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SL)] [목차] [clearfix] == 개요 == * 대회 기간: 2006년 8월 17일 ~ 2006년 11월 11일 * 스폰서: 한국 [[P&G]][* [[프링글스]]의 국내 유통사로, 현재는 [[켈로그]](국내에서는 [[농심]]이 판매)으로 유통권이 넘어갔다.]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한 번 열면 멈출 수 없는 즐거움 [[프링글스]] * 조 편성 ||A조||~~'''[[마재윤]]'''~~, [[박정길(프로게이머)|박정길]], ~~[[원종서]]~~, ~~'''[[박명수(1987)|박명수]]'''~~|| ||B조||[[강민]], '''[[임요환]]'''[* 8강 진출했으나 군입대로 기권. 임요환이 기권해서 생긴 8강의 빈 자리는 와일드카드전으로 강민이 메운다.], '''[[심소명]]''',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C조||[[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변은종]]''', '''[[박대만]]''',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D조||'''[[박용욱]]''', [[이윤열]],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서경종]]|| * 우승 [[마재윤|없음]][* 승부조작으로 인한 영구제명으로 기록 몰수.], 준우승 [[심소명]], 공동 3위 [[강민]], [[변은종]] * 우승 상금: '''3,000'''만원 * 준우승 상금: '''1,000'''만원 * 결승 장소: 경상남도 진주 [[공군교육사령부]] (초대가수: [[배슬기]]) * 리그 슬로건: FIGHT A REAL DUAL * 오프닝 BGM: Freddy House - Eternity == 사용 맵 == ||<-4><#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SL_Logo.jpg|width=15%]] '''{{{#fff 프링글스 MSL 시즌2 맵}}}'''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attachment/SinPeaksofBaekdu.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7_Longinus.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attachment/BlitzMSL.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attachment/Arcadia2.jpg|width=100%]] }}}|| ||<#313619>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fff 신 백두대간}}}]] ||<#313619> [[롱기누스(스타크래프트)|{{{#ffffff 롱기누스}}}]] ||<#383B43> [[블리츠(스타크래프트)|{{{#ffffff 블리츠}}}]]^^{{{#ffffff 1}}}^^ ||<#483E2D> [[아카디아(스타크래프트)|{{{#fff 아카디아 ll}}}]] || ||<-5> {{{-2 1: 스폰서명을 붙여 사용}}} || == 특이 사항 == * 시즌 도중 [[임요환]] 입대[* 임요환의 공석을 채우기 위해 와일드 카드전이 벌어졌고 [[강민]]이 8강이 진출했다.]. * 역대 MSL 중에서 16강 제도에서는 '''저그6, 테란5, 토스5'''로 환상적인 종족 밸런스를 보여줌.[* [[양대 리그]]를 통틀어서 역대 16강 제도에서 가장 환상적인 종족 밸런스를 자랑한 대회는 테란 5, 저그 5, 프로토스 5, '''랜덤 1'''로 구성되었던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이다.] * 전 대회 4강 진출자들의 [[스틸 드래프트]] 권한 강화.[* 첫 대결 상대 지명 → 자신이 속한 조에서 자유롭게 대진 1회 변경] * [[MSL]] 두 번째 [[저저전#s-2|저저전]] 결승. * ~~[[마재윤]], 저그 최초로 MSL 3회 우승(금뱃지 획득)~~[* 이후 승부조작으로 무효화] * [[심소명]]의 처음이자 마지막 개인리그 결승 진출 및 준우승. * 결승전이 [[공군교육사령부]]에서 열림[* 입대한 임요환이 참관했다.] * 결승전 도중 돌풍으로 인해 세트가 일부 붕괴. * 아마추어 음악팀 Creav가 8강에 진출한 프로토스 3인에게 테마곡을 작곡해 헌정함([[박대만]], [[박용욱]], [[강민]]). * 양대 개인 리그 역사상 최초로 오프닝에 국내 가수의 노래를 사용 * [[히어로 센터#s-4|코엑스 히어로 센터]]로 이전 후 첫 번째 대회.