡을 과다 사용한 것을 지적했지만 그래도 영화 분위기에 잘 맞춰졌다고 평했으며, 기대를 거의 하지 않았던 예상과는 달리 선전했다고 하며 B-를 평했다. [[제레미 잔스]]의 경우 반대로 그다지 사악한 면이 보이지 않았다고 평했다.[* 정확히는 드 빌(de Vil) 같아 보이지 않다고 했으나, 단어 'devil'의 의미상 중의적인 표현이다.] 아마도 해당 작품의 또 다른 악역의 등장 때문일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과거의 묘사에서 기억날 만한 점이 적다고 지적한다. 특히 크루엘라를 계속 크루엘라라고만 부르지 과거 본명에 대해서는 거의 기억이 안 날 정도였다고. 다만 그것과는 다르게 엠마 스톤과 톰슨의 연기 자체는 대호평을 내렸다. 내용 자체의 경우 전반적으로 분산되는 부분이 많아 2시간 내지 정도여도 길어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내용 자체는 단순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크루엘라의 모습을 지나치게 강조하는데, 굳이 본인의 집에서까지 크루엘라 의상을 고집하여 입고 있는 상태가 어색하다고 한다.[* 그 비유점으로 브루스 웨인이 알프레드 집사한테 배트맨 흉내내는 거 같다고 지적한다.] 캐릭터의 단독 이야기를 다루는데 있어 문제점으로 크루엘라를 주인공으로 만들기 위해 크루엘라와 연관된 비슷한 악역을 추가한다는 점이었다. 이 때문에 주인공의 과거 이야기를 통해 현재의 시점이 되는 계기가 적다고 지적한다. 이 점을 비교할 때 [[조커(2019)|조커]]를 토대로 대입해 설명한다. 이미 조커라는 주인공일 때 조커가 누구인지를 분명히 먼저 알고 있는 상태에서 내용을 들여다 보게 되는데, 결국 그 끝에 조커가 되는 과정을 완벽히 소화해냈던 반면, 크루엘라는 그 점을 해결하지 못한 채 끝난다고 지적한다. 그것만 뺀다면 엔터테이닝 요소는 무난히 잘 갖췄다고 평한다. 그냥 스톤과 톰슨 보고 싶다면 그것만 보고 오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술 먹고 보는 단순 영화로 평했다. == 수상 및 후보 ==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아카데미 시상식]] 의상상 '''수상''', 분장상 후보 * [[BAFTA|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의상상 '''수상''', 분장상 후보 * [[골든 글로브]]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엠마 스톤) 후보 * [[제27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의상상 '''수상'''. 분장상 후보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3228774/|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1년]] [[5월 26일]] || '''$205,503,090''' || '''[[2021년]] [[7월 4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2021년]] [[5월 28일]] || '''$77,703,090''' || [[2021년]] [[7월 6일]] || || '''[[중국]]''' || [[2021년]] [[6월 6일]] || '''$24,075,596''' || [[2021년]] [[7월 4일]] || || [[대한민국]] || [[2021년]] [[5월 26일]] || $15,051,207 || [[2021년]] [[7월 4일]] || || [[오스트레일리아]] || [[2021년]] [[5월 27일]] || $6,543,394 || [[2021년]] [[7월 4일]] || || [[홍콩]] || [[2021년]] [[5월 27일]] || $2,656,352 || [[2021년]] [[7월 4일]] || || [[이탈리아]] || [[2021년]] [[5월 27일]] || $2,669,046 || [[2021년]] [[7월 4일]] || || [[일본]] || [[2021년]] [[5월 28일]] || $4,422,427 || [[2021년]] [[7월 4일]] || || [[멕시코]] || [[2021년]] [[5월 28일]] || $11,119,362 || [[2021년]] [[7월 4일]] || || [[스페인]] || [[2021년]] [[5월 28일]] || $4,807,453 || [[2021년]] [[7월 4일]] || || [[영국]] || [[2021년]] [[5월 28일]] || $11,995,128 || [[2021년]] [[7월 4일]] || 손익분기점은 대략 2억 ~ 2억 2,500만 달러이다. 개봉 6주 차에 월드와이드 2억 달러를 돌파했다. === [[북미]] === 2021년 5월 28일 극장과 [[디즈니+]]에서 동시 개봉했다. 개봉 첫 주 주말 4일 동안 2,600만 달러를 벌어들였으나 [[콰이어트 플레이스 2]]에 밀려 박스오피스 2위로 데뷔했다.[* 다만 콰이어트 플레이스 2는 극장 독점 개봉인 반면, 크루엘라는 디즈니+ 동시 개봉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 === [[대한민국]]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ffffff '''크루엘라''' }}} || [[콰이어트 플레이스 2]]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7> {{{#!folding [ 보이기 / 숨기기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 1,681명 || 1,681명 || 미집계 || 15,291,000원 || 15,291,000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21-05-26. 