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소규모 자동차 브랜드)] ||<-2>
{{{+1 {{{#ffffff '''타타대우상용차'''}}}}}}[br]{{{#ffffff '''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 || ||<-2> [[파일:타타대우상용차 기본CI.jpg|width=300]] || ||<-2> CI(국문) || ||<-2> [[파일:타타대우상용차 CI.svg|width=270]] || ||<-2> CI(영문) || ||<-2> [[파일:타타대우상용차 BI.svg|width=200]] || ||<-2> BI[* 2018년형부터는 전차종에 BI를 사용한다.] || ||<|2> '''기업명''' ||'''정식''': 타타대우상용차주식회사 || ||'''영문''': 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 Co., Ltd.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2002년]] [[11월 1일]] || || '''모기업''' ||[[타타자동차]] || || '''전신''' ||[[대우자동차]]^^(트럭 부문)^^ || || '''업종명''' ||화물차량 및 특수목적차량 제조업 || || '''대표이사''' ||김방신 || || '''슬로건''' ||'''인생 트럭, 고객의 마음을 움직입니다[br]Carry Anything Anywhere''' || || '''기업 분류''' ||[[중견 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매출액''' ||8,807억 4,106만 원^^(2022년)^^ || || '''영업 이익''' ||291억 8,314만 원^^(2022년)^^ || || '''당기 순이익''' ||237억 786만 원^^(2022년)^^ || || '''직원 수''' ||1,159명^^(2022년)^^ || || '''주소''' ||[[전라북도]] [[군산시]] [[동장산로]] 172 ([[소룡동]]) || || '''웹 사이트''' ||[[http://tata-daewo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쎈 & 맥쎈.jpg|width=100%]]}}}|| || 대표 모델인 [[타타대우 구쎈|구쎈]] & [[타타대우 맥쎈|맥쎈]] || 전신은 [[대우자동차]]의 트럭 제조 부문이었으며[* 1995~1999년까지 [[대우중공업]] 산하였다.] 현재는 [[인도]] [[타타]]그룹 산하의 [[트럭]] 브랜드이다. 대우자동차가 부도날 때 회사가 분리매각되어 승용차 부문은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가 인수해 [[GM대우]]가 되었고 이후 한국GM, [[GM 한국사업장]]으로 변경되었다. 버스 부문은 [[영안모자]]가 인수해 [[자일대우버스]]가 되었으며, 트럭 부문은 2002년에 '''대우트럭'''이라는 별도의 독립법인으로 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해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가 되었다.[* 그래서 인도 수출형 모델은 타타 [[배지 엔지니어링|이름으로 판매된다]].] 당시 인수금액은 1,500억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1992015|관련기사]] 대우 트럭은 라이벌인 현대보다는 국내 시장에서 열세이긴 하지만 대우시절부터 쌓여온 노하우와 가성비쪽으로 전략을 짜면서 국내 트럭시장에서 나름 성공을 거두고 있다. [[대우 차세대트럭|차세대트럭]]의 부분 변경 모델인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와 비교적 최근에 나온 [[타타대우 더쎈|더쎈]], [[타타대우 구쎈|구쎈]], [[타타대우 맥쎈|맥쎈]]이 있다. 2020년 기준 트럭 점유율 35% 안팎을 기록하고 있는데 회사 규모등을 감안하면 현대와 비교해도 딱히 밀린다고 볼 수 없는 수치이다. [* 트럭은 버스와 다르게 수입차의 비중이 꽤 높다. 일단 현대의 트럭자체도 결코 싼 가격이 아닌데다가 수입트럭이 국산보다는 가격보존이 잘 되기 때문에 조금 돈을 더 들이더라도 수입트럭쪽을 구매하는 경향이 높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국산차 5개 메이커 모두가 대형트럭을 생산했지만, 1998년에는 [[쌍용자동차]]가 [[쌍용 SY트럭|SY트럭]]을 단종시킨데 이어 2000년에는 [[삼성상용차]]가 파산하는 흑역사가 있었고, [[기아]]가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현대와 라인업이 중복된다는 이유로(대외적으로는 배기가스 규제 미충족이라는 명분이라고 발표) [[기아 그랜토|그랜토]]까지 단종시켜서 지금은 현대차와 타타대우만 대형트럭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타타대우는 애초부터 트럭만 생산하는 업체였지만, 버스의 생산은 내수용이 전부 자일대우버스가 차지하게 되어있을 정도로 버스는 주로 수출용으로만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계약은 미미하다. 2015년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에는 Tata Motors Limited에 1,815백만원, Tata Motors Thailand Ltd.