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팀 단위 리그를 이르는 단어 == == [[MBC GAME]]이 주최했던 팀 단위 [[스타크래프트]] 리그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리그)] 세계 최초로 생방송된 [[e스포츠]] 팀 단위 리그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가 최초인걸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팀리그가 한 달 빨리 런칭됐다. 물론 팀 단위로 겨루는 방식은 프로게임 초창기부터 있었다. 예를 들면 AMD배 PKO 프로리그라는 게 있었으며, 방송도 이쪽이 빨랐다. 다만 공식전으로 인정되지 않고, 생방송이 아닌데다가 게임 전문방송에서 해 주지도 않아서 모를 뿐이다.] 2003년 계몽사배 KPGA 팀리그를 시작으로 LG IBM배부터 [[MBC GAME]] 팀리그로 개칭했으며, 2005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와 통합될 때까지 지속됐다. 경기 방식은 리그별로 달랐으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계몽사 : 승자지명제[* 승자팀이 다음 상대를 지명하는 방식으로 그날 승패에 상관없이 5경기를 모두 치뤘다. 승패도 누적제로 계산.][* 승자지명제의 규칙은 각 팀에서 각 세트마다 예정된 선수를 엔트리로 낸 가운데에서 시작하며, 1세트는 고정이다. 그 뒤 2세트 부터 승자팀은 예정된 출전 순서대로 선수를 출전시키며 승자는 다음 경기 상대 출전 선수를 지명한다. 만약 전 경기에서 패한팀이 승리 할 경우에는 그 팀이 반대로 이미 출전한 선수를 제외한 예정되었던 출전 순서대로 출전 선수를 내고 승자가 다음 상대를 지명한다.], 서바이벌 매치(5개팀 선발) - 5개팀 풀리그(1~2위팀을 선발) - 결승 * 라이프존 : [[팀배틀]]제, 서바이벌 매치(8개팀 선발) -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 LG IBM, 투싼 : [[팀배틀]]제, 오프라인 예선을 통해 5개팀 선발(전대회 1~3위 팀은 자동 진출) -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 MBC MOVIES : [[팀배틀]]제[* 단, 정규리그에서는 7전제가 아니라 5전제], 오프라인 예선을 통해 5개팀 선발(전대회 1~3위 팀은 자동 진출) - 8강 풀리그 - 4강 플레이오프[* [[KBO 리그|프로야구]]의 플레이오프 방식.] 장점은 특정 종족에게 유리한 맵이 있다 하더라도 다음 경기를 생각해야 하기에 프로리그에 비해 동족전 비율이 좀 줄어들고[* 압도적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다. 리그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10~20% 정도 줄어든다.] 감독들의 용병술이 극대화된다. 온게임넷 프로리그와는 달리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 없이 모두 개인전로 진행되었다. MBC GAME 내에서는 한때 [[MSL]]의 시청률을 추월할 정도의 인기를 끌었으나, MBC GAME과 [[온게임넷]]의 인지도가 차이나던 시절이기 때문에 프로리그에 흡수합병당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심지어 후반 팀리그에서는 대놓고 프로리그에 1군을 내보내고 팀리그는 [[2군]]만 내보내는 짓거리를 저질렀을 정도. 결국 차기 팀리그 스폰서까지 잡혔음에도 2005년 경기가 너무 많아 선수들이 힘들다면서 MBC GAME의 팀리그를 폐지시키고 통합 프로리그를 출범했다.[* 그런데 [[KeSPA]]에서는 경기수 이유로 통합시켰으면서 2007년에는 주 5일제, 2008년에는 1년 단위 프로리그+7전제 [[위너스 리그]]로 뒤통수를 쳤다. 게다가 통합 후에 프로리그에 관한 권리가 명확하지 않아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라는 후유증이 생긴 것은 덤.][* MBC GAME 폐국 후인 2013년에 공개된 [[http://www.e-sports.or.kr/board.php?b_no=3&_module=proleague&_page=view&b_pid=9999673000|KeSPA 역대 프로리그 전적]]에서는 팀리그를 프로리그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에도 팀리그가 KeSPA 공식전으로 인정받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팀리그 시절인 2003~2004년까지만 해도 공식전/비공식전 구분은 큰 의미가 없었기에 이게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었고, 실제로는 앞서 말했듯이 온게임넷과 MBC GAME의 위상 차이가 커서 그렇다. 과장은 있을지언정 프로리그가 이른바 '[[광안리해수욕장|광안리]] 10만 관중' 썰을 만든 게 바로 [[SKY 프로리그 2004 1Round|2004년]]이었다.][* 참고로 [[Team Liquid/커뮤니티|팀리퀴드]]의 위키인 [[리퀴피디아]]의 [[https://liquipedia.net/starcraft/Proleague|프로리그 항목]]처럼 팀리그도 프로리그 역사로 기록한 경우도 있다.] 팀리그 최강 팀은 단연 GO(現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S급 카드는 없었지만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강민]] 등 A급 카드의 고룬 분포와 [[조규남]]의 적절한 스나이핑으로 팀리그 최다 우승을 달린다.[* 다만 만년 천적 KOR([[하이트 스파키즈]])에게는 전패했다. 프로리그에서도 2004년까지 전패를 당했기 때문에 [[공한증]]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절대 S급 카드 하나만으로 우승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 반면 LG IBM 팀리그의 [[최연성]]이 이끄는 4U(現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는 최연성을 제외한 선수들의 승률이 50%도 안나왔음에도 최연성의 힘만으로 우승을 했다. 