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크로스오버]][[분류:대전 격투 게임]][[분류:PlayStation 3 게임]][[분류:PlayStation Vita 게임]][[분류:Only On PlayStation]][[분류:2012년 게임]] ||<-3><#000000> '''{{{#white 플레이스테이션 올스타즈 배틀 로얄}}}'''[br]'''{{{#white プレイステーションオールスターズバトルロイヤル}}}'''[br]'''{{{#white PlayStation All-Stars Battle Royale}}}'''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PlayStationAllStars.jpg]] || ||<-2><:><#303030> '''{{{#C0C0C0 개발}}}''' ||<:> [[SIE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br]슈퍼봇 엔터테인먼트[* [[플레이스테이션 3|PS3]] 버전 협업.][br][[블루포인트 게임즈]][* [[플레이스테이션 비타|PS Vita]] 버전 협업.] || ||<-2><:><#303030> '''{{{#C0C0C0 유통}}}'''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2><:><#303030> '''{{{#C0C0C0 장르}}}''' ||<:> [[난투형 액션]]|| ||<-2><:><#303030> '''{{{#C0C0C0 게임 엔진}}}''' ||<:> 블루포인트 엔진 || ||<-2><#303030><:> '''{{{#C0C0C0 발매일}}}''' ||<:> [[2012년]] [[11월 20일]] || ||<-2><:><#303030> '''{{{#C0C0C0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3|PS3]], [[플레이스테이션 비타|PS Vita]]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1c077c24a94906e8093ada815a8ecabbb55c516b1df9456b0d2d45ee94b3a860.jpg]] 해당 사진은 팬메이드로 사진에 있는 [[크래쉬 밴디쿳]]와 [[스파이로#s-1|스파이로]], 그리고 [[라이트닝(파이널 판타지 13)|라이트닝]]은 본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참고로 크래쉬 밴디쿳과 스파이로 둘 다 현재 판권은 [[액티비전]]에 소속되어 있다.] [youtube(u5BLgycbUog)] 플레이스테이션 올스타즈 배틀 로얄은 [[SIE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와 슈퍼봇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에 등장한 캐릭터들의 [[난투형 액션]] 게임이다. 보통 PASBR이나 PSASBR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 등장 캐릭터 == === 플레이어 캐릭터 === 한 가지 특징이 있는데 서드파티 참전작들중 옆동네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참전을 겸하고 있는 참전작의 각각 참전 캐릭터가 겹치는 경우가 없다.'''[* [[철권 시리즈]] - 본작 [[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 - 대난투 [[카즈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카즈야]], [[메탈기어 시리즈]] - 본작 [[라이덴(메탈기어 시리즈)|라이덴]] - 대난투 [[스네이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네이크]]] ||'''캐릭터 명칭'''||'''참전 작품'''||'''비고'''|| ||[[네이선 드레이크]]||[[언차티드 시리즈]]||<|20>|| ||[[토로#s-3.1|토로]]||[[토로 시리즈]]|| ||[[빅 대디(바이오쇼크)|빅 대디]]||[[바이오쇼크 시리즈]]|| ||[[색 보이]][* 한국판 이름은 '''리빅보이''']||[[리틀빅플래닛 시리즈]]|| ||[[크레토스]]||[[갓 오브 워 시리즈]]|| ||[[스위트 투스]]||[[트위스티드 메탈 시리즈]]|| ||[[미시마 헤이하치]]||[[철권 시리즈]]|| ||[[라이덴(메탈기어 시리즈)|라이덴]]||[[메탈기어 시리즈]]|| ||뚱뚱보 공주||뚱뚱보 공주 시리즈|| ||[[단테(DmC: 데빌 메이 크라이)|단테]]||[[DmC: 데빌 메이 크라이]]|| ||[[콜 맥그래스]](선)||[[인퍼머스]]|| ||[[콜 맥그래스]](악)||인퍼머스|| ||[[라쳇(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라쳇 & 클랭크 시리즈]]|| ||[[잭(잭 & 덱스터 시리즈)|잭]] & [[덱스터(잭 & 덱스터 시리즈)|덱스터]]||[[잭 & 덱스터 시리즈]]|| ||파라파||[[파라파 더 래퍼]]|| ||나리코||헤븐리 소드|| ||다니엘 포르테스퀘||메디이블|| ||스파이크||[[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슬라이 쿠퍼]]||[[슬라이 쿠퍼 시리즈]]|| ||[[마엘 라덱]]||[[KILLZONE 시리즈]]|| ||[[캣(GRAVITY RUSH 시리즈)|캣]]||[[GRAVITY RUSH]] [[GRAVITY RUSH 2|시리즈]]||DLC 캐릭터|| ||에밋 그레이브스||스타호크||DLC 캐릭터|| ||[[아이작 클라크]]||[[데드 스페이스 시리즈]]||DLC 캐릭터|| ||[[제우스(갓 오브 워 시리즈)|제우스]]||[[갓 오브 워 시리즈]]||DLC 캐릭터|| ==== 대립관계 ==== * 네이선 드레이크 VS 슬라이 쿠퍼 * 토로 VS 미시마 헤이하치 * 빅 대디 VS 색 보이(리빅보이) * 크레토스 VS 스위트 투스(스윗 투스) * 