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지역)] [include(틀:다른 뜻1,other1=레전드 오브 룬테라의 지역, rd1=레전드 오브 룬테라/필트오버&자운)] ||<-3><:> {{{#221f19 {{{+1 '''필트오버'''[br]'''Piltove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필트오버 재무부로 이어지는 항성의 길.jpg|width=100%]]}}}|| ||<-2><:>{{{#486c64 '''엠블럼'''}}} ||<:>{{{#486c64 '''아이콘'''}}} || ||<-2><:>[[파일:롤-필트오버-엠블럼.png|height=100]]||<:>[[파일:롤-필트오버-아이콘.png|height=70]]|| ||<-3><:> || || {{{#c39f65 '''이명'''}}} ||<-2> 진보의 도시 || || {{{#c39f65 '''가명'''}}} ||<-2> 번창하는 연안 도시 || || {{{#c39f65 '''국가'''}}} ||<-2> 필트오버 || || {{{#c39f65 '''수도'''}}} ||<-2> 필트오버 (도시 국가) || || {{{#c39f65 '''언어'''}}} ||<-2> 부흐루어[br]데마시아어 (현대)[br]프렐요드어 (현대)[br]아이오니아어 (현대)[br]필트오버어[br]슈리마어 (현대)[br]바-녹서스어 || || {{{#c39f65 '''종교'''}}} ||<-2> 아카나 영혼[br]천상[br]영광된 진화단[br][[오른|프렐]][[볼리베어|요드]] [[애니비아|반신]][br][[잔나]][br]칸메이 영혼[br][[킨드레드]] (양과 늑대)[br]나가카보로스[br][[탐 켄치]][br][[케일(리그 오브 레전드)|보호자]][br][[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베일의 여신]] || || {{{#c39f65 '''인종'''}}} ||<-2> 필트오버인[br]Piltie (비공식적) || || {{{#c39f65 '''통치 체제'''}}} ||<-2> [[귀족공화제|귀족 과두정치]] || || {{{#c39f65 '''기관'''}}} ||<-2> 블루윈드 궁 || || {{{#c39f65 '''마법을 대하는 태도'''}}} ||<-2> 상품화 || || {{{#c39f65 '''기술 수준'''}}} ||<-2> 높음 || || {{{#c39f65 '''역사'''}}} ||<-2> 연결된 도시 (AN 772년 - 현재) || || {{{#c39f65 '''통화'''}}} ||<-2> 황금의 마법[br]은 부속품[br]청동 부속품 || || {{{#c39f65 '''환경'''}}} ||<-2> 연안 대도시[br]열대[br]온대 || || {{{#c39f65 '''대륙'''}}} ||<-2> 발로란[br]슈리마 || || {{{#c39f65 '''챔피언의 퍼스널 컬러'''}}} ||<-2> 다양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필트오버 재무부로 이어지는 항성의 길.jpg|width=100%]]}}}|| || 필트오버 항성의 길 || ||필트오버는 번영을 누리는 진보적인 도시로, 갈수록 그 영향력이 증대해가고 있다. 이곳은 발로란의 문화적 중심지로, 예술과 기술, 상업과 혁신이 서로 맞물리며 발전해나가는 장소이기도 하다. 필트오버의 저력은 군사력이 아니라 상업의 활력과 진취적인 사고에서 나온다.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자운 위의 절벽에 자리잡은 필트오버에는 거대한 수문으로 배들이 수없이 드나들며 전세계에서 상품을 실어나른다. 이렇게 교역으로 쌓아올린 부 덕분에 필트오버는 유례없는 호황과 성장을 누려왔다. 필트오버는 예나 지금이나 끊임없이 스스로를 혁신하는 도시로, 이곳에서라면 부를 이루고 꿈을 실현할 수 있다. 새롭게 떠오르는 기업 집단들은 엉뚱한 예술, 기발한 마법공학, 그들의 재력을 기념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장 놀라운 시도들을 후원하고 성장시킨다. 또한, 최근 급성장하기 시작한 마법공학 분야에 전에 없이 많은 혁신가들이 뛰어들고 있어, 필트오버는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장인들을 자석처럼 끌어들이고 있다. ---- [[https://universe.leagueoflegends.com/ko_KR/region/piltover/|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 필트오버 지역 소개]]||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에 등장하는 국가로 발로란 대륙 동쪽과 남쪽 대륙 동북쪽에 위치한다. 동서바다를 잇는 해협의 절벽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시로, 지하에는 [[자운]]이 있다. [[데마시아]]나 [[녹서스]]처럼 규모가 아주 거대한 국가는 아니지만, 중세 수준인 다른 나라들에 비해 훨씬 발전한 과학력과 사회상으로 여유롭고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다. 