심지어 결승전에서 선봉 지명 당하고도 스나이핑 [[날빌]]을 모조리 막아내고 3킬을 해내는 그 모습은 가히 [[먼치킨(클리셰)|먼치킨]]. 최연성이 지금도 최고의 포스를 보인 선수 중 한 명으로 이야기되는 이유 중 하나다. 팀리그의 스타는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최연성]], [[변은종]]이 있다. 변은종이 최다 올킬을 자랑하며[* 단, 5전제 포함시. 7전제에서는 1회다.], 서지훈은 다승-승률 모두 1위다. 최연성은 혼자의 힘만으로 팀을 우승시킨 LG IBM 팀리그의 임팩트가 크다. 신기하게도 [[이윤열]]은 승률-다승 모두 3위인데도 그렇게 많이 언급되지 않는 편. 일단 상기한 3명과 다르게 올킬을 한 번도 성공시키지 못한 것이 크다. 팀배틀 방식에서 성적이 썩 좋지 않은 [[마재윤|마서스]]가 주목 받기 시작한게 [[올킬]] 전후란 걸 생각해보면 이해하기가 빠르다. 이후 이 방식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공교롭게도 이 대회부터 팀플레이가 폐지되어 팀리그처럼 모든 경기가 개인전으로 진행되었다.] 때 [[위너스 리그]]로 계승되었다. 참고로 중계진은 다음과 같았다. * 1대 중계진: 최상용[* 이전에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KPGA 4차 리그]]에서 Extra Match 전용 캐스터로 데뷔했고, 해당 대회 종료 후 바로 첫 팀리그의 캐스터가 되었다. 이후로는 주로 프로리그를 중계했다. [[허영무]]의 천지스톰이나 [[박세정]]의 [[김창희(1989)|김벌레]] 상대 다크 역전극 등을 중계했으며, 이후 [[XTM]]에서 격투기 캐스터로 활약한 바 있다.],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 2대 중계진: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김동준, 이승원, [[임성춘]] === 역대 팀리그 일람 === ==== [[계몽사]]배 KPGA 팀리그 ==== * 기간 : 2003년 2월 4일 ~ 2003년 6월 22일 * 우승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GO]], 준우승 : [[SouL]] * 결승 장소 : 서울 [[COEX]] 영 스퀘어 광장 * 사용 맵: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Dark Sauron), [[블레이드 스톰(스타크래프트)|블레이드 스톰]] 1.5(Blade Storm 1.5), [[로스트 템플]](Lost Temple), [[플레인즈 투 힐|플레인즈 투 힐 Desert]](Plains to Hill Desert) * 특이사항 * 세계 최초로 생방송된 팀 단위 리그 * 스폰서인 [[계몽사]]의 부도로 스폰서 공백 사태 발생. 후에 이 대회 결승전과 차기 리그 스폰서를 라이프존[* 프랜차이즈 [[PC방]]이다.]이 맡게된다. * 예선으로 서바이벌 매치 제도 시행. * 유일하게 팀배틀제로 진행되지 않고 승자지명제로 진행된 대회.[* 특이하게 팀승리보다 개인승리가 더 우선시되는 5판 다승제로 진행했다. 그래서 5전제 경기이나 5경기를 모두 진행했다.] * 5강 풀리그 결과 2~4위의 승점이 같아 재경기를 치름.[* 재경기 결과 SouL이 결승에 진출.] * 결승전이 일요일에 열림. * 다승왕 : [[변은종]] (5승 2패)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5승 3패)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B9A3A58787E360B|우승상금 100원]]--[* 위에 언급되었듯이 계몽사가 부도나서 결승전 후원을 라이프존에서 담당.] * 우승팀 상금 : 1,500만원, 준우승팀 상금 : 1,000만원 '''5강 풀리그''' || 순위 || 팀명 || 팀승패 || 개인승패 || || 1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0275d8 GO}}}]] || 2-2 || 11-9 || || 2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3-1 || 10-10 || || 2 || [[STX SouL|SouL]] || 2-2 || 10-10 || || 2 || [[한빛 스타즈]] || 1-3 || 10-10 || || 5 || [[MBC GAME HERO|POS]] || 1-3 || 9-11 || (노랑: 결승 직행, 파랑: 재경기) '''재경기''' || 순위 || 팀명 || 팀승패 || 개인승패 || || 2 || KTF 매직엔스 || 2-0 || 6-4 || || 2 || SouL || 1-1 || 6-4 || || 4 || 한빛 스타즈 || 0-2 || 3-7 || (초록: 플레이오프 진출) '''포스트시즌''' ||<-5>플레이오프 (2003.6.16)|| ||나경보 Z || {{{#ff0000,#ff0000 승}}} || [[블레이드 스톰(스타크래프트)|블레이드 스톰]] || {{{#0000ff,#0000ff 패}}} || 홍진호 Z|| ||박상익 Z || {{{#ff0000,#ff0000 승}}} || [[플레인즈 투 힐]](D) || {{{#0000ff,#0000ff 패}}} || 박신영 Z|| ||조용호 Z || {{{#ff0000,#ff0000 승}}} ||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 || {{{#0000ff,#0000ff 패}}} || --성준모 Z--|| ||SouL || {{{#ff0000,#ff0000 3}}} || '''결과''' || {{{#0000ff,#0000ff 0}}} || KTF 매직엔스|| ||<-5>결승 (2003.6.22)[* 결승전에서는 승리팀 선수가 직전 경기에 패배한 선수를 연속 지명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 이유는 SouL에서 엔트리가 5명이 등록되어서 두 선수는 중복 출전해야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승자 지명제로 진행하되 이 원칙을 적용해 결승을 치뤘다.] || ||박태민 Z || {{{#ff0000,#ff0000 승}}} || [[플레인즈 투 힐]] (D) || {{{#0000ff,#0000ff 패}}} || 나경보 Z|| ||강민 P || {{{#ff0000,#ff0000 승}}} ||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 || {{{#0000ff,#0000ff 패}}} || 한승엽 T|| ||김근백 Z || {{{#ff0000,#ff0000 승}}} || [[블레이드 스톰(스타크래프트)|블레이드 스톰]] || {{{#0000ff,#0000ff 패}}} || 변은종 Z|| ||서지훈 T || {{{#0000ff,#0000ff 패}}} || [[로스트 템플]] || {{{#ff0000,#ff0000 승}}} || 박상익 Z|| ||이재훈 P || {{{#ff0000,#ff0000 승}}} || [[플레인즈 투 힐]] (D) || {{{#0000ff,#0000ff 패}}} || 조용호 Z|| ||GO || {{{#ff0000,#ff0000 4}}} || '''결과''' || {{{#0000ff,#0000ff 1}}} || SouL|| 최초의 팀 단위 리그 대회로서 이 대회는 수많은 A급 선수들이 포진했던 GO와 저그군단 SouL이 결승전에서 맞붙어 결국 GO가 세트스코어 4:1로 팀 역사상 최초의 팀리그 우승 및 팀 단위 리그 우승을 차지한다. 