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트로이 베이커}}}'''[br]Troy Bak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26923954663_e924d5670f_b.jpg|width=100%]]}}} || || '''본명''' ||'''트로이 에드워드 베이커[br]{{{-1 (Troy Edward Baker)}}}''' || ||<|2> '''출생''' ||[[1976년]] [[4월 1일]] ([age(1976-04-01)]세) || ||[[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91cm || || '''가족''' ||전 배우자 킴벌리 벡^^(2004년 결혼~2006년 이혼)^^[br]배우자 파멜라 월워스^^(2012년 결혼~현재)^^[br]아들 트레블러 하이드 베이커^^(2018년생)^^[* 현 배우자인 파멜라 월워스 소생.] || || '''소속 그룹''' ||트립 폰테인, Window to the Abbey || || '''포지션''' ||[[리드 보컬]], [[리듬 기타]] || || '''활동 시기''' ||[[2004년]] ~ 현재 || || '''링크''' ||[[https://www.behindthevoiceactors.com/Troy-Bake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출연 목록^^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roybakerva,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officialtroybak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성우]] 겸 [[가수]]. == 연기 == [youtube(jx3L7F3qzQc)] 연기를 하기 전에 1996년 부터 '트립 폰테인'이라는 인디 록 밴드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Troy_Baker|리드 보컬과 리듬 기타 연주를 담당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2004년에 Random Thoughts on a Paper Napkin이라는 라디오 싱글을 내면서 데뷔했다. 2014년 10월에 [[아이튠즈]]를 통해서 자신의 첫 번째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 Window to the Abbey라는 그룹에도 소속 되어 있다. 또한 [[야마오카 아키라]]의 밴드에서 남성 보컬을 맡은 경력이 있다. 그 연인지 《[[사일런트 힐 HD 컬렉션|]]》과 《[[사일런트 힐: 북 오브 메모리즈]]》에서 각각 [[제임스 선덜랜드|주인공]] 역을 맡기도 했다. 다만 리마스터링의 경우엔 전반적으로 바뀐 된 성우들의 평이 나빠서인지 몰라도, 본래 실력에 비해 자기 역도 그다지 좋은 평가는 받지 못했다. 이후 《사일런트 힐: 북 오브 메모리즈》에서는 "Rob King"이란 음악가와 함께 엔딩곡 제작까지 담당했는데, 2 편의 "Love Psalm"을 리믹스 해서 야마오카 아키라 밴드와 함께 연주한 [[https://www.youtube.com/watch?v=0spJmIm8hlo|노래]]를 냈다. 라디오 광고로 먼저 데뷔했고 정식 성우 데뷔는 [[퍼니메이션]]에서 하였으며, 처음 맡은 역할은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에서의 [[진(명탐정 코난)|진]].[* 2020년대부터는 [[Bang Zoom! 엔터테인먼트]]에서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의 [[더빙]]을 진행해서 [[DC 더글라스]]가 담당한다.] 비디오 게임 데뷔작은 《[[브라더스 인 암즈 시리즈]]》의 [[매튜 베이커]] 역이다. ~~마침 성씨도 같다.~~ 성우로서는 특히 [[게임]]계에서 가장 유명하며,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에서는 주인공 [[잭 미첼]]을 맡아 목소리 뿐만 아니라 모션 캡쳐 연기도 볼 수 있다. 목소리 뿐만이 아니라 모션 캡쳐 연기도 종종하기때문에 [[델신 로우]]나 [[새뮤얼 드레이크|새뮤얼]] 같은 경우, 젊은 트로이 베이커와 나이 있는 트로이 베이커를 보는 느낌이 든다는 평. 덕분에 미국 성우계가 상대적으로 거의 안알려진 [[한국]]에서도 [[로라 베일리]]와 마찬가지로 꽤 알려져 있다.