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상업지 작가, rd1=완얀아구다)]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ivergentIndustriousAcidicWeather, 합의사항1=본 문서와 리다이렉트의 '아골타-아구타-아구다' 등의 표기와 이에 대한 서술을 존치하기)] [include(틀:역대 금 황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8223D 0%, #b82647 20%, #b82647 80%, #98223D)" {{{#ece5b6 '''태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b82647> '''[[금나라|{{{#ece5b6 완안부의 추장}}}]]''' || ||<:> [[강종(금)|완안오아속]] ||<:> {{{+1 ←}}} ||<:> '''완안아골타''' ||<:> {{{+1 →}}} ||<:> 금나라 건국 || ---- [include(틀:금사)] ---- [include(틀:대금국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8223D 0%, #b82647 20%, #b82647 80%, #98223D); color: #ece5b6" '''금 초대 황제[br]{{{+1 태조 원황제 | 太祖 元皇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anggiyan_Aguda.jpg|width=100%]]}}} || ||<|2> '''출생''' ||[[1068년]] [[8월 1일]] || ||[[여진]] [[헤이룽장성|회령부]] [[하얼빈시|회령현]] 완안부[br](現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 ||<|2> '''사망''' ||[[1123년]] [[9월 19일]] (향년 55세) || ||[[금나라|금]] [[하얼빈시|상경 회령부]] 행궁[br](現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 || '''능묘''' ||[[예릉]](睿陵) || ||<|4> '''재위기간''' ||'''{{{#ece5b6 완안부 추장}}}''' || ||[[1113년]] [[10월]] ~ [[1115년]] [[1월 28일]] || ||'''{{{#ece5b6 초대 황제}}}''' || ||[[1115년]] [[1월 28일]] ~ [[1123년]] [[9월 1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완안(完顔) || || '''휘''' ||{{{-2 '''중국식 :'''}}} 민(旻)[br]{{{-2 '''여진식 :'''}}} 아골타(阿骨打) || || '''부모''' ||부황 [[세조(금)|세조]][br]모후 익간황후 || || '''형제자매''' ||11남 중 2남 || || '''배우자''' ||[[성목황후 당괄씨|성목황후]], 흠헌황후, 광의황후, 선헌황후 || || '''자녀''' ||16남 3녀 || || '''신장''' ||8척[* [[https://zhuanlan.zhihu.com/p/56250476|출처]] 《금사》에 키(身高)가 8척(八尺)이라 나온다. 당시 송시대에는 1척이 31.68cm 정도였다고는 하지만 워낙 비현실적인 키가 나와서 금의 척단위가 달랐을 가능성도 있다.] || || '''묘호''' ||'''[[태조]](太祖)''' || || '''존호''' ||대성황제(大聖皇帝) || || '''시호'''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br](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莊孝大聖武元皇帝) || || '''연호''' ||수국(收國, [[1115년]] ~ [[1116년]])[br][[천보(연호)|천보]](天輔, [[1117년]] ~ [[1123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태조(금) 동상.jpg|width=100%]]}}} || || {{{#ece5b6 '''태조 동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금나라]]의 초대 황제. [[여진족]]-[[만주족]] 계통 정복왕조의 첫 문을 연 인물. [[묘호]]는 태조(太祖). 원래 그의 이름은 '''온얀 아쿠타'''(Won-{g}ian Akutta)이며 중국어로는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 완옌아구다)이다. '아골타'(阿骨打)는 여진어 '아쿠타'(Akutta)를 음차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아구타',[* [[여진어]] 발음에서 변형된 것.] '아구다',[* 중국어 발음.] '아골타'[* 한국식 한자음 그대로 읽은 것.] 