1일차(수) || 41,158명 ||<|7> 356,910명 || 2위 || 223,208,220원 ||<|7> 3,288,370,390원 || ||2021-05-27. 2일차(목) || 30,723명 || 2위 || 283,274,100원 || ||2021-05-28. 3일차(금) || 39,753명 || 2위 || 393,539,930원 || ||2021-05-29. 4일차(토) || 98,660명 || 2위 || 982,222,360원 || ||2021-05-30. 5일차(일) || 86,571명 || 2위 || 851,849,070원 || ||2021-05-31. 6일차(월) || 31,637명 || 2위 || 289,584,630원 || ||2021-06-01. 7일차(화) || 28,408명 || 2위 || 264,692,080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21-06-02. 8일차(수) || 30,678명 ||<|7> 358,760명 || '''1위''' || 288,556,020원 ||<|7> 3,501,152,400원 || ||2021-06-03. 9일차(목) || 27,438명 || 2위 || 257,220,820원 || ||2021-06-04. 10일차(금) || 41,260명 || 2위 || 410,114,230원 || ||2021-06-05. 11일차(토) || 109,591명 || 2위 || 1,091,880,490원 || ||2021-06-06. 12일차(일) || 96,759명 || 2위 || 955,694,100원 || ||2021-06-07. 13일차(월) || 28,085명 || 2위 || 263,646,460원 || ||2021-06-08. 14일차(화) || 24,949명 || 2위 || 234,040,280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21-06-09. 15일차(수) || 22,469명 ||<|7> 297,266명 || 3위 || 212,088,350원 ||<|7> 2,915,694,530원 || ||2021-06-10. 16일차(목) || 21,860명 || 3위 || 206,114,590원 || ||2021-06-11. 17일차(금) || 36,154명 || '''1위''' || 360,319,820원 || ||2021-06-12. 18일차(토) || 89,899명 || '''1위''' || 897,186,580원 || ||2021-06-13. 19일차(일) || 78,054명 || '''1위''' || 773,618,360원 || ||2021-06-14. 20일차(월) || 24,117명 || '''1위''' || 230,319,890원 || ||2021-06-15. 21일차(화) || 24,713명 || '''1위''' || 236,046,940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21-06-16. 22일차(수) || 24,742명 ||<|7> 262,828명 || 2위 || 235,661,470원 ||<|7> 2,588,182,600원 || ||2021-06-17. 23일차(목) || 23,413명 || 2위 || 223,790,810원 || ||2021-06-18. 24일차(금) || 34,025명 || 2위 || 343,113,850원 || ||2021-06-19. 25일차(토) || 69,249명 || 2위 || 691,901,200원 || ||2021-06-20. 26일차(일) || 59,446명 || 2위 || 593,152,990원 || ||2021-06-21. 27일차(월) || 25,862명 || 2위 || 249,253,560원 || ||2021-06-22. 28일차(화) || 26,091명 || 2위 || 251,308,720원 || ||<|7> {{{#ffffff,#ffffff 5주차}}} ||2021-06-23. 29일차(수) || 21,275명 ||<|7> -명 || 4위 || 207,031,840원 ||<|7> -원 || ||2021-06-24. 30일차(목) || 21,294명 || 4위 || 223,790,810원 || ||2021-06-25. 31일차(금) || 26,679명 || 4위 || 343,113,850원 || ||2021-06-26. 32일차(토) || 55,999명 || 4위 || 566,114,430원 || ||2021-06-27. 33일차(일) || 50,293명 || 2위 || 501,633,640원 || ||2021-06-28. 34일차(월) || 21,230명 || 2위 || 202,745,540원 || ||2021-06-29. 35일차(화) || 22,344명 || 2위 || 211,327,310원 || ||<|7> {{{#ffffff,#ffffff 6주차}}} ||2021-06-30. 36일차(수) || 35,333명 ||<|7> -명 || 2위 || 233,624,310원 ||<|7> -원 || ||2021-07-01. 37일차(목) || 22,675명 || 2위 || 221,800,690원 || ||2021-07-02. 38일차(금) || 35,209명 || 2위 || 360,440,340원 || ||2021-07-03. 39일차(토) || 68,471명 || 2위 || 705,716,630원 || ||2021-07-04. 40일차(일) || 61,843명 || 2위 || 633,711,230원 || ||2021-07-05. 41일차(월) || 21,615명 || 2위 || 213,079,490원 || ||2021-07-06. 42일차(화) || 26,465명 || 2위 || 260,211,710원 || ||<|7> {{{#ffffff,#ffffff 7주차}}} ||2021-07-07. 43일차(수) || 15,585명 ||<|7> -명 || 3위 || 152,569,100원 ||<|7> -원 || ||2021-07-08. 