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판피어강}}}[br]板皮魚綱 | Placoderm}}}''' ||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unkleosteus_skull_steveoc.jpg|width=100%]][* 위 이미지는 [[둔클레오스테우스]].]|| || [[학명|{{{#000 '''학명'''}}}]] || ''' ''Placodermi'' ''' McCoy, 184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아문''' ||척추동물아문^^Vertebrata^^ || || '''하문''' ||유악하문^^Gnathostom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판피어강^^Placodermi^^''' || ||<-2>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 ||<-2><#fff> * †동갑목(Antiarchi) * †절경목(Arthrodira) * †Brindabellaspida * †페탈리크티스목(Petalichthyida) * †프티크토두스목(Ptyctodontida) * †라인고기목(Rhenanida) * †Acanthothoraci * ?†Pseudopetalichthyida * ?†Stensioellida|| || [[파일:external/www.blc.arizona.edu/Placoderms-1.jpg|width=400]] || || 복원도[* 단 맨 위의 클리마티우스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7%B9%EC%96%B4%EB%A5%98|극어류]] 계통으로, 전혀 다른 종류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실루리아기]] 후기에 나타난 [[턱]]이 형성되는 과정의 초기 단계의 해당하는 물고기로 [[데본기]] 후기에 절멸하였다. == 상세 == [[갑주어]]처럼 머리를 단단한 골질성 판피(板皮)로 무장해 일반적으로 판피어, 판피류 등으로 불린다. 연골성 척추와 지느러미가 있으며 갑주어와 달리 새궁이 변화한 척추동물 최초의 [[턱]]이 생겨난다. 이 원시적인 턱에는 [[이빨]] 대신 날카로운 골질판이 덧붙여져 있었다. 판피어들의 턱은 새궁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턱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인두뿐만 아니라 새궁의 위치와 강도에도 상당한 변형이 일어났을 것이다. 작은 종은 20~30cm 정도부터 큰 종은 [[둔클레오스테우스|4m 넘게 자라는 종]]도 있었으며 원시 어류 중 머리에 골질성 갑피가 있었던 갑피류(甲皮類), [[갑주어]](甲胄魚) 등과 혼용되어 불리기도 하지만 갑피류는 판피류와 달리 턱이 없는 어류인 [[무악하문|무악어강(無顎魚綱)]]에 속하는 다른 계통의 어류들이다. [[조기어강]]과 [[경골어강]]의 공통조상으로 보이는 [[엔텔로그나투스]]의 발견으로 판피어강에서 조기어강과 경골어강이 진화하고 후에 조기어강에서 [[육기어강]], 그리고 육기어강이 지상 척추동물로 이어지는 진화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판피어강에 속하는 가장 유명한 동물로는 [[둔클레오스테우스]]가 있으며 이외에도 [[티타니크티스]], [[코코스테우스]], [[보트리올레피스]], [[엔텔로그나투스]] 등의 다양한 종의 판피어들의 화석이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에서 발굴되었다. == 관련문서 == * [[갑주어]] * [[고생대]] * [[둔클레오스테우스]] * [[어류]] * [[조기어강]] * [[경골어강]] * [[육기어강]] [[분류:고생물]][[분류:판피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