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표준중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기 위한 표기법. 19세기 중국에서 [[러시아 정교]] [[선교사]]로 활동하면서 중국어-러시아어 사전 등을 펴낸 팔라디 대수도사제(Архимандрит Палладий, 1817–1878)가 고안하였으며, [[러시아]]에서는 중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할 때 사용되고 있다. == 표기법 == 아래 표에서 각 칸의 \[ \] 안에 적힌 기호는 [[국제음성기호]](IPA)이고, 괄호 안에 적힌 기호는 [[주음부호]] 및 [[한어병음]]이다. === 성모(聲母, initi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2><|2><:> ||<-2><:> [[양순음]] ||<:> [[순치음]] ||<-2><:> [[치경음]] ||<-2><:> [[권설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무성음]] || ||<-2><:> [[비음]] ||<:> ||<:> '''м''' \[m\][br](ㄇ m) ||<:> ||<:> ||<:> '''н''' \[n\][br](ㄋ n) ||<:> ||<:> ||<:> ||<:> || ||<|2><:> [[파열음]] ||<:> [[무기음]] ||<:> '''б''' \[p\][br](ㄅ b) ||<:> ||<:> ||<:> '''д''' \[t\][br](ㄉ d) ||<:> ||<:> ||<:> ||<:> ||<:> '''г''' \[k\][br](ㄍ g) || ||<:> [[유기음]] ||<:> '''п''' \[pʰ\][br](ㄆ p) ||<:> ||<:> ||<:> '''т''' \[tʰ\][br](ㄊ t) ||<:> ||<:> ||<:> ||<:> ||<:> '''к''' \[kʰ\][br](ㄎ k) || ||<|2><:> [[파찰음]] ||<:> [[무기음]] ||<:> ||<:> ||<:> ||<:> '''цз''' \[ts\][br](ㄗ z) ||<:> ||<:> '''чж''' \[ʈʂ\][br](ㄓ zh) ||<:> ||<:> '''цз''' \[tɕ\][br](ㄐ j) ||<:> || ||<:> [[유기음]] ||<:> ||<:> ||<:> ||<:> '''ц''' \[tsʰ\][br](ㄘ c) ||<:> ||<:> '''ч''' \[ʈʂʰ\][br](ㄔ ch) ||<:> ||<:> '''ц''' \[tɕʰ\][br](ㄑ q) ||<:> || ||<-2><:> [[마찰음]] ||<:> ||<:> ||<:> '''ф''' \[f\][br](ㄈ f) ||<:> '''с''' \[s\][br](ㄙ s) ||<:> ||<:> '''ш''' \[ʂ\][br](ㄕ sh) ||<|2><:> '''ж''' [\ʐ, ɻ\][br](ㄖ r) ||<:> '''с''' \[ɕ\][br](ㄒ x) ||<:> '''х''' /x/[br](ㄏ h) || ||<-2><:> [[접근음]] ||<:> ||<:> ||<:> ||<:> ||<:> ||<:> ||<:> ||<:> || ||<-2><:> [[설측음|설측]] [[접근음]] ||<:> ||<:> ||<:> ||<:> ||<:> '''л''' \[l\][br](ㄌ l) ||<:> ||<:> ||<:> ||<:> || }}} * 설치음 /ts/, /tsʰ/, /s/와 설면음 /tɕ/, /tɕʰ/, /ɕ/는 구분하지 않고 цз, ц, с로 적으며, 뒤에 오는 운모에 따라서 구별된다. * 무성음자 'p, t, k'가 어두에서 무성 유기음 [pʰ, tʰ, kʰ\]로 발음되는 [[영어]]와 달리, [[러시아어]]에서는 무성음자 'п, т, к'가 대체로 무성 무기음 [p, t, k\]로 발음되지만, 팔라디 표기법에서는 [[한어병음]]처럼 중국어의 무성 무기음 [p, t, k]를 유성음자 'б, д, г'로, 무성 유기음 [pʰ, tʰ, kʰ\]을 무성음자 'п, т, к'로 표기했다.[* 반면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법(콘체비치 표기법, 홀로도비치 표기법 등)에서는 무성 무기음(예사소리 /ㅂ, ㄷ, ㄱ/)를 'п, т, к'로, 무성 유기음(거센소리 /ㅍ, ㅌ, ㅋ/)을 'пх, тх, кх'로 표기한다.] 