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켓몬스터]][[분류:하츠네 미쿠/외부 출연]][[분류:나무위키 포켓몬스터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 [include(틀:하츠네 미쿠)]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F42bMkpbwAAPpW2.jpg]] [[https://www.project-voltage.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일본외접속차단 9월 28일부터 모든 해외로부터의 접속을 막아버렸다. 이유는 불명.]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okeMikuVOLTAGE, 크기=20)] 2023년 9월 4일부터 진행되는 [[포켓몬스터]]와 [[하츠네 미쿠]]의 공식 콜라보레이션. 정식 명칭은 "포켓몬 feat.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볼티지 18 타입/곡(ポケモン feat. 初音ミク Project VOLTAGE 18 Types/Songs)"이며, 공식 약자는 "포케미쿠(ポケミク)"이다. 6명의 일러스트레이터[* 정확히는 마지막 드래곤 타입의 경우 디자인 담당과 일러스트 담당이 각각 다른 사람이기 때문에 실제로 참여한 일러스트레이터는 7명이다.]가 디자인한, [[포켓몬스터/타입|18개 타입]]의 포켓몬 트레이너가 된 미쿠의 일러스트를 9월 4일부터 9월 28일까지 매 평일 오후 7시에 공개하고, 9월 29일부터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BGM과 SE의 샘플링을 공동 테마로서 각 [[음성 합성 엔진/프로듀서|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 자유롭게 만든 18개의 곡들을 공개하는 프로젝트이다. == 일러스트 == 각 타입의 파트너 포켓몬으로는 대부분 '''도감 설명으로 노래/음악/소리와 연관지을 수 있는 종'''이 선택되고 있다.[*A 해당 설명은 볼드체 처리][* 전기 타입인 [[로토무]]와 격투 타입인 [[창파나이트]], 드래곤 타입인 [[미라이돈]]은 제외. 로토무는 미쿠가 보컬로이드라는 점을 전자기기와 연관시키고, 창파나이트는 [[파돌리기송|파]], 미라이돈은 미쿠의 이름 어원이 '미래에서 온 첫 소리'라는 점을 연관시킨 것으로 보인다. 울음소리에 관한 도감설명도 많은 편이다. 일단 소리이긴 하니까.] || '''{{{#ffcc00 참여 일러스트레이터}}}''' ||<-4> '''{{{#ffcc00 담당 타입}}}''' || ||<|2> [[타케(일러스트레이터)|타케]] || [[에스퍼 타입|[[파일:에스퍼 타입.svg|width=40]]]] || [[고스트 타입|[[파일:고스트 타입.svg|width=40]]]] || [[격투 타입|[[파일:격투 타입.svg|width=40]]]] ||<|2>|| || '''[[에스퍼 타입|{{{#fff 에스퍼}}}]]''' || '''[[고스트 타입|{{{#fff 고스트}}}]]''' || '''[[격투 타입|{{{#fff 격투}}}]]''' || ||<|4> [[미즈타니 메구미]][* [[https://twitter.com/megtany/status/1707938557749518374|완결 기념 팬 아트]]. 이 팬아트는 1세대 당시의 [[https://twitter.com/Riddler_Khu/status/1707961553180602402|이 일러스트]]를 패러디한 것이다.] || [[풀 타입|[[파일:풀 타입.svg|width=40]]]] || [[불꽃 타입|[[파일:불꽃 타입.svg|width=40]]]] || [[물 타입|[[파일:물 타입.svg|width=40]]]] || [[노말 타입|[[파일:노말 타입.svg|width=40]]]] || || '''[[풀 타입|{{{#fff 풀}}}]]''' || '''[[불꽃 타입|{{{#fff 불꽃}}}]]''' || '''[[물 타입|{{{#fff 물}}}]]''' || '''[[노말 타입|{{{#fff 노말}}}]]''' || || [[바위 타입|[[파일:바위 타입.svg|width=40]]]] || [[페어리 타입|[[파일:페어리 타입.svg|width=40]]]] || [[벌레 타입|[[파일:벌레 타입.svg|width=40]]]] || [[강철 타입|[[파일:강철 타입.svg|width=40]]]] || || '''[[바위 타입|{{{#fff 바위}}}]]''' || '''[[페어리 타입|{{{#fff 페어리}}}]]''' || '''[[벌레 타입|{{{#fff 벌레}}}]]''' || '''[[강철 타입|{{{#fff 강철}}}]]''' || ||<|2> [[https://twitter.com/sirakannnu|칸누(kannnu)]][* 유일하게 본 이벤트 참여 전까지 포켓몬과 공식적인 접점이 없던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나마 접점이라 할 수 있는 건 [[자작 포켓몬]]이나 포켓몬 팬 아트를 여러 번 그린 것 정도다. 