한편 KTF 매직엔스는 반대편의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에버컵 프로리그]]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에서 SouL에 패배하면서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하는 불운을 겪는다. 자세한 대진은 [[계몽사배 KPGA 팀리그/대진표]] 참고. ==== 라이프존 KPGA 팀리그 ==== * 기간 : 2003년 7월 15일 ~ 2003년 10월 11일 * 우승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준우승 : [[한빛 스타즈]] * 결승 장소 : 서울 [[세종대학교]] 대양홀 * 사용 맵: [[엔터 더 드래곤]](Enter the Dragon),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Dark Sauron), [[짐 레이너스 메모리]](Jin Raynor's Memory), [[플레인즈 투 힐|플레인즈 투 힐 Desert]](Plains to Hill Desert)[* 결승전을 제외한 8강 토너먼트 맵 순서는 1세트 - 엔터 더 드래곤, 2세트 - 다크 사우론, 3세트 - 짐 레이너스 메모리, 4세트 플레인즈 투 힐 D, 5세트 - 다크 사우론, 6세트 - 짐 레이너스 메모리, 7세트 - 플레인즈 투 힐 D 순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 특이사항 * 승자지명제를 폐지하고 [[팀배틀]]제를 도입. * 풀리그에서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리그방식 교체. * [[올킬]] 첫 등장[*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vs KOR/舊 [[하이트 스파키즈]])] * 팀리그 사상 최초로 결승전이 토요일에 열림. * 다승왕 : [[성학승]] (7승 1패) * 우승팀 상금 : 1,500만원, 준우승팀 상금 : 1,000만원 ||<-4>8강 ||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 4 || 3 || [[eSTRO|AMD 드림팀]] ||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1 || 4 || '''[[화승 오즈|KTEC Plus]]''' || || '''[[STX SouL|SouL]]''' || 4 || 0 || [[하이트 스파키즈|KOR]] || || '''[[한빛 스타즈]]''' || 4 || 3 || [[MBC GAME HERO|POS]] || ||<-4>4강|| || '''슈마 GO''' || 4 || 3 || KTEC Plus || || SouL || 1 || 4 || '''한빛 스타즈''' || ||<-5>결승 (2003.10.11)|| ||<|2>김근백 Z || {{{#red 승}}} ||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 || {{{#blue 패}}} || 정재호 Z|| || {{{#blue 패}}} || [[플레인즈 투 힐]] D || {{{#red 승}}} ||<|2> 변길섭 T|| ||<|3>서지훈 T ||<|3> {{{#red 3킬}}} || [[엔터 더 드래곤]] || {{{#blue 패}}} || || [[짐 레이너스 메모리]] || {{{#blue 패}}} || 박정석 P|| || [[사우론(스타크래프트)|다크 사우론]] || {{{#blue 패}}} || 박경락 Z|| || '''슈마 GO''' || {{{#red 4}}} || '''결과''' || {{{#blue 1}}} || 한빛 스타즈|| 다시 한 번 슈마 GO의 엄청난 기세를 느낄 수 있던 대회로, 이 대회 우승을 통해 슈마 GO는 본격적으로 팀리그의 최강자로 우뚝 선다. 특히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은 이 대회를 기점으로 하여 팀리그의 괴물 중 하나로 성장한다. 그리고 한빛 스타즈는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 번 팀 단위 대회에서 준우승을 하는 불운을 겪는다. 자세한 대진은 [[라이프존 KPGA 팀리그/대진표]] 참고. ==== [[LG전자|LG]] [[IBM]] [[MBC GAME]] 팀리그 ==== * 기간: 2003년 11월 4일 ~ 2004년 2월 28일 * 우승: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4U]], 준우승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결승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 사용 맵: [[페럴렐 라인즈]](Parallel Lines), [[데토네이션]](Detonation), [[짐 레이너스 메모리]](Jim Raynor's Memory), [[엔터 더 드래곤]](Enter the Dragon)[*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 맵 순서는 1세트 - 엔터 더 드래곤, 2세트 - 데토네이션_XNOTE, 3세트 - 짐 레이너스 메모리, 4세트 페럴렐 라인즈, 5세트 - 엔터 더 드래곤, 6세트 - 데토네이션_XNOTE, 7세트 - 짐 레이너스 메모리 순으로 진행했다.] * 특이사항 * 서바이벌 매치를 폐지하고 오프라인 예선으로 바뀜. * 싱글 엘리미네이션에서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리그방식 교체. * 1회 [[챔피언스 데이]]를 치르지 않은 유일한 리그[* 1회 챔피언스 데이는 이 대회가 끝나고 2달 후에 열렸다.] * 다승왕 & 승률왕 : [[최연성]] (13승 2패 86.67%) * [[위메이드 폭스|투나 SG]]가 창단 후 처음으로 팀리그 예선에 참여.