등으로 알려져 있다. == 생애 == 완안핵리발(完顔劾里鉢)의 차남으로 키는 8척 장신이었다.[* 당시 송나라 척 단위인 [[https://zhidao.baidu.com/question/324701844.html|31.68㎝]]로 계산하면 253㎝가 되지만 금나라 척의 단위에 대한 기록이 없어서 사실 확인은 불명이다.] 형인 오아속(烏雅束)[* 고려의 [[윤관]] 장군이 [[고려의 여진 정벌|동북 지역을 원정]]할 때 여진족의 추장이 바로 그였다. 그때 아골타도 형을 따라서 고려군과 맞서 싸우기도 했다. 완안오아속은 금나라 건국의 기틀을 실질적으로 다진 인물이다. 《삼국지》로 치면 손책 포지션.]이 1113년에 죽자 완안부 여진의 수장이 되었다. [[요나라]] 지배하의 여진족을 모아 큰 세력을 얻은 뒤 요나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아골타가 요나라에 반기를 든 것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반복되는 양태였다. 《[[요사]]》에 의하면, 아골타는 대를 잇기 전인 1112년 [[요나라]]의 암군인 [[천조제]]가 관례에 따라 여진의 추장들을 초청해 베푼 연회 석상에서 정면으로 황제의 명을 거부한 적이 있었다. 아골타는 이 연회에서 요나라의 퇴조와 황제의 지도력 부재를 목격한 것이다. 자신이 추장에 오른 후에는 국상을 요나라에 통보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요나라의 문책이 있자 반기를 들었다. 아골타는 1114년 요나라를 상대로 선전포고한 후 여러 차례의 전투에서 연전연승했고, 1114년부터 납림하(拉林河)와 [[출하점 전투|출하점(出河店)에서]] 요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이에 다급해진 요나라는 [[고려]]에 아골타가 이끄는 여진군에 대한 협공을 요청했으나 고려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완안아골타는 연속으로 요군을 영강주에서 격파했고, 또 뒤이어 여러 주·현을 점령했으며, 급기야는 개원(開原)·농안(農安) 지방의 숙여진과 요동(遼東)지방의 [[발해]]인을 회유하여 1115년 [[황제]]로 즉위하고, 국호를 대금(大金), 연호를 수국(收國)이라 했다. 그렇게 여진족은 스스로 [[금나라]]를 세웠고, 황제가 된 아골타는 여세를 몰아 요동 지역의 황룡부(黃龍府)를 함락시켰다. 이에 요나라는 다시 한 번 고려에 원병해줄 것을 요청했다. 고려 조정은 요나라와의 특별한 관계를 고려해 원군을 보내자는 출병론자와 [[김부식]] 등 다른 나라들의 문제에 끼어들어 분쟁에 휘말리는 것은 나라의 앞날을 위태롭게 하는 위험한 일이므로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출병 불가론자 간의 의견이 대립했지만 결국 출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아골타는 고려에 사신을 보내 금나라가 곧 요나라를 정복할 것임을 알렸다. 이에 고려 조정은 요나라가 멸망의 위기에 있다고 판단, 더 이상 요의 연호를 쓰지 않고 60갑자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요나라의 황제인 천조제(天祚帝) 야율연희(耶律延禧)는 무려 '''70만 명'''의 대군을 편성하여 금나라를 공격했지만 도리어 '''호보답강 대전'''에서 대패를 당했다. 완안아골타는 그렇게 대승을 거두며 요나라를 물리쳤고, 그 기세를 몰아서 요동을 공격했다. 한편 송나라는 신흥 세력으로 급부상 중이던 금나라를 활용해 요나라에 빼앗긴 [[연운 16주]]의 회수를 계획했다. [[휘종(송)|휘종]]은 1116년 고려에서 온 사신 이자량을 특별히 대우한 후 비밀리에 >다음에 올 때는 금나라 사람 몇을 데리고 와 달라. 고 청했는데, 송 휘종의 의도를 알아차린 이자량은 >'''여진족은 인면수심이라 제휴할 것이 못 된다'''. 고 했다. 여진족과 부대꼈던 경험을 나름 조언이라고 흘린 거였는데, 송나라 신료들은 고려가 송나라와 금나라 사이의 통교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오해하고 금나라와 직접 접촉할 것을 건의했다. 송 휘종은 해로를 이용해 금나라 측에 요나라 협공을 제의하면서 다음 조건을 제시했다. > 1. 송나라는 요나라에 제공하고 있는 세폐를 금나라에 제공한다. > 1. 요나라 협공에 있어 금나라는 만리장성을 넘어 하북에 들어오지 않는다(연운의 반환을 의미). > 1. 금나라는 요나라와 화평 협약을 맺지 않는다. 아골타도 이에 응하면서('''해상의 맹''') 송나라와 금나라 양국의 군대는 1121년 요나라를 협공했다. 