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0001203285.jpg|width=100%]]}}} || || [[파일:Yaris.svg|width=8%]] / [[파일:vitz-logo.png|width=6%]] || [목차] '''Toyota Yaris / Vitz[* 1~3세대 일본 내수명]''' '''トヨタ・ヤリス / ヴィッツ''' '''[[마쓰다 2|Mazda 2]]''' == 개요 == 일본의 자동차 회사 [[토요타]]에서 1998년부터 생산하는 [[소형차]]. 본래 일본 내수명은 비츠였으며 일본에서는 파생형으로 소형 세단 모델이 세대마다 다른 이름을 사용했으며 해외에서는 해치백, 세단 모두 야리스라는 이름을 쓰고 있지만 4세대부터는 일본에서도 야리스란 이름을 쓴다. [[https://en.wikipedia.org/wiki/Toyota_Vitz|참고 자료]] [[토요다 아키오]] 회장이 애정하는 차다. 통칭 '''회장님차'''. 평상시에 몰고 다니는 차도 이 녀석이고, 회장님께서 친히(?) [[레이싱]] 대회에 참가할 때도 야리스를 튜닝하여 출전한다. == 역사 == === 1세대 (XP10, 1999~2005, 2012) === || [[파일:비츠1-1.jpg|width=100%]] || [[파일:1999 토요타 비츠 3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9 토요타 비츠 3도어_(3).jpg|width=100%]]}}} || ||<-2> {{{#000 '''비츠 3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비츠1-2.jpg|width=100%]] || [[파일:1999 토요타 비츠 5도어_(2).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 [[파일:1999 토요타 야리스 3도어_(1).jpg|width=100%]] || [[파일:1999 토요타 야리스 3도어_(2).jpg|width=100%]] || ||<-2> {{{#000 '''야리스 3도어'''}}} || || [[파일:199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199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전기형'''}}} || 토요타가 1997년에 "펀 프로젝트"[* 같은 시기에 공개된 [[토요타 펀 카고|펀카고]], 펀쿠페, 펀타임은 같은 플랫폼을 공유했고, 같은 플랫폼 내에서 개성있는 디자인을 뽑아내기 위한 연구이기도 했다. 토요다 슈헤이(Shuhei Toyoda)가 이 프로젝트를 이끌었다.]의 일환으로서 공개한 펀타임(Funtime) 컨셉트카의 양산형으로, 토요타의 ED2 유럽 스튜디오에 근무하던 소티리스 코보스(Sotiris Kovos)의 디자인이 베이스가 되었다. 실내 역시 외관처럼 곡선을 활용한 디자인을 하고 있었고, 계기판은 대시보드 중앙에 위치했다. 1998년 말부터 생산되어 1999년 1월에 [[토요타 스타렛]](Starlet)의 후속으로 일본 판매를 시작했고, 유럽에서는 3월부터, 호주에서는 10월부터 판매되었다. 유럽에서는 비츠가 독일어로 "농담"을 뜻하는 "Witz"와 겹친다는 이유로 야리스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일본 내수형 비츠는 [[아이치현]] [[토요타]] 시의 공장에서, 유럽형 야리스는 프랑스의 [[발랑시엔]](Valenciennes)에서 생산되었다. 일본에서는 넷츠(Netz) 대리점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전신인 스타렛처럼 가성비를 내세워 [[닛산 마치]], [[혼다 로고]], [[마쓰다 데미오]] 등과 경쟁했다. 초기에는 직렬 4기통 1SZ-FE형 1.0L DOHC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고 그 해 8월에 2NZ-FE형 1.3L 엔진 및 [[4WD]] 사양이 추가되었다. 2000년 1월에 일본 내수형 비츠가 오프셋 충돌 안전성을 향상하는 개선이 이루어졌고, 그 해 10월에는 스포티 사양인 RS가 출시되었는데, 앞뒤 범퍼를 손보고 메쉬 그릴과 검은색 헤드램프, 안개등, 사이드 스커트, 알로이휠, 스포츠 시트, 가죽 스티어링, 가죽 및 크롬으로 마감된 변속기 손잡이, 메탈릭 도장으로 마감된 도어트림이 적용되었다. RS 사양은 1.3L 2NZ-FE 84마력과 1.5L 1NZ-FE 110마력 엔진이 제공되었다. 2001년에는 RS 사양이 T-Sport라는 이름으로 유럽형 야리스에도 추가되었다. 그 해 6월에 공회전 방지 장치를 장착하고 기어비를 개선한 "에코" 패키지를 비츠의 5단 수동변속기 장착 모델에 추가했다. 앞서 공개한 펀 프로젝트를 양산화한 토요타 뉴 베이직 카(NBC)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파생 라인업인 [[토요타 플라츠|플라츠/에코]]와 [[토요타 펀 카고|펀 카고/야리스 베르소]] 등이 추가되었으며, 호주와 캐나다 등에서는 비츠의 수출명으로 에코를 사용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1998년 "일본 올해의 차" 상을 수상했다. || [[파일:2002 토요타 비츠 RS V 패키지_(1).jpg|width=100%]] || [[파일:비츠1-3.jpg|width=100%]] || || {{{#000 '''비츠 RS V 패키지 3도어'''}}} || {{{#000 '''비츠 3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비츠1-4.jpg|width=100%]] || [[파일:2001 토요타 비츠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1 토요타 비츠 5도어_(3).