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Peter Platzer.jpg|width=100%]] || || 이름 ||페터 플라처[br]Peter Platzer || || 생년월일 ||[[1910년]] [[5월 29일]] || || 사망년월일 ||[[1959년]] [[12월 13일]] || || 국적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8]] [[오스트리아]] || || 출신지 ||불명 || || 포지션 ||골키퍼 || || 신체조건 ||179cm / 77kg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브리기테나우어 AC (1927-1929)[br][[플로리츠도르프 AC]] (1929~1934) [br][[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 (1934~1940) || || 국가대표 ||31경기 0골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1931~1937)^^[br]2경기 0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39)^^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선수.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플라처는 1925년부터 SC 메탈룸 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1926년에는 골키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1927년에는 브리기테나우어에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고, 1927-28 시즌 브리기테나우어의 깜짝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준우승에 기여하였다. 1929년부터 1934년까지 플라처는 플로리드스도르프에서 뛰었지만 1933-34 시즌 도중에 플로리드스도르프의 지역 라이벌인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으로 이적했고 아드미라 빈은 플라처의 이적 이후 바로 오스트리아 1부 리그 우승과 미트로파 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아드미라 빈은 30년대 오스트리아 1부 리그를 주름잡는 강팀으로 군림했지만 1938년 4월,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가 터졌다. 그 이후 아드미라 빈은 독일의 가울리가 오스트마르크에 소속되었고 1939년 독일 축구 챔피언십에까지 진출했지만 최종전에서 [[FC 샬케 04|샬케]]에 0대9의 기록적인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다만 플라처는 이 시합에서 장갑을 끼진 않았다.] 1940년에 플라처는 선수 생활을 마쳤다.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클럽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플라처는 1931년부터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하지만 당시 오스트리아 대표팀에는 [[루돌프 하이덴]]이 주전 골키퍼로 자리잡고 있어서 플라처에게는 출전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다 1933년, 하이덴이 프랑스로 떠난 이후 플라처는 기회를 잡을 수 있었고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이듬해의 월드컵]]에서 주전으로 오스트리아의 골문을 지켰다. 대회 내내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 플라처였지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 이후#s-2.1|4강전]]에서 호스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엔리케 구아이타]]에게 통한의 결승골을 허용, 월드컵 우승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안슐루스 이후 플라처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대표팀]]에서 2게임을 더 출전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반사신경과 점프력에 강점을 가진 골키퍼. == 뒷이야기 == * 1939년 독일 챔피언십 최종전의 대패 이후 아드미라 빈은 샬케와 리벤지 매치를 가졌는데 여기서 두 팀은 1대1로 비겼다. 하지만 아드미라의 2골이 취소되면서 비긴 결과로 끝났고 흥분한 오스트리아 팬들이 샬케 선수들을 공격하려 해 샬케 선수들은 경찰의 보호를 받으며 경기장을 빠져나가야 했다. * 1930년대 중반부터 플라처는 에르트베르크에서 카페를 운영하였고 배우로도 활동하기도 했다. == 수상 == === 클럽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우승 3회: 1933-34, 1935-36, 1936-37([[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 * 가울리가 오스트마르크 우승 1회: 1938–39(아드미라 빈) * 오스트리아 1부 리그 준우승 2회: 1926-27(브리기테나우어 AC), 1934-35(아드미라 빈) * 독일 축구 챔피언십 준우승 1회: 1939(아드미라 빈) * 미트로파 컵 준우승 1회: 1933-34(아드미라 빈) === 국가대표 === * 중유럽 컵 우승 1회: 1931-32 * 중유럽 컵 준우승 1회: 1933-35 [[분류:1910년 출생]][[분류:1927년 데뷔]][[분류:1940년 은퇴]][[분류:1959년 사망]][[분류:오스트리아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복수의 대표팀에서 뛴 축구선수]][[분류:플로리츠도르프 AC/은퇴, 이적]][[분류:SK 아드미라 빈/은퇴, 이적]][[분류:오스트리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