44일차(목) || 11,628명 || 3위 || 115,122,520원 || ||2021-07-09. 45일차(금) || 12,983명 || 3위 || 133,453,070원 || ||2021-07-10. 46일차(토) || 24,777명 || 3위 || 253,586,990원 || ||2021-07-11. 47일차(일) || 22,829명 || 4위 || 231,000,140원 || ||2021-07-12. 48일차(월) || 8,578명 || 2위 || 85,295,270원 || ||2021-07-13. 49일차(화) || 9,254명 || 2위 || 91,778,880원 || ||<|7> {{{#ffffff,#ffffff 8주차}}} ||2021-07-14. 50일차(수) || 4,930명 ||<|7> -명 || 4위 || 47,701,110원 ||<|7> -원 || ||2021-07-15. 51일차(목) || 4,671명 || 4위 || 45,672,740원 || ||2021-07-16. 52일차(금) || 7,252명 || 4위 || 73,519,890원 || ||2021-07-17. 53일차(토) || 11,249명 || 4위 || 115,503,620원 || ||2021-07-18. 54일차(일) || 12,700명 || 4위 || 129,592,220원 || ||2021-07-19. 55일차(월) || 5,961명 || 4위 || 58,304,210원 || ||2021-07-20. 56일차(화) || 6,438명 || 4위 || 62,550,180원 || ||<|7> {{{#ffffff,#ffffff 9주차}}} ||2021-07-21. 57일차(수) || 4,651명 ||<|7> -명 || 5위 || 42,626,000원 ||<|7> -원 || ||2021-07-22. 58일차(목) || 4,356명 || 6위 || 42,413,990원 || ||2021-07-23. 59일차(금) || 4,698명 || 5위 || 47,833,510원 || ||2021-07-24. 60일차(토) || 9,012명 || 5위 || 93,593,370원 || ||2021-07-25. 61일차(일) || 9,114명 || 5위 || 93,761,750원 || ||2021-07-26. 62일차(월) || 4,331명 || 5위 || 42,151,870원 || ||2021-07-27. 63일차(화) || 4,934명 || 5위 || 47,577,330원 || ||<|7> {{{#ffffff 10주차}}} ||2021-07-28. 64일차(수) || 1,429명 ||<|7> -명 || 8위 || 11,321,620원 ||<|7> -원 || ||2021-07-29. 65일차(목) || 1,542명 || 8위 || 12,241,110원 || ||2021-07-30. 66일차(금) || 932명 || 9위 || 9,721,440원 || ||2021-07-31. 67일차(토) || 1,564명 || 8위 || 16,486,280원 || ||2021-08-01. 68일차(일) || 1,813명 || 8위 || 19,087,450원 || ||2021-08-02. 69일차(월) || 1,161명 || 9위 || 11,456,780원 || ||2021-08-03. 70일차(화) || 1,397명 || 8위 || 13,774,680원 ||}}}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1,981,107명 누적매출액 19,233,377,420원'''[* ~ 2021/08/09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2021년 5월 26일 개봉했다. 같은 날 개봉한 [[파이프라인(영화)|파이프라인]]을 제치고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에 이은 박스오피스 2위로 데뷔했다. 그 후 입소문을 받으면서 2주차 첫 날인 6월 2일에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를 뛰어넘기고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후 컨저링 3에게 밀려 2위를 기록했으나 6월 11일에 다시 역주행하여 '''개봉 3주차에 처음으로 주간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였으며 동시에 개봉 21일차인 6월 15일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이후 꾸준히 롱런하다가 6주차에 다시 2위로 오르는 저력을 보여줬다. 관객수도 전주보다 오르는 등 입소문의 덕을 꾸준히 보는 중.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1년 20주차 ||<|2>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 || The Bad Poet || {{{#ffffff '''크루엘라'''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스페인]] === ||<-5>
{{{#ffffff '''스페인 흥행 1위 영화''' }}}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 || [[스파이럴]] || {{{#ad1519 '''크루엘라'''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spain/|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흥행 1위 영화''' }}}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 || [[캐시트럭]] || {{{#ffffff '''크루엘라'''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1년 20주차 ||<|2>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 ||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fedf00 '''크루엘라''' }}} || 크루엘라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 || 크루엘라 || {{{#fedf00 '''크루엘라'''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아르헨티나]] === ||<-5>
