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Techno-thriller}}} 정치, 군사, 외교, 첩보, 음모, 과학 등의 분야에 있어서 첨단 기술의 위협을 취급한 [[스릴러]], [[첩보물]]의 하위 장르이다. 작중에서 신무기, 신기술 등을 둘러싸고 국가나 조직간의 암투가 벌어지거나 국가나 조직간의 갈등에 신무기나 신기술이 사용되는 전개가 벌어진다. 신기술에 의한 재난을 다루기도 한다.[* 주로 [[마이클 크라이튼]]이나 그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전개.] 일부는 [[사이언스 픽션|SF]]적인 요소가 아예 없진 않으나, 현대 특수전을 기반으로 한 군사 소설이 주류를 이루므로 첨단 기술에 방점이 찍힌 스릴러의 하위 장르로 간주된다. 신기술이나 신무기를 다루지 않더라도 주로 일반적인 매체에서 잘 다루지 않는, 전문적인 군사 기술이나 전략 전술을 상세히 묘사하며 군사 작전을 묘사하면 테크노 스릴러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톰 클랜시]].] 다만 일반 밀리터리 소설과는 다른 것은 스릴러적인 요소가 다분하기 때문에 전투 외에도 첩보전 등을 통해 더 큰 음모가 뒤에 있다는 암시가 작중 등장한다는 것과 때에 따라서는 자국의 정보 기관과 대립하는 전개도 많다는 것. 그리고 전면전만 그리지 않고, [[블랙 옵스]]나 첩보전에 대한 묘사도 많다. CIA를 비롯한 실존하는 첩보기관들이 등장하는 작품들이 많다. 당연이 밀리터리 요소가 꼭 있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군사용에 가까운 첨단 기술을 이용한 음모가 많이 묘사된다는 뜻. 최근 '현장에서 개고생하는 & 소속 기관으로부터 역추적 당하는 첩보 요원'들을 사실적으로 그린 현대 스파이물들도 이 장르에 해당된다.[* 첩보물의 경우에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007 시리즈]] 원작소설 같이 단순히 탐문 조사나 미행, 심문 등이 주가 되는 경우에는 테크노 스릴러에 들어가지 않지만 007 시리즈 영화나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같이 실제론 없는 기술이나 최소한 [[제이슨 본 시리즈]] 같이 실존하더라도 실생활에서 보기 힘든 특수한 개념이나 기술들이 등장하면 테크노 스릴러에 들어간다.] 즉 요는, 일반인들이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전문적인 (주로 첨단 군사 기술이나 해킹) 기술들이 상세히 묘사되며, 이를 토대로 긴장감을 조성하는 작품. == 클리셰 == * 작중 배경은 [[현대]]나 [[근미래]]. 그래서 [[사이버펑크]]와 접점이 있는 작품도 여럿 존재한다. * [[주인공]]은 주로 [[군인]], [[스파이]], [[언론인]], [[과학자]]이거나 해당 분야를 전직으로 가진 인물. * 해설역의 [[과학자]]([[기술자]])가 반드시 등장한다. [[주인공]]이 그 역할을 맡기도 한다. * 첩보물적인 성격을 띄기도 한다. 스케일이 큰 작품의 경우 주인공은 국가 간의 [[전쟁]]을 막는 임무도 수행한다. * 각종 분야의 전문지식이 묘사된다. * 임무 수행 중 [[음모]]에 빠지거나 너무 심하게 임무를 밀어 붙여 자신의 나라나 소속기관으로부터 역추적 당한다. * [[유전공학|유전자 조작]] 등으로 만들어지거나 인간들로부터 숨어 살던 [[괴수]]가 등장하기도 한다. * [[초능력]], [[외계인]], [[시간여행]] 같은 비현실적인 소재는 대부분 작중에서 다루지 않거나 나름대로 현실적인 설득력과 해설을 부여하여 등장시킨다. *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톰 클랜시]]의 영향으로 한명의 [[주인공]]이 아니라 [[군상극|주인공을 포함한 여러 인물의 시점을 번갈아가며]] 스토리를 전개하는 경우가 많다. == 주요 작가 == * '''[[마이클 크라이튼]]''' *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톰 클랜시]]''' * [[댄 브라운]] * [[이토 케이카쿠]] * [[로빈 쿡]] * [[김진명]] - ~~작품의 질은 제쳐두더라도 일단~~ 몇몇 작품의 분류는 여기에 들어간다. * [[코지마 히데오]] * [[조나단 놀란]] * 프레드릭 포사이드 * 로버트 러들럼[* [[제이슨 본 시리즈]]의 작가.] * [[후쿠이 하루토시]] == 작품 == === 영화 === * [[007 시리즈]] - 영화판 한정 * [[강철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 * [[가상현실(영화)]] *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 * [[너브]] *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 [[데시벨(영화)|데시벨]] * [[딥 블루 씨]] * [[론머맨]] * [[루시(영화)|루시]] * [[마녀 영화 시리즈]]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작품 중 일부 * [[아이언맨 실사영화 시리즈]] * [[앤트맨 실사영화 시리즈]] * [[맨츄리안 켄디데이트]] *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 *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 [[발신제한]] * [[분노의 질주: 더 맥시멈]] 이후로의 [[분노의 질주 시리즈]] * [[블랙코드]] * [[비상선언]] * [[소스 코드(영화)|소스 코드]] * [[쉬리(영화)|쉬리]] * [[어쌔신 크리드(영화)|어쌔신 크리드]] *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 [[워게임(1983년 영화)|워게임]] * [[유령(1999)|유령]] * [[이글 아이(영화)|이글 아이]] * [[인셉션]] * [[제이슨 본 영화 시리즈]][* 현실적인 요소가 많긴 하나, 실생활에서 보기 힘든 최첨단 장비들과 각종 작전들이 등장하므로 테크노 스릴러로 볼 수 있다.] * [[지오스톰(영화)|지오스톰]]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 [[킹스맨 시리즈]][* 이 작품 자체의 분위기는 스릴러 답지 않은 코믹한 분위기이긴 하나,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에서 메인 악역이 [[USIM]] 칩을 이용해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것을 보면 테크노 스릴러 못지 않다. 