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박용욱]], [[박정길(프로게이머)|박정길]]의 마지막 MSL. * MSL 사상 최초로 테란이 4강 진출 실패. * [[CYON MSL]] 결승전 이후 한 시즌만에 다시 결승전이 토요일에 열림. * '''MSL 최초로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래프트]]로 데뷔한 선수[*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나경보]]도 드래프트를 거쳤으나, 이쪽은 개인리그에 먼저 참여한 후 원래 소속팀에서 방출되었다가 드래프트에 참가한 케이스이므로 제외. 추가로 개막 직전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KPGA 4차 리그]]에 참여했던 [[정재호(프로게이머)|정재호]]가 은퇴 후 드래프트로 다시 데뷔하였다.]가 본선에 진출. (--[[원종서]]--)[* 참고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에서는 이미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에 [[염보성]]이 챌린지리그 우승까지 하며 [[드래프트 세대]] 최초로 본선에 진출해 있었으며, 그밖에도 --[[최가람]]--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 [[마재윤|전 대회 우승자]]가 한 팀([[하이트 스파키즈]])의 게이머들을 다 자기 조에 몰아넣어 편성함.[* 그러고 보니 박정길을 제외한 A조 모두가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조작범]]들이다(...). (박정길을 비롯한 프로토스 자체가 조작 사건에 연루되지 않았다.)] * [[최연성]]의 8시즌 연속 MSL 진출 실패.[* 비슷한 시기에 열렸던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에도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양대리그 모두 8시즌 연속 진출에 실패했다.] * [[변은종]]의 마지막 양대 개인리그 4강 진출. * [[박대만]]의 처음이자 마지막 MSL 진출. [[http://www.youtube.com/watch?v=2mvKoH6ZPw0|프링글스 MSL 시즌2 오프닝 링크]] 자세한 대진표는 [[프링글스 MSL 시즌2/대진표]] 참고. == 상세 == 조지명식부터 새로운 경기장인 [[코엑스몰|COEX]] [[히어로 센터]]로의 이전[* 이전 경기장인 세중게임월드 건너편에 있었다.]과 환상적인 종족 밸런스로 시작했지만 결과는 역대 두 번째 [[저저전#s-2|저저전]] 결승. 이 리그가 남긴 것이라고는 '초라한 결승전'과 '성전이라는 이름의 학살'뿐이다. 16강에서 [[이윤열]],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등의 흥행카드들이 줄줄이 탈락하고, 거기에 테란은 [[임요환]]과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단 둘만 8강에 진출하고, 심지어 최대 흥행카드인 임요환은 대회 도중 공군 입대로 더 이상 출전 못하고, 마지막 남은 테란이자 흥행카드였던 서지훈도 8강에서 탈락하고, 덤으로 프로토스도 흥행카드인 [[박용욱]]과 유일한 한빛 스타즈 소속 진출자였던 [[박대만]]이 8강에서 탈락하면서 4강 멤버 중 3명이 저그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고 마지막 토스인 [[강민]]만이 ~~[[마재윤]]~~과 맞서는 상황이 되었다.[* 그나마 강민도 16강 탈락 이후 임요환배 와일드 카드전으로 겨우 살아남아 4강에 진출한 상황이었다.] 당시 ~~[[마재윤]]~~의 토스전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고 토스빠들에게 마지막 [[구원자]]라고 불린 강민은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신 백두대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btgbWZJBbg0|강서로 엘리전을 가는 처절한 경기]][* 이 경기는 [[MSL 100]] 중에서 9위에 선정되었다.] 