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임머신)] === 개별 문서 === * '''[[타임머신(소설)|타임머신]]''': 타임머신을 최초로 고안한 소설이다. * [[타임머신(텔레비전 프로그램)|타임머신]]: [[MBC]]에서 방영했던 전 재연 프로그램 * [[타임머신(VOCALOID 오리지널 곡)|타임머신]](タイムマシン): [[VOCALOID 오리지널 곡]] === 롯데제과에서 출시했던 아이스콘 === || [youtube(uRlYJWaZPJM)] || [[1990년]], [[롯데제과]]에서 출시했던 [[아이스콘]]으로, '과거로 가자 뿅뿅~ 미래로 가자 뿅뿅~' 이라는 대사의 CM이 인상적이었다. 참고로 과거 [[원시시대]] 장면에서 나온 [[공룡]]은 다름 아닌 [[고대괴수 고모라]](...). === [[e스포츠]] 용어: 방음 부스 === [[프로게이머]]들이 시합 때 들어가는 [[방음 부스]]를 뜻한다. 이름의 유래는 모양이 마치 타임머신을 연상케 한다는 것. 원래는 결승전 때만 사용되는 특별 부스 개념이었다가, [[최연성]]이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16강에서 [[안기효]]와 경기를 할 때[* [[안기효]]가 몰래 [[스타게이트]]로 캐리어를 뽑고 있었고, 최연성이 벌처로 정찰을 하다 그 지역 근처를 스쳐 지나가려는데 팬들의 샤우팅이 일어나자 '''갑자기 방향을 돌리면서 [[스타게이트]]를 발견했다.''' 사실 이는 명백한 귀맵 행위였음에도 [[안기효]]가 승리해서 그렇게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귀맵]] 논란을 일으킨 후 사용되게 되었다. [[온게임넷]]에서는 개국 초기부터 야외 결승전을 할 때마다 타임머신을 사용해왔는데, 결승전의 무대 스타일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었다. 또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시절부터 타임머신을 설치했고, [[1인칭 슈팅 게임|FPS]]와 [[AOS(장르)|AOS]] 게임을 위한 5~6인용 타임머신도 선을 보였다. [[MBC GAME]]은 [[우주닷컴 MSL]] 때부터 사용해왔다. 보통 박스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에서는 360도로 투명하게 보이는 원통형 타임머신, [[SKY 프로리그 2004 2Round|2Round]] 결승에서는 피라미드 모양의 타임머신을 선보이기도 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발달한 덕분에 실내 경기장은 대부분 부스 없이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 [[macOS]]의 백업 솔루션 === || [[파일:attachment/타임머신/타임머신_아이콘.png|width=100%]] || || 좌: OS X Mavericks와 그 이전의 타임머신 로고[br]우: OS X Yosemite 이후의 타임머신 로고 || || [[파일:external/www.hongkiat.com/timemachine01.png|width=100%]] || || OS X Mavericks와 그 이전의 타임머신 UI || || [[파일:external/9to5mac.files.wordpress.com/screen-shot-2014-07-07-at-1-04-58-pm.png|width=100%]] || || OS X Yosemite 이후의 타임머신 UI || || [youtube(RDPzVdohrck)] || || 타임머신 활성화 방법과 시연 동영상. [[AirPort Time Capsule|타임 캡슐]] 설정법도 동봉되어 있다. 이전 [[맥]]에서 새로 구입한 맥으로 타임머신을 통해 이전하는 법도 담겨있다. || [[OS X|Mac OS X]] 10.5 Leopard부터 지원되기 시작한 [[백업]] 솔루션. 미려한 인터페이스와 쉬운 사용으로 설정에 따라 부트캠프까지 타임머신에 태울 수 있다. 또한, 무언가가 변화가 있던 시점에 파일이 저장되기 때문에 변화가 있던 시점으로 가서 현재로 가져올 파일 혹은 항목, 혹은 전체를 이전과 같이 복원시킨다. 출시 초창기에는 반응이 미지근했지만, [[NAS(저장장치)|NAS]]나 [[외장하드]]등 외부 저장매체가 흔해진 지금은 쓰기 편해졌다. 특히나 [[NAS(저장장치)|NAS]]를 쓰는 사람이라면 설정 이후 따로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1시간마다 알아서 무선으로 백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애플]]의 철학인 사용자가 세세한 것까지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돌아가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NAS(저장장치)|NAS]]사용자라면 반드시 필수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기능이다. 