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3도어_(1).jpg|width=100%]]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3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3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3도어'''}}} ||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T-스포츠_(1).jpg|width=100%]]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T-스포츠_(2).jpg|width=100%]] || ||<-2> {{{#000 '''야리스 T-스포츠'''}}} ||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3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후기형'''}}} || 2001년 12월에 내수형 비츠가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전면 디자인이 변경되고 뒷좌석 6:4 분할 시트가 기본 적용되었다. 단 RS 등 일부 사양에는 디자인 변화가 없었다. 수출형인 야리스는 2003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북미에서는 비츠와 플라츠 모두 에코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해치백 버전인 비츠는 미국에서 팔리지 않고 캐나다 시장에서만 2003년부터 판매되었고 일본처럼 RS 모델도 제공되었다. 일본 내수용 한정으로 RS를 개조해 1.5L 148마력 터보차저 엔진을 장착한 사양이 토요타 레이싱 디벨롭먼트(Toyota Racing Development. TRD)를 통해 제작되어 한정판매된 바 있다. 중국에서는 2002년부터 현지 생산되어 2012년까지 판매했다. === 2세대 (XP90, 2005~2010) === || [[파일:비츠2-2.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비츠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5 토요타 비츠_(3).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05 토요타 비츠 RS_(1).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비츠 R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5 토요타 비츠 RS_(3).jpg|width=100%]]}}} || ||<-2> {{{#000 '''비츠 RS'''}}} || || [[파일:2005 토요타 야리스 3도어_(1).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야리스 3도어_(2).jpg|width=100%]] || ||<-2> {{{#000 '''야리스 3도어'''}}} || || [[파일:2005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5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전기형'''}}} || 1세대에 이어 토요타의 ED2 유럽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이전 대비 곡선 위주의 디자인으로 변모했다. 일본에서는 2005년 2월에 출시되었고, 이전에 비해 훨씬 다양한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했으며, 멕시코와 캐나다를 비롯한 중미~북미 지역에서도 판매가 시작되었다. 북미 사양은 2006년 1월에 로스앤젤레스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미국에서는 2008년부터 야리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과 프랑스 외에도 태국, 중국 등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 엔진별 라인업으로는 [[토요타 아이고]](Aygo)와 공유하는 1.0L VVT-i 3기통 엔진이 같은 배기량의 4기통 엔진을 대신했으며, 1.3L 엔진은 출력을 늘리기 위해 일부 개조되었다. 1.4L D-4D 디젤엔진도 출력이 15마력(hp 기준) 늘어나 최고출력이 89마력(hp)까지 늘어났다. 2009년 초에는 유럽 시장에 스타트&스톱 기능이 추가된 1.33L 엔진을 라인업에 추가했다. 야리스/비츠는 동급 차종 최초로 9 에어백 시스템을 적용했다. 야리스 세단은 일본에서 [[토요타 벨타]](Belta)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플라츠/에코에 비해 야리스와 유사한 모습이며 일본 디자인팀이 직접 디자인했다. 2007년에는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스포티 사양인 비츠 RS를 공개했다. 107마력(bhp)을 내는 1.5L VVT-i 4기통 엔진을 얹었으며, 16인치 알로이휠과 RS 로고가 추가된 메쉬 그릴, 전용 앞뒤 범퍼 및 스커트 디자인, 스포일러, 스포티한 세팅의 스티어링과 서스펜션, 뒷바퀴 디스크브레이크가 추가되었다. 유럽 및 북미에서도 T-스포츠(T-Sport)의 후속으로서 야리스 TS라는 이름 하에 판매되었다. 일본 사양과는 달리 1.8L 2ZR-FE 130마력(hp) 엔진을 얹고 판매되었으며, 100km/h까지 약 10초의 가속 시간을 기록했다. 일본 내수용은 2007년에 G-BOOK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선택 장비로 추가했다. || [[파일:비츠2-4.jpg|width=100%]] || [[파일:2007 토요타 비츠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 토요타 비츠 5도어_(3).