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안동시의 면]] [include(틀:안동시의 읍면동)] ||<-2> '''[[안동시|{{{#000000,#dddddd 안동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풍천면}}}'''[br]豊川面 | Pungcheon-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동시 풍천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안동시 || || '''행정표준코드''' || 5070048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30행정리 173반 || || '''면적''' || 93.85㎢ || || '''인구''' || 7,201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76.7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안동시·예천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형동]] ,,(초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대진 ,,(초선),, || ||<-2> '''안동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권기탁]] ,,(4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순중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지풍로 1471 (갈전리 555) || || [[https://www.andong.go.kr/csc/pungcheon/main.do|풍천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안동시]] 서쪽 끝에 있는 [[면(행정구역)|면]]이다. 이 곳에 바로 [[경상북도청신도시]]가 들어서게 되며, [[경상북도청]] 및 유관기관들도 풍천면으로 들어온다. 도청신도시 인근에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이 있다. 면 소재지는 갈전리이다. 명칭은 위의 풍산읍에서 유래. 따라서 [[풍천군]]과는 전혀 무관하다. 안동에서 평야가 가장 많이 있는 곳이며[* 그래서 안동사람들은 자신들의 보수적인 성향을 스스로 까면서 하는 말 중에 '''"안동 사람들은 풍천 들판이 세상에서 가장 넓은 줄 안다"'''라는 말을 하곤 한다.] 그 유명한 [[하회마을]], [[병산서원]]이 이곳에 있다. 부용대, 하회세계탈박물관도 근처에 위치한다. 면소재지보다도 [[916번 지방도]][* 서쪽으로 [[예천군]] 지보면과 접한다.]와 [[927번 지방도]][* 북쪽으로 [[예천군]] 호명면, 남쪽으로 [[의성군]] 신평면과 접한다.]가 교차하는 지점인 구담리 쪽이 시가지 발달이 잘 되어 있다. 이외에도 [[914번 지방도]]가 이곳과 일직면을 잇는다. [[2016년]] 2월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이전하였다. == 연혁 == 신라 시대에 하지현(下枝縣)이었으며 경덕왕 때 영안으로 고쳐 예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 풍산현(豊山縣)으로 고쳤으며 명종 때 감무를 두었다가 안동부(安東府)에 예속. 조선 시대에 풍남면, 풍서면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풍천면이 되었다. 2016년에 경상북도청이 대구에서 이전해왔다. == 자연마을 == === 광덕리(廣德里) === === 구담리(九潭里) === === 구호리(九湖里) === === 금계리(錦溪里) === === 기산리(箕山里) === === 병산리(屛山里) === 지명은 [[병산서원]] 앞에 있는 병산에서 따온 것이다. [[병산서원]] 문서로. === 신성리(申城里) === === 어담리(漁潭里) === === 인금리(仁今里) === === 하회리(河回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회마을)] == [[경상북도청신도시]] == 갈전리, 가곡리, 도양리 일대에 [[경상북도청신도시]]로 개발하고 있으며, [[예천군]] 호명면과 양다리 걸쳐서 개발하고 있다. === 갈전리(葛田里) === '''[[경상북도청]], [[경상북도의회]], [[경북소방본부]],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경찰청]] 등이 소재한 곳'''이다. === 가곡리(佳谷里) === === 도양리(道陽里) === == 주요 시설 == === 오피스텔 === * 세영종합건설 경부도청이전신도시 세영리첼 - 2016년 6월 입주. * [[한국토지신탁]] / 이테크건설 경북도청 코아루 프라임시티 1차 - 2016년 5월 입주. * [[한국토지신탁]] / 이테크건설 경북도청 코아루 프라임시티 2차 - 2017년 2월 입주. * [[한국토지신탁]] / 파인건설 경북도청 코아루 어반스위트 - 2017년 9월 입주. === 공동주택 ===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 [[경북도청신도시 코오롱하늘채|코오롱하늘채]] || 869 || 2020년 7월 || [[코오롱글로벌]] || || [[경북도청신도시 모뉴먼트시티]] || 2,178 || 미정 || [[대우건설]], [[중흥건설]]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미정 || ??? || 미정 || 미정 || === 교육 === ==== 초등학교 ==== * 신성초등학교 * 풍천풍서초등학교 ==== 중학교 ==== * 풍천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