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피터 딘클리지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역대 [[에미상|{{{#e5d85c 에미상}}}]] 시상식''' }}}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남우조연상 - 드라마 시리즈'''}}} || || '''제62회[br]([[2010년]])''' || {{{+1 → }}} || '''제63회[br]([[2011년]])''' || {{{+1 → }}} || '''제64회[br]([[2012년]])''' || || [[아론 폴]][br]([[브레이킹 배드]]) || {{{+1 →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1 → }}} || [[아론 폴]][br]([[브레이킹 배드]]) || || '''제66회[br]([[2014년]])''' || {{{+1 → }}} || '''제67회[br]([[2015년]])''' || {{{+1 → }}} || '''제68회[br]([[2016년]])''' || || [[아론 폴]][br]([[브레이킹 배드]]) || {{{+1 →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1 → }}} || [[벤 멘델슨]][br]([[블러드라인(드라마)|블러드라인]]) || || '''제69회[br]([[2017년]])''' || {{{+1 → }}} || '''제70회[br]([[2018년]])''' || {{{+1 → }}} || '''제71회[br]([[2019년]])''' || || [[존 리스고]][br]([[더 크라운]]) || {{{+1 →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1 →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 '''제70회[br]([[2018년]])''' || {{{+1 → }}} || '''제71회[br]([[2019년]])''' || {{{+1 → }}} || '''제72회[br]([[2020년]])'''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1 → }}} || '''피터 딘클리지[br]([[왕좌의 게임]])''' || {{{+1 → }}} || [[빌리 크루덥]][br](더 모닝 쇼) || ||<-5> ||}}} || ---- ||<-2> '''{{{+1 피터 딘클리지}}}[br]Peter Dinklage'''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eter Dinklage.jpg|width=100%]]}}} || || '''본명''' ||피터 헤이든 딩클리지[br]Peter Hayden Dinklage || ||<|2> '''출생''' ||[[1969년]] [[6월 11일]] ([age(1969-06-11)]세) || ||[[미국]] [[뉴저지]] 모리스타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32.1cm || || '''직업''' ||[[배우]] || || '''활동''' ||[[1995년]] ~ 현재 || || '''배우자''' ||에리카 슈미트^^(2005년 ~ 현재)^^ || || '''자녀''' ||딸^^(2011년생)^^[br]둘째^^(2017년생)^^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신장이 132cm인 [[왜소증]]을 가졌지만 여기에 중후한 목소리, 또렷한 발성, 깊이있는 연기력 등이 더해지며 오히려 그만의 독특한 캐릭터를 만들어내고 있다. 사실상 왜소증을 가진 배우들 중 인지도나 평가 부분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 단적으로 적기는 해도 자신이 주연인 영화가 만들어지고 있다. 왜소증 배우들이 주연작 따기가 어려운 걸 생각해보면 상당히 입지전적인 셈.] == 경력 == 왜소증이 있는 배우들이 [[드워프]]나 [[레프러콘]] 같은 역할에 벗어나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딘클리지는 왜소증을 가진 [[장애인]]을 다룬 영화 <스테이션 에이전트>에 주연으로 출연하고, [[2005년]]엔 [[CBS(미국 방송)|CBS]] <스레쉬 홀드>의 아서 램지 역으로 첫 TV시리즈 주역을 맡는 등 일찍부터 남다른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그리고 [[2011년]]에는 [[HBO]]의 메가히트작 '''<[[왕좌의 게임]]>의 [[티리온 라니스터]]''' 역에 캐스팅 되었다. [[조지 R.R. 마틴]], 데이빗 베니오프, D.B. 와이스의 만장일치로 가장 먼저 캐스팅된 배우였다는 후문. 이 작품으로 [[에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골든글로브]] 최우수 남우조연상, 새털라이트 어워드 최우수 남우조연상, 스크림 어워드 최우수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에서 [[센티널(엑스맨 유니버스)|센티널]]을 만든 과학자 [[볼리바 트라스크#s-2]] 역을 맡아 악역으로도 준수한 연기를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 원작의 트라스크 박사는키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일반인이다. 영화에서 딱히 왜소증인 것을 부각시키거나 언급하는 것 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피터 딘클리지의 순수한 연기력을 주목함과 동시에 자신의 신체적 제약 때문에 더욱 신체능력이 뛰어난 돌연변이에 탐닉하고 연구에 빠져들었다는 인물적 배경을 함유하고 있는 캐스팅임을 알 수 있다.] 2015년 두 번째, 2018년 세 번째, 그리고 2019년 네 번째 [[에미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해서 해당 부문 최다 수상 기록을 세웠다. 그가 수상한 네 번의 에미상 남우조연상은 모두 <[[왕좌의 게임]]>의 [[티리온 라니스터]] 역으로 받았고, 이로써 드라마 첫 시즌과 마지막 시즌을 에미상 수상으로 장식해낸 것이다. == 출연작 == === TV 프로그램 출연 === * 2011–2019 - [[왕좌의 게임]] - '''[[티리온 라니스터]]''' * 2013 [[SNL]] - 피터 드렁클리지(Peter Drunklage) === 영화 === * 1995 망각의 삶 - 티토 * 1998 세이프 맨 - 레플로 * 2001 휴먼 네이처 - 프랭크 * 2002 저스트 어 키스 - 딩크 * 2003 엘프 - 마일스 핀치 * 2003 스테이션 에이전트 - 핀바 맥브라이드 * 2003 팁토즈 - 마우리스 * 2004 서바이빙 에덴 - 스테르노 * 2005 백스터 - 벤슨 헷지 * 2005 '''[[래시#s-3.8|우리친구 래시]]''' - '''롤리''' * 2006 파인드 미 길티 - 벤 클라디스 * 2006 페넬로피 - 레몬 * 2007 Mr.