혹은 내장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누는 것으로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 기능에 특화된 [[AirPort Time Capsule|타임 캡슐]]이라는 물건도 있다. 자동으로 백업되도록 타임머신을 계속 켜 놓는다면 기본적으로 백업용으로 지정된 (저장 장치의) 파티션이 가득 찰 때까지[* 오래된 타임머신 설정을 지우는 설정도 있다.] 1시간마다 모든 변경 사항이 백업된다. 어느 시점이라도 되돌아갈 수 있으니 그야말로 '타임머신'. 용량 관리를 위해서는 백업에서 제외할 항목을 알맞게 지정하고, 적절한 용량으로 설정된 파티션에 백업하며, 백업을 원할 때마다 직접 타임머신을 켜는 것이 좋다. 타임머신의 백업 방식은 [[ZFS]]와 같은 스냅샷 방식이다. 그래서 처음엔 스냅샷 크기가 엄청나지만, 나중에 가면 스냅샷 크기가 몇십메가 정도의 크기로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스냅샷 때문에 백업 파일이 어지간히 손상당해도 그 이전의 백업 파일에 접근할 수 있어서 안정성이 좋으며, 타임머신 로컬 스냅샷이라고 타임머신의 스냅샷을 빨리 찍기 위해 [[맥]]의 저장공간에 어느정도 용량을 차지하기도 한다. 물론 이것도 끌 수 있긴 하다. 사실 어떠한 [[운영체제|시스템]]을 사용하건, [[백업]]은 사실상 필수이므로, 가능하다면 아낌없이 애용해주자. === [[소녀시대]] 일본 정규앨범 1집 리패키지 《The Boys》 4번 트랙 Time Machine === [[2011년]] [[12월 28일]]에 발매된 [[소녀시대]]의 일본 첫번째 정규 앨범 리패키지의 수록곡이다. 일본 정규 1집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며, 리패키지되면서 수록되었다. 뮤직비디오도 있다. 타이틀곡이 좋지 않은 평을 받았던 거에 비해 꽤나 좋은 평을 들었다. 주제는 1번 문단과 동일하다. === [[Waterflame]]이 작곡한 음악 === [[http://www.newgrounds.com/audio/listen/291458|들으러 가기]] 동명의 영화 속의 음성을 첨가했다고 한다. 게임 [[Geometry Dash]]의 8스테이지 [[BGM]]으로도 사용되었다. [[Time Machine(Geometry Dash)|Time Machine]] 문서 참조. === 1992년 [[웅진미디어]]에서 개발된 교육용 소프트웨어 === [[1992년]]에 발매된 5.25인치 디스크 1장 사이즈의 교육용 게임이다. 게임 형식은 과거 브로드번드 사에서 만든 카멘 샌디에고 시리즈와 흡사하나, 단순하게 축약했다. 플레이어는 타임머신을 타고 제한시간 내에 [[문화재]]를 약탈한 [[악당]]을 찾는데, 역사 퀴즈를 푸는 것으로 정답을 맞추면 범인의 [[몽타주(회화)|몽타주]] 일부를 얻게 되고, 완성된 몽타주로 체포 영장을 받아 범인을 체포하는 형식이다. 범인을 추적하기 위하여 타임머신으로 시대를 이동하려면 연료가 필요한데, 연료 소진이나 퀴즈 오답 등으로 범인이 도주하는데 성공하면 미션에 실패한다. 2개의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한국사]] 퀴즈, 또 다른 하나는 [[세계사]] 퀴즈가 있다. 범인을 몇 명 검거하다 보면 범인들의 조직을 향해 미사일을 조준해 날려서 부수는 약간의 액션성도 있었다. 처음에는 무척 간단하지만, 갈 수록 퀴즈 난이도가 증가하고, 조직의 아지트를 부수면 칭호를 얻게 되는데, [[씨름]]에서 따온 것 마냥 묘향역사(?), 금강역사, 한라장사, 백두장사 등으로 칭호가 올라가며, 백두장사가 가장 높은 칭호이다. === [[1980년대]] [[미국 드라마]] 타임머신 === 원제목은 보이저스!(Voyagers!) [[1982년]] [[10월 3일]]부터 [[1983년]] [[7월 10일]]까지 [[NBC(미국 방송)|NBC]]에서 방영했다. 한국에서는 [[1983년]] [[10월 16일]]부터 [[1984년]] [[3월 3일]]까지 [[KBS2]]에서 [[일요일]] 오전 9시 50분에서 10시 20분 사이로 시간을 여럿 옮겨 [[더빙]] 방영한 제목이 타임머신. [[타임 코스모스]] 항목에서도 나오듯이 [[아기공룡 둘리]]에서 이 드라마가 잠깐 나온다. 극중 둘리가 보던 텔레비전 화면이 바로 이 드라마다. [[도우너]]가 보고 우리별에서 저런 타임머신은 구닥다리라고 말하는 것도 이 드라마를 보고 말한 것이었다. [[역사개변]]을 방지하는 [[시간 경찰|미래의 정부기관]] 요원 [[피니어스 보그]][* 성우: [[김도현(성우)|김도현]]]와 [[1982년]] 당시에 살던 소년 제프리 존스[* 성우: [[박영남]]. 위에 예시로 든 아기공룡 둘리의 성우이다.]. 두 주인공이 [[회중시계]] 형상의 타임머신을 가지고 여러 시대를 오고가는 이야기로 [[타이타닉]]이 침몰하기 전이라든지 여러 역사적인 실화를 곁들어 그려냈다. 