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스바겐|[[파일:폭스바겐 로고.svg|width=10%&theme=light]][[파일:폭스바겐 로고 화이트.svg|width=10%&theme=dark]]]]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ouareg.jpg|width=100%]]}}} || || {{{#FFF '''Touareg'''}}} || [목차] '''Volkswagen Touareg'''[* 사하라 사막 민족인 [[투아레그족]]에서 따 온 이름이다.]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폭스바겐]]에서 2002년부터 판매하는 준대형 [[SUV]]이다. [[폭스바겐 페이톤|페이톤]]과 함께 폭스바겐이 고급차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델이며, 결국 흥행에 실패해버린 페이톤과 다르게 SUV 열풍에 힘입어 그럭저럭 잘 팔리면서 계속 생산되고 있다. [[아우디 Q7|Q7]],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벤틀리 벤테이가|벤테이가]], [[람보르기니 우루스|우루스]]와 같은 MLB Evo 플랫폼을 공용하며,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폭스바겐]] 현지공장에서 생산된다. [[파일:TouaregEuro_33_hr-1.jpg]] 참고로 위 이미지에서 투아렉은 기존 폭스바겐 차량의 전륜기반과는 다른 후륜기반의 4륜구동 방식의 차량이다. 위 이미지는 1세대로, 이 후륜 기반 구조는 이 플랫폼이 [[폭스바겐 트랜스포터|트랜스포터]]를 기반으로 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트랜스포터도 중형 봉고차라서 후륜구동이기 때문이다. ] == 역사 == === 1세대 (2002~201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W_Touareg_V10_TDI_(I)_%E2%80%93_Frontansicht,_15._April_2012,_Mettmann.jpg|width=600]] 2002년에 출시된 1세대 투아렉은 [[폭스바겐]]의 상용 밴인 [[폭스바겐 트랜스포터|트랜스포터]]의 가로배치 플랫폼을 세로배치형으로 개조한 PL71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포르쉐 카이엔]] 및 [[아우디 Q7]]과 공용했다. 스타일은 동시기에 등장한 [[폭스바겐 페이톤|페이톤]]을 왜건형으로 바꾼 것처럼 크면서도 단아하다. 실제로 도로에서 만나 보면 [[폭스바겐 티구안|티구안]]과 비슷한 앞모습 때문에 느끼기 어렵지만, 옆에 정차한 모습을 보면 거대한 덩치에서 나오는 우월한 포스가 느껴진다. 세간의 평가는 합리적인 가격에 홈 그라운드인 오프로드는 물론,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온로드에서까지 괴물같은 능력을 발휘하는 SUV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모델 가운데는 주로 동급 프레임 타입 준대형 SUV인 [[기아 모하비|모하비]]와 비교되는 편이다. || [[파일:external/theinspirationroom.com/volkswagen-touareg-jumbo.jpg]] || 1세대에 있었던 '''V10 5.0L 커먼레일 디젤(TDI) 엔진'''을 장착한 모델[* 현재까지 양산형 SUV에 V10 엔진을 탑재한 차는 투아렉과 6.8L [[포드 익스커션]] 두 모델 뿐이다.]이 [[http://www.youtube.com/watch?v=MOG90IQEbhI#t=20s|'''보잉 747 점보 제트기를 견인하는 동영상''']]으로 유명세를 탔던 적이 있다.[* 해당 항공기는 [[보잉 747-200]]으로 과거 [[영국항공]]에서 운항된 기종이며, 퇴역 후 영화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번호 G-BDXJ. [[https://www.jetphotos.com/photo/8367933|현역 시절 사진]]] 이 이벤트에서 사용된 투아렉은 시중에 판매되는 모델과 동일한 사양이며 V10 5.0L 디젤 터보 엔진으로 최고출력 313마력에 최대 토크 76.5kg.m이라는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고 [[대한민국]]에 2006년부터 인디비쥬얼 트림으로 수입되었다. 거기에 450마력 W12 6.0L 가솔린 엔진[* [[폭스바겐 그룹]]의 기함에 들어가는 엔진. [[폭스바겐 파사트]] 4세대에 달린 W8 4.0L 엔진을 W12로 개조한 것으로 보이며, [[폭스바겐 페이톤]]에는 일반적인 MPI 엔진, [[아우디 A8]]에는 직분사(FSI), [[벤틀리 플라잉 스퍼]] 및 [[벤틀리 컨티넨탈]]에는 트윈터보가 달린 후 장착된다. A8은 이후 6.3리터로 배기량을 올렸으나, 하도 안 팔려서 단종. 파사트의 W8을 직렬로 2개 단 유닛이 터보 4개가 장착된 [[부가티 베이론]]의 W16 엔진으로 보인다.] 모델로 500대 한정 판매되기도 하였다. '''[[http://www.dogdrip.net/1761483|또한 레오파르트 2 전차가 밟고 지나갔는데도 차체만 파손된 채로 하체가 멀쩡히 남아 있어서]] '''경악하게 했던 사건도 있다.[* 참고로 [[레오파르트2|레오파르트2A6]]의 무게는 60톤 이상이다!] 