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white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 ||<-5> [[파일: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로고.svg|width=200]] || ||<-5> {{{#white '''만화 부문 대상'''}}} || || '''제9회[br]([[2005년]])''' || {{{+1 → }}} || '''제10회[br]([[2006년]])''' || {{{+1 → }}} || '''제11회[br]([[2007년]])''' || || [[실종일기]] || {{{+1 → }}} || '''태양의 묵시록''' || {{{+1 → }}} || [[교도관 나오키]] || ||<-5> || ||<-2>
{{{#373a3c,#dddddd '''{{{+1 태양의 묵시록}}}'''[br]太陽の黙示録}}}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태양의 묵시록 표지.webp|width=100%]]}}} || || '''{{{#373a3c,#dddddd 장르}}}''' ||[[청년만화]] || || '''{{{#373a3c,#dddddd 작가}}}''' ||[[카와구치 카이지]] || ||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가쿠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373a3c,#dddddd 연재처}}}''' ||[[빅 코믹 계열 잡지 일람|빅 코믹]] || || '''{{{#373a3c,#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빅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 스페셜 || ||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02년 16호 ~ 2010년 21호 || ||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6권 ,,(2011. 01. 28. 完),,[* 17권 1부 완결 + 2부 9권 완결][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7권 ,,(2008. 07. 08.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와구치 카이지]]의 [[만화]]. == 줄거리 == [[2002년]] 8월 10일 일본에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후지산]]이 분화하고, [[혼슈]]가 둘로 갈라져 [[교토]]와 [[오사카]] 등 칸사이 지방은 바닷속으로 사라진다. 일본은 임시로 [[수도(행정구역)|수도]]를 [[삿포로]]로 옮기지만 삿포로로 수도를 옮긴 집권당의 간사장이자 유력 정치가인 주인공의 할아버지(류 타쿠마)는 [[미국]]에 대한 지나친 종속을 우려해 [[중국]]에 원조를 요청했고, 중국은 "앗싸! 좋구나!"를 외치며 삿포로에 대규모 병력을 파병한다. 이에 같은당의 총재이자 [[수상]]인 이시쿠라 신스케은 친우이자 실권을 가진 류 타쿠마에 반발하여 긴급히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후쿠오카]]로 수도를 옮기고, 결국 일본은 두 나라로 갈라지게 된다. 이 와중에 주인공 류 켄이치로는 부모를 잃고 우연히 만난 아저씨와 피난을 다니다가 결국 바다에 빠져 기억을 잃고 [[화교]] 부부에 구조되어 [[대만]]으로 가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주인공 무나카타 미사오는 빚 독촉에 시달리는 아버지, 여동생과 함께 모든 걸 다 뿌리치고 도망치려 하지만 생일날 터진 지진과 함께 인생이 뒤바뀌게 되는데...... == 발매 현황 == 한국어판은 1부까지 정발됐지만 2부는 정발이 되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2부 완결. == 등장인물 == === 주인공 일행 === * 류 켄이치로 * 하타 료타로 * 챵 종위안 * 쿠모이 류지 === 남일본 === * 역대 남일본 행정장관 * 초대 : 에드워드 록웰 * 2대 : 무나카타 미사오 * 나츠키 아츠시 * 사카마키 고로 * 이시쿠라 신스케 === 북일본 === * 역대 북일본 수상 * 초대 : 류 타쿠마 * 2대 : 마부치 케타로 * 3대 : 토도 타쿠야 * 4대 : 칸바야시 요조 * 역대 부흥위원장 * 초대 : 화영리에[* 2대는 토도 타쿠야가 그를 암살하고 취임.] * 3대 : 죠젠위 * 마고이치 켄사쿠 * 쿠몬 타스쿠 * 스구로 부이치 * 나츠키 에리 == 설정 == * '''일본 분단''' 2002년 일본을 강타한 대지진으로 간사이 지방 대부분이 수몰되고 큐슈와 시코쿠, 혼슈가 양분되고 만다. 그 뒤에 부흥을 돕는다는 명분으로 미중양국이 각각 군대를 배치하면서 남북으로 갈리고 만다. 시간이 흐르면서 남일본은 미국의 괴뢰국가로 북일본은 중국의 괴뢰국으로 변하고 일본해골짜기(간사이가 수몰되면서 생긴 해협)을 경계로 처음에는 왕래가 이뤄지지만 차츰 이동이 통제되면서 국경선으로 변하고 만다. 미군은 북일본지역에서 철수하고 남일본으로 주둔되며 그 빈자리를 중국 인민해방군이 주둔하게 된다. 자위대의 경우 북일본의 육상자위대는 인민해방군의 영향을 받고 남일본의 해상자위대는 미군의 영향을 받게 된다. * 대지진으로 인해 정부는 살아남은 [[일본인]][* 대지진으로 일본인 2천만 명이 사망, 3천만 명이 실종되었다.] 중 700만을 해외로 피난보낸다. 