국가 배경이나 챔피언들의 이름, 그리고 이곳 출신 제이스의 외모와 대사, 스토리를 보면 영락없이 19세기 [[영국]]을 모티브로 가져온 듯. 특히, [[스팀펑크]]와 함께 [[벨 에포크]] 시절의 아름답고 밝은 유럽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나있는 모습이다.[* 심지어, 벨 에포크 시절의 유럽이 지녔던 제3세계를 은근슬쩍 천대하고 모른 척하는 선민의식, 도시 내에서의 자본가들의 암투나 하층민에 대한 착취 같은 어두운 모습 또한 묘사했다.] 또한 대륙의 경계에서 양쪽 바다를 연결하는 운하를 통해 발달했다는 설정은 [[수에즈 운하]]나 [[파나마 운하]]를 연상시킨다. 원래 하나의 국가였고 지금도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다보니 [[자운]] 문서와 같이 보면 좋다. == 역사 == == 정치 == === 귀족 가문 === 필트오버에는 고유의 기술, 발명품, 공방, 사업 등을 토대로 성장한 부유한 상인 연합(Merchant Clans)이 여럿 존재한다. 이러한 유력한 몇몇 귀족가문이 과두제를 형성하여 필트오버를 이끌고 있다. || 귀족 가문 || 구성원 || 설명 || ||메다르다(Medarda)||야고, [[멜(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멜]], [[레전드 오브 룬테라/필트오버&자운#s-2.2.30|제이]], 콜레트||현재 가주는 야고 메다르다(Jago Medarda). 피스톤 특허 기술로 태양 관문에 대한 지분이 크다. 태양 관문의 개폐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마법공학을 사용하는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알비노(Arvino)||아달베르트, 소피아||소피아 알비노가 가문을 배신하고 [[자운]]의 화공 남작과 약혼을 올리려고 할 때 [[카밀]]이 습격하여 화공 남작 패거리를 정리한다. 그 과정에서 [[카밀]]은 그녀가 사랑했던 하킴 나데리가 행방불명된 것은 동생인 스테반 페로스의 음모였음을 알게 된다. || ||지오파라(Giopara)||[[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 과거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의 풀네임은 제이스 지오파라로 지오파라 가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아케인]]에서 공개된 바로는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는 볼품없는 집안인 탈리스(Talis) 가문 출신이며, 지오파라 가문이 아니라 키라먼 가문의 후원을 받는 것으로 되어있다]||[[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는 필트오버의 권위 있는 가문 지오파라로부터 기능장 후원 제안을 받은 최연소 견습생이 되는 영예를 누렸다. 제안을 받아들인 후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는 어린 시절 대부분은 마법공학 기계장비들을 설계하며 보냈다.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는 또한 필트오버의 노동자 계급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변신 도구들을 발명하기도 했다.|| ||카드왈더(Cadwalder)||우베르티||수장은 우베르티 카드왈더(Uberti Cadwalder). 자가운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메다르다 가문의 집에 자가운전 차량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간에서는 메다르다 가문이 카드왈더 가문의 기술을 훔쳐냈다는 소문이 있다.|| ||키라먼 (Kiramman)||[[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 키라먼]]이 속한 가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마법공학 기술자 가문.|| ||토레크(Torek)|| ||카드왈더 가문의 자가운전 설계도를 얻고 싶어 우베르티 카드왈더를 열심히 설득하고 있다는 소문.|| ||페로스(Ferros)||엘리샤, 로드리, 젬마, [[카밀]], 스테반||[[카밀|카밀 페로스]]가 속한 가문. 페로스 가문은 슈리마 사막의 브래컨 종족에게서 채집하는 수정으로 부를 얻었다. 또한 화학공학과 룬 연금술 대한 어둠의 투자를 통해 성능은 비교적 떨어지지만 조달이 쉬운 합성 마법공학 수정을 제작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자운의 심각한 대기오염을 불러왔다.|| ||홀로란(Holloran)||보스웰||[[잔나]]의 배경소설 [[잔나/배경#s-2|심호흡]]에 보스웰 홀로란 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자운]]인을 역겨운 벌레처럼 쳐다보고 있다가 [[잔나]]가 바람으로 밀어버려 자운의 더러운 물웅덩이에 빠뜨리는 스토리(...)