{{{#fcbf49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1년 20주차 ||<|2>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 ||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fcbf49 '''크루엘라''' }}} || 크루엘라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 || 크루엘라 || {{{#fcbf49 '''크루엘라''' }}} || 크루엘라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 || 크루엘라 || {{{#fcbf49 '''크루엘라''' }}} || 크루엘라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2> → || 2021년 25주차 || || 크루엘라 || {{{#fcbf49 '''크루엘라''' }}}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argentin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콜롬비아]] === ||<-5> {{{#ff0000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1년 20주차 ||<|2>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 || 언홀리 || {{{#ffd700 '''크루엘라'''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2> → || 2021년 25주차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ffd700 '''크루엘라''' }}}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 2021년 25주차 ||<|2> → || '''2021년 26주차''' ||<|2> → || 2021년 27주차 ||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ffd700 '''크루엘라''' }}} || [[블랙 위도우(영화)|블랙 위도우]]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olomb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홍콩]] === ||<-5>
{{{#ffffff '''홍콩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1년 21주차 ||<|2>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de2408 '''크루엘라''' }}} || [[콰이어트 플레이스 2]]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2> → || 2021년 25주차 || || [[콰이어트 플레이스 2]] || {{{#de2408 '''크루엘라''' }}} || [[루카(애니메이션)|루카]]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러시아]] === ||<-5>
{{{#d52b1e '''러시아 흥행 1위 영화''' }}} || || 2021년 22주차 ||<|2> → || '''2021년 23주차''' ||<|2> → || 2021년 24주차 || || [[콰이어트 플레이스 2]] || {{{#ffffff '''크루엘라''' }}} || [[루카(애니메이션)|루카]]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cis/|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러시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프랑스]] === ||<-5>
{{{#ffffff '''프랑스 흥행 1위 영화''' }}} || || 2021년 24주차 ||<|2> → || '''2021년 25주차''' ||<|2> → || 2021년 26주차 || ||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 || {{{#ffffff '''크루엘라''' }}} || [[피터 래빗 2: 더 런웨이]]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franc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프랑스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기타 == * 남작 부인 캐릭터는 엠마 톰슨 캐스팅 전에 [[니콜 키드먼]]을 비롯해 [[샤를리즈 테론]], [[줄리안 무어]], [[데미 무어]]가 후보로 올랐다.[[https://www.imdb.com/title/tt3228774/trivia?ref_=tt_ql_trv_1|#]] * 전작의 크루엘라를 맡았던 [[글렌 클로즈]]는 엠마 스톤의 연기 감수와 제작 일부에 참여했다. * 한국어 더빙은 [[디즈니+]]를 비롯한 VOD로 공개되었다. 