물론 두 번째로 전차에 밟혔을 때는 그대로 [[쥐포]]가 되어 버렸지만, 이런 일련의 독특한 마케팅을 통해 투아렉은 대중들에게 [[왈도체|힘세고 강한]] 차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youtube(_51Xix9w1IY)] 2007년엔 [[파익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 클라임]]에 참가해 디젤 부문 신기록을 세웠다. === 2세대 (2010~2018)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W_Touareg_II_V6_TDI_Graciosabraun.jpg|width=600]] 2010년 2월에 2세대 모델로 풀제인지를 거치며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2세대와 공유하는 PL72 플랫폼으로 변경했다. [[자동변속기]]는 [[아이신]]에서 공급받는 8단 팁트로닉으로 교체하고 기어 레버는 부츠를 씌운 형태로 바뀌었다.[* [[폭스바겐]]이 아무리 DSG([[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거의 전 라인업에 쑤셔넣는 더러움을 뽐낸다곤 해도 DSG의 허용 토크가 낮고 엔진을 세로로 배치하는 투아렉과 페이톤에는 평범한 팁트로닉 미션이 들어간다.] 그리고 기존 1세대의 313마력 V10 5.0L 디젤 엔진은 340마력 V8 4.2L 커먼레일 디젤 엔진으로 [[엔진 다운사이징|다운사이징]]되었다.[*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S 디젤 모델은 4.2L 디젤 엔진을 382마력으로 세팅했다.] 대한민국에 정식 수입된 2세대 투아렉은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디젤과 공용하는 240마력 3.0L V6 터보 디젤 엔진과 340마력 4.2L V8 터보 디젤 엔진이 들여왔다. [[독일]]에서는 디젤이 주력이라서 그런지 가솔린은 V6 3.0L TSI 엔진을 장착한 하이브리드 모델만 있다. 전자의 경우 7,600만원 정도이며 후자의 경우 1억 800만원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 중이다. 온로드 달리기 성능도 상술했듯 굉장해서 V6 3.0L 디젤 모델의 경우 토크가 굉장히 강해서 [[현대 아반떼/5세대|아반떼 MD]]의 공차중량보다 2배에 달하는 2.4톤의 무게를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시키는 데 7.6초가 걸리고 V8 4.2L 디젤 모델의 경우 5.8초(!)에 달한다. ||[[파일:투아렉1.jpg|width=100%]]||[[파일:투아렉.jpg|width=100%]]|| 2014 [[베이징]] 모터쇼를 통하여 2세대 투아렉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다.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1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V8 4.2L 커먼레일 디젤 모델은 수요가 저조하여 들여오지 않고, 245마력 V6 3.0L 디젤 모델만 판매하였다. 그러나 유로6 기준 때문에 2015년 9월 이후에 엔진이 유로6 대응형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디젤게이트]]'''가 거하게 터지면서 유로6 엔진의 출시가 불투명하게 됐다. 형제차인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디젤도 조작이 걸린 것은 덤. === 3세대 (2018~현재) === ||<-2> [[파일:투아렉3세대.jpg|width=100%]] || ||<-2> 투아렉 || || [[파일:VW_Touareg_R.jpg|width=100%]] || [[파일:VW_Touareg_R_rear.jpg|width=100%]] || ||<-2> 투아렉 R || 2018년 3월 26일 뉴욕오토쇼를 앞두고 공개되었다. [[아우디 Q7]], [[아우디 Q8]], [[포르쉐 카이엔]], [[벤틀리 벤테이가]], [[람보르기니 우루스]]와 공유하는 MLB Evo 플랫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ZF]]의 8단 팁트로닉 자동변속기가 탑재된다. 북미 시장에서는 [[폭스바겐 아틀라스|아틀라스]][* 단 아틀라스는 후륜기반의 투아렉과 달리 전륜구동 기반의 차량이다.]와 겹치는 차종이어서 판매되지 않는다. 기존 V8 모델에만 들어가던 [[에어 서스펜션]]을 전 모델로 확장해 낮은 트림에서도 오프로드를 염두에 두는 변화를 줬다. 대한민국에서는 2020년 2월 7일에 286마력 3.0 V6 TDI 디젤 엔진을 탑재한 모델을 정식 출시했으며 가격은 8,390만원~9,790만원부터 시작한다. 동년 8월에 1억이 넘는 421마력 4.0 V8 TDI [[폭스바겐 EA898 엔진|DMV]] 디젤 엔진을 잠시 들여왔다. 이후 V8 4.0L 디젤은 환경규제가 엄격해진 관계로 해외 시장에서 400대의 한정판을 팔고 단종됐다. 2020년에 V6 3.0L 가솔린 터보 엔진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탑재한 고성능 버전 R이 공개되었다. 또한 폭스바겐의 새 로고가 적용되고 핸들 디자인도 바뀌었다. 2020년 8월, 대한민국 시장 차량가격이 인하되었다. 거기에 특별 금융 프로모션 혜택에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적용됐으며 2022년 기준으로 8,275~1억 2,556만원이다. 2023년 2월 13일에 트윈도징 시스템(2중 SCR)이 적용된 [[폭스바겐 EA897 엔진|EA897]] 3.0L 디젤, 1열 마사지 시트, 이노비전 콕핏, 에어 서스펜션, 후륜조향 기능을 탑재한 2023년형의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했으며 출고는 3월부터 시작한다. 