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랑스 총리]][[분류:프랑스 군무장관]][[분류:프랑스의 남성 정치인]][[분류:1925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루앙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자살한 인물]][[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자살한 정치인]][[분류:우크라이나계 프랑스인]][[분류:사회당(프랑스)]] [include(틀:역대 프랑스 총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20%, #ffffff 80%, #ffffff)" '''[[프랑스 총리|{{{#000092 프랑스 제90대 총리}}}]][br]{{{#000092 {{{+1 피에르 외젠 베레고부아}}}[br]Pierre Eugène Bérégovoy[* 우크라이나어로 베레호비(Берегови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eferentiel.nouvelobs.com/3568763-pierre-beregovoy-le-courage-du-desespoir.jpg|width=100%]]}}}|| ||<-2> {{{-2 일생의 동지였던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과 함께}}} || ||<|2> '''출생''' ||[[1925년]] [[12월 23일]] ||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오트노르망디 [[센마리팀]] [[루앙]] || ||<|2> '''사망''' ||[[1993년]] [[5월 1일]] (향년 67세) || ||[[프랑스]] [[니에브르]] 느베르 || ||<|2> '''{{{#000092 재임기간}}}''' ||제90대 총리 || ||[[1992년]] [[4월 2일]] ~ [[1993년]] [[3월 29일]] || || '''정당''' ||[include(틀:사회당(프랑스))] || || '''약력''' ||느베르 시장[br]대통령 비서실장[br]경제재무부 장관[br][[프랑스 국민의회]]의원[br][[프랑스 총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정치인. == 생애 == [[파일:external/www.gaullisme.fr/pierre-beregovoy.jpg]] 베레고부아의 부모는 [[러시아 내전]]을 피해 프랑스로 망명한 [[우크라이나]] 이민자로, 베레고부아는 1925년 오트노르망디 루앙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만 나온 노동자 출신이지만 [[프랑수아 미테랑]]의 최측근이 되어 정부 요직을 두루 맡았다. 미테랑이 [[프랑스 대통령]]이 된 후 대통령 비서실장, 경제재무부 장관, [[프랑스 총리|총리]] 등의 요직에 임명되었다. 느베르의 시장이 되기도 했다. 1992년 총리에 임명되었고, [[1993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1993년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생전 그의 이미지는 ‘청렴한 정치인’ 이었다. 하지만 1993년 파리에 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해 미테랑의 친구인 한 기업가에게서(베레고부아 본인의 친구이기도 했다) 150만 프랑을 빌리고 갚지 않아 언론으로부터 뇌물수수 혐의를 받았다. 나중에 갚았다고 해명했고[* 유산으로 받은 골동품 등으로 갚았다고 한다.] 상환도 확인되었으나 그가 무이자로 돈을 빌린 것도 문제가 되었고, 그가 돈을 빌린 친구가 내부거래 혐의로 조사를 받아 문제는 더욱 크게 커지고 말았다. 당시 총리였던 베레고부아는 그해 3월의 총선에서 참패했으며 그에 대한 책임으로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그리고 사퇴한 지 5주 뒤인 1993년 봄 노동절에 권총으로 자살했다. 후임 총리는 [[에두아르 발라뒤르]]이다. [[파일:external/partihebertiste.free.fr/BEREGOVOY%20Pierre%20-%20Economie.jpg]] 베레고부아의 자살을 보도한 프랑스 유력 일간지 <파리지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