[* 그러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역시 처음 참가했으면서도 준우승까지 차지했던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옆 동네 리그]]와는 대조적.] * ~~[[정수영 감독님예 지 다시 한빛으로 갈랍니더]]~~ * 우승팀 상금 : 1,500만원, 준우승팀 상금 : 1,000만원 ||<-4>8강||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 4 || 2 || [[삼성전자 칸]] ||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4 || 1 || [[STX SouL|SouL]] || || [[한빛 스타즈]] || 3 || 4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동양 오리온]]''' || || [[화승 오즈|KTEC Plus]] || 2 || 4 || '''[[하이트 스파키즈|KOR]]''' || ||<-4>승자 4강|| || 슈마 GO || 3 || 4 || '''KTF 매직엔스''' || || '''4U''' || 4 || 3 || KOR || ||<-4>승자 결승|| || '''KTF 매직엔스''' || 4 || 2 || 4U || ||<-4>패자 4강|| || 삼성전자 칸 || 0 || 4 || '''SouL''' || || '''한빛 스타즈''' || 4 || 2 || KTEC Plus || ||<-4>패자 4강 2차|| || '''슈마 GO''' || 4 || 2 || SouL || || '''한빛 스타즈'''|| 4 || 3 || KOR || ||<-4>패자 준결승|| || '''슈마 GO''' || 4 || 3 || 한빛 스타즈 || ||<-4> 패자 결승 || || 슈마 GO || 2 || 4 || '''4U''' || ||<-5>최종 결승 (2004.2.28)|| ||<|4>최연성 T ||<|3> {{{#red 3킬}}} || [[데토네이션]] || {{{#blue 패}}} || 변길섭 T|| || [[엔터 더 드래곤]] || {{{#blue 패}}} || 박정석 P|| || [[패러랠 라인즈|패러랠 라인즈 2]] || {{{#blue 패}}} || 조용호 Z|| || {{{#blue 패}}} || [[짐 레이너스 메모리]] ||<|2> {{{#red 2킬}}} ||<|3> 김정민 T|| ||박용욱 P || {{{#blue 패}}} || [[데토네이션]] || ||김성제 P || {{{#red 승}}} || [[엔터 더 드래곤]] || {{{#blue 패}}} || || '''4U''' || {{{#red 4}}} || '''결과''' || {{{#blue 2}}} || KTF 매직엔스 || 말 그대로 [[최연성]]의 엄청난 포스를 느낄 수 있었던 대회로 팀리그의 강자인 슈마 GO를 올킬하고[* 이 때만 해도 서지훈은 최연성의 천적이 아니었기 때문에 최연성을 저격하는 용도로 나올 수 없었다. 오히려 이 올킬 경기 첫 희생양이 바로 서지훈이다.], 결승전에서도 패자조를 통해 결승전 올라와서 선봉 지명[* 당시 팀리그가 더블 엘리미네이션 체제로 진행되었을 때 승자 결승전을 통해 결승에 직행한 팀에게 준 어드벤티지가 바로 상대팀의 선봉을 지명 할 수 있는 '''선봉 지명권'''이었다. 그래서 승자결승으로 올라왔던 KTF는 4U의 선봉으로 최연성을 지명하여 선봉 지명권을 행사했다.]을 당했지만 선봉 3킬을 이루어 내면서 4U에게 팀 최초의 팀리그 우승에 크게 공헌한 모습은 그야말로 '괴물'이라는 별명을 크게 와닿게 만들었다.[* 이후 4U는 [[SK텔레콤]]에 인수되어 '''[[SK텔레콤 T1]]'''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이 대회에서 최연성의 전적은 무려 13승 2패. 한편 KTF 매직엔스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올라온 팀리그 결승이자 팀단위 대회 결승에서 [[박정석]],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변길섭]] 같은 유명 선수들을 영입해 '게임계의 [[레알 마드리드]]'로 거듭난 시기였는데 이 경기에서 유일하게 팀에 2승을 안긴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이 [[https://tl.net/tlpd/korean/games/5164_RainBOw_vs_TheMarine/vod|6세트]]에서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에게 패하면서 KTF는 준우승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것은 기나긴 KTF의 팀단위 대회 준우승의 시작일 뿐이었다(...). 참고로 [[정수영 감독님예 지 다시 한빛으로 갈랍니더]] 짤방도 이 결승전[* 공교롭게도 바로 다음 날에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반대편 리그]]의 결승전이 열렸다.]에서 탄생하였다... 자세한 대진은 [[LG IBM MBC GAME 팀리그/대진표]] 참고. ==== [[현대 투싼|Tucson]] [[MBC GAME]] 팀리그 ==== * 기간 : 2004년 6월 15일 ~ 2004년 8월 28일 * 우승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준우승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 결승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 사용 맵: [[데토네이션|데토네이션 F]](Detonation F), [[인투 더 다크니스]](Into the Darkness),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Luna), [[투싼(스타크래프트)|투싼]](Tuscon)[*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의 맵순서는 1세트 - 투싼, 2세트 - 인투 더 다크니스, 3세트 - 루나, 4세트 - 데토네이션 F, 5세트 - 투싼, 6세트 - 인투 더 다크니스, 7세트 - 루나 순으로 진행했다.] * 특이사항 * 스폰서명을 맵 이름으로 도입. * 우승팀에게 부상으로 [[현대 투싼|Tuscon]](SUV 차량)이 주어졌다. * [[위메이드 폭스|SG 패밀리]]가 창단 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한 팀리그. * 팀리그 결승전 사상 최초로 7세트까지 치러졌음. * 개막 주 부터 3주동안 [[챔피언스 데이]] 일정을 맞추기 위하여 화, 목 주 2회경기 편성.