가격은 8,830만원~1억 284만원부터 시작한다.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엘레강스_(1).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엘레강스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엘레강스_(3).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엘레강스_(4).jpg|width=100%]] ||}}} || ||<-2> {{{#000000 '''엘레강스'''}}}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1).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3).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4).jpg|width=100%]]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5).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Line_(6).jpg|width=100%]] ||}}} || ||<-2> {{{#000000 '''R-Line'''}}}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3).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4).jpg|width=100%]] ||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5).jpg|width=100%]] || [[파일:2024 폭스바겐 투아렉 R e하이브리드_(6).jpg|width=100%]] ||}}} || ||<-2> {{{#000000 '''R e하이브리드'''}}} ||}}} || ||<-2> {{{#ffffff '''후기형'''}}} || 2023년 5월 24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다. == 레이스 모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W_Race_Touareg_2_blue_vl_EMS.jpg|width=100%]]||[[파일:79F4B657-63DE-45ED-9C4D-2F72E5B930C5.png|width=100%]]|| || 1세대[* 탑기어 시즌 15 5화에서 리처드 해먼드가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는 북극권 근처의 스키 리조트에서 스노우모빌 레이서들과 레이스를 해서 이긴 적도 있다.] || 2세대 || 투아렉의 레이스 버전이 [[다카르 랠리]]에서 3년 연속 우승과 최초 디젤차량 우승이라는 수확을 거두고 현재는 철수했다. 파워트레인은 일반 차량과 같으나 차체는 경기에 적합하도록 따로 제작하여 기존 파츠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 미디어 == * [[넷플릭스]] 영화 [[익스트랙션 2]]에 주인공 일행이 오스트리아에서 타는차로 검은색 3세대 투아렉이 2대 나온다. == 경쟁 차량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HelplessLyingLackadaisicalArm, 합의사항1=폭스바겐 투아렉의 경쟁 차량은 대중차 브랜드의 지프 그랜드 체로키와 준 프리미엄(매스티지) 브랜드의 차량과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량으로 서술한다.)] * [[지프]] - [[지프 그랜드 체로키|그랜드 체로키]] * [[뷰익]] - [[뷰익 엔클레이브|엔클레이브]] * [[GMC(자동차 제조사)|GMC]] - [[GMC 아카디아|아카디아]]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GLE|GLE]] * [[BMW]] - [[BMW X5|X5]] * [[아우디]] - [[아우디 Q7|Q7]] * [[포르쉐]] -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 [[볼보]] - [[볼보 XC90|XC90]] * [[랜드로버]]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디스커버리]],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레인지로버 스포츠]] * [[링컨(자동차)|링컨]] - [[링컨 에비에이터|에비에이터]] * [[캐딜락]] - [[캐딜락 XT6|XT6]] * [[렉서스]] - [[렉서스 RX|RX]], [[렉서스 TX|TX]] *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 [[인피니티 QX60|QX60]] * [[아큐라]] - [[아큐라 MDX|MDX]] * [[제네시스(자동차 브랜드)|제네시스]] - [[제네시스 GV80|GV80]] == 둘러보기 == [include(틀:폭스바겐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include(틀:모터트렌드 올해의 SUV/1999년~2000년대)] [[분류:폭스바겐/생산차량]][[분류:2002년 출시]][[분류:준대형 SUV]][[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소형 전술차량]][[분류:모터트렌드 올해의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