라이덴 VS 콜 맥그래스(선) * 뚱뚱보 공주 VS 콜 맥그래스(악) * 단테 VS 나리코 * 다니엘 포르테스퀘(다니엘 경) VS 마엘 라덱 * 라쳇 & 클랭크 VS 잭 & 덱스터 * 파라파 VS 스파이크 === 서포트 캐릭터 === 필살기로 등장. * [[머레이 더 히포]] - 슬라이 쿠퍼 Lv 1 필살기로 등장 * [[리틀 시스터]] - 빅 대디 Lv 1 필살기로 등장 * [[쿠마(철권)|쿠마]] - 헤이하치 Lv 2 필살기로 등장 * 카이 - 나리코 Lv 1 필살기로 등장 * 쿠로 - 토로 Lv 1 필살기로 등장 === 스테이지와 스토리 전용 캐릭터 === 스테이지 배경 & 해저드로 등장. * 하데스 스테이지 - [[갓 오브 워 시리즈]] * [[하데스(갓 오브 워 시리즈)|하데스]] - [[갓 오브 워 시리즈]] * 파타퐁 - [[파타퐁]] * 메트로폴리스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캡틴 쿼크]]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히드라 - [[갓 오브 워 시리즈]] * 꿈세계 - [[리틀빅플래닛 시리즈]] * 버즈 - BUZZ! 시리즈 * 샌도버 마을 - [[잭 & 덱스터 시리즈]] * 케이라 - [[잭 & 덱스터 시리즈]] * 사모스 - [[잭 & 덱스터 시리즈]] * 럴커 샤크 - [[잭 & 덱스터 시리즈]] * 스즈키 - [[모두의 골프 시리즈]] * 자스민 - [[모두의 골프 시리즈]] * 코난 - [[모두의 골프 시리즈]] * 나츠미 - [[모두의 골프 시리즈]] * 침공 - [[KILLZONE 시리즈]] * 골리앗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삐뽀사루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알덴의 탑 - [[인퍼머스]] * [[카멜리타 폭스]] - [[슬라이 쿠퍼 시리즈]] * 밀항 - [[언차티드 시리즈]] * [[송버드]]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핸디맨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민중의 목소리 병사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파리 - [[슬라이 쿠퍼 시리즈]] * 네가티비트론 - [[리틀빅플래닛 시리즈]] * 도장 - [[파라파 더 래퍼]] * 찹 찹 마스터 어니언 - [[파라파 더 래퍼]] * MAWLR - [[KILLZONE 시리즈]] * 샌 프란시스코 - [[레지스탕스 시리즈]] * 키메라 솔져 - [[레지스탕스 시리즈]] * [[네파리우스]]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타임 스테이션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스펙터 - [[삐뽀사루 겟츄!]] * 삐뽀사루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사탄 - [[레지스탕스 시리즈]] * 프렌자 - [[로코로코]] * 크루체 - [[로코로코]] * 뇨키 - [[로코로코]] * [[메탈기어 레이]] -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 * [[컬럼비아(바이오쇼크 인피니트)|컬럼비아]]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민중의 목소리 병사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아이언 메이든 - [[트위스티드 메탈 시리즈]] * 블랙 록 스타디움 - [[트위스티드 메탈 시리즈]] * 터보 캐논- [[잭 & 덱스터 시리즈]] 아케이드 컷신에서 등장. * 파라파 * PJ 베리 - [[파라파 더 래퍼]] * 케이티 캣 - [[파라파 더 래퍼]] * 써니 퍼니 - [[파라파 더 래퍼]] * 네이선 드레이크 * [[빅터 설리번]] - [[언차티드 시리즈]] * 스파이크 * 교수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챠루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캣 * 게이드 - [[그래비티 러쉬]] * 아이작 클라크 * [[엘리 랭포드]] -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 === 미니언 === === 보스 캐릭터 === 폴리곤맨을 제외한 캐릭터들은 스테이지 해저드로 등장한다. * [[폴리곤맨]] * 터보 캐논 - [[잭 & 덱스터 시리즈]] * 골리앗 - [[삐뽀사루 겟츄! 시리즈]] * 사탄 - [[레지스탕스 시리즈]] * 아이언 메이든 - [[트위스티드 메탈 시리즈]] * 네가티비트론 - [[리틀빅플래닛 시리즈]] * 히드라 - [[갓 오브 워 시리즈]] * [[하데스(갓 오브 워 시리즈)|하데스]] - [[갓 오브 워 시리즈]] * 파타퐁족 - [[파타퐁]] == 평가 및 반응 ==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white '''플랫폼'''}}} || {{{#white '''메타스코어'''}}} || {{{#white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3|{{{#white PS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playstation-all-stars-battle-royale, y=, score=7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playstation-all-stars-battle-royale/user-reviews, y=, score=7.3)]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비타|{{{#white PS