|| ||Tariost||Aurelie||해운업으로 유명한 가문. 스토리북으로 출간된 '룬테라의 세계'에 등장하는 Aurelie는 자운의 Karvyq와 사랑에 빠지지만, 신분격차로 인한 집안의 격렬한 반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Morichi|| || || == 사회 == || [[파일:도시 주민.jpg|width=100%]] || || 도시 주민 || || 필트오버 시민들은 국제적인 도시 분위기만큼 각양각색이지만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립적이고 공짜를 바라지 않으며 언제나 노력한다는 것이죠. 이들은 외부인의 간섭을 싫어하고 필트오버의 번영을 지속하려면 개방된 자유 시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필트오버의 살롱에서는 유행이 빠르게 탄생했다가 사라지며 대부분의 취향은 격식 있고 기능적인 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지만, 부를 과시하면서 고상한 취향과 상식의 한계를 확장하는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 룬테라에서 가장 발전한 기술력을 가진 국가지만, 완벽하게 근현대화 되지는 않았다. 그 예로 아직 필트오버는 하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으며[* 소설 [[진보의 날]]에서 화자 타마라가 일어나 요강에 용변을 보고, 이를 수거하며 그 용변이 자운으로 갈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통신을 진공관을 통해 한다. 민주주의 체계가 자리잡지 않아 돈많은 일부 귀족집안들이 도시 전체의 행정을 담당한다. 기술적인 면에서는 반대로 현대보다 더욱 뛰어난 면도 있는데, 그중 완벽한 인공 지능과 자율주행 자동차가 언급된다. 정확히는 자가 운전차라고 언급되었기에 특정 지역을 오가는 드론인지, 실제 자율주행 자동차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블리츠크랭크와 같은 인공 지능 로봇이 있는 것으로 보아 후자에 더 가까워 보인다. || [[파일:보안관.jpg|width=100%]] || || 보안관 || || 필트오버에서 보안관은 법의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은 사람들입니다. 이 조직은 교역세 및 상인 연합이 납부하는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보안관들의 제복과 장비를 마련합니다. 이 기부 물품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특수 무기나 각종 장치와 같은 독특한 마법공학 장치입니다. || 치안은 뛰어나지만 완벽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이유중 하나가 치안을 담당하는 보안관이 공권력이 아니라서 강제성이 없다는 것으로, 그들은 교역세와 상인연합이 '자발적으로' 납부하는 기부금을 통해 운영된다. 다만 기부금과 기부품은 풍부한지 보안관들이 마법공학 장비도 상당수 마련하였다. 이는 필트오버 특유의 과시욕에서 기부를 경쟁하며 생겨난 모습으로 보인다. 또한 부와 힘을 과시하고 싶어 하는 성향이 상당히 강하다. 그 예로 아침부터 불을 환하게 켜 놓는다던가, 알록달록한 형광 색깔을 좋아하며, 대대적인 자선 사업 등등에서 드러난다. 이때문에 부유해 보이고자 가짜 마법공학 도구들을 달고 다니는 모습도 보인다. 예를 들어 바다의 발광 부유생물을 유리관에 채워넣는다던가, 단순한 렌즈와 금속판으로 기술자들의 확대경을 흉내내는 등.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기술을 광적으로 신봉하는 집단들도 있는데, '영광된 진화단' 이라는 집단으로 신체를 기계로 대체한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그들은 신체가 '증강' 되지 않은 사람들을 배척하며 신체 증강이 훌륭하게 된 카밀을 성인으로 추앙하는 걸 보면 종교에서 증강이라는 행위 자체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도 단점만 있는 게 아닌 것이, 증강을 통해 질병 또한 치료할 수 있다고 여기며 신자를 늘리기 위해 병자들을 받아 돌보기도 한다. 이는 빅토르와도 어느정도 의견이 통하는 부분. 필트오버에는 경찰의 역할을 하는 보안관 등이 있지만 자운과 더불어 공식적인 군사 제도는 없다. 자운과 필트오버 말고도 군대가 없는 몇몇의 국가들이 있는데 사실상 이런 국가들은 국가 수준이 매우 떨어져 군대를 구성조차 하지 못하는 것이고 있다고 해도 규모는 매우 작은 편이다. 자운과 필트오버가 국가의 높은 과학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군사화를 진행 및 발전하면 타국가 입장에선 답도 없기 때문에 라이엇에서 설정으로 일종의 [[파워 인플레]] 방지가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룬테라는 마법이 있는 세계관이라서 그런지 그렇게 큰 문제는 안되는 편. 