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련군/원수)] ---- || '''{{{#ffe400 표도르 톨부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소련 육군 전선사령관)] ---- [include(틀:전승훈장 수훈자)]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초대 남부군집단 총사령관[br]{{{+1 표도르 이바노비치 톨부힌}}}[br]Фёдор Ива́нович Толбу́хин[br]Fyodor Ivanovich Tolbukhi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표도르 톨부힌 원수.jpg|width=100%]]}}} || ||<|2> '''출생''' ||[[1894년]] [[6월 16일]] || ||[[러시아 제국]] [[야로슬라블|야로슬라블현]] 안드로니키[br](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야로슬라블|야로슬라블주]] 야로슬라브스키군 쿠즈네치힌스키 안드로니키)|| ||<|2> '''{{{#ffe400,#ffe300 사망}}}''' ||[[1949년]] [[10월 17일]] (향년 55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크렘린 벽 묘지 || ||<|2> '''재임기간''' ||초대 [[남부군집단]] 총사령관 || ||[[1945년]] [[6월]] ~ [[1947년]] [[1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버지''' ||이반 표도로비치 톨부힌 || ||<|4> '''복무''' ||[[러시아 제국군|러시아 제국 육군]] || ||[[1914년]] ~ [[1917년]] || ||[[소련 육군|소비에트 지상군]] || ||[[1917년]] ~ [[1949년]] || || '''최종 계급''' ||참모장[* 러시아 제국 당시 있었던 계급으로 지금의 대위에 해당한다.] {{{-2 (러시아 제국 육군)}}}[br][[원수(계급)|원수]] {{{-2 (소비에트 지상군)}}}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대전]] [br] [[적백내전]] [br] [[스탈린그라드 전투]] || ||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br][[전승훈장]][br][[레닌훈장]] 2회[br][[적기훈장]] 3회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yodor-tolbuhin-3765.jpg|width=100%]]}}} || || '''{{{#ffd700 초상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회계사]] 출신 [[소련군]] 육군 장성으로 최종 계급은 [[소련 육군]] [[원수(계급)|원수]]. [[게오르기 주코프]]나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처럼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지만 참모장을 장기간 역임하며 부하들의 신망이 두터웠던 인물이다. == 생애 == [[모스크바]] 북동부 야로슬라블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상업 학교를 졸업한 뒤 [[회계사]]로 일했다. 1914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러시아군]]에 [[기병]]으로 자원 입대했고,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성 안나 훈장과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등을 수여받고 [[대위]]까지 진급했다.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이 이끈 [[러시아 혁명#s-3|러시아 혁명]]으로 [[소련]]이 수립되자 1918년에 붉은 군대로 옮겨 제56보병사단 [[참모장]]으로 [[적백내전]]에 참전했다. 적백내전 종결 후에도 계속 일선 부대를 돌며 참모장을 맡았고, 1927~30년에는 [[프룬제 군사대학]]에서 고급 [[장교]] 교육을 받았다. [[대숙청]]으로 군부 고위 장교들이 우수수 갈려나가자 1937년에 처음으로 [[사단장]]이 되어 야전 업무를 시작했지만, 1년 뒤 다시 자캅카스 군관구의 참모장으로 옮겨 계속 참모 업무를 수행하면서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0년에는 소련군 장성 계급이 부활하자 [[준장|소장]]으로 처음 별을 달았다. 1941년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크림 전선군 참모장으로 이임했고, 이듬해에는 스탈린그라드 군관구의 부사령관에 부임했다. 이 때부터 참모 업무에서 본격적인 야전 업무가 주가 되었고, 1942년 7월에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소속이었던 제57야전군 사령관에 부임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참가했다. 