한편 러시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철자 조합인 цз, чж는 /ts~tɕ/, /ʈʂ/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 운모(韻母, fin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2><-2> ||<-15><:> 운미 || ||<-5><:> /∅/ ||<-2><:> /i/ ||<-2><:> /u/ ||<-2><:> /n/ ||<-3><:> /ŋ/ ||<:> /ɻ/ || ||<|4><:> 운두 ||<:> /∅/ ||<:> '''и''' \[ɻ̩\][br](ㄭ[*ㄭ 일반적으로 쓰는 주음부호가 아니다.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에 해당하는 발음을 의미한다. 기기에 따라서는 이 문자가 안 보일 수도 있는데 [[한자]] 帀과 모양이 같은 문자이다.] -i) ||<:> '''ы''' \[z̩\][br](ㄭ[*ㄭ] -i) ||<:> '''а''' \[ɑ\][br](ㄚ a) ||<:> '''э''' \[ɯ̯ʌ, ə\][br](ㄜ e) ||<:> '''о''' \[u̯ɔ, o\][br](ㄛ o) ||<:> '''ай''' \[aɪ̯\][br](ㄞ ai) ||<:> '''эй''' \[eɪ̯\][br](ㄟ ei) ||<:> '''ао''' \[ɑʊ̯\][br](ㄠ ao) ||<:> '''оу''' \[oʊ̯\][br](ㄡ ou) ||<:> '''ань''' \[än\][br](ㄢ an) ||<:> '''энь''' \[ən\][br](ㄣ en) ||<:> '''ан''' \[ɑŋ\][br](ㄤ ang) ||<:> '''эн''' \[ɤŋ\][br](ㄥ eng) ||<:> '''-ун''' \[ʊŋ\][br](ㄨㄥ -ong) ||<:> '''эр''' \[ɑɻ\][* 의외로 ㄦ의 실제 발음은 '얼'보다는 '알'에 가까운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다만 음운 체계상 '얼'이라고 보는 것.][br](ㄦ er) || ||<:> /i/ ||<-2><:> '''и''' \[i\][br](ㄧ -i, yi) ||<:> '''я''' \[i̯ä\][br](ㄧㄚ -ia, ya) ||<:> '''е''' \[i̯ɛ\][br](ㄧㄝ -ie, ye) ||<:> ||<:> ||<:> ||<:> '''яо''' \[i̯ɑʊ̯\][br](ㄧㄠ -iao, yao) ||<:> '''ю''' \[i̯oʊ̯~i̯u\][br](ㄧㄡ -iu, you) ||<:> '''янь''' \[i̯ɛn\][br](ㄧㄢ -ian, yan) ||<:> '''инь''' \[ɪn~i̯ən\][br](ㄧㄣ -in, yin) ||<:> '''ян''' \[i̯ɑŋ\][br](ㄧㄤ, -iang, yang) ||<:> '''ин''' \[ɪŋ~i̯əŋ\][br](ㄧㄥ -ing, ying) ||<:> '''юн''' \[i̯ʊŋ\][br](ㄩㄥ -iong, yong) ||<:> || ||<:> /u/ ||<-2><:> '''у''' \[u\][br](ㄨ -u, wu) ||<:> '''-уа, ва''' \[u̯ɑ\][br](ㄨㄚ -ua, wa) ||<:> ||<:> '''-о, во''' \[u̯o\][br](ㄨㄛ -uo, wo) ||<:> '''-уай, вай''' [u̯aɪ̯\][br](ㄨㄞ -uai, wai) ||<:> '''-уй, вэй''' \[u̯i, u̯eɪ̯\][br](ㄨㄟ -ui, wei) ||<:> ||<:> ||<:> '''-уань, вань''' \[u̯än\][br](ㄨㄢ -uan, wan) ||<:> '''-унь, вэнь''' \[ʊn, u̯ən\][br](ㄨㄣ -un, wen) ||<:> '''-уан, ван''' \[u̯ɑŋ\][br](ㄨㄤ -uang, wang) ||<:> '''вэн''' \[u̯əŋ\][br](ㄨㄥ weng) ||<:> ||<:> || ||<:> /y/ ||<-2><:> '''юй''' \[y\][br](ㄩ -ü,[*ü 한어병음에서는 성모가 j, q, x일 때 철자의 편의를 위해 ü를 u로 바꿔 적는다.] yu) ||<:> ||<:> ||<:> '''юэ''' \[y̯ɛ\][br](ㄩㄝ -üe,[*ü] yue) ||<:> ||<:> ||<:> ||<:> ||<:> ||<:> '''юань''' \[y̯ɛn\][br](ㄩㄢ -üan,[*ü] yuan) ||<:> '''юнь''' \[ʏn~y̯ən\][br](ㄩㄣ -ün,[*ü] yun) ||<:> ||<:> ||<:> || }}} * 설치음과 권설음 뒤 성모 ㄭ/ㄭ(-i)의 경우 설치음 뒤에서는 ы, 권설음 뒤에서는 и로 표기한다. 