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노의 질주 시리즈)] ||<-2>
{{{#000000 {{{+1 '''패스트 & 퓨리어스 2''' }}} (2003) [br] 2 Fast 2 Furiou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패스트 & 퓨리어스 2_국내 포스터.jpg|width=100%]]}}} || ||<-2> {{{#000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분질2.jpg|width=100%]]}}}}}}}}} || || {{{#000000 '''장르''' }}} ||[[범죄물|범죄]], [[액션]] || || {{{#000000 '''감독''' }}} ||존 싱글턴 || || {{{#000000 '''제작''' }}} ||닐 H. 모리츠 || || {{{#000000 '''각색/각본''' }}} ||마이클 브랜트[br]데렉 하스 || || {{{#000000 '''원안''' }}} ||게리 스콧 톰슨[br]마이클 브랜트[br]데렉 하스 || || {{{#000000 '''출연''' }}} ||[[폴 워커]][br][[타이리스 깁슨]][br]에바 멘데스[br]콜 하우저[br][[루다크리스]][br][[제임스 레마]][br][[데본 아오키]][br]톰 배리[br]아마우리 놀라스코[br]마이클 엘리[br]진 오엥[br]에드워드 핀레이[br]마크 분 주니어 || || {{{#000000 '''음악''' }}} ||[[데이비드 아놀드]] || || {{{#000000 '''촬영''' }}} ||매튜 F. 레오네티 || || {{{#000000 '''편집''' }}} ||브루스 캐논[br]달라스 푸엣 || || {{{#000000 '''제작사''' }}} ||오리지날 필름[br]Mikona Productions GmbH & Co. KG || || {{{#000000 '''수입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000000 '''배급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000000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3년]] [[6월 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3년]] [[9월 5일]] || || {{{#000000 '''화면비''' }}} ||2.39 : 1 || || {{{#000000 '''상영 시간''' }}} ||106분 || || {{{#000000 '''제작비''' }}} ||'''7,600만 달러'''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 ||'''$127,154,901''' ([[2003년]] [[10월 23일]])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236,350,661''' (최종) || || '''{{{#000000 국내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2세 관람가}}}]]'''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000000 북미등급}}}]]''' ||[[파일:PG-13 로고.sv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 두 번째 영화. 전작에 이어 잠복수사와 스트리트 레이싱을 적절히 믹스한 내용이 그대로 이어진다. 참고로 원제는 '2 Fast 2 Furious'로, 2가 중의적인 의미로 두 번 쓰여진 제목이다. == 예고편 == [youtube(ZZGkV_xWGw4)] [youtube(fDooSsgINLQ)] == 시놉시스 == 전작에서 [[도미닉 토레토]]에게 수갑을 채우는 대신 자신의 자동차를 주어 도주시킨 [[브라이언 오코너]]는 도미닉과의 의리는 지켰지만 이 건으로 인해 경찰 뱃지를 반납하고 LA를 떠나 스트리트 레이서로서 자신에게 걸린 돈을 따며 마이애미에서 살고 있었다.