이 전투에서 톨부힌은 제62야전군 사령관이었던 [[바실리 추이코프|추이코프]]와 함께 [[독일군]]의 대공세를 저지하는데 큰 몫을 해냈고, 전투 종결 후 [[소장(계급)|중장]]으로 진급했다. 1943년에는 잠시 제68야전군 사령관으로 있다가 남부전선군 사령관으로 부임했고, 남부 지역에 있던 독일군을 대거 격퇴시킨 공로로 같은 해 4월에 [[중장|상장]]으로 진급했다. 이어 8월에는 [[우크라이나]]를 탈환하기 위한 드녜프르 대공세와 뒤이은 드녜프르-카르파티아 대공세에서 남서부 전선을 맡은 [[로디온 말리놉스키|말리놉스키]]의 제3우크라이나전선군(구 남서전선군)과 합동 작전을 벌여 독일 남부집단군을 쓸어버렸다. 이 공로로 9월에 [[대장(계급)|대장]]으로 계속 진급했고, 10월에 남부전선군이 [[제4우크라이나 전선군]]으로 개칭된 뒤에도 1944년 5월까지 계속 부대를 지휘했다. 이후 말리놉스키가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으로 이임하자 그가 맡고 있던 제3우크라이나전선군 사령관이 되었고, 이전의 두 대공세 때와 마찬가지로 말리놉스키와 공동으로 [[루마니아]]에 대한 공세를 벌여 루마니아를 추축국 대열에서 이탈시켰다. 이 공로로 말리놉스키와 동시에 소련 [[원수(계급)|원수]]로 최종 진급했다. 이후 말리놉스키가 북서부로 방향을 돌려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에서 공세를 벌이는 동안 [[불가리아]]를 점령해 마찬가지로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이탈시켰고, 이후 말리놉스키의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이 심한 병력과 물자 손실을 입자 지원과 조공을 맡아 유고슬라비아의 미점령 지역과 헝가리 남부 지역에서 공세를 진행해 유럽 전선의 전투를 마무리지었다. 전후에는 불가리아와 루마니아, 헝가리 등에 주둔한 [[남부군집단]]사령관을 맡아 해당 지역의 [[공산당]] 정권 수립을 지원했고, 1946년에는 소비에트 최고 회의 대의원이 되었다. 1947년 1월에는 자캅카스 군관구 사령관으로 이임했는데, 이 시점부터 건강이 점차 악화되기 시작해 1949년에 모스크바에서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대다수의 소련 원수들과 마찬가지로 화장되어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고, 1965년 5월에는 소련영웅 칭호를 사후 수여받았다. == 평가 == >항상 사람들을 친절하게 대했다. 나는 화난 톨부힌을 단 한 번도 본 적 없다. >---- >[[세르게이 비류조프]] >항상 흠잡을 곳 없는 리더십, 용기를 갖춘 톨부힌은 부하 장교는 물론 사병들 앞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다. 사령관으로서의 자질이 분명히 드러났다. 사망 몇 분 전에도 그는 내일 아침에 복무를 행할 것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모든 전선 사령관 중 가장 겸손하고 친절한 자로 기억한다. 작전을 구상할 때도 부하 장교들의 의견을 존중했다. >---- >[[세묜 티모셴코]] 2차대전 시기의 다른 소련 원수들과 달리 눈에 띄는 이력이나 전공이 없어서 다소 [[듣보잡]] 취급되고 있지만, '''참모장을 오랫동안 역임'''했고 회계 전공이었던 탓인지 '''꼼꼼한 부대 운영과 지휘로 사상자와 물자 손실을 극소화하는데 노력해 부하들의 신망이 높았다'''고 한다. 전후 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 헝가리에 톨부힌의 이름을 딴 지명이나 거리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1980~90년대 동안 공산당 [[독재]] 정권이 붕괴되면서 원래 명칭으로 환원되었다. == 수훈 경력 == * [[소비에트 연방 영웅]] (1965. 사후 수여) * [[전승훈장]] (1945) * [[레닌훈장]] 2회 (1944, 1945) * [[적기훈장]] 2회 (1922, 1944) * 수보로프훈장 1급 2회 (1943, 1944) * 쿠투조프훈장 1급 (1943) * 적성훈장 (1938) * [[유고슬라비아]] 인민영웅훈장 (1945) * [[불가리아]] 영웅 (1979. 사후 수여) * 불가리아 무공훈장 * 불가리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훈장 * [[헝가리]] 공화국훈장 1급 * 헝가리 해방훈장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도피시에(2급) == 진급 이력 == * 1940년 6월 4일: [[소장(계급)|소장]] * 1943년 1월 19일: [[중장]] * 1943년 4월 28일: [[상장(계급)|상장]] * 1943년 9월 21일: [[대장(계급)|대장]] * 1944년 9월 12일: [[원수(계급)|원수]] [[분류:러시아 제국의 군인]][[분류:소련군 원수]][[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1894년 출생]][[분류:1949년 사망]][[분류:야로슬라블 주 출신 인물]][[분류:공인회계사]][[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영웅]][[분류:전승훈장]][[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그랑도피시에]][[분류:크렘린 벽 묘지 안장자]][[분류:당뇨병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