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br]'''King Abdulaziz International Airport | مطار الملك عبدالعزيز الدولي'''}}} || ||<-2> [[파일: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_로고.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adp-i.com/arabie_saoudite_jeddah_leed_fr.jpg|width=100%]]}}} || ||<-2> IATA: '''JED''' / ICAO: '''OEJN''' || ||<-2> '''{{{#white 개요}}}''' || || '''국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 || '''위치'''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주]] [[제다]] || || '''종류''' ||공용 || || '''운영''' ||General Authority of Civil Aviation || || '''개항''' ||[[1981년]] || || '''활주로''' ||'''16C/34C''' - (4,000 x 60m)[br]'''16L/34R''' - (4,000m x 60m)[br]'''16R/34L''' - (3,800m x 60m) || || '''고도''' ||15 m (48 ft) || || '''좌표''' ||북위 21도 40분 46초[br]동경 39도 09분 24초 || || '''웹사이트''' ||[[https://www.kaia.sa/|[[파일: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_로고.jpg|width=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King Abdulaziz International Airport,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주]] [[제다]]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1981년에 개항했다. 공항의 이름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 국왕인 이븐 사우드를 본따서 명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3번째로 큰 국제공항[* 공항 부지 면적 기준. 1위는 [[담맘]]에 있는 [[킹 파드 국제공항]], 2위는 [[리야드]]의 [[킹 칼리드 국제공항]]. 다만 터미널 규모는 이곳 킹 압둘아지즈 공항이 훨씬 큰데, 이유는 당연히 '''[[메카]]'''. 성지순례 때문에 생긴 항공 수요가 엄청나기 때문. ]으로, 하지 터미널, 북쪽 터미널, 남쪽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항의 큰 의미는 바로 '''[[메카]]로 가는 성지순례를 위해 이용되는 곳'''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이 공항이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1990년]] 이전 [[대한항공]]이 유럽에 취항했을 때 당시에는 [[냉전]] 시기라서 [[소련]] [[영공]]을 통과할 수 없었고, 여객기는 [[항속거리]]가 짧았다. 당시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해 [[돈므앙 국제공항|방콕(돈므앙)]]을 경유한 뒤, 이 공항을 한 번 더 경유해서 [[취리히 국제공항]]로 가는 항로가 있을 정도로 유럽으로 가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다. 이후 [[1997년 외환 위기]]로 단항되었다가 2012년에 복항하여 [[킹 칼리드 국제공항|리야드]] 경유로 재취항했다. 당시에는 중동 플랜트 수주 호황의 영향으로 왕래가 많았다. 하지만 중동 플랜트 수주 부진과 기존 플랜트 프로젝트 종료의 영향으로 왕래가 줄면서 2017년 2월에 다시 운휴했으며, 2018년 3월에 [[대한항공]]이 [[사우디아라비아]]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8/03/22/2018032210066.html|운수권을 반납]]하고 완전히 단항했다. 그래서 [[사우디아 항공]]이 2022년 대한민국에 복항하기 전까지는 한동안 [[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에서 [[에미레이트 항공]] 및 [[사우디아 항공]]과 연계했다. 2023년에는 [[사우디아 항공]]도 [[킹 칼리드 국제공항|리야드]]로 단축 해버려서 두바이와 리야드에서 연계될 예정이다. 