[* 이로 인해 같이 진행했던 [[Spris MSL]]이 4주차 승자 8강전 일정을 마치고 3주간 휴식기에 들어갔었다.] * 다승왕 :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7승 2패) * 우승팀 상금 : 1,500만원 + 2,500만원 상당의 투싼 자동차, 준우승팀 상금 : 1,000만원 [[https://tv.kakao.com/m/channel/9262/cliplink/75687836|Tucson MBC GAME 팀리그 오프닝]][* 참고로 이 오프닝은 역대 스타크래프트 1 리그 오프닝 중에서 가장 평가가 좋지 않은 오프닝이다(...). 그 이유는 '''자동차 광고에 더 가까운 느낌'''을 팬들이 받았던 게 가장 컸던 것 같다.] ||<-4>8강||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 4 || 3 || [[한빛 스타즈]]|| ||'''[[SouL]]''' || 4 || 2 || [[하이트 스파키즈|KOR]]||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4 || 3 || [[위메이드 폭스|SG 패밀리]]||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4 || 2 || [[화승 오즈|Plus]]|| ||<-4>승자 4강|| ||'''SK텔레콤 T1'''|| 4 || 0 || SouL|| ||KTF 매직엔스|| 0 || 4 || '''슈마 GO'''|| ||<-4>승자 결승|| ||SK텔레콤 T1|| 3 || 4 || '''슈마 GO'''|| ||<-4>패자 4강 1차|| ||'''한빛 스타즈'''|| 4 || 1 || KOR|| ||SG 패밀리 || 3 || 4 || '''Plus'''|| ||<-4>패자 4강 2차|| ||'''한빛 스타즈'''|| 4 || 2 || SouL|| ||Plus || 2 || 4 || '''KTF 매직엔스'''|| ||<-4>패자 준결승|| ||한빛 스타즈|| 2 || 4 || '''KTF 매직엔스'''|| ||<-4>패자 결승|| ||'''SK텔레콤 T1'''|| 4 || 1 || KTF 매직엔스|| ||<-5>결승 (2004.8.28)|| ||최연성 T|| {{{#blue 패}}} || [[인투 더 다크니스]] || {{{#red 승}}} ||<|2> 전상욱 T|| ||<|2>김성제 P|| {{{#red 승}}} || [[투싼(스타크래프트)|투싼]] || {{{#blue 패}}} || || {{{#blue 패}}}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red 승}}} ||<|2> 박태민 Z|| ||<|2>임요환 T|| {{{#red 승}}} || [[데토네이션|데토네이션 F]] || {{{#blue 패}}} || || {{{#blue 패}}} || [[인투 더 다크니스]] || {{{#red 승}}} ||<|2> 서지훈 T|| ||<|2>박용욱 P||<|2> {{{#red 2킬}}} || [[투싼(스타크래프트)|투싼]] || {{{#blue 패}}} ||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blue 패}}} || 이재훈 P|| ||'''SK텔레콤 T1'''|| {{{#red 4}}} || '''결과''' || {{{#blue 3}}} || 슈마 GO|| 역대 팀리그 결승전 중 유일하게 7전제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던 대회로서 이 대회에서 SK텔레콤 T1은 승자조에서 자신들을 패배시키면서 결승전에 직행한 슈마 GO를 상대로 엄청난 접전을 벌이면서 세트스코어 4:3으로 승리를 차지하면서 팀리그 2연패를 달성한다. 또한 얼마전에 있었던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준우승도 어느 정도 만회한다. 결승전은 종족간 상성관계와 선수간 상성관계[* 승자결승을 통해 올라온 슈마 GO는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을 선봉으로 내세우며 T1의 선봉으로 [[최연성]]을 지명했다. 전상욱은 당시 최연성과 한 번 만나 이긴 경험이 있어서 명백한 선봉 최연성 저격 카드였고, T1의 두 번째 선수이자 대회 다승 1위였던 김성제는 그런 전상욱을 상대로 비공식전 포함 3연승을 기록하고 거기에 본 대회 승자 결승에서 1승을 차지한 경험도 있었기 때문에 명백한 전상욱 저격 카드였다. 그리고 [[박태민]]은 당시 종족 상성이 가장 큰 차이가 났던 저프전에서 프로토스인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를 저격하기 위한 저그 저격 카드였고, T1의 세 번째 선수인 [[임요환]]은 그런 박태민의 천적이었고, 슈마 GO의 세 번째 선수인 서지훈은 그런 임요환의 천적이었다. 그리고 T1의 대장으로 나온 [[박용욱]]은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을 상대로 당시 상대전적에서 비공식전 포함 4연승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명백한 서지훈 저격 카드였고, 슈마 GO의 대장인 [[이재훈(1981)|이재훈]]은 그런 박용욱을 상대로 당시 비공식전 포함 상대전적 2:2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규남]] 감독 입장에서는 충분히 꺼내들 수 있는 카드였다.]를 총동원한 양팀 감독의 치열한 지략싸움이 맞물린 명승부로 회자된다. 특히 이 결승전에서는 [[박용욱]]이 마지막 대장으로 나와 상대팀 3주자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과 대장 [[이재훈(1981)|이재훈]]을 연달아 격파하면서 2킬을 달성하는 모습을 보여줄 정도로 활약이 대단했다. 어찌보면 박용욱의 대표적인 별명인 '마무리 박'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준 대회이기도 하다. 