끝에 ~~마재윤~~을 이겼지만 이어지는 2~4세트를 연거푸 내주고 틸락한다.[* 특히 3세트는 저그와 같은 4가스를 먹고도 본진폭탄드랍+가디언 한방에 패했고 4세트는 앞마당에 짓던 캐논을 취소하는 실수를 범하면서 패했다.] [[심소명]]은 리그 시작 전까지 주목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으나 은근슬쩍 토스들을 씹어먹으며 올라갔고[* 특히 16강 [[https://www.youtube.com/watch?v=mjLYseUuWj4|최종전]] [[강민]]과의 경기에서 선보인 앞마당 해처리를 잘못 지은 상태에서 발업이 되지 않은 저글링으로 과감하게 프로토스의 앞마당과 본진을 뚫는 경기와 8강 패자전 [[박대만]]과의 [[https://www.youtube.com/watch?v=SvKxkrDeXOE|1경기]]에서 선보인 프로토스 본진의 몰래 해처리 전략 플레이는 그가 '심타짜'라는 별명을 얻게 만들어 주었다.], 4강에서 마지막 불꽃을 보이던 [[변은종]]을 잡고 결승에 진출했다. 사실 심소명이 4강을 먼저 치렀고 먼저 결승에 선착했다는 것 때문에 1주일 뒤에 열린 [[성전(스타크래프트)|성전]]이 더 부각된 감이 있었다. ~~[[마재윤]]~~이 올라가면 짤없이 [[저저전]] 결승이니까. 여튼 결승 대진이 완성되자 스갤에서는 [[CYON MSL]]보다 더더욱 흥행에서 안되는 [[저저전#s-2|저저전]] 대진으로 사실상 망했다는 소리를 들었고 엠겜은 '요환 단물'이라도 빨기 위해 공군 기지에서 결승전을 열었으나[* 이 때 [[임요환]]은 훈련병 신분으로 경기를 보고 있었던 게 찍혔다.] 결국 흥행은 별로...심지어 무대 장식으로 만들어 놓았던 프링글스 통 모양의 조형물도 강풍에 쓰러지는 바람에(…) 정말 난감한 상황[* 여담으로 김철민 캐스터의 말로는 당시 흑백화면 상태로 중계를 했다고 한다. ~~저저전인데 흑백이라니~~]을 연출했다. 그나마 시상식 때는 Stephen Schueler 상무가 다시 등장해 예의 유쾌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 유일한 긍정적인 요소. 이때를 기점으로 '더 이상 안되겠다'고 판단한 맵 제작진은 다음 대회 맵을 시작으로 한동안 저그 약세의 맵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먼 훗날 벌어진 [[피디팝 MSL]]은 8강 대진 재배치라는 꼼수까지 쓴 결과 4강 4저그라는 초유의 사태가 터진 것이지만[* 이전처럼 8강 대진 재배치를 안했으면 8강에 프프전 대진이 있었을 거기에 4강에 프로토스 1명은 확정이었다.], 프링글스 MSL 시즌2는 그런 거 없이 한 번 리그가 꼬이면 어디까지 꼬일 수 있는지를 제대로 보여줬다. 심지어 저그에게 유리한 맵도 없었다. [[https://tv.kakao.com/channel/9262/cliplink/26893523|2006년 8월 17일 프링글스 MSL 시즌2 조지명식 비극의 시작]] 조 지명식에서 ~~[[마재윤]]~~이 두 사람(--[[원종서]]--, --[[박명수(1987)|박명수]]--)이 자신을 도발했다면서 둘 다 자기 조에 집어넣었으며 ~~주작 트리플 쓰렛 매치~~ 여기에 한 술 더 떠 아무 말도 안한 [[박정길(프로게이머)|박정길]]까지 그냥 [[하이트 스파키즈|같은 팀]]이라는 이유만으로 끌고와 조지명식의 분위기를 그야말로 싸하게 만들었다. 이 장면을 지켜본 팬들에게 까인 것은 덤. [[MBC GAME]]과 [[CJ 엔투스]]는 언론을 통해 "[[http://gmnews.afreeca.com:8109/app/index.php?control=view&board=news_esports&c_no=5&b_no=13064|MSL의 역사는 팀킬의 역사]]"라며 어떻게든 분위기를 가라앉혀보려 했지만 ~~[[마재윤]]~~의 팬들을 제외한 나머지 팬들의 마음은 이미 기울어진 후였다고, 한동안 그에게는 소인배라는 별명이 붙으며 비호감 대상으로 자리잡았다.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그리고 훗날...]] [각주] [[분류:MSL]][[분류:강민]][[분류:2006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