하지만 나라가 둘로 갈라지고 부흥이 더뎌지며 그들은 귀국하지 못하고 각국에서 애물단지 취급을 받으며 살고 있다. * 예외적으로 [[한국]]은 일본에서 우수한 기술진이 피난을 온 덕에 일본의 대지진으로 자국 경제에 큰 타격을 받은 것을 커버할 수 있었고, 피난 온 일본인들을 받아들여 같이 잘 살고 있다. * 해협 남쪽(정확히는 서쪽)은 [[후쿠오카]]를 수도로 하여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제대로 부흥에 성공하지만 받아들인 외국인 이민과 빈부격차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 해협 북쪽(정확히는 동쪽)은 [[삿포로]]를 수도로 하여 [[기술독재|국민의 몸에]] [[베리칩|컴퓨터 칩을 박아 관리하고]] [[민주주의]]가 탄압받는 [[막장]] 국가로 전락해버렸다. * 구 수도권은 남북 불가침영역이 되었다. == 결말 == 만화의 결말은 류 켄이치로가 구 수도권 지역에 해외 피난민을 모아서 만든 그레이 시티가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고 이후 통일 투표를 통해 비무장, 불복종의 통일 일본을 설립하고 류 켄이치로는 대만을 거쳐 [[아프리카]]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끝난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태양의 묵시록}}}''' (2006)[br]太陽の黙示録}}}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태양의묵시록_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카와구치 카이지]] || || '''{{{#373a3c,#dddddd 감독}}}''' ||[[코지마 마사유키]] || || '''{{{#373a3c,#dddddd 각본}}}''' ||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사이조 타카시(西城隆詞)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미즈타니 토시하루(水谷利春)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키무라 사토코(木村聡子)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시미즈 요지(清水洋史) || || '''{{{#373a3c,#dddddd 음악}}}''' ||혼다 토시유키(本多俊之)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후쿠시마 마사히로(福島正浩)[br]미즈노 아츠힠(水野敦彦)[br]미네기시 타쿠오(峯岸卓生)[br]우에다 후미오(植田文郎)[br]마루타 준고(丸田順悟) || || '''{{{#373a3c,#dddddd 프로듀서}}}''' ||타카노 레이코(高野れい子)[br]키타우라 히로유키(北浦宏之)[br]호소카와 오사무(細川 修)[br]오쿠야마 토요히코(奥山豊彦)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타마 프로덕션 || || '''{{{#373a3c,#dddddd 제작}}}''' ||태양의 묵시록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6년 7월|2006. 09. 17.]] ~ 2006. 09. 18.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WOWOW]]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72분 || || '''{{{#373a3c,#dddddd 화수}}}''' ||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 [[2006년]] [[매드하우스]]에서 1, 2부로 나눠 애니화했다. 감독은 [[코지마 마사유키]]. ==== 주제가 ==== ===== ED ===== ||<-2>
'''{{{#373a3c,#dddddd ED[br]The Pow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4> 카논(カノン)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 전화 총 작화감독: 사이조 타카시(西城隆詞)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前編『海峡』[br]전편 『해협』 || [[코지마 마사유키]][br]츠루오카 코지로[br](鶴岡耕次郎)[br][[나카무라 료스케]][br]마츠 토타로[br](松 戸太郎) || 코지마 마사유키[br]오노 카즈히사[br](大野和寿)[br][[마스하라 미츠유키]] || 미즈무라 주지[br](水村十司)[br]마츠다 요시아키[br](松田芳明)[br]타카하시 나오키[br](高橋直樹)[br]타나카 슈지[br](田中修司)[br]와타나베 아키라[br](渡辺 章)[br]장희규 || 2006.09.17. || || 제2화 || 後編『国境』[br]후편 『국경』 || 코지마 마사유키[br]타카하시 토오루[br](高橋 亨) || 코지마 마사유키[br]칸자키 유지[br](神崎ユウジ)[br]나카무라 료스케[br]오기와라 로코[br](萩原露光)[br]오쿠보 타다오[br](大久保唯男)[br]마스하라 미츠유키 || 미즈무라 주지[br]마츠다 요시아키[br]타카하시 나오키[br]타나카 슈지[br]김기두 || 2006.09.18. ||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02년 만화]][[분류:청년 만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6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매드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