Vita}}}]]}}}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vita, code=playstation-all-stars-battle-royale, g=, score=7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vita, code=playstation-all-stars-battle-royale/user-reviews, g=, score=7.5)] || 발매 전부터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플레이스테이션]]판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는데, 게임성에 있어서는 대난투를 참조하면서도 나름대로의 차별화를 꾀한 부분도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크게 나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팬들은 캐릭터 명단을 놓고 아쉬운 목소리를 냈는데, 생각만큼 유명 [[서드파티]] 캐릭터들을 많이 확보하지 못한 것이 치명적이었다. 특히 [[크래쉬 밴디쿳]], [[스파이로#s-1|스파이로]], [[클라우드 스트라이프]][* 이쪽은 아예 [[클라우드(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 참전]]하게 된다.] 등 한 때 플레이스테이션의 간판으로 불렸던 캐릭터들이 빠진 것에 아쉬움을 표하는 의견이 많았다. [[모두의 골프 시리즈]]의 주요 캐릭터 또한 이 게임에 끝내 참전하지 않았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게임성에 있어선 경쟁작인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매시 브라더스]]와 상당히 큰 차별화를 이루어냈지만, 상대적으로 속도감과 타격감이 미흡한 편. 무엇보다도 '''배경음악이 2010년대 격투 게임 치고 다소 지루하다.''' 일반적으로 [[크로스오버]] 계통의 격투 게임 음악들은 원작의 음원을 그대로 가져오기보다는, 한창 싸우고 있는 플레이어들이 지루해하지 않게끔 템포는 훨씬 빠르게, 음색도 매우 화려하게, 파티 음악처럼 느껴지게끔 대폭 편곡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메탈기어 시리즈]]의 배경 음악 중 하나인 [[스네이크 이터]]는 원래 [[https://www.youtube.com/watch?v=9aHQnDTd1y4|이런 곡]]인데, 스매시브라더스에선 [[https://www.youtube.com/watch?v=1WwgtWIxxHo|이렇게]] 바뀌었다. [[페르소나 시리즈]]의 잔잔한 일상 파트 BGM인 [[Beneath the Mask]] 역시 스매시브라더스 버전은 [[https://www.youtube.com/watch?v=UAG9iTOTUFw|훨씬 신나고 경쾌하며]],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에서 상처 입어 죽어가는 [[미드나]]의 절망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유명한 곡 [[https://www.youtube.com/watch?v=137YvPWp0jI|Midna's Lament]] 역시 스매시브라더스에선 [[https://www.youtube.com/watch?v=WTutDmXbzJE|이렇게 탈바꿈했다.]] 다른 게임까지 살펴 봐도 [[마블 VS 캡콤 3]]에서 [[아서(마계촌 시리즈)|아서]]의 [[마계촌]] [[https://www.youtube.com/watch?v=7iQp5jh5owE|BGM]]을 [[https://www.youtube.com/watch?v=gXv57X7N510|이렇게]] 바꾼 사례, [[네메시스(바이오하자드 시리즈)|네메시스]]의 [[https://www.youtube.com/watch?v=bpwuRpVa_lI|테마곡]]을 [[https://www.youtube.com/watch?v=qUzaybvfLiU|이렇게]] 바꾼 사례가 있다.] 그러나 본작은 음악들이, '''안 좋은 의미로''' 원작의 느낌에 충실해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나 [[VS. 시리즈]]의 배경 음악들만큼 신나고 귀에 꽂히는 곡이 적다. 그래서 게임 플레이가 상대적으로 더 지루하게 느껴지기 쉬운 것.[* 예시를 들자면 스매시브라더스를 하고있는데 대뜸 [[바이오쇼크]]에서 나오는 음침한 노래들이 게임에서 그대로 나온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판매량은 100만 장 정도로, 요시다 슈헤이가 [[IGN]] 팟캐스트에서 밝히길 게임성이나 흥행 측면에서 나름대로 만족하긴 했으나 DLC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거나 후속작을 내놓을 정도의 성과는 아니었다고 한다. 사실 100만장이 아주 낮은 판매량이 아닌건 맞지만, AAA급 게임에 그것도 [[PlayStation|플레이스테이션]] 버전 대난투라는 별명 치고는 상당히 낮은 게 맞다. 현재는 [[흑역사]] 취급으로 완전히 잊혀졌으며, 타기종 팬덤에서 [[플빠]]를 조롱할 때 쓰인다. 심지어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플스 독점 게임]]도 셀프로 언급하며 간접 디스할 정도. 아주 먼 훗날에 나온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서 등장인물 [[미미르(갓 오브 워 시리즈)|미미르]]를 통해서 [[이스터 에그]]로 언급된다.[* 덤으로 크레토스가 본인 입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Mjf4DCWIYEc|언급하기 싫어한다(…).]] 영상 제목에선 [[모탈 컴뱃]]에 나온 걸로 나오지만 언급되는 걸 보면 이쪽에 더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