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ACD32> '''포크 음악의 대표곡들'''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MFj8uDubsE,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26e_86-K0k, height=200)]}}} || || ''[[Blowin' in the Wind]]''[br][[밥 딜런]] (1963) || ''[[Puff, the Magic Dragon]]''[br][[Peter, Paul And Mary|피터, 폴 앤 메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595abcvh2M, height=2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_V6y1ZCg_8, height=200)]}}} || || ''Big Yellow Taxi''[br][[조니 미첼]] (1970) ||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br][[비틀즈]] (1965)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bD7lfrsY2s, height=2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AHCfZTRGiI, height=200)]}}} || || ''Fire and Rain''[br][[제임스 테일러]] (1978) || ''Hurt''[br][[조니 캐쉬]] (2002)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X-MvKzkclA, height=2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tMLgFXp9Gs, height=200)]}}} || || ''[[아침이슬]]''[br][[김민기]] (1971) ||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br][[김광석]] (1992) || }}}}}}}}} || ||<-2><#9ACD32> '''{{{+1 포크}}}[br]Folk''' || || '''기원''' ||민속 음악 || || '''등장 시기''' ||[[1940년대]][* 컨템포러리 포크 뮤직 한정] || || '''사용 악기''' ||[[보컬]],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아코디언]] 등 || || '''하위 장르''' ||스키플, 컨트리 포크, [[인디 포크]] 등 || || '''대표 음악가''' ||[[밥 딜런]], [[레너드 코헨]], [[조니 미첼]], [[닐 영]], [[존 덴버]], [[피터, 폴 앤 메리]], [[김광석]], [[닉 드레이크]] 등 || [목차] [clearfix] == 개요 == Folk music 어쿠스틱 기타가 중심이 되는[* 후술하겠지만 굳이 어쿠스틱 기타를 쓰지 않더라도 포크가 될 수 있다.] 음악의 한 장르이다. == 상세 == 그렇지 않은 장르도 드물겠지만 포크 또한 그 영역이 넓은 편이다. 포크의 뜻은 일반적으로 두가지로 나뉘는데, * 어떤 나라 고유의 '민속' 음악. [[민요]] - Traditional Folk(트래디셔널 포크)라 불린다. * 20세기 중반 [[미국]]에서 시작된 간단하고 쉬운 구조의 노래들. - Contemporary Folk(컨템포러리 포크)라 불린다. * 민중에 의해 불려지는 노래. - [[민중가요]]가 이 분류에 해당한다. 포크 댄스라고 하면 대개 1번쪽을 의미한다. 여기선 후자에 대해 서술.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청바지에 통기타 들고 노래하는 장르 민요 맞다. 다만 [[영국]]-미국 쪽의 민요들만 포크송이라 부르고 있고, 당시 포크의 대가들이 히트할 적에 트래디셔널(traditional:작자 불명의 전승 민요)과 같이 '민요의 느낌으로' 새로 만들어진 '창작 민요'도 많이 불리워졌기 때문에 그 의미가 희석된 것이다. 한 문화권의 민요가 떳떳한 하나의 장르로 태어난 셈. 물론 트래디셔널 곡들도 적절히 편곡되어 거의 같은 비중으로 연주된다. 