[* 북미 성우에 거의 관심이 없는 [[한국]]의 서양 AAA [[겜덕]]들도 '트로이 베이커'가 누군지는 알 정도니 말 다한 셈.] 워낙 게임 부문에서 유명해서 그렇지 하단에도 나오듯이 [[일본 애니메이션]] 더빙에도 활발히 참여했었다. 한동안 게임하고 미국 애니메이션에 전념하고 있다가 《[[한마 바키(애니메이션 1기)|한마 바키]]》에서 [[한마 바키]] 역에 캐스팅 되며 오랜만에 일본 애니메이션에 복귀했다. 출연한 음성 지원 캐릭터들은 《[[인퍼머스 세컨드 선]]》의 [[델신 로우]], 《[[더 라스트 오브 어스]]》의 [[조엘 밀러]],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의 [[부커 드윗]], 《[[세인츠 로우: 더 서드]]》와 《[[세인츠 로우 4]]》에서의 남성 목소리 1번, 《[[배트맨: 아캄 시티]]》에서의 [[투 페이스]], 《[[배트맨: 아캄 오리진]]》에선 [[조커(아캄버스)|조커]], 《[[인피니티 블레이드 시리즈]]》의 [[사이러스]], 《[[파 크라이 4]]》의 [[페이건 민]], 《[[언차티드 시리즈]]》의 [[새뮤얼 드레이크]], 《[[바이오하자드 6]]》의 [[제이크 뮐러]] 등 여러 남성 캐릭터 목소리 연기를 하였다. 멋지고 섹시한 [[남성 호르몬]]이 느껴지는 [[허스키 보이스|허스키]]한 중[[저음]]의 목소리가 특징으로, 타고난 음색의 개성이 강하기 때문에 몇번 듣다보면 금방 구분할 수 있다. 성우와 배우가 되기 전부터 음악도 하고 있어서 가창력도 수준급. 다만 연기력이 훌륭한 것과는 별개로 '''음색이 독특한 것에 비해 변조폭이 너무 좁고''', 또 워낙 여기저기 ''''주연''''으로 많이 나오다보니 '''연기톤이 늘 똑같아서 지겹다'''는 지적도 꽤 많다.[* 오죽하면 북미 성우 팬덤에서는 게임만 틀면 남자 주인공 성우는 트로이 베이커, [[놀런 노스]],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여자 주인공 성우는 [[로라 베일리]]밖에 없냐는 얘기도 있었을 정도였다(…) 게다가 이 넷은 몇번 들어보면 스탭롤이 필요없을 정도로 개성이 매우 강한 음색을 가졌지만, 목소리 변화폭이 거의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트로이의 출연작이 게임에 몰려있고 하필 대표하는 캐릭터들이 '트로이 베이커가 트로이 베이커를 연기한다'고 할 정도로 항상 엇비슷한 톤으로 연기해서 더 그렇게 느낄 수 밖에 없는 것도 있다.[* 오히려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게임에서 좀 더 다양한 톤을 접할 수 있다. 맨날 서양 AAA 게임에서 비슷비슷한 톤만 듣다가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서 '트로이 베이커가 이런 톤도 가능하다고?'라며 놀랄 정도. 물론 타고난 음색의 특색이 강한데다가 변조폭도 좁아서 몇번 듣다보면 구별할 수는 있지만, 서양 AAA 게임에 비하면 그나마 좀 더 다양한 톤을 내는 편인 건 맞다.] 요컨데 성우에게 있어 양날의 검과 같은 듣기에 매우 좋은 특색이 매우 강한 목소리와 좁은 목소리 변화폭이라는 악조건을 갖고도, 이를 연기력으로 어디까지 커버할 수 있는지를 커리어 내내 증명해왔지만 동시에 그 한계도 보여주었던 성우이기도 하다.[* 트로이와 똑같은 유형인 [[유리 로웬탈]], 놀런 노스,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로라 베일리도 마찬가지다. 주연으로 너무 많이 나와서 질린다는 비판을 듣는 것도 똑같고(…)][* 북미 팬덤에서는 후배 성우인 [[데이먼 밀스]]를 트로이하고 종종 비교하기도 하는데, 사실 이 둘을 동일선상에 두기엔 다소 미묘한 감이 없잖아 있다. 데이먼은 단순히 연기력만 좋은게 아니라 노년부터 소년까지 특정할 수 없을 정도로 목소리 변화폭이 어마무시하게 넓은데, 일본판 및 한국판 성우하고는 무려 손자뻘의 나이차이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극장판 원피스 스탬피드]]》의 [[https://youtu.be/lc7_PC6gRwQ?t=35|더글라스 불릿]]처럼 훌륭하게 연기한 배역이 많다. 