금군은 요군을 격파하고 파죽지세로 진격해 1120년 요나라의 수도인 상경임황부(上京臨潢府)를, 1121년 말에는 중경대정부(中京大定府)를 함락했다.[* 상경임황부가 함락될 때 요나라 황족이었던 야율대석은 서성으로 도주해 중앙아시아의 이리간(발하쉬 호) 부근에 카라 키타이를 세워 1227년까지 약 100년 간 거란의 명맥을 유지했다. 카라 키타이는 훗날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한편 강남에서 일어난 [[방랍]]의 대란으로 인해 출병하지 못했던 송군은 그 해에 겨우 북방에 출병하여 요나라의 천조제가 있는 연경을 공격했다. 송군은 요군에 연전연패를 당하고, 승리할 수가 없게 되자 지휘관 동관은 금나라에 원군을 요청했다. 해상의 맹약에 의해 금나라는 장성 이남에 출병하지 않기로 약속했지만, 송나라의 요청에 의해 출병하여 순식간에 연경을 함락시켰다. 이 결과 맹약대로 연운 16주 가운데 연경 이남의 6주는 [[송나라]]에 할양되었지만, 금군은 연운 이북을 약탈하고 연운 16주의 백성들도 [[금나라]]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런 이유 때문에 이곳에서는 세금을 거둘 수가 없었다는 점에서 훗날 금나라의 멸망을 불러왔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어쨌든 금나라는 출병하는 대가로 군량미 20만 석·은자 20만 냥·[[비단]] 30만 필 등을 북송에 요구했고, 송나라는 울며 겨자먹기로 조건을 수락해야 했다. 이후 완안아골타는 요나라의 중경과 연경을 연달아 점령하고 요나라 마지막 황제 [[천조제]]는 도망가기에 이르러 요나라를 실질적으로 멸망시켰다. 그러나 완안아골타는 요나라에 최후의 일격을 가하고 회령부로 돌아오는 길에 1123년 병사했고, 동생 완안오걸매가 [[금태종|금 태종]]으로 즉위한 이후 금나라는 중원의 새로운 패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 여담 == * 《[[고려사]]》와 《[[금사]]》, 《송막기문》 등에서 아골타의 시조를 [[신라]] 또는 [[고려]]인 [[함보]]로 설명하고 있다. [[여진족 신라인설#s-2.2]] 문서 참조. * 고려 제20대 왕 [[신종(고려)|신종]]의 처음 이름이 "민(旼)"으로 아골타의 한자 이름과 같았다. 당시 고려는 금나라를 상국으로 대하고 있었는데도 왕자의 이름을 금 태조와 같게 한 것이다. 즉 [[피휘]]를 대놓고 무시한 것이었다. *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제16대 [[예종(고려)|예종]]의 재위기 때 아골타가 형제의 맹약을 제의하는 조서를 보낸 적이 있었다고 한다. 예종은 그 제의를 무시했고 몇년 뒤 완안아골타를 ''''너(彼)''''라고 부른 국서를 보냈는데 이번엔 아골타가 무시했다고 한다. * [[일본]]의 [[상업지]] 작가인 [[완얀아구다]]의 필명은 이 금태조에게서 따왔다. 심지어 이 작가의 홈페이지 이름도 [[여진족]]. 일본에선 이 완얀아구다의 홈페이지가 북방 민족 관련 역사 홈페이지로 오해받는 일이 있다고 한다. 대체 왜 필명을 금태조에게서 따왔는지는 알 수 없다. * 소설 《[[묵향]]》에선 [[장인걸]]의 도움으로 금나라를 세우고 그를 형제처럼 믿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상당히 비중있게 나오지만... '''묵향이 금나라에 쳐들어가 설친 여파로 장면도 안 나온 채 살해당했다'''고 언급된다. * [[고우영 십팔사략]]에 등장. 행적은 위와 거의 동일하나, 천조제가 여진 땅을 방문했을 때 춤을 추라는 명령을 어긴 장면에서 나이 묘사 오류가 있다. 실제 아골타는 천조제보다 7살 연상이었으나, 해당 장면에서는 중년 정도로 나온 천조제와 달리 젊은 추장으로 묘사되었다. * 재밌게도 훗날 같은 여진족의 후금의 황제 [[누르하치]]와 비슷하다. 누르하치는 조선과 원수진 것이 없으니 명나라에 집중 공략했고, 아골타 또한 송나라와 맹약이 있으니 거란을 공략하는 데 집중했다. 사적으론 누르하치는 명나라가 자기 조부와 아버지를 죽여 원한이 깊었고 아골타 또한 거란인 요나라가 자기 종족인 여진족을 괴롭히는 데 분개하여 원한이 깊었다. 후임자인 [[홍타이지]]는 조선을 믿을 수 없어 두 차례의 조선 침공 끝에 조선을 굴복시켰고, [[금태종|완안오걸매]] 또한 송나라의 배신에 분노하여 두 번이나 송나라의 수도를 침공하여 송나라를 굴복시켰다. 두 사람의 묘호는 모두 태종이었다. == 같이 보기 == * [[고려의 여진 정벌]] * [[금나라]] * [[마의태자]] * [[여진족]] [각주] [[분류:1068년 출생]][[분류:1123년 사망]][[분류:하얼빈시 출신 인물]][[분류:금나라의 황제]][[분류:창업군주]][[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