에 3,671백만원 매출실적을 공시한 바가 있다. == 역사 == === 신진자동차, 새한자동차, GM코리아 트럭사업부 시절 (1967~1983) === 1967년에 [[신진자동차]]의 트럭부문으로 시작했다. 당초에는 [[토요타]]의 DA 계열 대형 트럭과 [[히노자동차]]의 KB 8톤 트럭을 라이센스 생산했으나, [[저우 4원칙]]으로 1972년도를 끝으로 철수하게 된 토요타를 이어 신진자동차가 GM과 새로 계약하며 당시 [[제너럴 모터스]]의 협력사였던 [[이스즈 자동차|이스즈]]의 대형 트럭과 중형트럭 '[[이스즈 엘프|엘프]]'를 라이센스 생산하는 것으로 본격적으로 출발하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1.daumcdn.net/?fname=http%3A%2F%2Ft1.daumcdn.net%2Ftvpot%2Fthumb%2F8d-IbXAVFXw%24%2Fthumb.jpg|width=100%]]}}}|| || 3세대 엘프 || 1973년에 출시된 [[대우 엘프|초기형 엘프]](2세대 엘프를 도입)는 [[일본]]에서의 명성을 그대로 이으며 국내시장에서도 꽤나 선전했다. 1976년에 신진그룹에서 계열분리되어 [[새한자동차]]로 바뀌었을 무렵에 풀체인지를 했고 1978년에는 새한자동차가 대우그룹에 인수되었다. 하지만 새한 엘프는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해 1981년에 강제로 단종되었다.[* 원판 모델인 3세대 이스즈 엘프는 그로부터 3년 후인 1984년까지 생산되다가 4세대 모델로 넘어갔다.] ===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 시절 (1983~2002) === [[자동차공업 통합조치]]에 포함되지 않은 8~15톤급의 대형트럭[* 16톤 이상 초대형 트럭은 당시 생산하는 업체가 없었다.]은 여전히 생산하고 있던 대우차였지만, 1986년에 [[대우 르망|르망]]을 시작으로 [[대우자동차]]는 중형차가 아닌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하기 위한 라인업 추가를 단행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트럭 부문이 다시 부활해 1981년에 단종된 엘프를 '[[대우 엘프|엘프 2]]'로 1987년에 다시 출시하게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rucksplanet.com/elf2_1.jpg|width=100%]]}}}|| || 엘프 2 || 하지만 나름 선전하던 대형트럭과는 다르게 준중형트럭이었던 엘프는 [[현대 마이티|마이티]]와 [[기아 타이탄|타이탄]]에 밀려 1992년에 단종되었으며, 이후 대우의 준중형트럭 계보는 2020년에 더 쎈이 나오기 이전까지 끊기게 된다. 다만, 엘프 자체는 2017년에 원판 이스즈제로 다시 한국에 상륙했다. 1987년에는 일본 닛산의 [[닛산 바네트|바네트]]를 들여와 1톤 소형트럭인 [[대우 바네트]]를 출시한 적이 있었으나, 이마저도 포터와 봉고에게 크게 밀려 1992년 단종되었다. [youtube(9WCUW0WstJU)] 이러한 사정과는 별개로 대우 대형트럭은 1995년 [[대우중공업]] 상용차부문을 대우상용차 이관 후부터 차세대트럭이라는 고유모델로 바뀌어 풀체인지를 했고 이후 노부스로 마이너체인지를 하여 현재까지 장수하고 있다. === 트럭부문 독립, 타타자동차의 인수 (2002~현재) === 1999년에 [[대우중공업]] 산하 상용차사업부인 대우상용차가 대우자동차로 돌아왔으나, 위에서 말했다시피 같은 시기 [[대우자동차]]가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이듬해 부도가 나며 트럭사업부는 2002년에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법인으로 독립했다가, 2004년 7월 인도 최대의 대기업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했다. 적어도 [[한국GM]]이나 [[자일대우버스]]보다는 나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http://blog.naver.com/mindongh12/70096202286|프리마의 결함을 인정하는 모습도 보여줬고 당시 사장이 대형면허를 따서 직접 운전하는 열의도 보여줬다.]]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31|타타대우, 두번 다시 고객에 실망 안준다]] 경영 실적만 봐도 [[제너럴 모터스]]와 [[영안모자]]의 잦은 행패로 매출이 급감하여 8년 연속 영업/순이익 적자에 부채비율이 어마무시한 한국GM과 폐업 절차를 밟은 자일대우버스에[* 자일대우는 2000년대 이후로 4천억 내외에서 오르락내리락하고 있고 영안모자가 신차개발 등에 투자에 사실상 손을 놓은 데다가, 각종 문제점으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부채비율은 날이 갈수록 계속 높아졌으며, 결국 경영악화로 인해 울산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베트남으로 이전하려고 했다가 노조의 반발로 인해 무산되었으나 결국 공장 가동 재개 여부는 사실상 물건너가고 2022년 7월을 끝으로 폐업을 결정했다. 반대로 타타대우는 인도 자국 시장에서도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아프리카 등의 개발도상국에 많이 수출되고 있으며, 계열사 자체가 통신사인 [[타타 도코모]], 재규어, 랜드로버 등을 소유하고 있어서 회사 규모가 차원이 다르다.] 