자세한 대진은 [[Tucson MBC GAME 팀리그/대진표]] 참고. ==== [[MBC every1|MBC MOVIES]] [[MBC GAME]] 팀리그 ==== * 기간 : 2004년 11월 20일 ~ 2005년 3월 6일 * 우승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GO]], 준우승 :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는 양대 팀단위리그 결승에서 각각 GO와 한빛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MBC MOVIES배 팀리그 준우승,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 결승 장소 : 대구 [[EXCO]] * 플레이오프 장소 : 인천 [[인천도원체육관|도원실내체육관]] (여자프로농구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홈 경기장) * 정규시즌 지방 투어 장소 : 부산 [[BEXCO]] * 사용 맵: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Arizona),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2]](Into the Darkness 2),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Luna), [[레이드 어썰트]](Raid Assault) * 특이사항 * [[더블 엘리미네이션]]에서 8강 풀리그로 리그방식 교체. * 7전제에서 5전제로 경기규모 축소. 단, 포스트시즌은 7전제. * [[삼성전자 칸]]이 아마추어([[주영달]])를 경기에 출전시켰다가 몰수패. * 팀리그 사상 최초로 지방투어 실시.(정규리그[* Greatest One vs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이 날 경기는 중견으로 출전한 [[박태민]]의 올킬로 3:1로 G.O가 승리했다.]-부산 BEXCO/플레이오프-인천 도원실내체육관/결승전-대구 EXCO). 그리고 팀리그 최초 서울 외 지역과 지방에서의 결승전. * 팀리그 최초이자 마지막 지방에서의 결승 실시. * 올킬수당 도입. * 5전제로 인해 [[올킬]]이 너무 자주터져서 올킬 정통성 논쟁 발생.[* 5차 팀리그 정규리그 28경기 가운데 정규리그 경기수의 절반인 '''14경기'''에서 올킬이 발생했으며, 올킬을 달성한 선수는 '''12명'''이었다. 이 중 [[차재욱]]과 [[변은종]]은 한 시즌 두 번 올킬을 달성했다. 참고로 이 둘은 모두 이 대회 개인 시즌 2호 올킬을 대장으로 나와 '''역올킬'''로 달성했고, 차재욱의 경우 승자연전제 방식 최초의 역올킬을 기록했다. 역올킬도 '''3경기'''나 나왔으며 차재욱, 변은종, [[최연성]]이 역올킬을 달성했다.] *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팀리그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 흡수합병. * 각 팀의 감독들이 오프닝에 출연했다. --정수영 감독은 한잔하고 집에 들어가는듯한 분위기-- * 대회 도중인 2005년 1월에 [[MBC]] [[MBC/로고|로고]]가 교체됨. * 풀리그 마지막 경기(KTF 매직앤스 vs SouL)에서 그 유명한 [[강민]]의 예고선봉올킬이 나왔다.[* KTF는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승, 패, 득실차를 따져봤을 때 무조건 3:0으로 이겨야 4강 안에 들 수 있었다. 그래서 당시 저그군단으로 이름을 떨치던 SouL을 상대로 기세좋은 [[강민]]이 선봉으로 나가 올킬을 하겠다고 인터뷰한 것. 당시 앞마당 가스가 없어 '''[[머큐리(스타크래프트)|머큐리]] 이상으로 저프전 밸런스가 붕괴된''' 애리조나 맵에서 [[https://blog.naver.com/qtg0125/30188267914|리버 2기의 75킬로]] [[박상익]](저그)을, 그 당시 팀리그 다승 랭킹 1위의 [[변은종]]을 [[https://blog.naver.com/qtg0125/30188267914|잡아내는 등]] '''유례없는 3:0 예고선봉올킬을 달성하고''' 팀을 준플레이오프로 올려놓았다.][* 이후 3-4위간 준플레이오프에서 다시 만난 KTF 매직앤스와 SouL의 경기에서는 1:3으로 지고있던 상황에서 [[강민]]이 다시 나와 팀을 구하는 그림이 그려지며 분위기가 고조되어 있었다. 허나 상대방의 스나이핑을 염두에 둔 듯한 [[정수영(e스포츠)|정수영]] 감독이 강민을 출전시키지 않고 [[박정석]]을 대장으로 내세웠고, 팀은 2:4로 패하여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KTF의 대장엔트리가 공개될 때 감독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듯한 강민의 표정이 압권.] * 계몽사배 KPGA 팀리그 결승전 이후 세 시즌만에 결승전이 일요일에 열림. * 다승왕 : [[이윤열]] (10승 3패) * 우승팀 상금 : 4,000만원, 준우승팀 상금 : 2,000만원 [[https://tv.kakao.com/channel/9262/cliplink/12662334|MBC MOVIES MBC GAME 팀리그 오프닝]][* 타이틀곡: [[hide]] - In Motion.] ||<-7> '''{{{#ffcc00 5차 팀리그 정규시즌 순위}}}''' || ||<-7> 정규시즌 맵 순서 : 1세트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2.01]], 2세트 [[투싼(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3세트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4세트 [[레이드 어썰트]], 5세트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2.01]] || || 순위 || 팀명 || 승 || 패 || 세트승 || 세트패 || 득실차 || || 1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0275d8 GO}}}]] || 5 || 2 || 19 || 9 || +10 || || 2 ||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 4 || 3 || 16 || 11 || +5 || || 