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프캐, other1=캐릭터, rd1=프랑스인 캐릭터)] [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캐나다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100%]] || || [[프랑스|{{{#ffffff '''프랑스'''}}}]] || [[캐나다|{{{#fff '''캐나다'''}}}]] || [목차] == 개요 == [[프랑스]]와 [[캐나다]]의 관계에 관련된 문서이다. [[프랑스]]와 [[캐나다]]는 둘다 우호적이며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언어적으로도 관련이 있는 편이다.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용어]]로도 지정되어 있어서 [[캐나다]]는 [[영연방]] 외에도 [[프랑코포니]]에도 가입되어 있다. 또한, 문화적인 면에서 [[퀘벡]]이 프랑스 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문화적인 면에서도 관련이 있다. == 역사적 관계 == === 현대 이전 === [[캐나다]]는 [[영국]]의 지배를 받기 이전에는 [[네이티브 아메리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지만, 1600년대에 프랑스가 캐나다 지역으로 진출해서 [[퀘벡]]지역을 개척했다. 그리고 이당시에 [[몬트리올]]이 세워졌다. 하지만 [[영국]]도 캐나다에 진출하면서 두 나라는 캐나다에 식민지를 두었고, 프랑스는 약 160여년간을 캐나다지역을 영국과 함께 지배했다. 하지만 1763년에 [[7년 전쟁]]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프랑스는 퀘벡 지역을 잃어버리고 캐나다 전역은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게 되었다. 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게 되었지만, 퀘벡 지역에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이 많이 남게 되었고 영국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언어, 문화 등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허용했다. 19세기에 캐나다는 점진적으로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0세기에도 우호적인 상태를 유지했지만, [[드골]] 대통령이 캐나다를 방문했을 때 퀘벡 독립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면서 잠시 외교적인 갈등이 발생된 적이 있었다. === 현재 === [[캐나다]]와 [[프랑스]]는 지금도 매우 우호적인 편이고 캐나다는 [[영연방]] 회원국이면서 [[프랑코포니]]에도 가입되어 있다. 양국은 선진국이며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에도 소속되어 있다. 그리고 [[캐나다]], [[프랑스]] 모두 [[NATO]] 회원국으로 동맹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ERYX]] 대전차미사일은 [[프랑스]]와 [[캐나다]]가 80년대에 합작으로 만든 물건이다. [[캐나다]]에는 1600년대부터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고 [[프랑스어]]는 [[영어]]와 함께 캐나다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캐나다에서 프랑스어는 1980년부터 [[피에르 트뤼도]] 총리가 프랑스어를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해놓는 법에 서명하면서 [[캐나다]]는 이중언어국가가 되었다. [[퀘벡 프랑스어]]와 같이 [[캐나다]]에서 쓰는 [[프랑스어]]는 [[프랑스]] 본토의 [[프랑스어]]와는 차이가 있다. [[2016년]]에 [[온타리오]] 주가 [[캐나다]]에서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 되었다. 언어, 문화적으로 가까운 편이라서 [[캐나다]] 기업이 [[프랑스]]에 진출하고 [[프랑스]] 기업들도 [[캐나다]]에 진출한다. [[유비소프트]]와 같이 양국이 합작하는 경우도 많다. [[프랑스 영화]], 프랑스 드라마는 [[캐나다/문화|캐나다 대중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캐나다 영화]] 역시 [[미국 영화]], [[영국 영화]] 외에도 [[프랑스 영화]]와 같이 협업하는 경향이 있다. [[퀘벡]]에는 타 [[캐나다]] 지역과 달리 [[프랑스]], [[알제리]], [[레바논]], [[세네갈]], [[아이티]] 등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출신 이민자들의 비율이 높다. 반대로 [[프랑스계 캐나다인]] 역시 [[프랑스]]로 많이 진출한다. [[셀린 디옹]]도 [[캐나다]], [[미국]] 외 [[프랑스]]에서도 활동한다. 그래서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몬트리올]] -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샤를 드 골]], [[파리 오를리 공항|파리 오를리]], [[마르세유 프로방스 국제공항|마르세유]], [[리옹 생텍쥐페리 국제공항|리옹]], [[니스 코트 다쥐르 국제공항|니스]] 등 [[프랑스]] 내 주요 도시 간 노선의 수요도 많고, 프랑스 [[외교공관|영사관]]이 [[퀘벡 시|퀘벡]]에도 있다. 단, [[생피에르 미클롱]] 관련해서 분쟁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퀘벡 주는 캐나다에서 분리독립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독립 반대와 캐나다 연방 잔류 주장이 더 많다.] 그리고 캐나다는 총독의 경우에는 영국계와 프랑스계가 번갈아가면서 맡고 있다. 그리고 미국과 캐나다에서 쓰이는 북미 수화[* American Sign Language]는 프랑스 수화[* LSF, Langue des signes française, Französische Gebärdensprache, Lingua dei segni francese, Sign Gallica Lingua]와 같은 어족인데 그 이유는 미국, 캐나다에서 수화를 전해준 기관이 프랑스의 농학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는 같은 [[영어|언어]]를 쓰지만 [[수어]] 체계는 다른 언어 체계를 쓴다.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프랑스/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캐나다/외교]] * [[미국-캐나다-프랑스 관계]] * [[프랑스계 캐나다인]] * [[퀘벡]] * [[프랑코포니]] * [[퀘벡 프랑스어]] * [[캐나다/언어]] * [[주요 7개국 정상회담]] * [[프랑스/역사]] * [[캐나다/역사]] * [[프랑스/문화]] * [[캐나다/문화]] * [[프랑스/경제]] * [[캐나다/경제]]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캐나다/외교, version=146, paragraph=3.8)]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캐나다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분류:동맹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