비해 타타대우는 매출이 급감해 적자를 먹더라도 [[르노코리아자동차]]처럼 덜한 편이라서 매출은 꾸준하게 성장 중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얻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100% 아래로 재무구조 또한 매우 우수하다. 2015년 기준으로 매출은 8,796억원, 영업이익은 527억원, 당기순이익은 466억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군납품용 등등의 특수용도로만 판매되던 AWD(4x4, 6x6) 모델의 민간판매를 개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2018년에 2.5톤급 준중형트럭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 후 [[http://www.sangyongcha.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5|기사]], 2020년 12월에 모처럼 신모델 [[타타대우 더쎈|타타대우 더 쎈]]을 출시했다. 더 쎈은 촘촘한 상품구성을 무기로 나름대로 선전한 판매를 보였고,[[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42|#]] 2023년 부분변경을 거쳐 외관을 살짝 변경하고 인테리어도 환골탈태했다. 2022년 1월 20일 프리마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새롭게 내놓은 중형 트럭인 구쎈과 대형 트럭인 맥쎈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선보였다. 타타대우상용차는 2009년 프리마 출시 이후 13년 만에 맥쎈과 중형트럭 구쎈을 출시한 것이다. 향후 전기로 달리는 1톤 트럭의 계획과 개발을 구상하고 있다. [[르노코리아자동차]]도 1톤 트럭을 내놓을 계획에 있지만 1톤 트럭은 현대기아차 독주 시대를 막을 수 있는 또 하나의 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르노코리아와 타타대우도 1톤 트럭 시장에 끼이게 하면 과거 대형트럭의 경합 시대와 비슷한 부흥기가 올지도 모른다. 이외에도 점차 강화되고 엄격한 환경규제에 대비해 2024년 대형트럭 [[타타대우 맥쎈|맥쎈]]에 탑재할 목표로 [[HD현대인프라코어]]와 협력하여 수소 내연기관을 개발하고 있으며, [[타타대우 더쎈|더쎈]]을 기반으로 한 전기 모델은 테스트를 거친 다음 내놓는다. 2011년 [[GM대우]]가 [[한국GM]]으로 법인명을 변경하고, 2022년 [[자일대우버스]]가 폐업하면서 국내에서 사명에 [[대우그룹|대우]]가 들어가는 유일한 자동차 회사가 되었다. == 역대 대표이사 == * 최봉호 (2002~2003) * 채광옥 (2003~2009) * 김종식 (2009~2012) * 김관규 (2012~2019) * 김방신 (2019~ ) == 생산차량 == * [[타타대우 맥쎈|맥쎈]] * [[타타대우 구쎈|구쎈]] *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 * [[타타대우 더쎈|더쎈]] === 단종된 차량 === * [[타타대우 프리마|프리마]] * [[대우 차세대트럭]] * [[대우 대형트럭]] == 준비중인 차량/컨셉트카 == === -- 월드버스(가칭) -- === [[파일:타타월드버스.jpg|width=250]] [[파일:타타월드버스뒤.jpg|width=250]] 2010년에 공개된 컨셉트카로, 프리마의 영문 엠블럼과 헤드램프가 달려있다. 테일램프는 [[기아 그랜버드]]에 쓰이는 것을 반대로 뒤집은 형태다. 만약 출시됐더라면 예전에 한솥밥 먹던 사이였던 [[자일대우버스]]의 [[자일대우버스 BX212|BX212]]와 경쟁했을 모델이지만 '''[[베이퍼웨어|무산됐다]].''' ~~그리고 자일대우버스도 망했다~~ === LF-40 중형 저상버스 ===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nssb1484707214.jpg|width=400]] [[파일:external/autotimes.hankyung.com/171fd16e0c5a7c4654a488fd368b04a9.jpg|width=400]] 다른 중형버스들[* [[현대 에어로타운|에어로타운]], [[현대 그린시티|그린시티]], [[자일대우버스 BS|BS090]], [[자일대우버스 BH|BH090]]]과 다르게 [[현대 쏠라티|쏠라티]]같은 세미보닛형 디자인이며, 일반적인 [[프론트엔진 버스]](주로 FR 방식)와는 다르게 [[FF(자동차)|전륜구동]] 방식이다. 2014년 기사에 의하면 2018년부터 생산예정이라 하지만 타타대우 상황이 여의치 않아 무기한 보류됐다. 현재 대한민국에 7.5m급 저상버스가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여러모로 안타까운 부분이 많은 차량이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mode=sub_view&popup=0&nid=02&c1=02&c2=01&c3=&nkey=201701231658231|2017년 기사]]에서 차명과 상세 제원이 공개되었다. 전장 9m인 중형버스들보다 작은 7.5m급 차량으로 밝혀졌으며, 경쟁상대로 소형버스인 [[현대 카운티|카운티]], 쏠라티,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를 언급해 소형 저상버스로 밝혀졌다.[* 사실 카운티, 레스타도 법적으로는 중형승합차로 분류된다(쏠라티는 소형승합차로 분류된다.). 