3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 4 || 3 || 15 || 13 || +2 || || 4 || [[SouL]] || 4 || 3 || 16 || 14 || +2 || || 5 || [[하이트 스파키즈|KOR]] || 4 || 3 || 16 || 15 || +1 || || 6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 4 || 3 || 14 || 17 || -3 || || 7 || [[화승 오즈|Plus]] || 2 || 5 || 11 || 18 || -7 || || 8 || [[삼성전자 칸]] || 1 || 6 || 8 || 18 || -10 || (노랑: 결승 직행, 초록: 플레이오프 직행, 파랑: 준플레이오프 진출). ||<-5>준플레이오프(2005.2.26)|| ||<|2>--진영수 T--|| {{{#red 승}}}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blue 패}}} || 홍진호 Z|| || {{{#blue 패}}} ||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 {{{#red 승}}} ||<|2> 변길섭 T|| ||<|3>변은종 Z ||<|2> {{{#red 2킬}}}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blue 패}}} || || [[레이드 어썰트]] || {{{#blue 패}}} || 조용호 Z|| || {{{#blue 패}}}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red 승}}} ||<|2> 박정석 P|| ||박상익 Z|| {{{#red 승}}} ||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 {{{#blue 패}}} || ||'''SouL'''|| {{{#red 4}}} || '''결과''' || {{{#blue 2}}} || KTF 매직엔스|| ||<-5>플레이오프(2005.3.1)|| ||<|3>이병민 T ||<|2> {{{#red 2킬}}}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blue 패}}} || 변은종 Z||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blue 패}}} || 박종수 P|| || {{{#blue 패}}} ||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3> {{{#red 3킬}}} ||<|4> --진영수 T--|| ||이재항 Z|| {{{#blue 패}}} || [[레이드 어썰트]] || ||안기효 P|| {{{#blue 패}}}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2>이윤열 T||<|2> {{{#red 2킬}}}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blue 패}}} || ||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 {{{#blue 패}}} || 박상익 Z|| ||'''팬택앤큐리텔[br]큐리어스'''|| {{{#red 4}}} || '''결과''' || {{{#blue 3}}} || SouL|| ||<-5>결승(2005.3.6)|| ||<|4>--마재윤 Z--||<|3> {{{#red 3킬}}}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blue 패}}} || 김상우 T|| || [[레이드 어썰트]] || {{{#blue 패}}} || 심소명 Z|| || [[루나(스타크래프트)|루나]] || {{{#blue 패}}} || 이병민 T|| || {{{#blue 패}}} || [[애리조나(스타크래프트)|애리조나]] || {{{#red 승}}} ||<|2> 이윤열 T|| ||이재훈 P || {{{#red 승}}} || [[인투 더 다크니스|인투 더 다크니스 II]] || {{{#blue 패}}} || ||'''GO'''|| {{{#red 4}}} || '''결과''' || {{{#blue 1}}} || 팬택앤큐리텔[br]큐리어스|| '''마지막 팀리그.''' 이 대회에서는 지난 시즌 준우승의 불운을 겪었던 GO가 다시 한 번 팀리그의 강자다운 면모를 보이며 풀리그 1위로 결승에 직행한다. 그리고 당시 강팀 중 하나였던 팬택은 [[이윤열]]을 비롯한 많은 선수들의 활약으로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우승과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그랜드 파이널]] 준우승에 이어 다시 한 번 팀 단위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지만 결국 세트스코어 4:1로 패하면서 GO에게 우승 트로피를 내주고 GO는 팀리그 통산 3회 우승을 달성해 최다 팀리그 우승 기록을 세운다. 그리고 SouL도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준우승, [[SKY 프로리그 2004 3Round]] 플레이오프에 이어 이 대회에서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약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KTF는 위에 있는 각주에 적힌 것처럼 강민의 예고 올킬을 통해 극적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지만 준플레이오프에서 다시 만난 SouL에게 4:2로 패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해 실패하고, 이 결과가 얼마전에 있었던 SKY 프로리그 2004 3Round 결승전과 그랜드 파이널 준플레이오프에서의 패배와 엮이면서 KTF는 팀 단위 대회 포스트시즌에 약하다는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한편 전 대회 우승팀이었던 T1은 그 전 대회와는 다르게 이 대회에서는 세트패가 세트승보다 많을 정도의 상황이 나왔을 정도로 반대편에 있었던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새턴리그 5위, 3라운드 머큐리리그 4위와 같이 이 대회에서도 풀리그 6위를 기록하며 2004년 하반기부터 2005년 초까지의 팀 단위 대회에서의 부진을 보여주며 몰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KOR은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플레이오프, 3Round 우승, 그랜드파이널 플레이오프 진출에 이어 이 대회에서도 5위를 차지하면서 비록 포스트시즌 진출은 아쉽게 실패했지만 팀리그에서도 약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차재욱]]은 이 대회에서 두 번이나 올킬을 기록했고, 2005년 1월 15일 GO전에서 '''승자연전제 사상 최초로 역올킬을 달성했다.''' 