이 타임머신은 역사개변 위험성이 있는 시간대에 자동으로 주인공들을 보내주는데, 보그의 타임머신은 이 시간대에 어떤 위험이 있는지 알려주는 기능이 고장나 있어 주인공들이 좌충우돌하며 현재 상황을 알아내느라 개고생을 하여 역사를 바로잡는 것이 주된 플롯. [[전구]]를 개량하려던 [[에디슨]]이 타임머신의 LED를 보고 신기하게 여겨 다 뜯어 분해하는 통에 난리가 나기도 하고, 마지막에 겨우 고쳐 다른 시대로 가는데 [[에디슨]]이 가기 전에... 이 전구 혹시 어찌 개량할지 아냐고 묻자 [[필라멘트]]를 써보라고 보그가 말하고, 존스랑 같이 타임머신으로 사라지는 에피소드도 있았다. 시즌 1, 13편만 방영하면서 인기는 그다지 없었다고 알려졌지만, 주연인 보그를 맡은 존 에릭 힉섬은 그야말로 듣보잡임에도 편당 1만 달러라는 당시 기준으로 꽤 큰 돈을 받았으며 시즌 2도 사실 기획되었었다. 그러나, 이 드라마 성공으로 차기작 드라마 [[특수공작원 아이언맨]]에 나온 주연 존 에릭 힉섬이 공포탄으로 장난치다가 죽는 사고(!)가 터지면서 끝내 영원히 시즌 2는 나오지 않게 되었다. 아역 제프리 존스를 맡은 배우 미노 펠루체는 커서 배우를 그만두고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anchor(OTT)] [[IPTV]], [[OTT]], [[스트리밍]] 서비스의 [[실시간]] 방송에서 경과 부분의 재 시청 기능 === [[IPTV]]와 [[OTT]] 일부 서비스와 [[스트리밍]] 서비스의 [[실시간]] 방송에서 경과 부분의 재 시청 기능이다. 이 서비스의 등장으로 방영 시간을 꼭 맞출 필요성 닥치고 본방 사수 등의 수고를 감소하는 기여를 초래했다. [[IPTV]]는 모두 가능하고, [[OTT]]는 대표적으로 [[Wavve]], [[TVING]]에서 제공한다.[* [[:파일:웨이브 타임머신.jpg|웨이브 측 타임머신 기능 설명]]][* [[:파일:티빙 타임머신.jpg|티빙 측 타임머신 기능 설명]]] OTT의 실시간 방송 제공목록은 [[OTT/실시간 방송]]의 [[OTT/실시간 방송#s-3|이 부분]] 참조. wavve 포함 총 3편 정도이다. === [[프로레슬링]] 스테이블 === |||||||||||| [[파일:fa746-16615518755757-1920.jpg|width=700]] || ||<-6> [[TNA|{{{#FF0000 '''TNA'''}}} {{{#FFFF00 '''WRESTLING'''}}}]] || || '''팀명''' ||<-5> '''Time Machine''' [br] '''Time Splitters''' || || '''멤버''' ||<-2> [[크리스 세이빈]] [br] (Chris Sabin) || [[알렉스 셸리]] [br] (Alex Shelley) || [[KUSHIDA]] [br] (KUSHIDA) || [[케빈 나이트]] [br] (Kevin Knight) || || '''생년월일''' ||<-2> [[1982년]] [[2월 4일]] ([age(1982-02-04)]세) || [[1983년]] [[5월 23일]] ([age(1983-05-23)]세) || [[1983년]] [[5월 12일]] ([age(1983-05-12)]세) || [[1997년]] [[1월 1일]] ([age(1997-01-01)]세) || || '''출신''' ||<-2> [[미국]] [[미시간|미시간 주]] 피크니 || [[미국]] [[미시간|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도쿄도]] [[오타구|오오타구]] ||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 || '''신장''' ||<-2> 180cm || 178cm || 175cm || 183cm || || '''체중''' ||<-2> 93Kg || 98Kg || 85kg || 91kg || || '''SNS''' ||<-2> [[https://www.instagram.com/projectsab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uperchrissabin,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tastethediff/|[[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akekinkade,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kushida_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jet2fly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et2Flyy, 크기=24)] || === [[164(프로듀서)]]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임머신(VOCALOID 오리지널 곡))] === [[SEKAI NO OWARI]]의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タイムマシン(SEKAI NO OWARI))]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임머신, version=729)]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