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piggyback. 본래는 업히는 것이나 [[목말]]을 뜻한다. 이후 각 분야의 용어로 파생되었다. == [[화물철도]] == [[https://en.wikipedia.org/wiki/Piggyback_%28transportation%29|Piggyback 위키백과]] 화물열차에 짐만 싣는게 아니라, 짐을 실은 차량채로 올리는 방식. 대표적으로 컨테이너를 실을때 차량용 트레일러 채로 싣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힘들고, 거대한 대륙에서 자주 보인다. [[미국]]에서는 아주 활발하게 운영되고, [[유럽]]에서도 [[채널 터널]]이나 [[스위스]] [[알프스]] 산맥 인근 철도에서 이런 방식의 운행을 자주 볼 수 있다. 수송 과정 [[https://m.youtube.com/watch?v=X-xlFB3GrTE|이렇게 큰 중장비 차량을 이용해 트레일러를 [[화물철도#s-3.1|컨테이너차]] 위에 올리고]], [[https://m.youtube.com/watch?v=e8hD5wYsSac|그대로 목적지로 가져간다.]] 이 영상의 0:57 까지는 일반적인 수송방식으로 실은 화물이고, 뒤에는 피기백으로 실었다. 아래 사진에서 컨테이너가 붕 떠있는 부분이 피기백, 그뒤에 따라오는게 컨테이너만 싣는 표준방식. 컨테이너 높이 차이가 난다. [[파일:external/www.translationdirectory.com/A_train_of_intermodal_trailers_on_flat_cars.jpg|width=400]][clearfix] [[https://www.youtube.com/watch?v=lS10raGArs4|아예 컨테이너 트럭을 올린 뒤 기사를 객차에 태우고 운송한다.]] [[https://youtu.be/RQP_gD7GfDU|대차바퀴만 이용해서 가기도 한다???]] == 정보통신 == 수신측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만 데이터프레임에 확인값을 덧붙여 전송하는, 오류제어 및 흐름제어 방식. == 관련 문서 == * [[철도 관련 정보]] [[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