북쪽 터미널은 다양한 국제 항공사들이 취항하고 있으며, 남쪽 터미널은 [[스카이팀]]의 일원인 [[사우디아 항공]]을 포함해서 [[스카이팀]] 항공사들이 운항 중이다. 그 외에 하지 터미널이 있는데 이 내용은 후술될 문단 참조. 하지 터미널을 뺀 두 메인 터미널 모두 [[탑승교]]가 없고 비행기들은 전부 터미널에서 저금 떨어진 주기장에 주차하며, 터미널에서 [[공항 작업차량#램프버스|램프 버스]]를 타고 주기장으로 가서 비행기를 타게 된다. 그러다가 나중에 남쪽 터미널 동쪽으로 공항이 확장되고 새 터미널이 생겼으며 이쪽 터미널에 드디어 탑승교가 생겨서 곧바로 비행기에 탈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영향|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러시아가 [[항공자유화협정]]을 파기하면서, 한국/일본과 유럽을 오가는 항공기들이 다시 제다 등 [[아라비아 반도]] 경유로 바꿀 수도 있다고 예상되었지만 중국 영공은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에 2023년 현재는 한국/일본-중국 신장지구-카자흐스탄-카스피 해-흑해 남부로 우회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앵커리지를 거쳐 북극항로로 우회하고 있다. 아무리 러시아 영공을 우회한다고 해도 이곳에 기착할 정도로 현대 광동체 항공기들의 항속거리가 그렇게 짧지는 않다. == 성지순례를 위한 터미널 == [youtube(W8ewihocRXE)] 위 동영상에 이 공항을 이용한 성지순례 절차가 잘 설명되어 있다. 하지 터미널은 평소에는 잘 쓰이지 않다가 성지순례 기간(하지 기간)이 되면 최대 '''8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 터미널은 '''세계 최대 터미널'''으로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두바이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보다 크다. 수많은 [[무슬림]][* [[이슬람]]이 국교인 국가들도 있지만 [[터키]], [[인도네시아]]와 같이 이슬람이 국교는 아닌데 단순히 무슬림들이 많은 곳에서도 찾아오고, 무슬림이 적은 곳에서 사는 무슬림들도 제 발로 어떻게 [[환승]]해서 찾아온다.]들이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 터미널 기능 말고도 [[모스크]], 상점 등이 크게 밀집되어 있다. 2019년 9월 이전까지만 해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한 걸프 연안국([[쿠웨이트]]와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국민을 제외한 외국인이 단순한 관광 목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다. 심지어 무슬림조차도. 따라서 [[성지순례]]자의 경우 [[성지순례]]용 비자가 따로 있으며, 이 비자를 통해 [[제다]]에 도착한 사람들은 하지 터미널에 강제 수용된 뒤 지정된 버스를 타고 [[메카]]에 다녀온다. 이 지역 이외의 다른 곳으로는 절대 갈 수 없었다. 즉, [[메카]]만 둘러보고 기도하고 가라는 뜻. 2019년 9월부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관광 비자가 발행되기 시작한 후에는 다른 곳에 갈 수 있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49개국에는 전자 비자[[https://visa.visitsaudi.com|#]]가 발행 가능하다. [[하라마인 고속철도]] 역도 이곳에 있다. 해당 철도 역시 성지순례 편의가 중요 건설 목적이니 당연히 여기도 정차역이 있다. == 운항 노선 == === 북쪽 터미널 === ||<:>'''항공사'''||<:>'''편명'''||<:>'''취항지'''|| ||<:>[[걸프에어]]||<:>GF||[[바레인 국제공항|바레인]]|| ||<:>나일 항공||<:>NP||알렉산드리아, [[카이로 국제공항|카이로]]|| ||<:>[[로열 브루나이 항공]]||<:>BI||'''계절''' : [[브루나이 국제공항|브루나이]]|| ||<:>[[로얄 요르단 항공]]||<:>RJ||[[퀸 알리아 국제공항|암만]]||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BG||[[샤잘랄 국제공항|다카]], 치타공[br]'''하지''' : 실렛|| ||<:>사피 