반면 트로이는 위에서도 줄곧 언급했듯이 음색 자체는 무척 듣기 좋지만 목소리 변화폭이 좁고, 서양 AAA 게임 제작자들이 트로이에게 원하는 특정 톤이 있는지 매번 엇비슷한 톤으로 연기하다보니 결국 연기 스타일이 고착화되어서 분명 [[발연기]]는 절대 아니고 오히려 연기력 자체는 훌륭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경력이 길어질수록 되려 평가가 낮아지고 있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참고로 일본 성우중에도 [[카미야 히로시]]가 딱 트로이하고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다. 물론 음색이나 연기 스타일은 트로이 쪽이 [[호불호]]가 훨씬 적은 편.] == 출연작 == ※ 가나다 순 정렬.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TVA)|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로키]], 헤르모드, 가짜 [[로켓 라쿤]], [[호크아이]] * [[갓 오브 워]] - 마그니, 오르코스, 라타토스크, 신랄이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2003년판) - [[프랭크 아처]] *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 [[그리드(강철의 연금술사)|그리드]][*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구판]]과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FA]] 초반은 [[크리스토퍼 데이비드 패튼]]이 담당 했다. [[한국]], [[미국]], [[일본]] 성우 중에서는 두 번째로 나이가 많다. 첫 번째는 한국판인 [[현경수]](1974년생), 마지막이 [[일본]]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1980년생)이다.] * [[고스트 리콘: 퓨처 솔져]] - 30K * [[길드워 2]] - 로건 태커리 * [[I am Bread|나는 빵이다]] - [[https://www.youtube.com/watch?v=h7Fu0HhcJ9A|트레일러 더빙]]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 [[야마토(나루토)|야마토]], [[페인(나루토)|페인]] * [[닌자 가이덴 3]] - [[류 하야부사]] * [[다크사이더스|다크사이더스 1]] - 아바돈, 스트라가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 - '''[[조엘 밀러]]''' *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 제임스[* 데이빗 일당의 2인자로 나오는 인물. 원작 게임에도 등장하는 캐릭터로 여기에선 [[루벤 랭던]]이 맡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f2IoD04nXzY|#]]] * [[더 크루]] - 알렉스 테일러[* 다소 [[미스캐스팅]]인데 20대 후반의 청년 느낌이 나는 목소리인데 얼굴은 30대 후반마냥 [[노안#s-2|노안]]과 [[탈모]]가 있다.] * [[The Pathless|더 패스리스]] - 신살해자 * 데드 오어 얼라이브 디멘션즈 - [[류 하야부사]] * [[데드 오어 얼라이브 5]] - [[류 하야부사]] * [[데스 스트랜딩]] - [[힉스(데스 스트랜딩)|힉스]][* 모션 캡쳐도 했다.] * [[디아블로 3]] - [[린던]] * 레고 DC 배트맨 패밀리 매터스 - [[배트맨]] * 레고 DC 코믹스 슈퍼히어로즈 아쿠아맨: 레이즈 오브 아틀란티스 - [[배트맨]] * 레고 DC 코믹스 슈퍼히어로즈 저스티스 리그 고담 시티 브레이크 아웃 - [[배트맨]] * 레고 DC 코믹스 슈퍼히어로즈: 저스티스 리그 VS 비자로 리그 - [[배트맨]], 배트자로 * 레고 DC 코믹스 슈퍼히어로즈: 저스티스 리그 코스믹 클래쉬 - [[배트맨]] * 레고 DC 코믹스 슈퍼히어로즈: 플래시 - [[배트맨]]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 판드랄, [[그루트]], [[호크아이(마블 코믹스)|호크아이]], 자비스, [[로키(마블 코믹스)|로키]], 문 나이트, 위저드 *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레고]]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배트맨]] 시리즈 - '''[[브루스 웨인]]/[[배트맨]]'''[* 이거 말고도 여러 TV 영화판 레고 DC 히어로즈에서 배트맨 역할을 맡고있다.]