개중에 굉장히 저항적인 가사를 담은 노래들이 있는데 물론 창작 포크에 속하며 프로테스트 송이라 불린다. 밥 딜런의 주옥 같은 가사들 중 잘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이 [[히피]] 문화와 한국의 학생 운동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포크의 아이덴티티는 역시 [[기타]].[* [[포크 기타|통기타]]...라고 하기엔 뭣하다. [[일렉트릭 기타]]도 포크 록 등에서 잘 쓰이기 때문. 하지만 따사로운 분위기에서 즐겁고 편하게 연주하는데는 확실히 통기타가 편하고 실제로 그런 인식도 존재했다. 밥 딜런이 [[Like a Rolling Stone|전기 기타 들고 나가서 왕창 까였던 이야기]]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 뭐 [[밴조]] 등 다른 악기도 있지만 어쨌든 기타가 빠지는 건 드물다. 일반적인 초보적인 주법: 노래의 반주로만 사용하는 간단한 주법의 기타 연주는 포크에서 기원한 것이다. 쓰리 코드니 쓰리 핑거니 하는 것들도 여기서 나왔다.[* 원래 음악장르는 코드 형식이나 그런것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그 외에 하모니카가 너무도 잘 어울리는 장르이기도 하다. [[김광석]]이라든지 [[밥 딜런]]이라든지... 흔히 7080세대라 불리던 시절에는 대중음악계, 그중에서도 K-록 씬에서 포크가 대성했던 시대가 있었다. [[한대수]], [[김민기(가수)|김민기]]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많은 명곡들이 탄생했으며, 엄청난 인기를 끌고 학생운동의 열기에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당시에 황당한 이유로 [[금지곡]]이 되어 부를 수 없었던 [[상록수]], [[아침 이슬]] 등의 노래들은 딱히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괜히 저항정신을 상징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제로 [[민중가요]]와 노래 운동으로 그 분노의 물결을 타게 되었지만... 7080세대의 포크붐은 전반기는 세시봉-청개구리로 대표되는 젊은 음악인 집단을 중심으로 붐을 일으켰다. 이 시기의 포크음악은 '서양의 새롭고 재미있는 음악 장르'정도였으며 팝송을 많이 커버하다보니 자연스레 포크음악으로 넘어간 경향이 크다.[* 포크라는 장르 자체가 악기를 덜 필요로 하고 그만큼 테크닉에 대한 요구치가 낮다는 점도 한 몫 했다.] 이후 이 젊은 음악인 집단은 시대가 시대다보니 상당수가 훗날 민중가요로 이어지는 저항운동권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마초 파동으로 포크붐이 일단락된 후, 초창기 포크 가수들은 세 갈래로 나뉘어졌다. [[양희은]], [[송창식]]처럼 장르를 넘어서서 대중가요의 가수로 편입되거나, [[전인권]]처럼 새로운 형태의 음악적인 저항을 시도하거나, 김민기처럼 언더그라운드에서 운동권과 관계를 가지며 주류에 포함되기를 거부하거나. 이후 포크붐을 다시 주도한 것은 민중가요 출신들이었다. [[김광석]], [[안치환]]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포크음악은 기존의 포크음악과 어느 정도 구분점이 존재했는데, 서양 음악의 커버와 재창작의 수준을 넘지못했던 세시봉-청개구리 멤버들과는 달리, 포크 음악이 본래 가지는 장점인 '사운드를 최소화하여 보컬을 강조하고 메시지의 전달을 분명히 한다'라는 점에 크게 주목하였다. 김광석이나 안치환 모두 공통적으로 받는 평이 '가사가 좋다, 목소리에 진정성이 있다'라는 것인데 그러한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장르가 된 것이다. 그리고 이쪽이 형식이 아닌 컨텐츠로의 포크음악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리고 [[김광석]]의 죽음은 한국 주류 록 씬의 쇠퇴와 맞물려 2세대 포크 붐의 종말을 선언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 인디 신의 [[밴드]]들의 경향과 [[세시봉]] 멤버들의 재조명, [[나는 가수다]]로 대표되는 현재의 추세로 포크 록과 관련 장르들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는 3세대 포크 붐은 사실 10중 9은 [[장기하]]의 영향이다. 