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2> '''{{{+1 프란치스코 타레가}}}[br]Francisco Tárreg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ancisco_Tarrega.jpg|width=100%]]}}} || || '''본명'''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타레가 이 에익세아[br]Francisco de Asís Tárrega y Eixea|| ||<|2> '''출생''' ||[[1852년]] [[11월 21일]]|| ||[[에스파냐 왕국]] 카스테욘 주 비야레알|| ||<|2> '''사망''' ||[[1909년]] [[12월 15일]] (향년 57세)|| ||[[에스파냐 왕국]] [[바르셀로나]]|| || '''직업''' ||작곡가, 기타리스트|| || '''악기''' ||[[클래식 기타]]|| || '''활동''' ||1874년 ~ 1909년|| [목차]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UlIw8Kerh1E, width=480, height=240)]}}} || || ▲ '대 호타(Gran Jota)'.[* 연주자 로브샨 마메드쿨리예프 (Rovshan Mamedkuliev [[http://mamedkuliev.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IE9wGdJDAOfhlPyu2Zg8f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rovshanmamedkulie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mamedkuliev.rovsh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는 기타줄 제조사 사바레즈의 [[https://www.savarez.com/rovshan-mamedkuliev|후원을 받으며]] 알리앙스 칸티가 510AJP, 510AJ 제품을 사용한다.][br]호타는 스페인의 3박자 춤곡으로, 기타로 낼 수 있는 트레몰로, 탐보라, 피치카토, 타발렛 등의 모든 기교를 총 망라한 곡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듣기 뿐 아니라 보기에도 즐거운 작품이다. || [clearfix] == 개요 == >'''나는 타레가를 몰랐던 것을 매우 다행으로 생각한다. 그를 알았더라면 오늘날의 내가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 >― [[안드레스 세고비아]] [[스페인]] 출생의 [[클래식 기타]] 연주가 겸 작곡가. 풀네임은 Francisco de Asís Tárrega y Eixea(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타레가 이 에익세아)로 흔히 프란시스코 타레가(Francisco Tárrega)로 알려져있다. 클래식 기타계에서 그 위상이 월등히 높아 현대 기타의 아버지란 별명 등으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스페인 낭만주의 음악가로 꼽힌다. 죽기 3년쯤 전에 오른팔이 마비되었으며, 바흐, 베토벤등의 음악을 편곡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2041|읽어보자.]] 평생 300개 정도의 곡을 남겼으며 다만 기타리스트로서의 활약은 대부분 젊었을때의 한정으로 나이가 들어서는 교회에서 [[오르간]]을 연주하며 제자육성과 작곡에 매진했다고 한다.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죽기 전 9년동안은 손톱이 아니라 손가락 끝살을 이용해 연주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도 업적 중 하나. == 생애 == === 초기 === 성 파스칼 수도원의 경비로 일했던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타레가의 집안은 부유한 집안은 아니었기 때문에 타레가의 아버지는 돈을 벌기위해 자주 지방으로 떠났다고 한다. 한번은 아버지가 지방에서 병에 걸려버려, 간병을 위해 어머니가 지방으로 가는 일이 있었고 당시 3살이었던 타레가는 이웃집에 맡겨졌다. 어린아이었던 타레가는 [[야뇨증]] 때문에 밤에 자주 오줌을 쌌는데, 이에 화가 난 이웃이 타레가를 수로에 버렸다고 한다. 다행히도 [[지나가던]] 이웃 덕분에 목숨은 건졌지만 물에 있는 세균 때문에 각막이 손상되었고, 이 때문에 타레가는 평생 온전한 시력을 회복하지 못한다. 타레가는 아버지가 가지고 있던 기타로 기타를 처음 연주하게 된다. 타레가의 기타실력은 순식간에 아버지를 제치게 되었고, 타레가의 재능을 알아본 아버지는 1860년에 카페 데 라벨라의 피아니스트였던 맹인 에우제니오 루이스에게 음악수업을 시켰다. 하지만 타레가의 흥미는 기타에 있었고, 이후에는 맹인 기타리스트로 유명했던 마누엘 곤잘레스를 사사하게 된다. 이듬해 1862년 봄, [[알메리아]] 출신의 저명한 기타리스트 [[훌리안 아르카스]]가 연주회를 위해 타레가가 사는 카스테욘을 방문하게 되었다. 타레가의 아버지는 자신의 아들을 맡길 사람은 이 음악가뿐이라 생각했고, 아르카스에게 아들의 연주를 들려주고 싶다는 부탁을 했다. 훌리안 아르카스의 추천으로 [[안토니오 데 토레스 후라도|안토니오 토레스]] 기타를 소유했으며, 이후에도 두 대의 기타를 더 소유하게 된다. 이 세 대의 기타를 타레가 기타라 부른다. == 작품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weQz5tGEKwE, width=480, height=240)]}}}|| || 타레가 전곡. [[줄리오 탐팔리니]] 연주. || *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Recuerdos de la Alhambra''' * 대 호타 Gran Jota * 라그리마 Lágrima * 아라비아 기상곡 Capricho Arabe * 아델리타 Adelita * 대 왈츠 Gran Vals[* 이 곡 멜로디 중 일부가 [[노키아]] 휴대폰 벨소리로 사용되어서 전 세계적으로, 특히 노키아가 잘나갔던 [[유럽]]권에서는 이게 무슨 곡인지는 몰라도 이 곡의 멜로디만은 아는 경우가 많다. 다만 한국에서는 노키아의 휴대폰이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해서 이 멜로디를 모르는 사람도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sKusTj2LiPE|궁금하면 감상해보자. 휴대폰 벨소리는 24초부터.]]] * 라 팔로마La Paloma * 무어인의 춤 Danza Mora * 'La Traviata'주제에 의한 환상곡 Fantasia on themes from 'La Traviata' == 타레가가 편곡한 작품 == * 호아킨 말라츠 ― 에스파냐 세레나데 Serenata Espanola * 이삭 알베니즈 ― leyenda * 베토벤 ― 월광 소나타 1악장 * 슈만 ― 트로이메라이 * 쇼팽 ― 녹턴 op. 9 no. 2 == 관련 문서 == * [[클래식 관련 정보]] * [[클래식 기타]] * [[Nokia Tune]] [[분류:스페인의 클래식 기타리스트]][[분류:남성 클래식 기타리스트]][[분류: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분류:스페인의 작곡가]][[분류:1852년 출생]][[분류:1909년 사망]][[분류:발렌시아 지방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