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맥시멈 오버로드 - [[로키]]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어벤저스 리어셈블드 - [[호크아이]] * [[레귤러쇼]] - 레인저 박사, 클로그베인, 맥시멈 글로브, 그리스왈드, 버트 콜맨, 데이비드, 로버트, 진 해저드 * [[러브, 데스 + 로봇]] '어긋난 항해' - 토린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4]] - [[바르바토제]] * [[릭 앤 모티]] - 티미 팀팀 * 마블 슈퍼히어로 어드벤처: 프로스트 파이트 - [[로키]] * [[매스 이펙트 3]] - [[카이 랭]] *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 [[리볼버 오셀롯|오셀롯]] * [[Metal: Hellsinger|메탈: 헬싱어]] - 파즈 * [[명탐정 코난]] - [[진(명탐정 코난)|진]][* 상술 했듯이 데뷔 작이다.] * [[모탈 컴뱃 X]], [[모탈 컴뱃 11]] - [[에론 블랙]], [[신녹]], [[푸진]][* [[푸진]]은 [[모탈 컴뱃 X]]에서만 담당 하였다. 《[[모탈 컴뱃 11]]》에서는 [[리우 캉]]역의 [[매튜 양 킹]]으로 변경.] *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 - [[야로미르 립스키]], 하인츠 *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모르도르]] - [[탈리온]] * [[바이너리 도메인]] - 그레고리 찰스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부커 드윗]]''' * [[바이오하자드 6]] - [[제이크 뮐러]] * 배트맨과 슈퍼맨: 아들들의 싸움 - [[배트맨]] * 배트맨 VS 로빈 - 아울 중령 * [[배트맨: 롱 할로윈]] - [[조커(DC 코믹스)|조커]] * [[배트맨: 아캄 시티]] - [[로빈(DC 코믹스)|로빈]]([[팀 드레이크]]), [[투 페이스]] * [[배트맨: 아캄 오리진]] - [[조커(아캄버스)|조커]] * [[배트맨: 아캄 나이트]] - [[아캄 나이트]], [[투 페이스]] * [[DCU 배트맨: 아캄 습격|배트맨: 어썰트 온 아캄]] - [[조커]] * 배트맨 언리미티드: 몬스터 메이햄/애니멀 인스틱스 - [[조커]], [[투페이스]] * [[배트맨: 더 텔테일 시리즈]] - '''[[배트맨(더 텔테일 시리즈)|배트맨 / 브루스 웨인]]''' * 배트맨 vs. 닌자 터틀즈 - [[브루스 웨인]]/[[배트맨]], [[조커]][* 중복임에도 같은 성우라는 느낌이 안 든다.] * [[뱀파이어 기사]] - 카인 아카츠키 * [[벤10]]: 디스트로이 에일리언 - [[에즈머스]]의 아버지 * [[브라더스 인 암즈 시리즈]] - [[매튜 베이커]] * [[블리치/애니메이션|블리치]] - [[카리야 진]] * [[블리치 Memories Of Nobody]] - [[간류]] * 사일런트 힐 HD 컬렉션 - [[제임스 선덜랜드]]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에스피오 더 카멜레온]] * [[소울 이터]] - [[엑스칼리버(소울 이터)|엑스칼리버]] * 스트레치 암스트롱 - 모르타르 * [[스파이더맨(2017)|스파이더맨]] - [[세르게이 크라비노프]] * 스쿠비 두 미스터리 주식회사 - 블루 팔콘, 레드 휴멍거나우트, 크로드, 브론스키, 드림위버, 라들리 * 스쿠비 두: 스테이지 파이트 - 랜스 데몬 * 스쿠비 두 스포키 게임스 - 세르게이 플로티니코브 * [[스타워즈: 구 공화국]] - 제니스 * [[신비한 개구리 나라 앰피비아]] - 그라임 * [[아메리칸 대드]] - 어니 * [[야이바: 닌자 가이덴 Z]] - [[류 하야부사]] * [[어벤저스 EMH]] - 클레이 쿼터메인, [[월윈드]], 블리자드, 콘스트릭터, 그레이 가고일, 파라데이, 율리크, 시드렌, [[그루트]], 마이클 코박, [[글렌 탤벗]], 로비 로버트슨 * [[어벤져스 어셈블]] - [[호크아이(마블 코믹스)|호크아이]], [[로키(마블 코믹스)|로키]], [[레드 가디언]], [[위플래시]], [[사냥꾼 크레이븐]] * [[언어스드: 트레일 오브 이븐 바투타]] - 파리스 자와드(주인공) * [[언차티드 시리즈]] - [[새뮤얼 드레이크]] * [[마블 VS 캡콤 3#s-2.2|얼티밋 마블 VS 캡콤 3]] - [[노바(마블 코믹스)|노바]] * [[얼티밋 스파이더맨(TVA)]] - [[로키(마블 코믹스)|로키]], [[호크아이]], [[쇼커]], [[에이트리]], 위리, 몬타나, 웹 슬링어 * [[역전재판 시리즈]] - [[유가미 진]] * [[영 저스티스]] - 기어 포스, [[가이 가드너]]([[그린랜턴]]), 블루 데빌, 사이몬 에크스, 헨리 파이프, 토드 도너, 레스에다, 자카르 말로, 바쉬 바쉬포드, 블리스 씨, J. 