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Co 제작)] || [[파일:THxp28p.jpg|width=300]] || [[파일:external/www.where2go.co/389.jpg|width=300]] || || 오리지널 프로덕션 로고 ||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로고 || [[파일:EaKkywf.jpg]] [목차] == 개요 == 1972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된 [[뮤지컬]]. [[위키드(뮤지컬)|위키드]]로 유명한 [[스티븐 슈왈츠]]가 작사/작곡을 맡고 [[시카고(뮤지컬)|시카고]]로 유명한 전설적인 안무가 [[밥 포시]]가 연출과 안무를 맡았다. [[카롤루스 대제]] (샤를마뉴)[* 극중에서는 '찰스'라는 이름으로 자주 불린다.]의 아들인 [[피핀|피핀 4세]]라는 역사적 인물의 일생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하지만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극중극과 유사한 방식으로 리딩 플레이어 (Leading Player)가 이끄는 작품 속 극단이 이 내용을 다룬 작품을 공연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2013년 브로드웨이에서 리바이벌되어 [[토니상]] 뮤지컬 리바이벌 부문을 수상했다. 대부분의 넘버가 현대적으로 재 편곡된것은 물론 오리지널 프로덕션의 유랑극단 느낌 대신 [[서커스]] 컨셉을 적극적으로 차용했고,[* 실제 서커스단 멤버들도 앙상블이나 댄서로 참여해 곡예를 보여주고 주연 배우들도 아찔한 묘기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리딩 플레이어를 '''여자'''로 캐스팅해서 색다른 느낌을 주었다.[* 재미있게도 오리지널과 리바이벌 프로덕션에서 리딩 플레이어를 연기했던 벤 베린과 파티나 밀러는 같은 배역으로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특징 == [[캣츠]]나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등 흔히 알려진 대작 뮤지컬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상당히 난해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인데, 극의 설정 자체가 '한 극단이 피핀의 일생을 다룬 뮤지컬을 공연한다'는 내용이기 때문. 게다가 이의 연장으로 뮤지컬에서는 이례적으로 [[베르톨트 브레히트|브레히트]]적인 [[소격효과|낯설게 하기]]가 극 전체에 걸쳐 적용되기에, 관객의 몰입은 끊임없이 깨지다가 배우와 인물이 분리되는 2막에 들어서는 극에서 자연스럽게 거리를 두게 된다. 그리고 역사에서도 잘 다뤄지지 않는 인물 피핀 4세의 일생을 주제로 삼았지만, 사실 극의 내용은 주변 인물들이나 몇몇 중요 사건들을 제외하면 실제 피핀의 삶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 작품은 피핀이라는 인물을 내세워서 '''모든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고뇌와 어려움들'''을 묘사한다. 극은 끊임없이 피핀과 대화하는 리딩 플레이어나 현대의 삶을 연상시키는 의도적인 [[시대착오적]] 요소를 내세워서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youtube(9XDqHRoMwcg)] 또한, 이 작품은 [[밥 포시]] 특유의 연출과 안무로도 유명하다. 위 영상에 등장하는 'Glory'의 경우 유혈이 낭자한 전쟁의 모습을 희화화한 것은 물론 [* 게다가 1972년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해였다.] 굉장히 감각적이고 특히 영상 3분 50초 부근부터 시작되는 '[[찰스 맨슨|Manson Trio]]'라는[* [[밥 포시]]는 본래 맨슨에게 관심이 많았고, [[http://www.timeout.com/newyork/theater/diane-paulus-brings-her-magic-to-pippin|이 연극의 리딩 플레이어를 맨슨과 같은 광적인 수준의 지도자로 보았다고 한다.]]] 3인조 안무는 포시의 가장 유명한 안무 중 하나이자 뮤지컬 역사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는 안무로, 절제되고 세련된 동작과 광적인 살인의 현장이 무대 위에서 동시에 벌어지면서 불편한 느낌과 함께 전쟁의 참혹함을 그려낸다. == 기타 == * 1972년 공연에서 피핀 역을 맡았던 존 루벤스타인은 2014년 리바이벌 공연 역에서 찰스 역으로 돌아왔다. * 일본에서는 2007년, 2008년 공연에 [[아이바 히로키]]가 참여했다. * 한국에서는 2005년 [[충무아트센터|충무아트홀]]에서 공연된 바 있으며, 2015년 [[연세대학교]] 뮤지컬 동아리에서 리바이벌 프로덕션에 기반한 연출로 공연하기도 했다. [[분류:뮤지컬]][[분류:1972년 극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