[* LA에서 마이애미로 오는 과정은 DVD의 서플먼트로 수록된 'Turbo-Charged Prelude'라는 단편에서 묘사된다.] [[마이애미]] 연방 정부는 [[돈세탁]]을 무역사업으로 둔갑시켜 화려한 사업가 행세를 하고 있는 카터 베론을 검거하려 하지만 증거를 찾을 수 없어 고심을 하고 있다. 세관청은 그를 오랜 기간 동안 감시하고 있으나, 그가 불법 스트리트 레이싱에 관련되었단 사실 이외에는 별다른 수확을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마이애미 연방 정부는 스트리트 레이서로 그 실력을 인정 받은 브라이언과 전과자인 [[로만 피어스]]에게 그를 검거 할 수 있는 증거를 찾아 줄 것을 요구한다. 탈세혐의자인 카터 베론을 검거할 수 있다면 브라이언은 과거의 불명예로부터 벗어 날 수 있으며 그의 친구 로만은 족쇄처럼 붙어 다니는 그의 화려한 전과 기록을 모두 벗어 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인 것이다. 하지만 카터 베론은 이미 국제적인 세력을 가지고 있는 거물급 인물이며 그를 체포할 증거를 찾기 위해선 목숨을 담보로 하는 거대한 모험이 기다리고 있으니… == 등장인물 == * [[브라이언 오코너]]: [[폴 워커]] * [[로만 피어스]]: [[타이리스 깁슨]] * 모니카 푸엔테스: [[에바 멘데스]] * 카터 베론: 콜 하우저 * [[테즈 파커]]: [[루다크리스|크리스 '루다크리스' 브리지스]] * 수키: [[데본 아오키]] == [[분노의 질주 시리즈/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노의 질주 시리즈/줄거리)] == 평가 == ||<-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s://www.metacritic.com/movie/2-fast-2-furious/critic-reviews|스코어 38 / 100]]''' || '''[[https://www.metacritic.com/movie/2-fast-2-furious/user-reviews|네티즌 평점 7.0 / 10]]''' || ||<-2>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s://www.rottentomatoes.com/m/2_fast_2_furious|신선도 36%]]''' || '''[[https://www.rottentomatoes.com/m/2_fast_2_furious|관객 점수 50%]]'''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322259, user=5.9)] ||
[[Letterboxd|[[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https://letterboxd.com/film/(영화 코드. 검색 시 뒤에 붙음)/|사용자 평균 별점 (별점) / 5.0]]''' || > '패스트'이긴 하지만, '퓨리어스'라니요. >---- >― [[이동진]] (★★☆) 히트했던 전작의 소재들을 가져와 확장시킨 후속작이었지만 로튼토마토 평론가지수는 36%, 관객지수는 50%로 평론과 관객 모두에게 전작보다 좋지 못한 평을 받았었다. 메타스코어 또한 38점으로 시리즈 역대 최저이며, IMDB 관객지수 또한 최하위를 기록하다가 2021년 더 얼티메이트가 개봉한 이후에야 최하위를 면했다. 본작은 [[빈 디젤]]이 출연하지 않는 관계로 폴 워커와 엮이는 캐릭터가 타이리스 깁슨이 연기한 '로만 피어스'인데, 본작이 이 캐릭터의 첫 등장이기도 하다. 이후 시리즈부터 개그담당을 못 벗어나는 모습과 대비되는[* 물론 이 때부터도 개그 캐릭터 기질이 충만하긴 했다.] 본작에선 로만의 내면적인 고뇌가 간접적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로만 피어스 항목의 각주 참조) 이 탓에 로만 피어스라는 캐릭터 한정으로는 나름의 의의를 찾을 수 있는 작품이라는 평을 듣기도 한다. 또한 본작과 더불어 1편, 4편까지 세 작품까지만 분노의 질주 시리즈가 스타트할 수 있는 기반이 된 주요 소재인 잠복수사를 중점으로 다뤘기에, 시리즈 초창기의 분위기를 그리워하는 일부 팬덤에서는 본작이 호평을 받고 있기도 하다. 