후아유 - 피터 * 2007 '''[[언더독(2007)|언더독]]''' - '''사이먼 바시니스터 박사''' * 2008 [[나니아 연대기: 캐스피언 왕자]] - [[트럼프킨]] * 2009 세인트 존 오브 라스베가스 - 미스터 타운센드 * 2010 '''데스 앳 어 퓨너럴''' - '''프랭크''' * 2010 라스트 라이츠 오브 랜섬 프라이드 - 드워프 * 2010 '''피트 스몰즈 이즈 데드''' - '''K.C.몽크''' * 2011 리틀 빗 오브 헤븐 - 비니 * 2013 온리 포 유 - 제라드 * 2013 '''마법의 제왕(Knights of badassdom)''' - '''헝''' * 2013 '''디 앵그리스트 맨 인 브루클린''' - '''아론 알트만''' * 2014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 [[볼리바 트라스크]] * 2014 로우 다운 - 앨레인 * 2015 택시 - 마크 * 2015 [[픽셀(영화)|픽셀]] - 에디 플랜트 * 2016 더 보스 * 2017 리메모리 - 샘 블룸 * 2017 [[쓰리 빌보드 아웃사이드 에빙, 미주리]] - 제임스 *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에이트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이트리]][* 왜소증 환자라 키가 작은 만큼, 지금까지 맡아 온 배역들도 항상 왜소증 환자라는 설정이 있는 단신 캐릭터들이었다. 그런데 이 역은 그의 연기 역사상 최초로 '''일반인을 우습게 능가하는 신장의 [[거인]]''' 역할이라는 게 재미있는 점이다.] * 2018 마이 디너 위드 허브 - 허브 빌리체이즈 * 2018 아이 씽크 위 아 어론 나우 - 델 * 2020 [[퍼펙트 케어]] - 로만 룬요브 * 2022 '''[[시라노(영화)|시라노]] - 시라노''' * 202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 [[스커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커지]] * 2023 She Came to Me * 2023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영화)|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카스카 하이바텀 * 미정 톡식 어벤져 === 애니메이션 === * 2012 [[아이스 에이지 4]]: 대륙이동설 - 거트 선장[* 거트 선장은 가장 큰 영장류인 [[기간토피테쿠스]]가 모티브인데 왜소증을 앓고 있는 피터 딘클리지가 맡은 것이 아이러니하다.] * 2016 [[앵그리버드 더 무비]] - 마이티 이글 * 2019 [[앵그리 버드 2: 독수리 왕국의 침공]] - 마이티 이글 * 2020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 - 필 베터먼 * 2022 [[릭 앤 모티]] 시즌6 2화 === 게임 === * 2014 [[왕좌의 게임(텔테일 게임즈)]] - '''[[티리온 라니스터]]''' 역 === 수상 === * 2011 에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1 골든글로브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1 새털라이트 어워드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1 스크림 어워드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5 에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8 에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19 에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 2020 미국배우조합상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자배우상 보다시피 에미상 남우조연상을 4번이나 받았는데, 4번 모두 [[티리온 라니스터]] 역으로 받은 것이다. == 여담 == [[파일:Peter Dinklage and Erica Schmidt.jpg|width=500]] * 부인인 에리카 슈미트와 함께. 부인은 희곡 작가로, 딘클리지가 주연한 뮤지컬 [[시라노(영화)]] [* 시라노는 뮤지컬이 여러개 있는데, 여기서는 [[더 내셔널]] 멤버들이 음악을 맡고 슈미트가 각본을 쓴 버전을 말한다.]의 원작자기도 하다. * [[티리온 라니스터]]는 그를 위해 태어난 배역이라 할 수 있다. 인터뷰를 보면 배우의 성격도 티리온처럼 올곧고 냉소적이고 유머러스한 면들과 지적인 면들이 절절히 배어 있는 것을 포착할 수 있다. [youtube(DHlzIgSvnYc)] * 본인의 [[왕좌의게임]] 테마송? 도 있다. 이걸 듣고난 본인의 평가는 "작사를 더 해야겠다." * [[채식주의자]]이다. 그래서 [[왕좌의 게임]]에서 [[티리온 라니스터]]가 먹는 고기는 [[두부]]로 만든 가짜고기라고 한다. [youtube(ky5JWyAHLGw)] 그러한 이유로 [[채식주의]]를 권장하는 캠페인 영상을 찍은 적이 있다. * 90년대 초반부터 배우가 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하였으나 왜소증 때문에 일반적인 역할을 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 1991년작 에서 마임 아티스트 "Mime Jerry([[로빈 윌리엄스]]가 카메오로 출연)"에게 마임 연기를 배우는 연습생으로 출연한 풋풋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디즈니 백설공주 실사화 영화에 대해 "디즈니는 [[백설공주]]라면서 [[정치적 올바름|피부가 까무잡잡한 사람을 캐스팅했으면서]] 왜 난쟁이는 그대로 동굴에 두나. 디즈니는 위선이다" 라고 일침하였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peter-dinklage-snow-white-remake-1235161936/|#]] 그래서 디즈니는 난쟁이역을 마법 생물체로 대체하기로 했다. --그러라고 말한 일침이 아닐텐데...-- * 티리온 배역의 영향인지 지적인 역할을 많이 맡는다. [[분류:미국 남배우]][[분류:1969년 출생]][[분류:모리스타운(뉴저지) 출신 인물]][[분류:1995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