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공군)] ||<-2> {{{+2 {{{#E30A17 '''Türk Hava Kuvvetleri'''}}}}}}[br]{{{#E30A17 '''튀르키예 공군 | 터키 공군[br]Turkish Air Force''' }}} || ||<-2> [[파일:튀르키예 공군 상징.svg|width=300]] || ||<-2> {{{#ffffff '''튀르키예 공군 문양''' }}} || || {{{#ffffff '''창설'''}}} ||[[1920년]] [[4월 23일]] || || {{{#ffffff '''국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튀르키예]] || || {{{#ffffff '''소속'''}}} ||[[튀르키예군]] || || {{{#ffffff '''군종'''}}} ||[[공군]] || || {{{#ffffff '''본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튀르키예]] [[앙카라]] || || {{{#ffffff '''라운델'''}}} ||<#ffffff>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width=130]] || ||<-2> {{{#E30A17 '''지휘관'''}}} || || {{{#ffffff '''사령관'''}}} ||하산 퀴추카키위즈 || || {{{#ffffff '''부사령관'''}}} ||투르구트 아트만 || || {{{#ffffff '''공군참모총장'''}}} ||이스마일 귀네이카야 ||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군]]의 [[공군]]. [[오스만 제국]] 공군이 전신이다. == 편제 == == 현황 == 튀르키예는 [[국토]]가 넓은 국가라 대규모 공군의 운용은 필연적이었고 이에 따라 튀르키예는 미국의 원조를 통해 상당히 큰 규모의 공군을 운용할 수 있었다. 21세기 이후에도 튀르키예 공군은 미국 다음으로 [[F-16]] 전투기를 최다 운용하게 되는 것에 더해 [[KC-135]] 공중급유기와 [[E-7]] 조기경보관제기를 운용하게 되었다. 거기에 더해 '''[[F-35]] 프로그램에 참여해서 100대 이상 계약했다.''' 이렇게 될 경우 튀르키예 공군은 세계에서 TOP 20 안에 드는 강력한 공군으로 거듭나게 '''될 예정이었는데...''' 그러나 [[2016년 튀르키예 쿠데타 미수 사건]]이 터지고 쿠데타에 가담한 공군 조종사들과 인력들이 대거 숙청되거나 해외로 망명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 튀르키예 공군은 당장 전력 증강 이전에 조종사 인력을 충원하는 것부터 급급해졌다. 거기다가 에르도안 정부가 러시아제 [[S-400]] 지대공 미사일을 도입하면서 미국을 제대로 자극했고 미국은 튀르키예를 F-35 프로그램에서 퇴출시키고 금수조치를 취해버렸다. 추가적인 다른 개량 및 전력증강 프로그램도 미국의 제재조치로 인해 불투명해져 튀르키예 공군은 전력이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 튀르키예 공군은 자국의 [[F-16]] 전투기의 레이더와 같은 항전 장비를 자국산 최신형으로 교체하는 Ozgur 프로그램과 항공엔진 국산화 프로그램을 추진했지만 [[KF-X]]를 개발하며 항전장비들을 국산화하며 상당한 기술력을 축적한 한국보다 뒤떨어진 기술력으로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며 항공엔진의 경우 아예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극소수 서구 국가들이 기술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이들 국가들은 최근 튀르키예와 외교적 관계가 악화된 국가들이다. 따라서 튀르키예의 엔진 국산화 프로젝트에 협력을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한국은 [[KT-1 웅비]] 같은 터보프롭 훈련기를 튀르키예보다 20년 앞서 만들었고, [[T-50 골든이글]]을 개발하면서 [[록히드 마틴]]이라는 고액 과외 선생한테 비싼 돈 내가며 열심히 배웠다. 그리고 [[KF-21]]에 들어가는 GE F414 엔진 부품의 약 40%를 국산화하였다. 전반적으로 튀르키예와 비교 시 20~30년 격차가 나는 셈이며, 속도만 빠를 뿐, 무기 개발사는 굉장히 체계적이었다. 그런데 튀르키예는 [[TF-X]]에서 보듯 기본훈련기도 제대로 양산 못하고, 고등훈련기는 제작해본 적이 없으면서 4.5세대 ~ 5세대 전투기를 개발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2021년 [[9월 17일]] 튀르키예의 [[KC-135]] 7대 중 첫 번째 공중급유기가 최근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 시티]]의 에어로스페이스 비행장에서 진행된 현대화 개량 작업을 마무리 하고 튀르키예로 돌아왔다고 한다. Block 45라고 불리는 이 개량 사업은 [[미 공군]] 라이프 사이클 관리 센터(US Air Force Life Cycle Management Center)가 주도했으며 신형 LCD 디스플레이, 전파 고도계, 업데이트된 컴퓨터 모듈, 자동 조종 장치 및 디지털 비행 제어 시스템. 이 프로세스에는 아날로그 기기를 포함하여 유지 관리가 어렵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63개의 구성 부품들을 교체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인도되기 전에 튀르키예 공군의 4명의 조종사는 개량된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재교육을 받았다. 