또 화제가 될만한 사건은 이 대회에서 삼성이 당시 아마추어 신분이었던 [[주영달]]을 출전시키면서 몰수패를 당하고 만 사건이 발생하였다(...).[* 사실 저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준프로나 아마추어 선수들이 팀 단위 대회에 참가한 경우가 많았으나, 대회 몇달 전에 프로 선수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이후 주영달은 이듬해부터 시작된 첫 드래프트인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2005년 상반기 드래프트]]를 통해 정식 프로로 데뷔한다.] 그래서 화가 난 삼성 측은 2004년 12월 11일 경기에서 출전 거부를 하여 GO가 기권승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엄연히 삼성 측에서도 잘못이 있는 부분이다. 공식리그인 팀리그에서 아직 프로 신분 선수가 아닌 아마추어 선수를 출전시킨건 규정 숙지나 현재 자신들의 소속 선수에 대한 숙지가 제대로 안 되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이 대회에서는 경기를 하는 팀의 벤치도 옵저버로 참여했다. 양 팀 벤치에 옵저버용 PC를 설치했으며, 다음 출전 선수들을 위해 양쪽에 두 대의 PC를 설치했다. 자세한 대진은 [[MBC MOVIES MBC GAME 팀리그/대진표]] 참고. === 팀리그에 대한 오해 === 승자연전방식에서 [[올킬#s-1]]을 기록하면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받는다는 오해를 받는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08-09 시즌]]부터 진행된 [[위너스 리그]]에서의 올킬 기록부터는 인지도가 많이 떨어진다.[* [[김경효]] vs. [[공군 ACE|공군]], [[임진묵]] vs. 당시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심지어 '''[[이영호]]를 털었다'''. 참고로 아주 재수없는 사실이지만 [[박찬수|찬수레기]], [[박명수(1987)|명수레기]], [[김창희(1989)|김벌레]] 등 조작범들도 올킬을 많이 했다.] 물론 올킬이라는 기록을 폄하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그렇다고 선수 평가의 전체적인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 올킬하면 확 주목받으면서 뜨는 그런 건 없었고, 주로 극성빠들이 까들을 제압하기 위해 내세운 것이 대부분. 예를 들어 자고나면 올킬이 나왔던 3킬 올킬 시절에 강민이 한번 올킬한 걸 가지고 두고두고 우려먹은 광빠들이라던가, 무명시절에 한 번 올킬한 걸 이후에 발굴해서 써먹은 [[마빡이(마재윤)|마레기빠]]들이라던가. 그리고 [[최연성]]의 최강자 이미지 때문이지만, 승률 다승 모두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이 앞선다. 심지어 팀도 GO가 우승을 더 많이 하였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의 전성기와 암흑기가 두 팀의 우승 시기와 정확히 겹친다. 서지훈이 폼이 좋았을 때는 GO가 우승했고, 최연성이 최강자로 이름을 날릴 시기에는 현 T1이 우승했다. 두 선수는 천적지간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최연성이 최강이던 시기에는 서지훈을 상대로 상대전적에서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서지훈이 최연성의 천적으로 등극하면서 다시 GO가 우승을 차지했다.] === 팀리그 관련 기록 === ||<|2> 리그명 ||<-2> 경기수 || || 예선 || 본선 || || 계몽사 KPGA 팀리그 || 16 || 73 || || 라이프존 KPGA 팀리그 || 19 || 47 || || LG IBM MBC GAME 팀리그 || 40 || 86 || || Tucson MBC GAME 팀리그 || 43 || 83 || || MBC MOVIES MBC GAME 팀리그 || 69 || 130 || || 총합 || 187 || 419 || ||<-3> '''{{{#ffffff MBC GAME 팀리그 다승 상위 10인}}}'''[* 본선 경기에 한함.] || || '''{{{#ffecc0 순위}}}''' || '''{{{#ffecc0 이름}}}''' || '''{{{#ffecc0 팀리그 총 전적}}}''' || || 1 || [[변은종]] || 35전 '''23승''' 12패 (65.7%) || || 2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 29전 '''22승''' 7패 (75.9%) || || 3 || [[이윤열]] || 29전 '''19승''' 10패 (65.5%) || || 4 || [[최연성]] || 23전 '''18승''' 5패 (78.3%) || ||<|2> 5 || [[김근백]] || 23전 '''15승''' 8패 (65.2%) ||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 25전 '''15승''' 10패 (60.0%) || || 7 || [[나도현]] || 22전 '''14승''' 8패 (63.6%) || ||<|2> 8 || [[강민]] || 20전 '''13승''' 7패 (65.0%) || || [[성학승]] || 20전 '''13승''' 7패 (65.0%) || || 10 || [[이재훈(1981)|이재훈]] || 22전 '''12승''' 10패 (54.5%) || [[분류:스타크래프트/대회/종료]][[분류:MBC GAME]][[분류:스타크래프트 팀리그]][[분류:2005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