앤슨 슈와츠, 패트릭 맥과이어, 콤블란스, * [[원피스(만화)|원피스]] - [[오움]], [[헤르메포]][* 이후에는 [[마이크 맥파랜드]]로 교체.]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 '''[[굴단]]'''[* 데이브 코삭이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https://twitter.com/TerranGregory/status/575381647190700033|#]]] * [[유그드라 유니온]] - 가르카사, 미젤 * [[인저스티스]] - [[나이트윙]](딕 그레이슨), [[시네스트로]] * [[인퍼머스 세컨드 선]] - '''[[델신 로우]]''' * [[인피니티 블레이드 시리즈]] - [[사이러스]] * [[저스티스 리그 액션]] - [[호크맨]], 칸토, 조나스 * [[전국 바사라 시리즈]] - [[이시다 미츠나리(전국 바사라)|이시다 미츠나리]] * [[제너레이터 렉스]] - [[반 클라이스]], 블로우울프, 로스웰, 위버 * [[짱구는 못말려]] - '''[[액션가면]]'''([[https://www.youtube.com/watch?v=mERZ5K4tVFA|유튜브]]) * [[침착해! 스쿠비 두]] - 재스터, 잭 스탠리, 조쉬 스탠리 * [[카르멘 산디에고]] - 대쉬 하버 * [[캐서린(게임)|캐서린]], [[캐서린 풀 보디]] - '''[[빈센트 브룩스(캐서린)|빈센트 브룩스]]'''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 [[슈나이젤 엘 브리타니아]]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조세프 앨런]]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잭 미첼]] * [[테일즈 오브 베스페리아]] - [[유리 로웰]] * [[테일즈 프롬 더 보더랜드]] - 리스 * [[트랜스포머 시리즈]]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제트파이어(WFC)|제트파이어]]''', [[재즈(WFC)|재즈]] * [[트랜스포머: 폴 오브 사이버트론]] - [[제트파이어(WFC)|제트파이어]], [[재즈(WFC)|재즈]], [[킥백(프라임)|킥백]] * [[트랜스포머: 로보츠 인 디스가이즈(2015년)]] - [[스틸조]], 아놀드, 벡터 프라임, 블라드 가스틀리 * [[트리니티 블러드/애니메이션|트리니티 블러드]] - [[아벨 나이트로드]] * [[파 크라이 4]] - '''[[페이건 민]]''' * [[파이널 판타지 13]] - [[스노우 빌리어스]] * [[페르소나 4 the ANIMATION]] - [[타츠미 칸지]][* [[페르소나 4]] 게임과 애니메이션 초반부 한정. 이후 애니메이션과 게임에서는 [[매튜 머서]]로 교체 되었다.] * [[포트나이트/배틀로얄]] - [[포트나이트/배틀로얄/배틀패스#에픽|존스 요원]] * [[하스스톤]] - [[흑마법사(하스스톤)|굴단]] * [[한마 바키(애니메이션 1기)|한마 바키]] - '''[[한마 바키]]''' * [[헐크와 스매쉬 군단]] - [[로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굴단(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굴단]] * [[DARKER THAN BLACK]] - [[노벰버 11]] *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 [[노벰버 11]] * DC 슈퍼히어로즈 배트맨 비 리그드 - [[배트맨]] == 사건 사고 == * 2016년에 그가 출연했던 《[[언차티드 4]]》의 부정적 리뷰를 [[메타크리틱]]에서 지워 달라는 청원을 해 달라고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요청 했던 과거가 재조명받으면서 엄청 까였다.