하츠네 미쿠 쪽으로는 VR 콘서트인 [[https://galaxy-live.net/index.html|갤럭시 라이브 2020, 2021]]에서 의상 디자인을 맡은 바 있다. [[https://twitter.com/sirakannnu/status/1707339810040672692|완결 기념 팬 아트]].] || [[전기 타입|[[파일:전기 타입.svg|width=40]]]] || [[땅 타입|[[파일:땅 타입.svg|width=40]]]] || [[비행 타입|[[파일:비행 타입.svg|width=40]]]] ||<|2>|| || '''[[전기 타입|{{{#fff 전기}}}]]''' || '''[[땅 타입|{{{#fff 땅}}}]]''' || '''[[비행 타입|{{{#fff 비행}}}]]''' || ||<|2> [[https://twitter.com/_akikan|칸타로(カンタロ)]][* 스가노 아키히로(菅野晃宏)와 동일인물. 칸타로 명의로는 [[포켓몬 카드 게임]] 일러스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스가노 아키히로 명의로는 전 [[HAL 연구소]] 소속으로 [[별의 커비 Wii]]부터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까지 비주얼 디자인을 여러 번 맡았다. 현재는 퇴사. [[https://twitter.com/_akikan/status/1708391541235151207|완결 기념 팬 아트]].] || [[얼음 타입|[[파일:얼음 타입.svg|width=40]]]] || [[독 타입|[[파일:독 타입.svg|width=40]]]] ||<|2><-2>|| || '''[[얼음 타입|{{{#fff 얼음}}}]]''' || '''[[독 타입|{{{#fff 독}}}]]''' || ||<|2> [[https://twitter.com/Lownine|로닌(浪人)]][* 코다 카즈마(幸田和磨)와 동일인물. 로닌 명의로는 [[포켓몬 카드 게임]] 일러스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코다 카즈마 명의로는 콘셉트 디자이너로서 [[니어 오토마타]], [[베요네타 2]],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등에 참여했다.] || [[악 타입|[[파일:악 타입.svg|width=40]]]] ||<|2><-3>|| || '''[[악 타입|{{{#fff 악}}}]]''' || ||<|2> [[오오무라 유스케]][* 디자인][br]×[br][[아리가 히토시]][* 일러스트] || [[드래곤 타입|[[파일:드래곤 타입.svg|width=40]]]] ||<|2><-3>|| || '''[[드래곤 타입|{{{#fff 드래곤}}}]]''' || === 9월 4일 : [[에스퍼 타입]] : [[메로엣타]] === [[파일:F5LFYzlbIAAnaId.jpg]] [[파일:F5LBBPoaYAAkEcs.jpg]] [[파일:F5LBTfJaQAAxyRy.jpg]] >No.0648 >메로엣타 >(보이스폼) >메로엣타가 '''연주하는 멜로디'''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명곡'''도 있다. >---- >포켓몬스터 화이트 도감 설명 그동안 팬아트로 미쿠와 메로엣타가 콜라보된 일러스트가 종종 나왔는데 드디어 공식으로 나왔다. === 9월 5일 : [[풀 타입]] : [[고릴타]] === [[파일:F5QKzywa8AAULas.jpg]] [[파일:F5QK82QaYAALYyv.jpg]] [[파일:F5QLHO5acAAVDM3.jpg]] >No.0812 >고릴타 >'''드럼 테크닉'''이 가장 뛰어난 자가 보스가 된다. 천성이 온화해서 그룹의 조화를 중히 여긴다. >---- >포켓몬스터 실드 도감 설명 === 9월 6일 : [[불꽃 타입]] : [[라우드본]] === [[파일:F5VV9jwbkAAStIS.jpg]] [[파일:F5VWFJXasAAK2-7.jpg]] [[파일:F5VWNNjbMAAfApW.jpg]] >No.0911 >라우드본 >'''고운 노랫소리'''는 듣는 이의 영혼을 치유한다. 3000도의 불꽃으로 적을 불태운다. >---- >포켓몬스터 바이올렛 도감 설명 === 9월 7일 : [[물 타입]] : [[누리레느]] === [[파일:F5adLAsbAAAoc0L.jpg]] [[파일:F5adVctboAAaEYz.jpg]] [[파일:F5aderhakAA07iF.jpg]] >No.0730 >누리레느 >'''가희'''라는 별명을 가졌다. 