그가 속했던 [[청년실업]]과 [[붕가붕가 레코드]]에 영향을 준 [[관악청년포크협의회]]는 꽤 즉흥적인 포크 록을 추구했다. (청년실업의 <포크레인>을 들어보자. 잠이 확 깬다(...).) 또 그는 [[장기하와 얼굴들]]에서 독특한 노래 방식, 한글만으로 쓰여진 가사, 편곡으로 큰 인기와 좋은 인상을 얻었으며 대중들에게 '새로운 음악'이라 인식된 것.[* 이러한 방법론은 장기하가 드러머로 속해있던 [[눈뜨고 코베인]]에서 먼저 도입되었다.] 청년실업과 관악청년포크협의회만 봐도 알 수 있듯 포크는 아마추어 음악가, 독립음악가들에겐 그다지 낯선 장르는 아니었다. 인디 밴드의 세대가 갈리면서 너무나 당연하게도 그들은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였고, '''그 결과물 중의 하나로 나타난 것이 바로 [[산울림]]이라는 밴드였다.''' 산울림은 포크밴드라기도 애매하고 [[김창완]] 역시 포크 송라이터는 아니었지만, 그들은 1세대 포크가수들과 동시대의 사람이었고 거의 같은 노래를 듣고 자랐으며 같은 노래를 불렀다. 또한, [[산울림]]의 사운드에 대한 집착은 일렉 기타를 든 이후의 [[밥 딜런]]과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포크]]라는 장르 자체가 가지는 미니멀리즘, 메시지 중시의 미학은 역시 산울림의 그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포크락 인디밴드들이 주목한 지점 역시 이 미학의 공유에 있었고, 그걸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산울림의 재평가가 이뤄진 것이다. 물론, 지금의 인디 신에서 그냥 포크 록만 추구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여러모로 다양해져서 [[요조(가수)|요조]]부터 [[밤섬해적단]][* 밤섬해적단은 오히려 [[익스트림 메탈]] [[빅텐트]]에 분류할수 있다.]까지 "이걸 죄다 인디라고 불러야 되나?" 하는 이야기도 나오는 판에... 그저 대중의 힘이란 게 무서울 뿐(...).. 하위 장르로는 프릭 포크와 포크트로니카가 있다. 전자는 [[사이키델릭 록]]이나 [[네오 사이키델릭]] 음악의 영향을 받아 즉흥연주와 변칙 튜닝으로 약 빤 분위기를 형성하는 포크 음악을 의미하며, 후자는 [[일렉트로닉 뮤직]]과 (주로 [[앰비언트]]나 [[글리치]], [[신스 팝]]) 결합으로 미래적이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부여하는데 주력하는 장르다. == 관련 문서 == * [[음악 관련 정보]](장르) * [[민중가요]] * [[민요]] * [[통기타]] == 각국의 포크 음악가 == === 한국의 포크 음악가 === * '''[[김민기(가수)|김민기]]'''[* 대한민국 현대 포크송의 시작점은 사실상 김민기의 노래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한대수]]''' * [[양희은]] * 김의철[* 자세한 소개가 해당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다. [[https://m.blog.naver.com/hitec20/220395145669]] ] * [[트윈 폴리오]] ('''[[송창식]]'''과 [[윤형주]]) * [[이장희(가수)|이장희]] * [[서유석(가수)|서유석]] * [[양병집]] * [[김정미(가수)]][* [[신중현]] 사단에서 제작된 1973년 Now 앨범이 대표적이다.] * [[4월과 5월]] * [[어니언스]] * [[한돌]] * '''[[노래를 찾는 사람들]]'''([[안치환]], 문대현, 윤선애 등) * '''[[산울림]]'''([[김창완]][* 김창완은 아래 [[동물원]], 노고지리 등 후배 양성에도 기여했다.]) * [[동물원(밴드)|동물원]] ([[김창기]], [[김광석]] 