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D40000 '''[[페라리|{{{#d40000 페라리}}}]]의 한정판 미드십 슈퍼카'''}}} || || - || → || {{{#ffffff '''250 GTO'''}}} || → || [[페라리 288 GTO|288 GTO]] || ||<:><-9>[[페라리|[[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5px-Ferrari-Logo.svg.png|width=5%]]]] || ||<:><-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라리 250 GTO 옆모습.jpg|width=100%]]}}} || ||<:><-9> '''{{{#ffffff 250 GTO}}}''' || [목차] '''Ferrari 250 GTO''' == 개요 == [[1962년]]부터 [[1964년]]까지 페라리가 39대만 생산한 한정판 차량. 현재 250 GTO의 가치는 7000만 달러 가량으로 [[부가티 타입 57#1936년식 타입 57SC 쿠페 에어로 섀시 번호 57453|1936 부가티 라 부아츄 누와]]('''경매 시작가 1억 1400만 달러 추정'''), [[메르세데스-벤츠 SL#1세대 (W121/W198, 1954~1963)|벤츠 300 SLR 울렌하르트]](최종 낙찰가 '''1억 4300만 달러''')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비싼 차량이자 가장 비싼 페라리이다. == 제원 == |||| '''[[https://www.ferrari.com/en-US/auto/gto|차량 제원]]''' || || '''모델명 ''' ||250 GTO || || '''제조사''' ||[[페라리]] || || '''최초생산년도''' ||[[1962년]] || || '''엔진형식''' ||3.0L V12 자연흡기 || || '''미션형식''' ||5단 수동 || || '''구동방식''' ||[[MR(자동차)|MR]] || || '''배기량''' ||2,952cc || || '''최고출력''' ||450마력/7,500rpm || || '''최고토크''' ||29.9kg*m/5,500rpm || || '''전장''' ||4,325mm || || '''전고''' ||1,210mm || || '''전폭''' ||1,600mm || || '''휠베이스''' ||2,400mm || || '''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 || '''후륜 서스펜션''' ||더블 위시본 || || '''전륜 브레이크''' ||V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브레이크''' ||V 디스크 브레이크 || || '''건조중량''' || || || '''최고속도''' ||254km/h || || '''제로백 (0→100km/h)''' ||5.8초 || || '''승차인원''' ||2명 || == 기타 == * 생산 수량이 40대도 안 될 정도로 매우 적어 차량별 레이싱 전적이나 전/현 소유주가 잘 알려져있다. 정리해서 출판한 책도 몇 권 있으며, 인터넷 사이트에는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굿우드 FOS]] 등의 행사에 뜰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 국내에는 s/n 5095GT 1대가 존재했었다. [[https://en.m.wikipedia.org/wiki/Giovanni_Volpi|지오반니 볼피]][* [[이탈리아 왕국]] 재무장관이자 [[베니스 국제 영화제]] 창립자인 주세페 볼피의 아들. 아버지에게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아 [[스쿠데리아 세레니시마]]라는 레이싱 팀을 만들었다.], 루치엔 비앙키[* [[쥘 비앙키]]의 증조부다. F1과 르망 24시에서 뛰었다.] 등 여러 주인을 거쳐 1997년 한국에 오게 되었다. 구매자는 [[이건희|당연히]]... 이후 영국의 부동산 재벌 Bill Ainscough가 구입했다가 마찬가지로 영국 부동산 재벌인[[https://en.m.wikipedia.org/wiki/Jon_Hunt|존 헌트]][* 250 GTO에 이어지는 288 GTO, F40, F50, 엔초도 모두 소유하고 있었으며 라페라리를 수령할 때 차량들을 본사로 가져가 페라리에서 [[https://m.youtube.com/watch?v=YV-SGEmdrqI|인터뷰]]도 했었다.]에게 넘겼다. 현재는 멕시코의 재벌 [[https://en.m.wikipedia.org/wiki/Carlos_Hank_Rhon|카를로스 행크 론]]이 가지고 있다. * 이 외에도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소유주들이 많다. [[닉 메이슨]][* 영국의 전설적인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원년멤버이자 드러머. s/n 3757GT로 1978년에 구매했다. 훗날 [[로저 워터스]]가 핑크 플로이드 밴드명을 가지고 법적 분쟁을 재개하며 밴드의 자산을 동결시키자 당시 [[A Momentary Lapse of Reason]] 음반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이 차를 담보로 잡고 빌렸다는 일화가 있다. 현재는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에 전시 중이다.], [[랠프 로런]][* [[랄프 로렌]] 창업주. s/n 3987GT], 존 셜리[* 전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s/n 3729GT], [[로렌스 스트롤]][* 캐나다의 억만장자 사업가. 자동차 및 모터스포츠에 열정이 넘쳐 아들인 [[랜스 스트롤]]을 F1 페이 드라이버로 꽂아넣다가 나중에는 팀을 사버렸다. 지금은 [[애스턴 마틴]]의 최대주주이자 회장. s/n 3451GT], 데이비드 맥네일[* [[웨더텍]] 설립자로 자동차 수집을 즐기고 [[웨더텍 레이싱]] 팀의 감독도 맡았다. 로렌스&랜스 스트롤 부자와 비슷하게 아들인 쿠퍼를 본인 팀의 드라이버로 참가시켜 대리만족 중. 2018년 s/n 4153GT를 구입하며 상술된 7000만 달러 기록을 세웠다. 한화로는 800억 원 이상으로 당시 가장 비싼 자동차였는데, 4153GT가 63년 [[르망 24시]] GT3 클래스 2위, [[뉘르부르크링]] 1000km GT3 클래스 4위, 64년 TdF 전체 1위 등 레이싱 기록이 화려하면서도 보존이 잘 된 상태라 그렇다.], [[월튼 가문 #s-2.2|롭 월튼]][* [[월마트]] 창립자 [[샘 월튼]]의 장남이자 전 월마트 회장. s/n 3607GT], 피터 삭스[* [[골드만삭스]] 파트너. 성에서 알 수 있듯이 증조부가 골드만삭스 공동설립자인 사무엘 삭스다. s/n 4091GT], 안소니 뱀포드[* 아버지 조셉 시릴 뱀포드가 세운 건설장비 기업 JCB의 회장이자 영국의 상원인 [[영국 귀족원]] 의원. 250 GTO를 2대나 가지고 있는데 [[그레이엄 힐]]이 주행하던 s/n 4399GT와 데이비드 파이퍼가 주행하던 s/n 4491GT이다.] 등... [[파일:44AD2F50-5E2F-43C1-AB56-3B81091AE429.jpg]] [[파일:CBBD941E-AF6B-4E24-B57C-6B94E465D990.jpg]] [[파일:E8D2B1C9-8CCE-4856-8895-87D902174C81.jpg]] [[파일:77AD4057-8F11-40BD-BC69-B755B458C7E1.jpg]] [[파일:9CD6A1A5-0077-4EA6-B768-5F1FB7854A85.jpg]] [[파일:03EDBF68-E2AF-4D5C-BAB5-478A4D45082D.jpg]] * 매우 희소한 차량이지만 의외로 단체샷이 많다. 출시 n주년을 기념한 단체 투어도 있고, 영국 오너들이 많다 보니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굿우드 FOS]]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굿우드는 단순 전시만 하는 게 아니라 60년대에 현역으로 250을 주행하던 드라이버들이 직접 주행하면서 히스토릭 레이스에 참가할 때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페라리의 차량)] [[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분류:페라리/생산차량]][[분류:슈퍼카]][[분류:1962년 출시]][[분류:1964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