달이 뜨는 밤에 무리를 이끌고 '''노래하는 모습'''은 환상적이다. >---- >포켓몬스터 울트라문 도감 설명 === 9월 8일 : [[전기 타입]] : [[로토무]] === [[파일:F5fnrIjbIAASuOe.jpg]] [[파일:F5fn5AlbgAAQXba.jpg]] [[파일:F5fn8OHbAAAS-xU.jpg]] [[파일:F5foJ_oa4AAdOc8.jpg]] >No.0479 >로토무 >(로토무의 모습) >전기 같은 몸은 일부 기계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그 몸으로 장난을 친다. >----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 도감 설명 현재까지 공개된 파트너 포켓몬 중에선 처음으로 도감설명에 노래/음악/소리에 관한 내용이 없고, 노래와도 관련이 없는 포켓몬이다. 노래나 음악보다는 [[보컬로이드]]라는 점과 전자기기 속에 들어가 움직일 수 있는 로토무의 특징을 연계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F5fti4laAAA5ISh.jpg]] 위 그림을 그린 kannnu 작가의 공식 트위터에 추가 일러스트가 올라왔다.[[https://twitter.com/sirakannnu/status/1700088678335565928|#]] 미쿠의 좌우에 있는 그림자는 다름아닌 [[카가미네 린·렌]]으로, 콜라보의 한계상 직접 등장은 못했으나 실루엣만 그린다는 센스를 발휘해 팬들을 감탄시켰다. === 9월 11일 : [[노말 타입]] : [[페라페]] === [[파일:노말 타입 미쿠.jpg]] [[파일:20230911_192250.jpg]] [[파일:20230911_192253.jpg]] >No.0441 >페라페 >'''사람의 말을 기억해서 운다.''' 동료가 한 장소에 모이면 모두 똑같은 말을 기억한다.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 도감 설명 === 9월 12일 : [[얼음 타입]] : [[라프라스]] === [[파일:F50QQmLbkAAhvU5.jpg]] [[파일:F50QWXPagAA4wqI.jpg]] [[파일:F50Qav1acAAFemQ.jpg]] [[파일:F50QhnGawAASFiC.jpg]] >No.0131 >라프라스 >높은 지능을 가졌으며 인간의 말을 이해한다. 기분이 좋아지면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한다.''' >---- > 포켓몬스터 썬 도감 설명 === 9월 13일 : [[바위 타입]] : [[아마루르가]] === [[파일:1000002962.jpg]] [[파일:1000002963.jpg]] [[파일:1000002964.jpg]] [[파일:1000002965.jpg]] [[파일:1000002966.jpg]] >No.0669 >아마루르가 >화석에서 복원됐다. 아마루르가가 '''울부짖으면''' 밤하늘에 오로라가 나타난다고 한다. >---- > 포켓몬스터 소드(왕관의 설원) 도감 설명 === 9월 14일 : [[땅 타입]] : [[플라이곤]] === [[파일:1000002970.jpg]] [[파일:1000002971.jpg]] [[파일:1000002972.jpg]] [[파일:1000002973.jpg]] >No.0330 >플라이곤 >날개짓으로 일으키는 모래바람 속에서 '''노랫소리 같은''' 날갯소리만이 들리기 때문에 >플라이곤은 사막의 정령이라고 전해졌다. >---- > 포켓몬스터 사파이어 도감 설명 [[파일:F5-mfgPaAAA4hmF.jpg]] 위 그림을 그린 kannnu 작가의 공식 트위터에 추가 일러스트가 올라왔다.[[https://twitter.com/sirakannnu/status/1702262360579420562|#]] 가운데에는 [[안농]]글자로 "fan art kannnu"라고 적혀있다. === 9월 15일 : [[비행 타입]] : [[파비코리]] === [[파일:F6DrwwhaMAAN1bE.jpg]] [[파일:F6DsRUNa4AAqmle.jpg]] [[파일:F6DsTklbgAAuYex.jpg]] [[파일:F6Ds5GOaoAAuU7s.jpg]] >No.0334 >파비코리 >마음이 서로 통하는 사람이 있으면 부드럽고 아름다운 날개로 살짝 감싸고 '''허밍'''을 한다. >----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 도감 설명 [[파일:F6DwvJkaIAAJVPO.jpg]] 위 그림을 그린 kannnu 작가의 공식 트위터에 추가 일러스트가 올라왔다.