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99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 제국의 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독일의 정치인]][[분류:자살한 나치 관련자]][[분류:뮌헨 출신 인물]] [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 '''{{{#FFF 나치당 퓌러 비서실장[br] {{{+2 필리프 보울러}}}[br]Philipp Bouhler}}}''' ||||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필리프 보울러 프로필.jpg|width=100%]]}}}|||| ||<#DD0000> {{{#FFF 이름}}} ||<(>'''Philipp Bouhler'''[br] 필리프 보울러|| ||<#DD0000> {{{#FFF 출생}}} ||<(>[[1899년]] [[9월 11일]],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뮌헨]] || ||<#DD0000> {{{#FFF 사망}}} ||<(>[[1945년]] [[5월 19일]],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주 알타우세 || ||<#DD0000> {{{#FFF 정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DD0000>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3년 ~ 1945년) || ||<#DD0000> {{{#FFF 최종계급}}}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국가지휘자(Reichsleiter) [br] [[슈츠슈타펠]]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 ||<#DD0000>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국가지휘자(Reichsleiter)이자 나치당 국가비서지도자, [[슈츠슈타펠]] 대장이다. '''[[T4 작전]]에 책임이 있는 [[전범]]이다.''' == 초기 행적 == [[바이에른 왕국]] 육군성의 장관이던 에밀 보울러 대령의 아들로서 [[뮌헨]]에서 태어난 필리프 보울러는 중학교 졸업 후 [[1912년]]부터 [[1916년]]에 걸쳐 뮌헨의 바이에른 사관학교를 다닌 후 바이에른 제1 포병연대에 입대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17년]]에 [[서부전선]]에서 두 다리를 크게 부상당하여 독일의 패전까지 야전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보울러는 소위로 제대해 2급 철십자 훈장과 전상훈장을 받았다. == [[나치당]] 입당 == 전후 [[1919년]]부터 [[1920년]]까지 뮌헨대학에서 철학과 문학을 공부한 보울러는 [[1920년]]부터 [[1921년]] [[10월]]까지 뮌헨에 있던 모터스포츠 관련 출판사에 취직해 일하다가 [[1921년]] [[11월]]에 [[나치당]] 기관지의 판매원이 되어 [[1922년]] [[7월]]에 [[나치당]]에 입당했다. [[1923년]] [[11월]]에 일어난 [[뮌헨 폭동]]에 가담했던 보울러는 나치당이 해산한 뒤 [[1925년]] [[2월 27일]]에 당이 재건되면서 복당했다. [[1925년]] [[3월]]부터 [[1934년]] [[11월]]까지 나치당의 국가비서지도자로 일한 보울러는 [[1933년]] [[3월 5일]]에 국회의원 선거에서 베스트팔렌 구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친위대 입대 == || [[파일:보울러.jpg|width=100%]] || || [[슈츠슈타펠|SS]][[대장]] 보울러 || [[1933년]] [[4월 20일]]에 친위대 명예지도자로서 친위대에 입대한 그는 친위대 중장계급이 부여되었다. [[1936년]] [[1월 30일]]에 친위대 대장으로 승진한 보울러는 나치당 국가지휘자(Reichsleiter)들 중 한 명이 되었다. [[1934년]] [[8월]]부터 [[10월]]까지 짧은 기간동안 뮌헨경찰장관으로 일한 보울러는 이후 총통관저에 배속되어 [[1934년]] [[11월]]에 나치당총통사무국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36년]] [[1월]]에는 <국가사회주의 독일문학을 위한 연구회>의장도 겸임했는데 그는 국회의원직과 더불어 이 지위를 패전까지 유지했다. == [[T4 작전]] == [[1939년]] [[10월]]에 보울러는 [[카를 브란트]]와 함께 장애자와 병자를 안락사시키는 [[T4 작전]]의 감독을 맡았다. 보울러는 돌격대 상급대령인 베르너 블랑켄부르크와 친위대 대령 [[빅토어 브라크]]에게 실무를 맡겨 [[1941년]] [[8월]]에 [[T4 작전]]에서 손을 뗐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0년]] [[5월]]부터는 학교 및 교육문제 전국사무국장, [[1942년]] [[6월]]부터 [[1943년]]에는 동아프리카 통치를 위한 동아프리카 특별국 국장을 지냈다. == 최후 == 대전말기인 [[1945년]] [[4월 23일]]에 [[헤르만 괴링]]의 <반역>에 [[한스 라머스]]와 함께 관여했다는 혐의로 [[마르틴 보어만]]의 명령에 의해 친위대원에게 붙잡힌 보울러는 [[히틀러]]의 자살 후 석방되었다. 하지만 [[1945년]] [[5월 10일]]에 [[미군]]에게 체포되어 미군의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는데 [[5월 19일]]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보울러가 자살한 후 그의 아내였던 헬레나 마이어도 [[5월]]말에 투신자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