종합하자면 2000년대 초반의 가벼운 액션과 스트리트 레이싱이 적절히 섞였으며, 볼거리에 충실한 킬링타임용 영화다. == 흥행 == 전세계 흥행 수입 $236,350,661(북미 $127,154,901 포함)/한국 흥행 전국 관객 30만. 전작과 비슷한 흥행 수입을 올렸지만 전작보다 평가는 조금 낮은 편이었다. 제작비는 전편의 두배인 7,600만 달러가 들어갔다. 그래도 7천만달러로 2억 3천만불의 수익은 올렸으니 흥행은 성공한 셈. == 이야기거리 == 속편 프로젝트는 1편의 흥행 성공으로 바로 진행됐다. 유니버설 픽처스는 두 개의 각본을 의뢰했는데, 첫 번째 각본에는 빈 디젤의 도미닉 토레토가 등장하는 각본이고, 두 번째 각본에는 빈 디젤이 돌아오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를 대비해 토레토가 등장하지 않는 각본이다. 결국 전편에서 나왔던 [[빈 디젤]]은 출연하지 않는다. 전편의 감독인 롭 코헨의 [[트리플 엑스]]를 촬영하러 갔기 때문. 2015년 버라이어티와의 기사에서 빈 디젤의 인터뷰에 따르면 유니버설에서 출연료로 2,500만 달러를 제의했지만 본인이 거절했다고 한다. 속편에 별로 흥미가 없었다고. 빈 디젤이 하차하자 유니버설은 각본을 다시 쓸 시간을 벌기 위해 촬영을 연기했다. 이 과정에서 타이리스 깁슨과 루다크리스가 연기한 새로운 캐릭터들이 투입됐고 시리즈에 계속 출연하고 있다. 브라이언 오코너의 초반 차량인 1999년식 [[닛산 스카이라인 GT-R]](BNR34) 차량의 경우, 차량이 상할 일이 없는 일반 신에서만 진짜 GT-R이 쓰였고 본격적인 레이싱 장면 촬영용으로 쓰인 차량은 25GT-T를 R34 룩으로 개조한 스턴트 전용 차량들을 썼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https://www.youtube.com/watch?v=ESZorac5a-U|당시 차량 개조 고문의 증언]]에 의해 MotoRex를 통해 수입한 차량 4대 모두가 GT-R인 것이 밝혀졌다.[* 제작 단계에서 실제로 25GT-T를 개조할 생각도 했었으나, 그 쪽이 훨씬 힘든 일이라 생각해 그냥 GT-R을 수입해서 일괄 개조하기로 했다고.] 다만 이렇게 되면 작중 나오는 각종 드리프트씬과 니트로씬에서의 고증 오류들이 생겨 아직 팬덤에서는 의견이 분분한 듯. 영화 말미에 파란색 카마로가 보트에 들이박는 장면을 케이프 플로리다 주립공원에서 촬영하기도 했는데, 이 공원의 다른 쪽에서는 [[나쁜 녀석들 II]]를 촬영중이었다고 한다. 영화 제작진이 경사로를 위해 새로운 낚시 부두를 건설했고, 엔진과 모든 연료 및 브레이크 라인을 제거하고 차량 증기를 청소하여 기름이나 가스가 비스케인 만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준비했다. 원래 여러 번 촬영할 계획이었는데, 첫 번째 촬영에서 한 번에 OK가 나서 추가 촬영이 취소됐다고. 카터 베론의 저택으로 사용된 단지는 이전에 [[실베스터 스탤론]]이 실제로 소유하고 있었다. 초반에 오렌지 줄리어스가 몰던 마쯔다 RX-7는 1편 촬영때 도미닉 토레토가 몰던 RX-7의 대역으로 준비해뒀던 차라고 한다. 영화의 흥미로운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감독은 배우들에게 종종 애드리브를 하라고 했다. 유머러스한 장면들은 대부분 애드리브. 영화 제작이 시작되기 전에 데본 아오키는 운전 면허증도 없었고, 운전을 한 경험도 없었다. 존 싱글턴 감독은 전편을 아주 좋아해서 본작의 연출을 맡게 되는 것을 아주 좋아했다고 한다. 전편에서 에드윈 역으로 출연한 [[자 룰]]에게도 출연제의가 갔으나 본인이 거절했다. [[타이리스 깁슨]]은 감독의 전작인 베이비 보이에 출연했던 인연으로 본작에 캐스팅됐다. 제작자인 닐 H. 모리츠는 전편에 이어 카메오 출연한다. 경찰 역할. 각본의 첫 번째 초안은 브라이언과 모니카, 두 사람 사이에 로맨스 장면이 있었지만 멘데스의 요청으로 잘렸다. [[분류:분노의 질주 시리즈]][[분류:200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