[[https://twitter.com/sirakannnu/status/1702625426387169573|#]] === 9월 19일[* 일본에서는 [[9월 18일]](정확히는 9월 세 번째 주 월요일)이 '경로의 날'로 지정되어 공휴일이다.] : [[페어리 타입]] : [[푸린(포켓몬스터)|푸린]] === [[파일:1000018348.jpg]] [[파일:1000018349.jpg]] [[파일:1000018350.jpg]] >No.00'''39''' >푸린 >'''목소리의 파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는 성대'''가 있어서 >상대가 가장 졸리게 되는 파장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 >포켓몬스터 루비 도감 설명 Project VOLTAGE에서 미쿠의 파트너로 선택된 포켓몬 중 유일하게 최종진화체가 아니다. 그래도 노말 타입을 페라페가 차지했을 때부터 페어리 타입은 푸린일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선택된 다른 포켓몬들과 마찬가지로 노래와 관련된 설정이 많기 때문. 결정적으로 도감 번호인 '''[[39]]'''가 [[고로아와세]]로 '''[[하츠네 미쿠|미쿠]]'''가 되기 때문이다. 도감설명 뿐만 아니라 과거 애니메이션에서 푸린=노래라는 설정을 많이 강조했기 때문에 포켓몬스터 팬이 아니더라도 푸린=노래라는 설정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 9월 20일 : [[벌레 타입]] : [[귀뚤톡크]] === [[파일:F6ddYiXbIAATMEH.jpg]] [[파일:F6ddiBeaIAAP7Au.jpg]] [[파일:F6ddrhJbkAABkL2.jpg]] >No.0402 >귀뚤톡크 >변화무쌍한 '''울음소리'''를 겨루는 '''울음소리 비교 놀이'''를 즐기는 마을이 있다. >---- >포켓몬스터 Pt기라티나 도감 설명 === 9월 21일 : [[독 타입]] : [[스트린더]] === [[파일:F6ila1HaQAALk6B.jpg]] [[파일:F6ilhw4awAAY-wu.jpg]] [[파일:F6iljYVbcAAz4To.jpg]] [[파일:F6iln4GbwAA05Tl.jpg]] >No.0849 >스트린더 >(하이한 모습) >가슴에 난 돌기를 긁으면 전기가 일어나며 주위에 '''기타와 비슷한 소리가 울려퍼진다.''' >---- >포켓몬스터 소드 도감 설명 === 9월 22일 : [[고스트 타입]] : [[무우마직]] === [[파일:paimon-20230922-200315-005.jpg]] [[파일:paimon-20230922-200409-006.jpg]] [[파일:F6nw0guaIAAgAGZ.jpg]] >No.0429 >무우마직 >'''주문 같은 울음소리'''지만 드물게 상대방을 행복하게 하는 효과도 숨기고 있다고 한다. >----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 도감 설명 고스트 타입의 노래와 관련된 도감 설명 보유 포켓몬으로는 [[펌킨인]]도 있지만, 긍정적인 문구도 써 있는 무우마직과 달리 펌킨인은 저주 얘기로만 가득이라 무우마직이 선정된 듯하다. === 9월 25일 : [[악 타입]] : [[가로막구리]] === [[파일:F63NQDxacAAPEQn.jpg]] [[파일:F63NZbaaMAAlTeN.jpg]] [[파일:F63NakybMAAMtyh.jpg]] [[파일:F63NkjaaIAAKXzi.jpg]] >No.0862 >가로막구리 >'''엄청난 성량'''을 가졌다. '''샤우팅'''하며 위협하는 모습은 블로킹이라 불린다. >---- >포켓몬스터 소드 도감 설명 === 9월 26일 : [[강철 타입]] : [[지라치]] === [[파일:F68XEVabsAAEJFR.jpg]] [[파일:F68XJV4aQAAtHxt.jpg]] [[파일:F68XNlxbEAA0TYl.jpg]] >No.0385 >지라치 >'''맑은 목소리로 노래'''를 들려주면 1000년의 잠에서 깨어난다. 인간의 소원을 뭐든지 이루어준다고 한다. >---- >포켓몬스터 사파이어 도감 설명 강철 타입의 상징 색으로 추가된 청회색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러스트가 공개되기 전에는 [[동탁군]]도 후보로 거론되었다.[* 마찬가지로 소리와 관련된 도감 설명을 가졌고, 머리 형상이 미쿠 특유의 청록색 트윈테일과도 유사하기 때문.] === 9월 27일 : [[격투 타입]] : [[창파나이트]] === [[파일:20230927_190712.jpg]] [[파일:20230927_190720.jpg]] [[파일:20230927_190724.jpg]] >No.0865 >창파나이트 >많은 싸움에서 살아남은 자만이 이 모습으로 진화한다. '''파'''가 시들면 전장을 떠난다. >---- >포켓몬스터 소드 도감 설명 노래나 음악 관련이 아니라 '''[[파돌리기송|파]]'''라는 요소로 창파나이트가 선정되었다. 