따라서 [[쓰촨|四川]]은 С'''ы'''чуань, [[스자좡|石家庄]]은 Ш'''и'''цзячжуан와 같이 표기한다. * 운미에 오는 /n/, /ŋ/의 경우 /ŋ/은 그냥 -н으로 표기하고 /n/은 연음부호를 붙여 -нь로 표기한다. 단, 운미 /ŋ/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올 경우 구분을 위해 경음부호 ъ를 끼워넣는다. 따라서 [[안양시(중국)|安阳]]은 А'''нь'''я'''н''', [[샹양|襄阳]]은 Ся'''нъ'''я'''н'''과 같이 표기한다. * ㄨㄛ(uo)의 경우 자음 뒤에 올 경우에는 -о로 표기한다. 가령 朔州의 경우 Шуочжоу가 아닌 Ш'''о'''чжоу로 표기된다. * 얼화는 뒤에 -р를 덧붙인다. == 기타 == * 성조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는다. * 띄어쓰기는 음절이 아닌 단어 단위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는 생략되지만 음절 구분이 애매한 경우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国务院(Guowuyuan)을 팔라디식으로 표기하면 Гоуюань인데, 여기서 Гоу의 발음은 병음으로 표기하면 'guowu'이지만 'gou'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Го’уюань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실제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표기는 표기법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 이전부터 통용되던 관습적 표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표기가 쓰인다. 가령 [[베이징]]은 Бэйцзин이 아닌 Пекин이란 표기가 사용된다. * мэн, мэнь, фэн, фэнь의 경우 관습적으로 э가 아니라 ы로 표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령 [[마카오]]의 러시아어 표기 Аомынь(← 澳門 Àomén)이나 [[카이펑]]의 러시아어 표기 Кайфын가 그 예. * хуй가 러시아어에서 [[욕설/러시아어#s-2.22|영 좋지 않은 뜻]]이기 때문에 hui의 표기는 хуэй가 사용되며(예: [[리덩후이|李登輝]] Ли Дэнхуэй), 드물게 хой로 표기하는 경우(예: [[안후이성|安徽]] Аньхой)도 있다. * 중국어 발음이 성조를 제외하면 똑같은 [[산서성]]은 Шаньси, [[섬서성]]은 Шэньси로 구분해 적는다. * [[우크라이나어]]나 [[불가리아어]]처럼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다른 국가들에서는 팔라디 표기법을 자국 정서법에 맞게 일부 수정해 쓰기도 한다. * [[우즈베크어]]나 [[아제르바이잔어]]처럼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로 전환한 몇몇 국가들의 경우 팔라디 표기법을 자국식 로마자로 옮긴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구이저우성|贵州]]의 경우 현재 공식적으로 쓰이는 로마자 표기는 Guizhou이나, 아제르바이잔에서는 Гуйчжоу를 자국식 로마자로 옮긴 Quyçjou란 표기가 쓰이고 있다. [[분류:중국어]][[분류: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