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08 토요타 비츠 RS_(1).jpg|width=100%]] || [[파일:2008 토요타 비츠 RS_(2).jpg|width=100%]] || ||<-2> {{{#000 '''비츠 RS'''}}} ||}}} || ||<-2> {{{#ffffff '''후기형 비츠'''}}} || 2007년 8월에 일본 내수형 비츠가 범퍼 및 후미등 디자인이 변경되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디지털 시계를 기본 장착하는 등 편의사양도 일부 변경되었다.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SR 3도어_(1).jpg|width=100%]]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SR 3도어_(2).jpg|width=100%]] || ||<-2> {{{#000 '''야리스 SR 3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0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200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9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후기형 야리스'''}}} || 2010년에는 야리스도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태국 생산분은 2011~2013년 사이 유럽에서 [[다이하츠 샤레이드]]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어 판매되었다. 샤레이드는 5도어 전용 라인업에 1.3L 엔진과 6단 수동, 혹은 자동변속기 옵션이 장착되어 판매되었다. === 3세대 (XP130, 2010~2019) === || [[파일:비츠3-1.jpg|width=100%]] || [[파일:2010 토요타 비츠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토요타 비츠_(3).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0 토요타 비츠 RS_(1).jpg|width=100%]] || [[파일:2010 토요타 비츠 R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토요타 비츠 RS_(3).jpg|width=100%]]}}} || ||<-2> {{{#000 '''비츠 RS'''}}} || || [[파일:2011 토요타 비츠 RS G's_(1).jpg|width=100%]] || [[파일:2011 토요타 비츠 RS G'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1 토요타 비츠 RS G's_(3).jpg|width=100%]]}}} || ||<-2> {{{#000 '''비츠 RS G's'''}}} || || [[파일:비츠3-2.jpg|width=100%]]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3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3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3도어 남아공 사양'''}}} ||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1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파일:2012 토요타 야리스 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파일:2012 토요타 야리스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2 토요타 야리스 하이브리드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하이브리드'''}}} ||}}} || ||<-2> {{{#ffffff '''전기형'''}}} || 2010년 중반에 출시되었으며, 곡선 중심인 이전과는 달리 좀 더 직선과 엣지가 들어간 디자인을 꾀했다. 실내도 이전 대비 훨씬 넓혔고, 전면 와이퍼 암을 1개만 사용했으며 계기판도 대시보드 중앙 대신 운전석 쪽으로 옮겼다. 유럽 사양은 6단 수동변속기를 1.33L 엔진에 적용했고, 수동변속기 외에도 7단 변속기처럼 가동하는 "멀티드라이브 S / 7스피드 멀티드라이브(MultiDrive S / 7-speed MultiDrive)"라는 CVT를 제공하기도 했다. 프랑스에서는 북미 사양을 만들어 수출하기 시작했다. 이전 세대 대비 공기저항계수를 낮춰 0.285cd까지 낮춘 점도 3세대 비츠/야리스의 특징 중 하나다. 일본 내수에서는 2010년 12월 22일에 요코하마에서 공개되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2011년 말에 출시되었다. 1.0~1.5L에 걸친 엔진 라인업 중에서 1.0L 엔진과 1.3L 엔진이 새로 추가되었고, 스타트&스톱 기능을 얹어 26.5km/l(일본의 10-15모드 기준)의 공인 연비를 기록했다. 이전 세대에 이어 9 에어백 시스템이 제공되었으며, 트림별 라인업으로는 F, U, 쥬엘라(Jewela), RS 등이 준비되었다. 전륜구동과 [[4WD]]이 제공되며, 1.5L 엔진은 RS 트림에 CVT를 얹어 장착했다. || [[파일:2014 토요타 비츠_(1).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비츠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토요타 비츠_(3).jpg|width=100%]]}}} || ||<-2> {{{#000 '''비츠 5도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4 토요타 비츠 RS G's_(1).