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캡스톤_(1).jpg|width=100%]]}}} || || {{{#ffffff '''SEQUOIA'''}}} || [목차] '''Toyota Sequoia''' '''トヨタ・セコイア''' == 개요 == [[파일:토요타 세콰이어.png|width=1000]] 세쿼이아(좌)와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우)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토요타]]가 2000년부터 북미 시장에서 생산하고 있는 풀 사이즈 [[SUV]]이다. 영문 발음은 시코이어가 맞으나, 일본어 카타카나 표기는 '''세코이아'''로 되어 있다. == 상세 ==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와 함께 [[미국]] [[텍사스]] 주의 산 안토니오 공장[* 이전에는 [[미국]] [[인디애나]] 주 공장에서 생산했다.]에서 생산되며,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시장에서는 실질적인 [[토요타 랜드 크루저]]의 후속 차종으로 판매되고 있다.] 토요타에서 생산되는 SUV 차종 중에서는 [[토요타 랜드 크루저|랜드 크루저]]의 차체 크기보다 더 길지만, 차량의 무게는 랜드 크루저보다 가벼운 편이다. 2017년 미국의 중고차 사이트에서 조사한 결과 이 차량의 5.6% 이상은 20만 마일 이상을 주행한 차량들로, 주행거리 장수 모델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상위권은 대부분 [[토요타]]와 [[혼다]]가 차지했다.] === 1세대 (XK30/XK40, 2000~2007) === [[파일:1세대 세콰이어.png|width=700]] 2000년에 2001년형으로 출시됐으며 4.7L 2UZ-FE형 V8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 섀시 등은 픽업 트럭인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와 공유하며, 후면부에는 [[멀티링크 서스펜션]]과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면서 승용차같은 승차감을 얻기도 했다. 차 크기는 [[토요타 랜드 크루저|랜드 크루저]] 및 [[쉐보레 타호]]보다도 크다. 사양은 'SR5'와 '리미티드'가 있었으며, 각각 [[FR(자동차)|후륜구동]]과 [[4WD]]이 적용됐다. 2005년에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어 외형 일부가 수정됐으며, 5단 자동변속기와 273PS[* 원래는 282PS를 내도록 설계됐으나, 273PS로 출력을 줄였다.]의 [[VVT]]-i 엔진이 적용됐다. 한 때 [[일본]] 시장에는 주오자동차[* 현재는 '토요타 자동차 동일본'이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변경했다.]에서 판매했었다. 대한민국에서도 미군부대로 통해서 미군들이 타던 차량들 중 일부가 중고차로 나왔었고, 일부 차량들이 [[그레이 임포트 차량|그레이 임포터]]로 수입되기도 했었다. === 2세대 (XK60, 2007~2022) === ||[[파일:toyota_sequoia_limited_26.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limited_20.jpg|width=100%]]|| ||[[파일:autowp.ru_toyota_sequoia_16.jpg|width=100%]]||[[파일:autowp.ru_toyota_sequoia_18.jpg|width=100%]]|| |||| 2007 ~ 2017 Limited |||| ||[[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18.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platinum.jpg|width=100%]]|| ||[[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10.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25.jpg|width=100%]]|| |||| 2007 ~ 2017 Platinum |||| 2007년 LA 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됐으며, 2008년형으로 출시했다.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픽업 트럭인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와 공유하며, 후면부에는 [[멀티링크 서스펜션]]과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면서 승용차같은 승차감을 얻기도 했다. [[파워트레인]]은 4.7L 2UZ-FE형 V8 엔진 외에도 5.7L 3UR-FE형 V8 엔진이 추가됐다. 사양은 SR5, 리미티드 외에도 '플래티늄' 사양이 추가됐고, 이전 세대처럼 후륜구동과 4WD이 적용됐다. 편의사양으로는 DVD 시스템과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내비게이션, 스마트 엔트리 등이 적용됐다. SR5 사양은 8인승, 플래티늄 사양은 7인승으로 구성됐으며, 뒷좌석에 6:4 형태로 분할되는 좌석이 적용됐다. 2010년부터는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에 적용된 4.6L 1UR-FE형 V8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기존의 4.7L 2UZ-FE형 V8 엔진 차량은 단종됐다. 북미 전용 차량이지만, [[일본]] 시장에 역수입하는 경우도 있으며, 일본에서도 의외로 생각보다 눈에 많이 띄는 차량이다.[* 비공식이다 보니 [[주파수 변환기]]를 장착해서 FM방송을 청취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미군부대로 통해서 미군들이 타던 차량들 중 일부가 중고차로 나왔었고, 일부 차량들이 [[그레이 임포트 차량|그레이 임포터]]로 수입되기도 했었다. ||[[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35.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42.jpg|width=100%]]|| ||[[파일:toyota_sequoia_platinum_45.jpg|width=100%]]||[[파일:SEQ_MY20_0041_V002.png|width=100%]]|| |||| 2017 ~ 2022 Platinum |||| 2017년 2월 9일, 새로운 LED 라이트와 주간 주행과 안개등을 탑재한 1차 페이스리프트를 2018년형으로 단행했다. 새로운 외관 색상[* 미드나이트 블랙 메탈릭(Midnight Black Metallic), 쇼어라인 블루 펄(Shoreline Blue Pearl), 토스티드 월넛 펄(Toasted Walnut Pearl).]