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 ||<-2>
{{{+2 '''태원엔터테인먼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태원엔터테인먼트 가로 로고.png|width=9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원엔터테인먼트 로고.png|width=100%>]]}}}}}} || || '''설립일''' ||[[2008년]] [[8월 22일]] ([age(2008-08-22)]주년) || || '''대표''' ||정태원, 정재희 || || '''기업형태''' ||[[중소기업]] || || '''업종'''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 || '''사원수''' ||10명 || || '''자본금''' ||14억 1만원 || || '''매출액''' ||108억 9,951만원 || || '''영업이익''' ||-8억 2,141만원 || || '''당기순이익''' ||-12억 221만원 || ||<|2>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 9층 [br] ([[논현동(강남구)|논현동]], SB타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B타워, 너비=100%)]}}} || || '''링크''' ||[[http://www.taew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95600560043|[[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taewon_e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taewonentertainme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ko.wikipedia.org/wiki/태원엔터테인먼트|[[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K2VlV2lnbkJHTzBNcXBMTnBRdWErUT09|[[파일:사람인 아이콘.webp|width=25]]]] | [[https://www.jobkorea.co.kr/Recruit/Co_Read/C/taewonent2|[[파일:잡코리아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영화 제작사. 사장은 영화인 [[정태원]]. 대표가 미국유학을 다녀온 이후 [[정광택|아버지]]와 함께 만든 회사라고 한다. == 상세 == 진지한 영화를 만들 때는 [[CJ엔터테인먼트]]랑, 코미디물을 만들 때는 [[쇼박스]]랑 배급을 맺는다.[* 꼭 그런건 아닌듯한게, 코미디물 누가 그녀와 잤을까는 CJ엔터테인먼트 배급이었고, [[눈에는 눈 이에는 이]]는 당초 SK텔레콤과 배급계약을 맺었다가, [[어른의 사정]]으로 개봉일이 여름으로 늦춰지면서 [[롯데엔터테인먼트]]와 배급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가문의 영광]] 시리즈를 제작했던 제작사이기에 가문의 영광 시리즈의 흥망성쇠를 다 겪었다(...) 의외로 세계구로 놀아서, 2007년 상반기 개봉된 [[삼국지 : 용의 부활]]은 비록 중국 영화사와 공동제작이긴 하지만 이 회사가 돈도 대주고 CG업체도 소개해줬다고 한다. 이외에도 각종 외국영화들 수입에도 손을 대고 있다. 덧붙여, DVD사업도 하고 있는데 자회사 제작영화 빼고는 아트하우스 영화나 비주류 영화를 많이 내놓아 잘 팔리지도 않는 듯하다(…). 대체로 DVD 퀄리티는 무척 좋다. [[에반게리온: 서]]는 일본에서도 없었던 DTS트랙을 추가해 더욱 호평. == 위기? == 하지만 투자영화들과 수입영화들이 연속적으로 적자를 내, 재정악화를 이겨내지 못하고 아인스에 합병되었다. 그래서 정식 명칭은 아인스M&M이지만, 여전히 영화 관련 일에는 태원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을 계속 쓰고 있다. DVD는 명칭변경 뒤 태원의 모든 판권을 넘겨 받아 [[DVD]], [[블루레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드라마 제작에 주력하고 있는데, [[이병헌]]을 기용한 블록버스터 드라마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가 최초.[* 하지만 이 쪽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아테나:전쟁의 여신]], [[달콤살벌 패밀리]] 등등의 드라마를 제작했다. 그리고 미국으로부터 [[크리미널 마인드]]의 판권을 사와 크리미널 마인드의 리메이크 작품도 제작했다. 대한민국의 널리고 널린 중소기업영화사들 중에서 유독 이 문서가 먼저 작성된 이유는 [[에반게리온 신극장판]]과 그 2편 [[에반게리온: 파]]의 수입여부 덕분(…). 에반게리온 뿐만 아니라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를 수입한 영화사이기도 하다. 반지의 제왕 역시 DVD를 미국판과 동일한 확장판까지 수입했다.[* 블루레이는 [[워너 브라더스]]에서 발매. 이유는 발매 전에 반지의 제왕 제작사인 [[뉴 라인 시네마]]가 합병·인수되었기 때문이다.] == 부활 == 최근에는 회사 사정이 나아졌는지, 삼화네트웍스에서 [[열혈사제]] 제작진을 데려다가 [[SBS]] [[편의점 샛별이(드라마)|편의점 샛별이]] 제작을 담당했다. 태원의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전작]]이나 SBS의 [[더 킹 : 영원의 군주|전작]]이나 똑같이 망해서 둘 다 안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말하면, 동병상련(...)], 편의점 샛별이가 10%대에 근접하는 시청률을 기록해서 둘 다 윈윈했다.[* 정확히는 한 명 더 있는데, 바로 [[정샛별]] 역으로 나왔던 [[김유정(배우)|김유정]]. 그 해 연말 연기대상 MC로 나서서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상까지 받았다.] [[박지윤(가수)|박지윤]]의 초기 앨범 제작을 담당했던 태원엔터테인먼트와는 상관이 없다. 2020년에는 '아이코닉엠앤이'(ICONIC MnE)라는 새로운 자회사를 설립하며 다시 가요계에 진출했다. 아이코닉엠앤이의 아티스트는 [[울랄라세션]], [[나리(1992)|나리]] 및 [[REDSQUARE]][* 기존 소속사였던 [[http://aboutent.co.kr/|어바웃이엔티(about ENT)]]가 태원엔터테인먼트에 인수 합병된것으로 추정된다.]이다. 2022년에는 '아이코닉엠앤이'(ICONIC MnE)가 '[[저스티스 레코즈]]'(JUSTICE RECORDS)로 사명이 바뀐다. 그와 동시에 레드스퀘어는 [[멜로우엔터테인먼트]]와 합작 매니지먼트가 되면서 팀명이 [[IRRIS]](아이리스)로 변경된다. == 기타 == [각주][[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사]][[분류:대한민국의 드라마 제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