등) * [[김광석]] * '''[[이정선(1950)|이정선]]''' * [[해바라기(가수)|해바라기]][* 해바라기는 [[이정선(1950)]]의 4인체제와 이주호의 2인체제로 나뉜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 '''[[정태춘]]과 박은옥'''[* 부부사이며 음악활동도 같이한다.] * '''[[조동진]]''' * [[어떤날]]([[조동익]], [[이병우]][* 영화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 [[시인과 촌장]] ([[하덕규]], [[함춘호]]) * [[장필순]] * [[김두수(가수)]] * [[여행스케치]] * [[자전거 탄 풍경]] * [[이장혁]] *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 '''[[장기하와 얼굴들]]''' * [[청년실업]] (붕가붕가레코드의 관악청년포크협의회) * [[생각의 여름]] * [[권나무]] * [[윤영배]] * [[이영훈(가수)]] * [[곽진언]] * [[루시드폴]] * [[강아솔]] * [[김사월]] * '''[[10CM]]''' * '''[[장범준]]''' * [[김태춘]] * [[이랑(인물)]] * [[무키무키만만수]] ([[이민휘]][* 현재 영화 음악으로 활동하고 있다.]) * [[회기동 단편선]] ([[단편선과 선원들]]) * [[아마츄어증폭기]] ([[한받]]) * [[황푸하]] * [[여유와 설빈]] === 미국의 포크 음악가 === * [[돈 맥클린]] * '''[[마마스 앤 파파스]]''' * [[마이크로폰즈]][* 순수 포크라기보단 오히려 로우 파이쪽에 가깝다.] * [[멜라니 사프카]] * '''[[밥 딜런]]''' * [[버즈(미국 밴드)|버즈]] * '''[[버팔로 스프링필드]]''' * [[브루스 스프링스틴]][* 기본적으로 브루스 스프링스틴은 전형적인 포크 가수는 아닌 록 뮤지션이지만 록의 근본인 포크, [[컨트리]], [[블루스]]적인 면을 강조한 루츠 록에 속하기에 포함시킨다] * '''[[사이먼 앤 가펑클]]''' * [[수잔 베가]] * '''[[엘리엇 스미스]]''' * '''[[우디 거스리]]''' * [[잭 존슨]] * '''[[조니 미첼]]''' * '''[[조니 캐쉬]]''' * '''[[존 덴버]]''' * '''[[조안 바에즈]]''' * [[쥬얼]] * [[짐 크로치]] * [[짐 오루크]] * [[크로스비 스틸스 내시 앤 영]] * [[트레이시 채프먼]] * [[데이브 반 롱크]][* 영화 [[인사이드 르윈]]의 실제 모델이다.] * '''[[본 이베어]]''' * '''[[수프얀 스티븐스]]''' === 영국의 포크 음악가 === * '''[[닉 드레이크]]''' * '''[[도노반]]''' * '''[[밴 모리슨]]''' * '''[[비비오]]''' (포크트로니카) * '''[[캣 스티븐스]]''' * [[페어포트 컨벤션]] * '''[[피터 폴 앤 메리]]''' * '''[[제이크 버그]]''' * [[로이 하퍼(음악가)|로이 하퍼]] * 코머스 * [[코리스]] * 바쉬티 번얀 === 호주의 포크 음악가 === * [[닉 케이브]] ===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가 === * '''[[데미안 라이스]]''' === 캐나다의 포크 음악가 === * '''[[닐 영]]''' * 론 섹스스미스 === 일본의 포크 음악가 === * [[NSP(가수)|NSP]] * [[붉은 새]]([[날개를 주세요]]) * [[핫피 엔도]] * [[호소노 하루오미]]([[1970년대]] 한정.) * [[이노우에 요스이]] * [[오다 카즈마사]] * [[나카지마 미유키]] * [[유즈(가수)|유즈]] *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 * [[코부쿠로]] * [[타니무라 신지]] * [[두뇌경찰]](즈노케이사츠)[* 60 70년대 일본의 학생운동이 절정에 다했던 시기에 나왔던 일본의 전설적인 밴드이다.] * [[험버트 험버트]] * [[아오바 이치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크, version=183)] [[분류:음악 장르]][[분류:포크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