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비츠 RS G'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토요타 비츠 RS G's_(3).jpg|width=100%]]}}} || ||<-2> {{{#000 '''비츠 RS G's'''}}} || || [[파일:2014 토요타 야리스 3도어_(1).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야리스 3도어_(2).jpg|width=100%]] || ||<-2> {{{#000 '''야리스 3도어'''}}} || || [[파일:2014 토요타 야리스 5도어_(1).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야리스 5도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토요타 야리스 5도어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중기형'''}}} || 2014년 4월에 비츠의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며, 유럽 디자인 센터에서 담당해 직선 중심의 디자인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일본 내수용 비츠의 스포츠 버전인 RS 및 RS "G`s"도 같은 시기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17인치 알루미늄 휠이 추가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수출용인 야리스는 비츠 RS의 앞모습을 적용했다. 북미, 유럽, 호주 지역에서 1.5L 103마력(hp) 엔진 및 5단 수동/4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고, 유럽에서는 1.33L 엔진과 6단 수동/CVT 조합이 가장 큰 엔진이었다. 토요타의 공식 설명으로는 승차감, 고속 주행에서의 정숙성, 인테리어 감각 등의 여러 분야에서 차량을 개선했다고 한다. || [[파일:2017 토요타 비츠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 {{{#000 '''비츠'''}}} || {{{#000 '''비츠 하이브리드'''}}}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Bi-Tone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Bi-Tone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Bi-Tone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5도어'''}}} ||}}} || ||<-2> {{{#ffffff '''후기형'''}}} || 2017년 2차 페이스리프트로 [[토요타 캠리|캠리]]와 비슷한 패밀리룩을 이루었다. 이때부터 일본 내수시장에 [[토요타 아쿠아|아쿠아]]와 동일한 1.5L 하이브리드 구동계를 얹은 차량이 팔리기 시작했다. ==== 비츠 GR & GR 스포트 / 야리스 GR 스포트 ====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 스포트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 스포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 스포트_(3).jpg|width=100%]]}}} || ||<-2> {{{#000 '''비츠 GR 스포트'''}}} ||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_(3).jpg|width=100%]]}}} || ||<-2> {{{#000 '''비츠 GR'''}}} || || [[파일:2018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1).jpg|width=100%]] || [[파일:2018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8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3).jpg|width=100%]]}}} || ||<-2> {{{#000 '''야리스 GR 스포트'''}}} || ||<-2> [[파일:vitz-logo.png|width=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2|[[파일:Toyota_GR.svg|width=5%]]]] & [[토요타 가주 레이싱#s-4.3|[[파일:gr_sport.png|width=5%]]]] / [[파일:Yaris.svg|width=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3|[[파일:gr_sport.png|width=5%]]]] || ==== 비츠 GRMN & GRMN 터보 / 야리스 GRMN ==== || [[파일:2013 토요타 비츠 GRMN 터보_(1).jpg|width=100%]] || [[파일:2013 토요타 비츠 GRMN 터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3 토요타 비츠 GRMN 터보_(3).jpg|width=100%]]}}} || ||<-2> {{{#000 '''2013 비츠 GRMN 터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MN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MN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비츠 