우연인지는 알 수 없지만 진화전인 파오리는 8세대에서 기술머신으로 [[돌림노래(포켓몬스터)|돌림노래]]를 배울 수 있다. === 9월 28일 : [[드래곤 타입]] : [[미라이돈]] === [[파일:20230928_190757.jpg]] [[파일:20230928_190802.jpg]] [[파일:20230928_190809.jpg]] >No.1008 >미라이돈 >오래된 서적에 "무쇠이무기"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존재인 것 같다. 벼락으로 대지를 잿더미로 만들었다고 한다. >---- >포켓몬스터 바이올렛 도감 설명 파비코리와 플라이곤이 빠지면서 공개 전에는 드래곤 타입은 [[짜랑고우거]]나 [[음번]]이 될 것이라는 추측이 대세였으나, 하츠네 미쿠 자체의 이름 어원이 '아직 보지 못한 미래(未来)에서 첫 소리(初じめての音)가 찾아온다'는 문장이고, 그로 말미암아 '미라이'나 'Future'라는 단어를 차용한 미디어 믹스도 매우 많기 때문에[* 게임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프로젝트 디바 퓨처톤]], [[VR 퓨처 라이브]], 공연 [[매지컬 미라이]] 등.] 미래를 컨셉으로 잡은 미라이돈이 선정된 듯하다. [[파일:아리가히토시드래곤미쿠.jpg]] 일러스트를 담당한 [[아리가 히토시]]의 공식 트위터에 추가 일러스트가 올라왔다.[[https://twitter.com/ariga_megamix/status/1707337206619345391|#]] == 곡 == [[파일:Projectvoltage_composer1.jpg]] 9월 29일부터 총 18개의 곡이 공개 예정이다. 격월로 공개되며, 첫 4곡이 모두 공개된 뒤 다음 라인업은 11월 하순에 공개된다고 발표했다. 쉬는 기간에는 18타입 미쿠들이 등장하는 응원 일러스트가 부정기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첫 4곡부터 [[DECO*27]], [[이나바 쿠모리]], [[Mitchie M]], [[피노키오피]]라는 대형 콜라보레이션다운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 순번 || 번역명 || 원제 || 작곡가 || 가수 || 공개일 || || 1 || [[볼트태클(VOCALOID 오리지널 곡)|볼트태클]] || [[볼트태클(VOCALOID 오리지널 곡)|ボルテッカー]] || [[DECO*27]] || [[하츠네 미쿠]] || 2023년 9월 29일 || || 2 || [[전기예보]] || [[電気予報]] || [[이나바 쿠모리]] || 하츠네 미쿠 || 2023년 10월 6일 || || 3 || [[미래는 어떨까]] || [[ミライどんなだろう]] || [[Mitchie M]] || 하츠네 미쿠 || 2023년 10월 13일 || || 4 || [[포켓의 몬스터]] || [[ポケットのモンスター]] || [[피노키오피]] || 하츠네 미쿠 || 2023년 10월 20일 || === 1주차: [[DECO*27]] - [[볼트태클(VOCALOID 오리지널 곡)|볼트태클]]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7TIDIKc98, width=640, height=360)]}}} || || DECO*27 - 볼트태클 feat. 하츠네 미쿠 || === 2주차: [[이나바 쿠모리]] - [[전기예보]]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cr7rsBxsc, width=640, height=360)]}}} || || 이나바 쿠모리 - 전기예보 || === 3주차: [[Mitchie M]] - [[미래는 어떨까]]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G05Sm68z4s, width=640, height=360)]}}} || || 【포케미쿠 feat. 하츠네 미쿠】미래는 어떨까 / Mitchie M || === 4주차: [[피노키오피]] - [[포켓의 몬스터]]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Ioi2r3f5fU, width=640, height=360)]}}} || || 포켓의 몬스터 feat. 하츠네 미쿠 / The Pokémon Inside My Heart || == 반응 == [[포켓몬스터]]와 [[하츠네 미쿠]]라는 대형 ip 둘의 콜라보레이션인 만큼 반응이 상당히 폭발적이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감 설정을 채용한 점이 극찬을 받는다. 2차 창작도 활발한데, 포켓몬의 타입에 [[포켓몬스터/타입#상성|상성 관계]]가 있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포켓미쿠끼리의 커플링'''을 다룬 팬아트도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