현재 튀르키예 공군의 두 번째 KC-135가 현대화 작업중이며, 나머지 항공기는 늦어도 [[2023년]]까지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https://armstrade.org/includes/periodics/news/2021/0917/122064523/detail.shtml|#]] *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위기에 빠진 튀르키예 공군에게 반전의 기회가 찾아왔다.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선 보스포러스 해협을 통제하는 튀르키예의 협력이 필수적이고, 가입에 기존회원국 만장일치가 필요한 나토 규정상 스웨덴과 핀란드를 신규 회원으로 맞아들이기 위해서도 튀르키예를 회유할 필요가 있었다. *2021년 10월 7일자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튀르키예가 미국에 현대화 된 F-16 전투기 40대와 기존 전투기용 현대화 키트 80대 판매를 요청했었고[[https://www.reuters.com/world/middle-east/turkey-seeks-40-f-16-jets-upgrade-air-force-sources-2021-10-07/|#]] 숙고하던 미국은 22년 6월 나토 정상회의 이후 이를 승인했다. 유럽 안보위기에서 나토측에 발맞춰주고 스웨덴과 핀란드의 나토 가입에 동의하는 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것. F-35는 S-400을 포기하고 러시아와의 무기거래를 정리하지 않는 이상 도입할 수 없겠지만 일단 급한 불은 끌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미의회에서 계속 튀르키예에 대한 F-16의 수출을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서 불투명하다. == 공군력 ==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항공병기)]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전술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F-16|F-16 외즈구르]] || 다목적 전투기 || 미국 / 튀르키예 || 1기 || - || - || || ||[[F-16|F-16C/D 블록 50+]] || 다목적 전투기 || 미국 || 30기 || - || - ||개량 예정 || ||[[F-16|F-16C/D]] || 다목적 전투기 || 미국 || 214기 || - || - ||개량 예정 || ||[[F-4 팬텀 II|F-4E-2020 터미네이터]] || 다목적 전투기 || 미국 || 48기 || - || - || ||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지원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E-7|E-7T]]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 미국 || 4기 || - || - || || ||[[KC-135|KC-135R]] || 공중급유기 || 미국 || 7기 || - || - || ||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수송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A400M]] || 전술수송기 || 유럽 || 10기 || - || - || || ||[[C-130|C-130B/E]] || 전술수송기 || 미국 || 19기 || - || - || || ||[[CN-235]] || 수송기 || 스페인 / 인도네시아 || 42기 || - || - || ||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헬리콥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H215M]] || 수송헬기 || 프랑스 || 21기 || - || 35기 || || ||[[UH-1|UH-1H]] || 다목적 헬기 || 미국 || 57기 || - || - || ||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훈련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T-38]] || 훈련기 || 미국 || 68기 || - || - || || ||[[KT-1|KT-1T]] || 훈련기 || 대한민국 || 39기 || - || - || || ||[[휴르커스|휴르커스-B]] || 훈련기 || 튀르키예 || -[* 보유하고 있던 14기는 모두 수출했고, 추가납품은 개량형인 휴르커스2로 받을 예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 - || || ||[[F-5|NF-5A/B]] || 훈련기 || 캐나다 || 18기 || - || - ||곡예 비행대에서 운용 || ||||<-7> {{{#FFF '''튀르키예 공군의 무인기''' }}}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TAI 악숭구르]] || UCAV || 튀르키예 || 5기 || - || - || || ||[[TAI 앙카|TAI 앙카-S]] || UCAV || 튀르키예 || 14기 || - || - || || ||[[바이락타르 아큰즈]] || UCAV || 튀르키예 || 6기 || - || - || || ||[[IAI 헤론]] || UAV || 이스라엘 || 10기 || - ||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튀르키예군, version=526, paragraph=6)] [[분류:나라별 공군]][[분류:튀르키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