[[https://www.gamerevolution.com/news/651343-the-last-of-us-2-troy-baker-critics|#]] * 2020년 6월 29일에 [[제이슨 슈라이어]] 기자가 요즘 비디오 게임들은 너무 길다며 대표적으로 《[[라스트 오브 어스 2]]》를 거론 했었는데, 이를 두고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연설을 트윗 하면서[* 해당 연설은 문제를 지적하는 비평가들을 비판하고, 실제로 땀을 흘려 행동 한 사람을 추켜올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조롱했는데 참 찌질하다는 반응(…) 문제는 슈라이어의 트윗에 게임이 길다고 불평했다거나, 《라스트 오브 어스 2》에 대한 비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요즘 비디오 게임들의 길이가 길다는 짧은 말만 있었다. * 2022년 1월 14일. 한 [[NFT]] 관련 단체와 파트너쉽을 맺었다는 트윗을 올려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NFT에 대한 대중의 평판은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최악이기 때문에, 팬들과 동료 성우들이 너도나도 트로이에게 파트너쉽을 제발 취소해달라고 설득했다. 이후 1월 31일에 숙고 끝에 NFT와의 파트너쉽을 중단하겠다는 사과문을 올려 다행스럽게도 일은 종결되었지만, 안그래도 2010년대 후반부터 자잘한 [[병크]]를 터트리면서 이미지가 조금씩 나빠지고 있는 마당에 이번 사건으로 당분간 이미지 회복은 물건너 간 듯(…) == 여담 == * [[미국]] 출신임에도 [[영국인]]을 연기한 작품이 꽤 된다. 딱히 어색하다거나 하는 부분은 없고 오히려 진짜 영국인 같은 억양을 구사한다. * 줄무늬 양말을 즐겨 신는데, 《[[보더랜드 시리즈]]》를 제작한 기어 박스에서는 이걸 성우 장난에 사용했다. * 게임 [[성우]]를 지망하는 사람들에게 한 말이 있는데, "일단 가서 좋은 마이크를 사서 연습을 하다가, 저와 [[놀런 노스|노스]]가 죽을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현 게임 성우계를 양분 하다시피 한 지라 농담으로만은 들리지 않는 게 무섭다.[* 놀런은 아시다시피 《[[언차티드 시리즈]]》의 [[네이선 드레이크]]로 유명하다.] 게다가 트로이나 놀런 둘 다 타고난 음색의 특색이 강하면서 변조폭은 좁은데 너무 많이 출연해서 지겹다(…)는 비판을 꾸준히 듣기도 하고... * 게임을 평소 안 해서 플레이가 다소 서투른 놀런과는 달리, 게임 플레이를 비교적 잘 하는 편. 그래서 놀런이 게임 할 때, 가이드를 하면서 게임 진행을 해 주는 역을 주로 맡는다. 놀런과 함께 [[https://www.youtube.com/channel/UCx42AsHSKnjEfPXk0YiGCyw|RETRO REPLAY]]라는 [[유튜브]] 채널[* 주로 고전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는 토크 쇼 컨셉. 현재 [[Rooster Teeth]] 소속 하에 있다가 나왔다.]의 호스트로 활동 하고 있다가 개인 활동 겸 새 유튜브 활동을 위해 하차했다. * 채널에서 《언차티드 시리즈》와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리마스터드]]》을 했다. [[https://youtu.be/BjsINAKreB0|라스트 오브 어스 1편]][* 첫 챕터 부터 사라를 잃고 슬퍼하는 [[조엘 밀러]]의 모습을 보는 트로이의 표정이 매우 좋지 않은데, 이는 트로이가 연기를 할 때 이 장면에서 딸을 잃어 순간적으로 감정이 멈춘 듯 하면서도 오열이나 좌절 조차 잊어 버릴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아 현실 부정 하듯 고요하게 "아빠 한테 장난 치지 말고."라며 사라가 생을 마감한 걸 애써 부정 하는 모습을 생각 해 내고 연기 하는게 매우 힘들어서 이다. 실제로 [[닐 드럭만]]은 트로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이런 연기를 보여 주었을 때 더 와닿도록 재 촬영을 하였는데, 트로이는 이 연기가 정말 슬프고 하기 싫을 정도로 감정 이입을 해서 많은 고생을 했다고 한다. 트로이 옆에 앉은 여성은 조엘의 딸 사라의 배우이자 성우인 해나 헤이스. 놀런의 경우, 본작에서는 후반부에 잠깐 등장하는 빌런 역이라 전체 스토리는 잘 몰랐는지 해당 장면을 직접 연기 한 두 사람과 달리 충격적인 씬을 처음 봤을 때의 표정이다. 