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한미국대사)] || [[파일:photo_christopher_hill.jpg|width=400]] || || Christopher Robert Hill.[br] 크리스토퍼 로버트 힐.[br] 1952.08.10 ~ || [목차] == 개요 == 미국의 외교관이자 대학교 교수. == 상세 == 미국의 외교관으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주한 미대사를 역임. 현재는 덴버 대학교 외교 실무 교수 및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외교관였던 아버지의 근무지인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아버지를 따라 여러 나라에서 생활했다. == 외교관으로서 일생 == [[보든 칼리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아프리카 [[카메룬]]에서 평화봉사단원(Peace Corps)로 자원근무한 경험이 있다. 1977년 [[국무부]]에 입부하여 주[[알바니아]], 주[[북마케도니아|마케도니아]] 대사와 [[코소보]]특사를 역임한 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동남유럽담당 선임보좌관을 거쳐 주[[폴란드]] 대사로 근무했다. 2004년 [[주한미국대사]]로 임명된다. 주한 대사 부임전에는 1980년대 말 주한 미대사관 경제과 1등서기관으로 근무한 적이 있어 한국과도 인연이 있었다. 주한 대사를 물러난 뒤엔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이자 북핵 [[6자회담]]의 미국측 수석 대표로 활동했다. 이후 주 [[이라크]] 대사를 끝으로 외교관을 그만둔다. 현재 미국대학교에서 교수로 정치외교학 및 국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2021년 세르비아 대사로 임명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11015010400071?section=international/all|#]] == 기타 == *교사 출신 아내 줄리 앤 리체크(Julie Ann Ryczek) 사이에서 너새니얼(Nathaniel), 에이미(Amelia), 클라라(Clara) 등 세 명의 자녀가 있다. *외국어는 [[폴란드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 능통하며 [[마케도니아어]]와 [[알바니아어]]도 약간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 당시 북한대표로 나온 [[김계관]] 전 외무상한테 "'거짓말쟁이"'라고 면전에서 핀잔을 들은 적이 있다. *대단한 [[야빠]]이자 [[보스턴 레드삭스]]의 팬으로 2004~05년 2년 동안 대사직을 역임하면서 두산 베어스의 홈경기에서 시구를 하거나 한국 사람들에게 당시 레드삭스로 이적한 [[김병현]]을 소재로 드립을 쳤고, 가장 행복한 순간은 서울에서 레드삭스의 [[2004 월드 시리즈]] 우승을 맛봤을 때였다고(…). *대사직에서 물러난 2006년 말 [[베이징]] 6자 회담 당시는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포스팅 시스템]]을 통한 레드삭스로의 이적이 이루어질 때라,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신분으로 참석하면서 일본 대표에게 "마쓰자카 다이스케 이적이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드립을 치더니, 이적이 확정되자 도쿄 회담에서 [[세이부 라이온즈]] 모자를 쓰고 나타나기도 했다.[[http://blog.cnobi.jp/v1/blog/user/017ca369b55fa57026c7513cdcca0d6f/1182408648|사진]] 이때 북한은 마카오 델타 아시아 은행에 2천 5백만 달러가 예금된 계좌 때문에 여러가지로 이슈가 되고 있었는데, 그는 북한 [[김계관]] 외무부상에게 "마쓰자카 이적료가 5천 1백만이요."라는 말을 건네기도 했다고 한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90577|기사링크]] * 본국으로 귀임 전 할리데이비슨코리아 창립 6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적이 있다. 젊었을 때는 장발의 바이크 라이더였다고.[[https://m.mk.co.kr/news/all/3558111 |힐 前대사 "나도 한때는 모터사이클 마니아"]] [[분류:미국의 외교관]][[분류:1952년 출생]][[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보든 칼리지 출신]][[분류:주한미국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