가장 높은 군사력을 가진 데마시아나 녹서스에 비해 규모가 작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필트오버는 선진국이긴 하나 강대국은 아니다. 자운과 갈라선 지금도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엘레베이터를 통해 도시간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운은 필트오버에 비해 자유분방하고 불법적인 일에도 관대하기 때문에 위험한 실험을 하고 싶어하는 과학자나 불법적인 사업을 벌이고 싶어하는 타락한 사업가가 필트오버에서 자운으로 찾아가기도 한다. 두 도시 모두 [[스팀펑크]], [[디젤펑크]]적인 느낌이 있으며 19세기 [[산업혁명]]의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자운]]은 [[산업혁명]]의 환경 오염이나 무분별한 개발의 이미지가 강한 반면에, 필트오버는 밝고 화려한 이미지가 더욱 강한 도시다. === 어두운 면 === 위에서도 어느정도 언급된 것처럼, 순수하게 밝은 이미지만 있는것은 아닌 게, 탐 켄치의 대사와, 케이틀린과 카밀의 배경에서 묘사되는 필트오버는 마냥 문명이 만들어낸 질서의 공간이 아닌, 추악한 이면도 있는 국가이다. 룬테라에서 가장 발전한 도시인 만큼, 다른 지역에 대한 선민의식이 엄청난 듯. 유니버스 설립 이후로는 다른 국가들이 그렇듯이 해당 국가와 소속 챔피언의 어두운 부분도 묘사되었다. 밝고 깨끗한 이미지 뒤에는 온갖 사업가와 상류층의 비리가 빈번하고 자운과의 지역갈등 또한 결코 얕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고위층 가문의 주요 인물을 암살하는 첩보원으로 활동하는 [[카밀]], 자신의 정체를 숨기며 활동하는 [[하이머딩거]][* 단, 하이머딩거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요들인 것을 들켜 자신의 고향인 [[밴들 시티]]의 위치가 발각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뿐이다. 레전드 오브 룬테라 출시 이후로 나오는 시네마틱 등에선 더이상 모습을 숨기지 않는다.], [[제이스]]는 주변인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 성격에 흠이 있는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또한 기득권층 사이의 다툼도 엄청나기에 여러 가문들은 뛰어난 기술자들을 영입하려 노력하는 동시에 뛰어난 기술자가 자기 가문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살인|다른 가문에도 들어갈 수 없도록 만들기도 한다.]] 또한 [[마법공학|자운의 오염]] 역시 필트오버가 기여하는 바가 크고,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같은[* 오리아나는 자운에 유독 기체가 대량으로 퍼지는 사고가 일어났을 때 자운인들을 돕다가 중독되어 결국 전신을 사이보그화 하였다.] 일부 필트오버인을 제외하면 자운을 크게 혐오하며, 심지어 그 혐오하는 지역에서 유용한 인재만 빼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빼내진 인재는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가 대표적으로, 현재는 자운 소속으로 복귀했으나 한 때 필트오버로 연구했던 적이 있다. [[블리츠크랭크]]를 제작한 것도 필트오버에서 연구하던 시절 유독 기체 대량 유출 사고가 터진 고향 자운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막말로 하자면 돈많은 기득권층이 운하를 만들다가 사고내서 절반을 가라앉히고는, 돈많은 자신들은 지상에 살면서 아직 사람들이 살아가는 아래쪽에 쓰레기를 버리면서 자신들이 버린 사람들과 쓰레기들을 혐오하는 꼴이다. 이 때문에 자운에 소속된 챔피언들 대부분은 필트오버 챔피언들을 경멸하는 투의 상호작용 대사가 많은 편이며 타 지역 소속 챔피언들 중 일부도 필트오버의 민낯을 조롱하는 반응을 보인다. 게다가 필트오버 챔피언인 [[이즈리얼]]도 인게임 필트오버 챔피언 조우 시 필트오버가 뭐 대단한 줄 아느냐며 비아냥대는 대사가 나온다.[* 이즈리얼은 다른 지역들을 탐험하면서 고대 유물들을 봐왔기 때문에 이런 필트오버의 선민사상을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것으로 생각하는 듯 하다.] == 문화 == || [[파일:진델로의 미지의 룬테라.jpg|width=100%]] || || 진델로의 '미지의 룬테라'[* 룬테라에 있는 그 누구든 찾을 수 있도록 만든 기계 장치지만 제작자가 작동 방법을 공표하기 전에 사망해서 현재는 작동 방법을 알 수 없다.] || || [[파일:필트오버에서 가장 안전한 은행, 천공의 금고.jpg|width=100%]] || || 필트오버에서 가장 안전한 은행, 천공의 금고[* 이 금고는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에게 뚫린 바가 있다. 