참고로 [[https://youtu.be/EVQWJTQi6Ok|영상 둘째 날에는 게스트]]로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주인공 중 한 명인 [[안드로이드]] [[코너(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코너]] 의 배우이자 성우로 알려진 [[브라이언 데카트]]. 이 장면은 연기 할 때 몇 번이나 NG 처리 되었고 재촬영이 많았다. 그러다가 트로이가 조엘에게 크게 감정 이입 하며 이렇게 하면 어떨까 싶어서 몇번 더 촬영 하면서 나온게 저 장면이다.] 주로 둘 이서만 플레이 하기도 하지만, 게스트와 함께 이야기를 하면서 플레이 한다. 각 게임 실황 마지막 화에는 게임의 제작자와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마무리 된다. 언차티드 1편과 2편 완결 때 에이미 헤닉이 출연,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완결 때 [[닐 드럭만]]과 [[애슐리 존슨]][* [[엘리 윌리엄스|엘리]] 역을 맡은 배우 겸 성우.]이 나온다. *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의 무기한 발매 연기 직전에 [[FANDOM]]과의 인터뷰에서 "처음 시나리오를 들은 뒤 3 ~ 4년이 지난 지금은 이 시나리오를 플레이어가 좋아할지 싫어할지는 잘 모르겠다.", "플레이어들이 열린 마음으로 이야기를 받아 들인다면 좋겠다. 만약 닫힌 마음으로 한다면 완전히 다른 경험으로 느껴지게 될 것"이라고 [[https://www.fandom.com/articles/the-last-of-us-2-troy-baker-joel|인터뷰]]하였다. >“We’re never having kids.” >"우리는 애들을 안 갖는다." > >I said these 4 words to Pam when we started dating. >우리가 사귀기 시작했을 때 이 4개의 단어를 팸에게 말했지. > >4 words dipped in fear & smothered in doubt. 4 words that would’ve robbed me of my best role with the greatest narrative: HIS story. >두려움에 젖어있고 의심으로 얼룩진 4개의 단어. 이 4개의 단어가 나에게서 최고의 이야기를 가진,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배역을 앗아갈 뻔했어. 바로 그 아이의 이야기를. > >Happy Birthday, my son. Thank you for making me a better man. >생일 축하해, 아들. 나를 더 나은 남자로 만들어 주어서 고맙구나. >---- >- 아들 첫 생일을 축하해주며 * 현 배우자하고의 사이에서 아들 한 명을 두고 있는데, 아들이 태어나기 전에는 [[딩크족]]이었다.[* 실제로 결혼은 [[2012년]]에 했지만 아들은 [[2018년]]에 태어났다. 물론 결혼하면 거의 무조건 1~3년내에 아이를 갖는게 일반적인 [[한국]]과는 달리 서양권에서는 결혼한지 5~10년만에 갖는 부부도 제법 흔한 편.] * 트로이 베이커가 일본 애니메이션 출연을 줄이면서 [[매튜 머서]]가 배역을 이어받는 경우가 많아졌다. *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에서 데이빗의 측근인 제임스 역으로 출연하였는데 크게 비중있는 역은 아니지만 트로이 베이커가 게임 원작의 성우였기 때문에 단독 컷으로 잡히는 장면도 드라마에 등장한다. 라오어 드라마에서는 게임을 플레이한 사람들 입장에선 실소가 터질 수도 있는 장면이 몇가지 등장하는데 트로이 베이커의 연기도 그 중하나로, 분명 조엘의 목소리인데 엘리를 추적하는 역할로 나오고, 드라마의 엘리 배역이 원작 게임의 조엘 성우를 죽이는 상황이 펼치지기 때문. == 같이 보기 == * [[성우/미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 version=1620)] [[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미국 남가수]][[분류:1976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댈러스 출신 인물]][[분류:캘리포니아 계열 성우]][[분류:텍사스 계열 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