한국어 더빙의 제작은 크루엘라 역을 맡은 성우 [[소연(성우)|소연]]의 [[https://www.instagram.com/p/COjevtlMfjJ|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되었고, 소연은 예고편의 나래이션도 담당했다. * 영화 상영 중 [[광과민성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장면이 있다. 영화관에서도 주의사항을 붙여놓고 있으므로 해당 증상이 있다면 관람에 주의할 것. * 블랙 앤 화이트 파티에서 빠져나올 때 사용했던 음식 위의 들쥐는 실제 쥐이다.[[https://youtu.be/YdJfArJiP4Q|#]] * 작중 나오는 자동차 '드 빌'은 원작에서도 비슷하게 나오는데, [[캐딜락 드 빌]]과 이름만 같은 [[https://en.m.wikipedia.org/wiki/Panther_De_Ville|팬서 드 빌]]이라는 자동차로, 영화 후반부에서도 나오듯 '크루엘라 드 빌' 이름의 모티브가 된다. 전 세계 60대밖에 없는 희소한 차량으로, [[재규어]] 사의 직렬 6기통과 V형 12기통 엔진이 장착되었다. 30-40년대의 앤티크한 외형이 특징. * 쿠키 영상이 있다.[*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와 비슷하게 연계된다. ] * 엠마 스톤이 디즈니의 담배 흡연씬 금지로 인해 흡연을 하지 못해 진정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데 있어 힘들었다고 언급했다.[[https://www.indiewire.com/2021/05/emma-stone-disney-smoking-ban-cruella-1234640763/|#]] * 2019년 6월에 엠마 스톤이 [[스파이스 걸스]]의 콘서트를 보러 갔다가 어깨가 탈구되는 바람에 촬영이 잠시 지연된 적이 있다. 나중에 진상이 밝혀지길 실제로는 콘서트 전날에 집에서 나무바닥에 부츠를 신고 미끄러져서 어깨를 다친 것이고, 엠마 스톤은 탈구 상태인 몸을 이끌고 팔짱을 낀 채로 콘서트에 다녀온 뒤에야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었을 만큼 스파이스 걸스에 대한 팬심을 보여줬다고 한다. * 영화의 의상 디자이너 제니 비번[*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로 그해 시상식의 의상상을 쓸어담았다.]이 고생한 역력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크루엘라의 의상만 47개 가량이었으며 남작부인의 것 역시 만만찮게 복장을 만들어야했다고 한다. 비번에 따르면 크루엘라의 복장들은 당시 영국의 펑크문화의 선두주자 [[비비안 웨스트우드]]에게서, 대칭점에 있는 남작부인은 [[크리스찬 디올]]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남작 부인 역을 맡은 엠마 톰슨 역시 남작 부인의 복장들이 [[엘리자베스 테일러]]나 [[조안 크로포드]]같은 고전배우들을 연상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 작 중 크루엘라의 강아지 '버디' 역을 맡은 강아지 바비는 유기견 출신이라고 한다. [[https://extmovie.com/movietalk/65778559|#]] * 속편 제작에 나선다.[[https://deadline.com/2021/06/cruella-sequel-in-early-development-director-craig-gillespie-writer-tony-mcnamara-expected-to-return-1234769847/|#]] 감독, 각본가는 그대로이다. 주인공 크루엘라 드 빌을 연기한 [[엠마 스톤]]이 속편의 출연 계약을 확정지었다.[[https://deadline.com/2021/08/emma-stone-cruella-sequel-deal-scarlett-johansson-lawsuit-disney-1234814551/#pagetop|#]] * 크루엘라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힌 노래로 [[(여자)아이들]]의 "[[TOMBOY((여자)아이들)|TOMBOY]]"와 [[소녀시대]]의 "[[FOREVER 1#Villain|Villain]]"이 있다. * 주인공 여성이 전국을 휘어잡는 패션업계 최강 끝판왕 악녀 보스의 직속 부하직원 으로 들어가 일하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와 은근히 유사한 공통점이 있다. --[[https://blog.naver.com/gonckey/222616139770|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의 디즈니 버젼]]-- * 선미와 콜라보를 한 화보를 공개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310439|#]]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1년)]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include(틀:필름마크)] [include(틀:시그니처 아트카드)] [[분류: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분류: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시리즈]][[분류:월트 디즈니 픽처스]][[분류:디즈니+ 프리미어 액세스]][[분류:2021년 영화]][[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피카레스크]][[분류:스핀오프 영화]][[분류:창고 영화]][[분류:패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