심지어 금고를 뚫은 목적도 돈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바이(리그 오브 레전드)|바이]]를 조롱하기 위해서였기에 징크스는 금고에서 한 푼도 가져가지 않았다.] || || [[파일:필트오버 재무부.jpg|width=100%]] || || 필트오버 재무부 || || [[파일:부와 지위.jpg|width=100%]] || || 부와 지위 || || 상업 건물 입구는 놀라울 정도로 정교한 모습입니다. 마법공학이 사용되기 전에 건설된 주택조차도 정교하고 섬세하게 장식되어 필트오버는 황금이 넘쳐나는 도시라는 인상을 더욱 심어줍니다. || || [[파일:경이로운 구조물.jpg|width=100%]] || || 경이로운 구조물 || || 세련된 대리석과 청동 격자, 반짝이는 유리로 이루어진 필트오버의 새로운 건축물은 깎아낸 돌과 자연 건조한 목재로 만든 오래된 건물과 고풍스운 조화를 이룹니다. 세로로 상감하여 금과 은으로 세공한 탑은 맑은 하늘까지 닿아 있습니다. 아치 모양의 다리는 절벽 사이의 깊은 골짜기를 가로지르죠. || === [[마법공학]] === || [[파일:마법공학의 산물들.jpg |width=100%]] ---- 마법공학의 산물들 || [[마법공학]](Hextech)이라고 불리는 기술은 필트오버에서 형성된 새로운 분야로, 이름 그대로 마법과 공학이 융합한 형태이다. 마법을 쓰지 못하는 사람들도 마법공학 도구를 이용하면 누구든지 마법의 힘을 쓸 수 있다. 마법공학 제품은 마법의 힘이 담긴 특수한 수정을 동력원으로 삼는 기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간단하게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에서부터 강력한 마법 광선을 쏘거나 하는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마법공학 물품은 그 제작 과정이 철저히 비밀에 부쳐지기 때문에 제작자마다 만드는 방식이 다르며, 사용자 맞춤형으로 만들어지기에 희귀하다. == 군사 == == 조직 == == 외교 == == 지리 == || [[파일:Piltover_Zaun_Connected_Cities.jpg|width=100%]] || {{{+3 '''필트오버 북부'''}}} * '''블루윈드 궁 (Bluewind Court)'''[* 궁으로 번역되었으나 하나의 궁전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Court는 유럽 도시 구성에서 안쪽에 내성벽으로 한번 더 둘러싸인 구역으로 왕족과 귀족들이 주로 거주했다]: 필트오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필트오버 북부에 위치한 블루윈드 궁에 살고 있다. * '''제이스의 실험실''': 지오파라 대저택의 일부분이고, 이 실험실은 도시에서 가장 유명한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 지오파라]][*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아케인]] 이후로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의 가문은 탈리스로 변경되어 추후 바뀔 가능성이 있다]가 작업하는 곳이다.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를 상대할때 사용한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의 머큐리 해머를 만든 곳이기도 하다. * '''시계학 협회 공방''': 부자들은 발명가들이 공방에서 마법공학을 연구할 수 있도록 후원한다. * '''메이 백작의 동물원 (Count Mei's Menagerie)''': 메이 백작의 자금 지원을 받는 동물원의 일종으로, [[룬테라]] 전역의 다양한 동식물군을 수용했다. 이 곳은 최근에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가 파괴하였다. * '''드로스미스 거리 (Drawsmith Arcade)''': 색색의 유리와 철제 기둥으로 장식된 호화스러운 번화가[*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이 단편소설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배경#s-2|추적의 스릴]]에서 범죄자를 체포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거리이다.] * '''하이머딩거의 Pyrotechnic Provisions''': 요들 발명가 [[하이머딩거|세실 B. 하이머딩거]]의 작업실. [[하이머딩거]]는 이 시설에서 많은 발명품들을 창조하고, 실험하고, 판매하였다. * '''메인스프링 크레센트 (Mainspring Crescent)''': 최신 유행하는 카페, 식당, 그리고 저녁 클럽이 즐비한 거리. 