그러니까 중형 저상버스라는 말이 아예 틀린 것은 아니다.] 도심형 이외에 일반버스와 의자는 같지만 의자 수가 많은 농어촌형, 좌석시트의 일반형 모델이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좌석수는 10~13개의 좌석으로 설계되어 있지만 끝에 중문이 없을 경우 레스타처럼 15개까지 넣을 수 있다. 2도어면 내리는 문은 끝자락에, 1도어이면 출입구 하나로 타는 문, 내리는 문을 모두 겸비하여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의 문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2017년에 아산의 [[아산여객]]과 시흥의 [[시흥교통]]에서 각각 1대씩 시범운행을 했다. 아산여객 차량은 2도어, 시흥교통 차량은 1도어 차량이었다. 장기적으로는 영업용뿐만 아니라 학원차나 유치원 통학버스 등의 수요도 고려하고 있다고 하나, 앞서 말했듯이 타타대우 상황이 여의치 않아 '''[[베이퍼웨어|프로젝트 자체가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 1톤 트럭 === 타타대우에서는 프리마-노부스의 후속모델인 맥쎈과 구쎈에 이어 1톤 트럭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는 만약에 출시된다면 그동안 대형, 중형, 준중형 트럭만 판매한 타타대우의 라인업 다양화는 물론 오랜 시간 이어져 온 [[현대자동차그룹|현대기아]]의 독점 구도를 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동시에 1980년대에 출시했던 [[대우 바네트]]의 정신적 후속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모기업인 [[타타자동차]]는 이미 [[타타 에이스|에이스]],[[타타 인트라|인트라]]라는 소형 1톤트럭을 판매 중이지만, 인도에서만 판매되기 때문에 타타대우상용차가 만든 1톤트럭도 출시가 기대되는 부분이다. 2025년 중 전기차(EV) 모델으로 출시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s://v.daum.net/v/20230202161200140?x_trkm=t|#]] == 결함 == 잔고장 등의 이슈로 중고 프리마의 경우 수리비가 600만원을 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NEF 유로6 엔진을 탑재한 5톤 차량들의 엔진에서 엔진오일과 요소수가 크게 소모되고 도로 한복판에서 저속으로 움직이는 등 화물 종사자들 사이에선 불매운동이 벌어졌으며 회사에서 안일하게 대처해 더 공분을 샀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103&docId=291003543&qb=7YOA7YOA64yA7Jqw67aI66ek&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TEbGIdpVuFsssbFKDFdssssst5o-459225&sid=dQlwCj9DAhy9ZHrfIthTvA%3D%3D|지식인]], [[http://cafe.naver.com/truckerking/290577|링크]],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3202|기사]], [[http://www.kmrnews.com/ynews/ynews_view.php?pid=51810&code=NS03|기사2]] 2018년 기준 진전이 없었고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548736_22663.html|MBC]] 뉴스를 여러 언론사에도 보도됐는데, [[http://news1.kr/photos/view/?3019444|삭발식]]과 차량 파손 퍼포먼스도 벌였다.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561285_22663.html|기사]] 이는 타타대우의 점유율과 매출에 큰 타격을 입었고 적자를 맛봤다가 2021년부터 슬슬 적자의 늪에서 탈출하기 시작하더니 더쎈의 흥행으로 흑자로 전환했다. 제동장치 역시 결함이 확인돼 리콜 조치가 되었다. [[요소수]]는 회사측에서 무상수리와 보증기간 연장을 확약했다고 한다. == 노동조합 == * [[전국금속노동조합]] 타타대우상용차지회[* 조합원 1,011명이 활동중] : [[민주노총]] 소속. == 여담 == * [[GM 한국사업장]], [[KG모빌리티]], [[한화오션]]을 비롯한 옛 [[대우그룹]] 계열사의 자체소방대에서 [[대우 차세대트럭|차세대트럭]], [[타타대우 노부스|노부스]] 및 [[타타대우 프리마|프리마]]를 [[소방차]]로 사용중이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간에, 우크라이나의 구조대원들이 신형 장비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3141275|지원받았다]]. 유독 대우의 트럭이 눈에 띄는 건 기분 탓이다. 대우의 차량은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에서 유명하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대우자동차]] * [[타타자동차]]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우그룹)] [include(틀:구 대우자동차 계열의 국내 시판 차량)] [[분류:타타대우상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