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탄생(영화))] [목차] [clearfix] == 개요 == 영화 《[[탄생(영화)|탄생]]》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 주요 인물 == === [[김대건 안드레아|김대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김대건(수정).jpg|width=100%]]}}} || || {{{#fecb5f '''김대건(안드레아)''' ([[윤시윤|{{{#fecb5f 윤시윤}}}]] 扮)}}} || 조선 최초의 가톨릭 사제이며 이 영화의 주인공.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103위 순교 성인]]) 중 1번. 최양업 신부와 동기로 피의 순교자로 알려진 인물. === 유진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유진길.jpg|width=100%]]}}} || || {{{#fecb5f '''유진길(아우구스티노)''' ([[안성기|{{{#fecb5f 안성기}}}]] 扮)}}} || 역관. 실존인물로 [[103위 순교 성인]] 35번. === 현석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현석문.jpg|width=100%]]}}} || || {{{#fecb5f '''현석문(가롤로)''' ([[윤경호|{{{#fecb5f 윤경호}}}]] 扮)}}} || 기해박해 이후 회장이며 [[103위 순교 성인]] 72번. 기해박해 때 누나인 ‘현경련’과 아내와 자녀들이 모두 순교했으며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끝까지 지킬려고 했던 인물이다. === 조신철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조신철.jpg|width=100%]]}}} || || {{{#fecb5f '''조신철(가롤로)''' ([[이문식|{{{#fecb5f 이문식}}}]] 扮)}}} || 역관. [[복사(기독교)|복사]]. [[103위 순교 성인]] 40번. === 이응식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이응식.jpg|width=100%]]}}} || || {{{#fecb5f '''이응식''' ([[이경영(1960)|{{{#fecb5f 이경영}}}]] 扮)}}} || 좌포도대장. === 임치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임치화.jpg|width=100%]]}}} || || {{{#fecb5f '''임치화''' ([[신정근|{{{#fecb5f 신정근}}}]] 扮)}}} || 임치백(요셉)의 동생 === [[최양업]]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최양업.jpg|width=100%]]}}} || || {{{#fecb5f '''최양업(토마스)''' ([[이호원|{{{#fecb5f 이호원}}}]] 扮)}}} || 조선 제2호 신부. 김대건 신부와 동기로 땀의 순교자로 알려진 인물. == 그 외 인물 == === 즈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즈린.jpg|width=100%]]}}} || || {{{#fecb5f '''즈린''' ([[송지연|{{{#fecb5f 송지연}}}]] 扮)}}} || 중국의 천주교 여신도.[* 본래는 조선사람으로, 작중 김대건이 그녀에게 세례를 주려고 할 때, 자신이 중국사람이 아닌 조선사람이라고 고백했다. 본명은 김선.] 실존인물이 아니라 오리지널 인물이다. 내용의 흐름상 크게 중요한 인물이 아님에도 나름 비중을 두었는데,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와의 관계’에서 힌트를 받지 않았나가 가장 그럴 듯한 이유이다.[* 작중에서 그녀가 세례명을 '막달레나'라 하겠다고 말한것도 여기서 따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리아 막달레나는 예수의 삶과 죽음을 직접 지켜본, 예수와 어느 정도의 친분관계를 둔 예수의 측근 중 하나이다. 이 영화 탄생에서도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즈린과 어느 정도 친분 관계를 유지하였고,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형장으로 갈 때에도 계속 걸어가기만 하던 그가 잠깐 멈추어서 즈린을 약 3초간 지켜본 후, 그대로 형장으로 가서 의연하게 순교한다. === 김제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김제준.jpg|width=100%]]}}} || || {{{#fecb5f '''김제준(이냐시오)''' ([[최무성|{{{#fecb5f 최무성}}}]] 扮)}}} || 김대건의 아버지. 회장. [[103위 순교 성인]] 41번. === 고우르술라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고우르술라.jpg|width=100%]]}}} || || {{{#fecb5f '''고우르술라''' ([[백지원(배우)|{{{#fecb5f 백지원}}}]] 扮)}}} || 김대건의 어머니. === 김방지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김방지거.jpg|width=100%]]}}} || || {{{#fecb5f '''김방지거''' ([[하경(배우)|{{{#fecb5f 하경}}}]] 扮)}}} || 밀사. === 이상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이상적.jpg|width=100%]]}}} || || {{{#fecb5f '''이상적''' ([[성혁|{{{#fecb5f 성혁}}}]] 扮)}}} || 역관. === 최방제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최방제.jpg|width=100%]]}}} || || {{{#fecb5f '''최방제(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임현수(배우)|{{{#fecb5f 임현수}}}]] 扮)}}} || 김대건과 최양업의 동기인 신학생. 