애초에 위의 007 영화 시리즈에 대한 패러디이자 오마주 성격이 강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 [[퀵(영화)|퀵]] * [[테넷]] * [[회로(영화)]][* 실제로 [[로튼 토마토]]의 총평에도 테크노 스릴러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다. '''"피와 내장이 튀거나 특수효과가 가득한 호러 영화라기보다는, 작가주의적 아이디어 속 예술성이 담긴 등골을 오싹하게 만드는 테크노 스릴러."'''] === 만화 === * [[디멘션 W]] * [[블러디 먼데이]] * [[지구의 태엽]] * [[지아이조]] * [[요르문간드(만화)]] * [[인게이지(만화)]] * [[마블 코믹스]] * [[아이언맨]] * [[에이전트 베놈]] * [[DC 코믹스]] * [[배트맨]] 시리즈의 일부 에피소드 * [[최종병기 그녀]] * [[스틸레인(웹툰)]] * [[아인(만화)]] === 게임 === * [[톰 클랜시]] 게임 시리즈 * [[레인보우 식스 시리즈]] * [[스플린터 셀 시리즈]] * [[고스트 리콘 시리즈]] * [[톰 클랜시의 디비전]] 시리즈 *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 [[와치독]] [[와치독 2|시리즈]] * [[메탈기어 시리즈]] * [[데이어스 엑스 시리즈]] * [[배틀필드 3]], [[배틀필드 4]]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이후의 현대, 근미래 배경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특히 [[트레이아크]] 스튜디오의 블랙 옵스 시리즈에서 잘 드러난다.] * [[크라이시스 시리즈]] - 주로 외계기술을 주 소재로 게임이 진행되지만 인류의 기술도 나름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초기엔 B급 호러 분위기가 강했지만 이후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메디컬 호러 요소가 중심이 된 테크노 스릴러가 된다. *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 * [[슈타인즈 게이트]] * [[소녀전선]] * [[디 이블 위딘]] - 초반부에는 심령 호러스러운 분위기를 풍기지만 중반부 이후로 [[STEM 시스템]]의 진실이 밝혀지면서 테크노 스릴러로 돌변하게 된다. * [[액트 오브 워]] * [[액트 오브 어그레션]]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소설 === * '''[[1984(소설)|1984]]''' * [[데몬]] * 디지털 포트리스 * 디샙션 포인트 * [[또 다른 냉전]] *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톰 클랜시]]의 모든 소설들 * [[레인보우 식스]] * [[공포의 총합]] * [[베어 앤 드래곤]] * [[붉은 10월]] * 넷포스 * [[붉은 폭풍]] * [[패트리어트 게임]] * [[크레믈린의 추기경]] * [[긴급명령(영화)|긴급명령]] * [[마이클 크라이튼]]의 SF 소설들 * [[안드로메다 스트레인]] * [[쥬라기 공원]] * [[먹이]] * [[타임라인]] * [[배틀필드: 더 러시안]] * 사이버스톰 * [[풀 메탈 패닉]] * [[9S]] * [[기동전사 건담 UC]] - [[먼 미래]]의 [[우주전쟁]]을 다루는 [[스페이스 오페라]]이지만, 작가인 [[후쿠이 하루토시]]가 본래 [[가공전기]]와 테크노 스릴러를 전문으로 하는 작가였기에 그 영향으로 테크노 스릴러의 요소가 포함된 작품이 되었다. * [[이토 케이카쿠]]의 장편 소설들 * [[학살기관]] * [[하모니]] * [[죽은 자의 제국]] * [[제이슨 본 시리즈]]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본편인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과는 다르게 [[마법]] 같은 [[오컬트]]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고 학원도시의 [[과학]]과 [[초능력]]을 소재로 사용하는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소설)|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천공의 벌]] * '''[[자칼의 날]]''' * [[검은 고양이의 수요일]] * [[메이즈 러너]] * [[웨이워드 파인즈]] * [[제5침공]] * 플럼 아일랜드 * [[프래그먼트]] * [[다이버전트]] * [[더블 타겟(영화)|탄착점]] * [[소드 아트 온라인]] - 4부 한정 * [[SCP 재단]] - [[제3법칙]], 최악의 냉전 등 로어 및 소설 한정, 주로 [[요주의 단체]]와의 대립과 갈등에 대해서 다루는게 많다. === 애니메이션 === * [[잔향의 테러]] * [[동쪽의 에덴]] * [[빅 히어로]] * [[제가페인]] *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천국의 문]] * [[PSYCHO-PASS]] === 드라마 === * [[메시아(드라마)|메시아]] *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 시리즈]] * [[아테나 전쟁의 여신]] * [[아이리스 2]] * [[홈랜드]] * [[웨스트월드(드라마)]] * [[24(드라마)]] * [[블랙리스트(드라마)]] * [[스콜피온(드라마)]] * [[배가본드(드라마)]] [[분류:테크노 스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