GRMN_(3).jpg|width=100%]]}}} || ||<-2> {{{#000 '''2017 비츠 GRMN'''}}} ||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GRMN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GRMN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야리스 GRMN_(3).jpg|width=100%]]}}} || ||<-2> {{{#000 '''2017 야리스 GRMN'''}}} ||}}} || ||<-2> [[파일:vitz-logo.png|width=5%]] / [[파일:Yaris.svg|width=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1|[[파일:grmn logo.png|width=8%]]]] || 이 세대 모델은 GRMN 모델이 두번 나왔는데, GRMN에서 기획해 2013년에 나온 비츠 GRMN은 영국과 호주에 판매되던 3도어 비츠를 베이스로 출시, 1.5리터 터보차져 엔진을 사용해 200대 한정으로 판매했고, 토요타의 WRC 복귀를 기념하여 2017년에 나온 비츠 GRMN은 유럽에서 야리스 GRMN과 함께 출시, 일본에서는 150대, 유럽에서는 400대 한정으로 판매되었으며, 1.8리터 엔진을 로터스가 튜닝해, 슈퍼차져를 얹고 6단 수동변속기를 맞물렸는데, 역대 비츠 중에서는 유일한 6단 수동변속기 모델이었다고 한다. === 4세대 (XP210, 2019~현재) === || [[파일:K0001203285.jpg|width=100%]] || [[파일:2020 토요타 야리스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토요타 야리스 하이브리드_(3).jpg|width=100%]]}}} || ||<-2> {{{#ffffff '''야리스 하이브리드'''}}} || 2019년 10월 도쿄 모터쇼에서 9년만에 4세대 모델이 공개되었다. 한편 국제 시장 모델이 풀체인지 되기가 앞서 [[사이언 iA|북미 시장용 모델]]은 2019년 4월, [[마쓰다 데미오|마쓰다 2]]를 베이스로 신모델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2020년 7월 7일, 판매 저조 및 SUV의 수요 증가세에 따라 북미시장에서 야리스 세단 및 해치백을 단종하기로 공식 발표했다. 단 북미를 제외한 유럽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선 계속 판매한다.[[https://www.pakwheels.com/blog/toyota-yaris-is-dead-in-united-states/|#]] 단종된 북미와 달리 일본 내수시장에서는 4세대 출시 이후 줄곧 판매량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을 정도로 많이 팔린다. 일본 시장용 모델을 기준으로 1.0L 가솔린, 1.5L 가솔린, 1.5L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하며, 일본 내수용 모델도 이번에는 '''비츠'''라는 차명이 아닌, 국제시장용 모델과 동일한 '''야리스'''로 변경되었다. 유럽에서는 OEM으로 [[마쓰다 2]]로 팔리며, 일부 국가에서는 경찰차로도 운행하고 있다. [[2023년]]부터 [[미츠오카 뷰트]] 4세대 모델은 야리스 4세대의 앞뒤 디자인을 변경하고 미츠오카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해서 판매하고 있다. ==== 야리스 GR 파츠 ==== || [[파일:img-customize_040.jpg|width=100%]] || || [[파일:Yaris.svg|width=6%]] [[토요타 가주 레이싱#s-4.4|[[파일:gr parts.png|width=8%]]]] || ==== 야리스 GR 스포트 ==== || [[파일:2021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1).jpg|width=100%]] || [[파일:2021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 토요타 야리스 GR 스포트_(3).jpg|width=100%]]}}} || ||<-2> [[파일:Yaris.svg|width=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3|[[파일:gr_sport.png|width=5%]]]] || == 파생 모델 == * [[토요타 펀 카고|야리스 베르소]] * [[토요타 벨타|벨타]] * [[토요타 바이오스|바이오스]] / [[토요타 야리스 아티브|야리스 아티브]] * [[사이언 iA|야리스 세단 / 해치백]] ([[사이언 iA]]) * [[토요타 GR 야리스|GR 야리스]] * [[토요타 야리스 크로스|야리스 크로스]] == WRC 랠리카 == ||[[파일:external/toyotagazooracing.com/car_slide_02.png|width=100%]]||[[파일:external/toyotagazooracing.com/car_slide_04.png|width=100%]]|| 1999년을 끝으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서 철수한 토요타는 2017년부터 WRC에 다시 도전한다. [[토요타 셀리카|셀리카]], [[토요타 코롤라|코롤라]] 등을 활용했던 과거와는 달리 야리스를 활용해 랠리 무대에 뛰어든다. 원래 2016년까지 적용된 300마력 규정에 맞춰 랠리카 개발을 했지만 2016년에 1년을 넘겨두고 2017년부터 바뀌는 WRC의 새로운 랠리카 규정이 발표되면서 부랴부랴 380마력 규정에 맞춰 랠리카 개발을 다시 시작했다. 2016년 9월 말 개막한 파리 모터쇼에서 야리스 WRC를 발표한 뒤 2016년 12월에 더욱 공격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한 최종 버전을 발표했다. [[야리마티 라트발라]], [[유호 해니넨]], 에사페카 라피로 구성된 드라이버 라인업도 이미 확정됐으며 첫 경기는 2017년 1월 개막전 몬테카를로 랠리로 예정됐다. 