하지만 위열병에 걸려 요절하며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 [[헌종(조선)|헌종]]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헌종.jpg|width=100%]]}}} || || {{{#fecb5f '''헌종''' ([[남다름|{{{#fecb5f 남다름}}}]] 扮)}}} || 조선 24대 국왕. === 임치백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임치백.jpg|width=100%]]}}} || || {{{#fecb5f '''임치백(요셉)''' ([[김광규|{{{#fecb5f 김광규}}}]] 扮)}}} || 포졸. 김대건 신부에게 옥중에서 세례를 받았다. [[103위 순교 성인]] 76번. === 임성룡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임성룡.jpg|width=100%]]}}} || || {{{#fecb5f '''임성룡''' ([[박지훈(1994)|{{{#fecb5f 박지훈}}}]] 扮)}}} || 임치백(요셉)의 아들 === 김아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김아기.jpg|width=100%]]}}} || || {{{#fecb5f '''김아기(아가타)''' ([[차청화|{{{#fecb5f 차청화}}}]] 扮)}}} || [[과부]], [[103위 순교 성인]] 5번. 기해박해가 일어날 때 심문 받을 때 찬송가를 부르면서 투옥되었고 옥중에서 박희순에게 [[대세]](비상사태 시 사제가 아닌 인물이 주는 [[세례]])를 받으며 ‘아가타’라는 세례명을 받는다. === 김데레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김데레사.jpg|width=100%]]}}} || || {{{#fecb5f '''김데레사''' ([[강말금|{{{#fecb5f 강말금}}}]] 扮)}}} || 김대건의 당고모. 과부. [[103위 순교 성인]] 57번. 기해박해 때 옥중에서 박희순이 [[대세]](비상사태 시 사제가 아닌 인물이 주는 [[세례]])를 김아기에게 주는 모습을 보며 ‘아가타’라는 세례명을 받는 김아기에게 축하를 전한다. === 형조판관 === 배우는 [[이준혁(1972)|이준혁]]. 기해박해때 김아기를 심문했던 인물이고 심문 할 때 김아기를 풀어줄려고 하였으나 김아기가 찬송가를 부르면서 투옥시켰다. === 리브와 신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리브와.jpg|width=100%]]}}} || || {{{#fecb5f '''리브와 신부''' ([[로빈 데이아나|{{{#fecb5f 로빈 데이아나}}}]] 扮)}}} || [[파리외방전교회]] 대표 신부. === [[피에르 모방|모방]] 신부 === 배우는 토마스 L. 페데릭센. [[103위 순교 성인]] 33번.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엥베르]] 주교 === 배우는 폴 배틀. [[천주교 서울대교구|조선대목구]] 제2대 교구장 주교. 조선에 입국한 최초의 서양인 신부로 [[103위 순교 성인]] 32번. 본래 올 예정이었던, 조선 1대 교구장으로 서임되어 조선으로 가던 [[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A5%B4%ED%85%94%EB%A0%88%EB%AF%B8_%EB%B8%8C%EB%A4%BC%EA%B8%B0%EC%97%90%EB%A5%B4|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주교가 오는 도중에 [[만주]]에서 병으로 사망하여 입국 이전에 좌절되자 그의 뒤를 이어 왔다. === 페리얼 주교 === 배우는 [[이웃집 찰스/출연자 목록/외국인 신입생/2022년 하반기#s-2.18|자비에 리오데]]. 앵베르 주교 후임 조선교구 3대 주교. === [[헨리 포팅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헨리포팅어.jpg|width=100%]]}}} || || {{{#fecb5f '''헨리 포팅어''' ([[포스터 버든|{{{#fecb5f 포스터 버든}}}]] 扮)}}} || [[난징 조약]] 당시 [[영국]] 대표. === [[아이신기오로 기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기영.jpg|width=100%]]}}} || || {{{#fecb5f '''아이신기오로 기영''' (배우 불명)}}} || 청 조정 흠차대신이자 [[난징 조약]] 당시 [[청나라]] 전권대신. == 특별출연 == === [[정하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정하상 바오로.jpg|width=100%]]}}} || || {{{#fecb5f '''정하상(바오로)''' ([[김강우|{{{#fecb5f 김강우}}}]] 扮)}}} || 신학생. [[103위 순교 성인]] 2번. === 박희순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탄생 박희순 루치아.jpg|width=100%]]}}} || || {{{#fecb5f '''박희순(루치아)''' ([[정유미(1984)|{{{#fecb5f 정유미}}}]] 扮)}}} || [[궁녀]]. [[103위 순교 성인]] 11번. 신학생들을 위해 써달라며 중국 은화를 전해준다. 그 후에 기해박해 때 옥중에서 [[대세]](비상사태 시 사제가 아닌 인물이 주는 [[세례]])를 김아기에게 주며 ‘아가타’라는 세례명을 준다. [[분류:한국 영화/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