항공||<:>4Q||[[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카불]]|| ||<:>[[스리랑카 항공]]||<:>UL||콜롬보|| ||<:>[[스쿠트 항공]]||<:>TR||[[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수단 항공]]||<:>SD||[[하르툼 국제공항|하르툼]]|| ||<:>샴 윙스 항공||<:>6Q||[[다마스쿠스 국제공항|다마스쿠스]]|| ||<:>아프리카야 항공||<:>8U||트리폴리[br]'''계절''' : 베이다, 벵가지|| ||<:>[[에어 알제리]]||<:>AH||[[알제 우아리 부메디엔 국제공항|알제]]|| ||<:>[[이집트 항공]]||<:>MS||알렉산드리아, [[카이로 국제공항|카이로]]|| ||<:>이집트 항공 익스프레스||<:>||'''계절편''' : 샤름 엘 셰이크[* 시나이 반도에 있는 도시. 휴향지로 잘 알려지기도 하며 휴가철에는 전 유럽에서 전세편, 계절편을 띄워서 보낸다. 휴가철 한정으로 국제공항 같이 붐빈다. 하지만 이집트 혁명 이후 치안이 불안하고 테러가 터지면서 위태로운 실정이다. ]|| ||<:>[[에게안 항공]]||<:>A3||[[아테네 국제공항|아테네]]|| ||<:>[[에미레이트 항공]] ||<:>EK||[[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에어 아라비아 이집트||<:>E5||알렉산드리아|| ||<:>[[에어아시아 엑스]]||<:>D7||'''계절'''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스파이스 제트||<:>SG||[[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뭄바이]]|| ||<:>[[에리트레아 항공]]||<:>B8||아스마라|| ||<:>[[에티오피아 항공]]||<:>ET||[[아디스아바바 볼레 국제공항|아디스아바바]]|| ||<:>[[오만 항공]]||<:>WY||무스카트, 샬랄라|| ||<:>유나이티드 에어웨이즈[* 방글라데시의 항공사]||<:>4H||[[샤잘랄 국제공항|다카]], [[진나 국제공항|카라치]]|| ||<:>유테이르 항공||<:>UT||'''하지''' : [[마가스]][* 러시아 인구시 공화국의 수도]|| ||<:>[[영국항공]]||<:>BA ||[[런던 히스로 공항|런던(히스로)]]|| ||<:>자지라 항공 ||<:>J9||[[쿠웨이트 국제공항|쿠웨이트]]|| ||<:>인디GO||<:>6E||코치|| ||<:>[[제트 에어웨이즈]] ||<:>9W||[[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뭄바이]]|| ||<:>[[중동항공]] ||<:>ME||베이루트|| ||<:>[[쿠웨이트 항공]] ||<:>KU||[[쿠웨이트 국제공항|쿠웨이트]]|| ||<:>[[튀니스에어]] ||<:>TU||[[튀니스 카르타고 국제공항|튀니스]]|| ||<:>[[플라이두바이]]||<:>FZ||[[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말린도항공]]||<:>OD||[[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 남쪽 터미널 === ||<:>'''항공사'''||<:>'''편명'''||<:>'''취항지'''|| ||<:>[[케냐항공]]||<:>KQ||뭄바사|| ||<:>[[가루다 인도네시아]]||<:>GA|| || ||<:>[[사우디아 항공]]||<:>SV||이즈미르, 마라케시, 얀부(Yanbu)|| ||<:>[[플라이나스]]||<:>XY|| || == 기타 == 연착 등의 사유로 인하여 비행기를 놓쳤을 경우에 상당히 큰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관광 비자 발급이 어렵기 때문에 공항 밖에 나갈 수가 없는데, 이 때문에 항공사 과실로 인하여 경유편을 놓친 경우에도 호텔 등의 숙박권 등을 제공하지 않는다.[* 만약의 경우 비자가 있는 경우에는 숙소를 알아봐주긴 한다. 이 경우에도 성지순례용 비자는 해당이 안 된다. 정확히는 사우디 여건으로 인해 항공사가 한없이 베풀어주고 싶어도 그렇지 못하는 것이 한계다.] 북부 터미널에는 그나마 PP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라운지가 있지만 남부 터미널 라운지는 비지니스/퍼스트 클래스 전용 라운지이기 때문에 별수 없이 공항 벤치에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 [[사우디아 항공]]이 연착이 자주 되는 편이기 때문에 혹시나 이 공항을 경유하는 경우 여유 시간을 충분히 가지도록 하자. == 상세 == * [[공항/목록]] [[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