과 자동차 비상 제동 시스템을 도입하고 각 트림마다 그릴 형태를 다르게 했으며,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Toyota Safety Sense)의 SRD, TRIM과 TRD 레벨[* TRD 레벨은 Platinum에만 해당된다.]을 추가하고 계기판을 새롭게 바꿨다. [[파일:2세대 세콰이어.png]] 2020년형에서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P[* 자동 제동, 차선 유지 보조 장치,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사각지대 모니터링 및 후방 교차 교통 경고를 포함한 전방 충돌 경고]를 추가하고 알루미늄 본체 내부의 바이패스 폭스 쇽업쇼버로 오프로드 기능을 강화한 TRD Pro를 추가했다. 2021년형에서 나이트셰이드(Nightshade) 에디션이 2,500대 한정판으로 미국에서 2020년 하반기에 판매되며 2020년 2월 6일 시카고 모터쇼에 소개됐다. ||[[파일:toyota_sequoia_nightshade.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nightshade_8.jpg|width=100%]]|| ||[[파일:toyota_sequoia_nightshade_85.jpg|width=100%]]||[[파일:toyota_sequoia_nightshade_14.jpg|width=100%]]|| |||| 2021 '''2,500 NightShade''' |||| === 3세대 (XK80, 2022~현재) ===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캡스톤_(1).jpg|width=100%]]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캡스톤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캡스톤_(3).jpg|width=100%]]}}} || ||<-2> {{{#ffffff '''세쿼이아 캡스톤'''}}} ||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TRD PRO_(1).jpg|width=100%]]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TRD PRO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TRD PRO_(3).jpg|width=100%]]}}} || ||<-2> {{{#ffffff '''세쿼이아 TRD 프로'''}}} ||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리미티드.jpg|width=100%]]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리미티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토요타 세쿼이아 리미티드_(3).jpg|width=100%]]}}} || ||<-2> {{{#ffffff '''세쿼이아 리미티드'''}}} || 2022년 1월 26일에 공개했다. 전 세대 모델과 마찬가지로 픽업트럭 [[토요타 툰드라|툰드라]]와 같은 TNGA-F 플랫폼을 공유한다. 파워트레인은 툰드라에 사용된 것과 같은 V6 3.5T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해 10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리는데, 당초 V6 3.5T 엔진도 얹힐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하이브리드만 먼저 선보였으며, 추후 추가될 수도 있을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모습은 툰드라와 거의 똑같으며 실내도 14인치 대화면 디스플레이와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최대 10개의 기기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 360도 카메라, 트레일러 장착을 도와주는 보조 기능 등을 추가한다. 넉넉한 출력은 견인력 향상도 꾀했다. 3세대 세쿼이아의 최대 견인 용량은 9,000파운드(약 4,100kg)로 전 세대 대비 22%나 향상했다. 이외에도 전 트림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2.5가 기본 장착돼 긴급 제동, 측면 충돌 방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이탈 및 방지, 자동 상향등, 뒷좌석 알림, 사각지대 모니터, 후측방 경고 등 안전한 주행을 돕는다. 오프로드 주행에 특화된 TRD 버전의 경우 거친 험로 주행을 위해 차체를 둘러싼 보호대와 18인치 오프로드 휠, Fox사의 전용 댐퍼, 리어 디퍼렌셜 잠금 장치, 오프로드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식 4WD 시스템 등이 추가된다. == 여담 == [[밥 루츠]]의 저서 '빈 카운터스'에서도 잠깐 언급되는데, 북미 시장에서 토요타의 차량이 실제 상품성에 비해 과대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는 파트에서 등장한다. 루츠는 어느 날 주유소에서 세쿼이아를 타고 온 한 여성을 만났었다. 그 여성에게 이 차의 연비를 물었고, 약 6.4km/L가 나온다는 말을 듣고는 [[쉐보레 타호]] 하이브리드[* 3세대 하이브리드 버전 기준.]가 약 9km/L를 간다는 사실을 말해주자, 들은 체도 안하고 당연히 토요타의 연비가 좋겠거니 여기며 그냥 갔다는 일화가 있었다. 실제로 타호 하이브리드는 나쁘지 않은 효율성을 선보였음에도 단순히 토요타라는 이유만으로도 극찬받는 세콰이어와는 다르게 악평만 듣고 사라졌고 세쿼이아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여전히 잘만 나가는 상황이다. 북미 시장에서 토요타의 브랜드 이미지 메이킹이 얼마나 성공적인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경쟁 차종 ==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익스페디션|익스페디션]] * [[GMC(자동차 제조사)|GMC]] - [[GMC 유콘|유콘]] * [[쉐보레]] - [[쉐보레 타호|타호]] * [[닛산]] - [[닛산 아르마다|아르마다]], [[닛산 패트롤|패트롤]] * [[지프]] - [[지프 왜고니어|왜고니어]]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타 TRD의 차량)]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2000년 출시]][[분류:대형 SUV]][[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