자세한 스펙은 아래와 같다. === 3세대 후기형 === ||||<#0a2972> {{{#ffffff '''야리스 WRC, 2017 시즌 참가 차량'''}}} || || 출시일자 ||<(> 2017년 || || 베이스모델 ||<(> 토요타 야리스 3세대 3도어 || || 엔진 ||<(> 직렬 4기통 싱글터보 직분사 엔진 || || [[배기량]] ||<(> 1,600cc || || 최고출력 ||<(> 380PS 이상 || || 최대토크 ||<(> 43.4kg·m 이상 || || 보어/스트로크 ||<(> 83.8mm/72.5mm || || 에어 리스트릭터 ||<(> 36mm || || 변속기 ||<(> 6단 [[자동화 수동변속기|시퀀셜]], 패들시프트 방식 || || 전/후륜 서스펜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맥퍼슨 스트럿]] || || 스티어링 ||<(> 유압식 랙 앤 피니언 || || 전/후륜 브레이크 ||<(> 포장도로 370mm, 비포장도로 300mm(모두 공랭식, 수랭식 겸용) || || 구동방식 ||<(> [[4WD|E-Four]] || || 전장 ||<(> 4,085mm[* 에어로파츠 포함] || || 전폭 ||<(> 1,875mm || || 축거 ||<(> 2,511mm || || 최소중량 ||<(> 1,190kg || [[http://toyotagazooracing.com/wrc/cars/2017/|출처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 공식 홈페이지]] 2019년, [[오트 태나크]]가 [[세바스티앙 오지에]]의 연패 기록을 저지하는 드라이버즈 타이틀을 획득하며 챔피언십 위닝카가 되었다.[* 이후에 오지에도 토요타에서 챔피언십 타이틀을 추가했다.] 2021년에는 오지에가 토요타에서 다시 한 번 우승을 함과 동시에 제조사 우승도 하게 되었다. === 4세대 === ||[[파일:CED5C1F2-9090-4480-A527-434223096D82.jpg|width=100%]]||[[파일:F65BAB88-199C-4F73-B829-5AA581C62371.jpg|width=100%]]|| 2019년 공개된 4세대를 기반으로 하는 신형 야리스로, 정식명칭은 GR 야리스 랠리1 이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새로 적용되어 최고출력 510마력대를 발휘한다. 스웨덴 랠리에서 칼레 로반페라가 아버지를 뒤이어 스웨덴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22 WRC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 모터스포츠 == 위의 야리스 WRC와는 별도로 일본내 모터스포츠 대회에서는 토요타의 후원하에 2000년부터 원메이크 레이스가 열리고 있으며, 랠리에도 참가하고 있다. 토요타가 후원하는 비츠 원메이크는 2021년부터 야리스 원메이크로 전환, 비츠 원메이크는 각 서킷 차원에서 열리는 레이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 매체에서 == *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 : 1세대부터 4세대 GR 모델까지 모두 등장한다. 인터넷에서는 GT3에서 레이스 우승 경품으로 얻을 수 있는 핑크색 야리스가 밈이 되기도 했다. * [[Assoluto Racing]]: 3세대 GR 모델이 등장한다. * [[명탐정 코난 극장판]] : 1세대 3도어 후기형 모델이 트래픽카로 등장한다. * [[아즈망가 대왕]] : [[쿠로사와 미나모]] 선생의 차로 파란색 1세대 비츠 5도어 전기형이 등장한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우마무스메 PRETTY DERBY]] : 1세대 5도어 전기형 모델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 [[이니셜D THE ARCADE]] : GR 야리스가 등장한다. WRC 버전의 바디킷도 장착할 수 있다. == 경쟁 차종 == * [[현대자동차]] - [[현대 i20|i20]] * [[기아]] - [[기아 K3/리오 후속|K3(리오 후속)]] 해치백 * [[혼다]] - [[혼다 피트|피트]] * [[닛산]] - [[닛산 마치|마치/마이크라]], [[닛산 노트|노트]] * [[미쓰비시]] - [[미쓰비시 콜트|콜트]] * [[마쓰다]] - [[마쓰다 2|2]] * [[푸조]] - [[푸조 208|208]] * [[시트로엥]] - [[시트로엥 C3|C3]] * [[르노]] - [[르노 클리오|클리오]] * [[폭스바겐]] - [[폭스바겐 폴로|폴로]] * [[세아트]] - [[세아트 이비자|이비자]] * [[스코다]] - [[스코다 파비아|파비아]] * [[오펠]]/[[복스홀]] - [[오펠 코르사|코르사]] * [[란치아]] - [[란치아 입실론|입실론]]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타 GR의 차량)] [include(틀:유럽 올해의 차/1990년대)] [include(틀:유럽 올해의 차/2020년대)] [include(틀:넷츠점의 판매 차량)]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1999년 출시]][[분류:소형 해치백]][[분류:리프트백]][[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GR 파츠]][[분류:GR 스포트]][[분류:GR]][[분류:GRMN]][[분류:올해의 차/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