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타이위안, other1=해당 도시의 이름을 딴 옛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구축함 '타이위안', rd1=프로젝트 7형 구축함, other2='벽람항로'의 캐릭터, rd2=타이위안(벽람항로))] [include(틀:중국의 성도)] [include(틀:산시성(산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산서성)|{{{#000,#ddd 산시성}}}]]의 성도'''}}} || ||<-3> {{{#ff0 '''{{{+1 타이위안시}}}'''[br][ruby(太原, ruby=Tàiyuán)][ruby(市, ruby=Shì)] | [ruby(太原, ruby=Tai3ye1)][ruby(市, ruby=Si3)][br]Taiyu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太原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싱화링구 신젠루69호[br]山西省太原市杏花岭区新建路69号 || ||<-2> '''{{{#ffff00 지역}}}''' || [[화베이]] || ||<-2> '''{{{#ffff00 면적}}}''' || 6,959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6구 1현급시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304,061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760명/km² || ||<-2> '''{{{#ffff00 HDI}}}''' || 0.787 ^^(2016)^^ || ||<-2> '''{{{#ffff00 서기}}}''' || 웨이타오(韦韬)^^([[좡족]])^^ || ||<-2> '''{{{#ffff00 시장}}}''' || 장신웨이(张新伟)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71억 2,700만 ^^(2020)^^ || || '''{{{#ffff00 1인당}}}''' || $13,233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국화]] || || '''{{{#ffff00 시목}}}''' || [[회화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晋A'''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병주|'''并''']]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4'''0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51''' || ||<-2> '''{{{#ffff00 우편번호}}}''' || '''03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X-01''' ||}}}}}}}}} || ||<-3> [[http://www.taiyuan.gov.cn/|홈페이지]] || [[파일:타이위안 중국 1.jpg|width=450]] [[파일:타이위안 중국.jpg|width=450]] 명대에 세워진 쌍탑사의 두 탑과 시가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도시]]. 중국 [[산서성]](山西省)의 성도이다. 역사가 유구한 도시이고, 시가지 서남쪽의 진위안이 구시가지이다. 지급시의 관할 인구 530만명 중 시가지에만 무려 400만 이상이 거주하는 매우 큰 규모의 도심을 자랑한다. 한국인들은 대만 [[타오위안시]]의 이름을 타이위안으로 오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혀 다른 도시이다. == 역사 == [[파일:타이위안 고성 중국.jpg]] 진위안구의 타이위안 고성 (봉황성). [[핑야오 고성]]과 함께 산서 양대 고성이다. 춘추시대 [[조간자]]가 건설한 도시로, 건설한 당시에는 진양(晉陽)이라고 불렀다.[* [[삼국지 시리즈]] 에서 나오는 그 진양이다.] [[진(희성)|진]](晉)나라 말엽 지(智)씨가 멋대로 권력을 휘두르고 땅을 요구하자 이곳에 들어가 항전하였고, 지씨의 위세에 밀려 어쩔 수 없이 출전한 [[한(전국시대)|한]](韓), [[위(전국시대)|위]](魏)씨를 회유하여 지씨를 역관광시켰다. 결국 한씨, 위씨와 함께 진의 영토를 나누어 가진 [[삼가분진]]은 [[춘추시대]]에서 [[전국시대]]로 넘어가는 분기점이 된 사건으로, 태동기부터 역사적인 의미를 가진 도시라고 볼 수 있다. 이후 조나라의 초기 수도였으나, 이후 조나라는 보다 교통이 편리한 [[한단]]으로 천도하였다. [[전한]] 대에는 태원군(太原郡)이라 하여 [[병주]]에 속하며 북방 방위의 중요 군사도시였다. 지금의 베이징이 속한 유주와 수도 낙양이 속한 사예를 잇는 교통의 요지이면서도 흉노와의 접경지대였기 때문이다.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 때에는 [[고구려]]가 [[모본왕|침입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태원군의 치소(治所)는 진양현(晉陽縣)에 있었다. 즉 진양은 태원의 군청 소재지. [[남북조시대]]에는 평안(平安)이라고도 불리웠으며 유목지대와 농경지대의 분계지로써 [[북위]]의 초기 수도 [[평성]](平城)에 이어 고려된 천도 후보지이자 [[이주영]], [[북제]]의 창건자 [[고환(남북조시대)|고환]]의 본거지로 북조 제2의 수도로 중요 요충지였다. [[당나라]]가 들어서서는 제1수도 장안, 제2수도 낙양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제3의 수도로까지 위치가 격상했다. 대 돌궐 전선을 총괄하는 사령부가 설치된 곳이면서도 당의 건국자인 [[당고조]]가 태원 유수로 거병한(진양기병: 晉陽起兵) 왕조의 발상지였기 때문이다. 당나라는 [[안사의 난]]에서 장안과 낙양을 잃었음에도 태원만은 지켜내었고, 이는 전황이 당나라로 다시 기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오대십국시대]]에는 [[후당]], [[후진]],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의 발원지로 [[태종(송)|송태종]]이 멸망시키기 전까지 꾸준히 중원을 위협하기도 하였다. 이후 [[송나라]]의 북방 방위에 있어 역시 중요한 축을 담당하였다. [[연운 16주]]를 되찾지 못하는 이상 태원은 사실상 북방 경계의 최전선이었다. 송나라 때부터 보편화된 석탄과 타이위안 주위에 풍부하게 매장된 석탄이 맞물려 북중국 수공업의 중심으로 발돋움하였다. [[명나라]]와 [[청나라]]대에는 상공업이 발전하여 경제도시로 발돋움하였다. [[청나라]] 멸망 후에는 [[옌시산]]이 이끄는 [[염계군벌]]의 근거지가 되었다. 산시의 왕이라 불렸던 옌시산은 차관을 들여오고 외국 지식인들을 초빙하거나 [[타이위안 병공창]] 등의 여러 공장을 세우면서 경제를 발전시켰다. [[중일전쟁]]이 발발했을 때 일본군에게 점령되었으나 일본군이 항복한 후 옌시산이 다시 장악했다. [[국공내전]]에서 가장 끈질기게 버틴 국민당 근거지였으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패배하면서 공산군에게 점령되었다. 옌시산은 대만으로 탈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설립한 뒤에는 석탄을 바탕으로 한 철강 등의 중공업이 발달하였다. 가령 상술한 타이위안 병공창의 후신이라 할 수 있는 타이강(TISCO)의 경우 세계 1위의 [[스테인리스강]] 생산량을 자랑하는 업체가 되었다. 오늘날에는 [[중국바오우강철집단]] 소속이다. == 교통 == [[파일:중국 타이위안.jpg|width=790]] 타이위안역 산시성 최초 도시철도 [[타이위안 지하철]]의 2호선이 [[2020년]] [[12월 26일]] 개통하였다.[* 2호선은 기차역과 연계되어 있지 않다.] == 기타 == [[파일:중국 고성 위성 이집트.png]] 타이위안 고성 위성사진 [[펀허 강]]이 흐르는 지역 중 하나로, 펀허관광지구가 이 곳에 위치해 있다. [[분류:산시성(산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성도]][[분류:중국의 옛 수도]][[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