인접한 드로스미스 거리에는 주로 극장들이 있다. * '''레벡의 집 (Reveck House)''': 도시의 유명한 시계 발명가인 코린 레벡[*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의 아버지]의 거주지. * '''탐험가 조합 (The Explorers Guild House)'''[* [[이즈리얼]]이 가입하고 싶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조합]: 탐험가들을 위한 공식적인 필트오버 탐험가 조합의 집, 탐험가 조합은 룬테라 전역에서 조합원들이 고고학적 유물을 조달, 감시, 획득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유물들은 나중에 연구에 사용되거나 여러 필트오버 박물관들에 전시된다. {{{+3 '''필트오버 남부'''}}} * '''이즈리얼의 집''': 도시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 중 하나, [[이즈리얼]]이 직접 발견한 많은 종류의 유물들이 있다. * '''항성의 길 (Sidereal Avenue)''': 황금으로 포장되어 있다고 소문이 나있어 직접 찾아왔다가 실망하는 여행자들이 많다. 자신들의 부를 있는대로 과시하고 싶어하는 상인가문의 지원을 받아 이 도시의 가장 경이로운 건축물들과 거리 풍경이 있는 곳이다. 필트오버 재무부가 있는 곳이다. * '''천공의 금고 (Ecliptic Vaults)''': 이 금고는 징크스에게 뚫리기 전까진, 필트오버에서 가장 안전한 금고였다. * '''시계장치 금고 (Clockwork Vault)''': 도시 남부에 위치한 곳으로. 이 은행도 역시 안전하다고 여겨졌는데, [[트위스티드 페이트]], [[그레이브즈]]에게 뚫렸다. * '''진델로의 '미지의 룬테라 (Zindelo's Incognium Runeterra)'''': 진델로의 미지의 룬테라는 필트오버 남부, 천공의 길과 연결된 인코그니아 광장에 위치한다. 발렌티나 진델로가 평생을 바쳐 완성한 작품으로, 세계 어느 곳의 인물이라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알려져있다. 진델로가 의문사한 이후 그녀의 연금술 공식도 도난당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작동할 수 없는 상태. * '''새필라이트[* 작살잡이였던 [[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이크]]가 물고기 자울치를 잡다가 겁에 질린 동료들이 구명줄을 끊어 복수의 화신이 되어버린다. 자울치의 입안에 있는 푸른색 액체가 '새필라이트'인데, 이것을 정제하면 다양한 마법에 사용할 수 있어 부르는 게 값이다. 필트오버의 특산품이다] 길 (Sapphilite Row)''': 잘리의 옷가게가 있는 거리 * '''잘리의 옷가게 (Zalie's Expeditionary Outfitters & Haberdashery)''': 필트오버에서 가장 유명한 의류 가게로 이즈리얼이 자주 이용한다. {{{+3 '''마법공학압식 컨베이어 (Hexdraulic Conveyors)'''}}} 필트오버와 [[자운]]의 여러 도시층을 연결하는 일종의 엘리베이터. 공공 하강기[* 말은 공공이지만 비용을 지불할 수 있을만한 재력이 있는 사람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운]]의 아이들은 엘리베이터 겉에 메달려서 타고 다닌다]]와 자운의 화공남작이나 부유한 필트오버인들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사설 하강기가 있다. * '''솟아오르는 포효 (Rising Howl)'''[*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의 배경소설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배경#s-2/피어렘]]과 소설 [[진보의 날]], [[강철과 유리의 도시]]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도시 전체를 관통하는 거대한 톱니바퀴와 3개의 수직 철제빔으로 구성된 공공 하강기로 자운의 최하층에서부터 경계 구역 시장까지 연결한다. 타원형의 모양으로 윗면은 두꺼운 유리와 정교한 철 세공, [[바로크]] 양식의 격자세공, 그리고 끝없는 톱니기어로 구성되어있다. 가장 꼭대기에는 이 공공하강기 이름의 기원이 된 포효하는 모습의 철제 늑대 장식이 되어있으며, 증기 [[경적|기적]]의 역할을 한다. {{{+3 '''절벽 (The Cliff)'''}}} * '''경계 구역 시장''': 필트오버와 자운의 애매한 경계에 있는 가장 국제화된 지역으로, 물건을 사고 팔기위해 모인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볼 수 있다. * '''영광된 진화단의 제1회합 (First Assemblage of the Glorious Evolved)'''[* [[카밀]]의 단편 소설 [[카밀/배경#s-4|가장 약한 심장]]의 배경이 되는 장소이다]: 필트오버 남부의 경계 구역 시장에 위치하는, 영광된 진화단 신도들이 그들의 성인인 회색의 숙녀(the Gray Lady)를 숭배하기 위해 모이는 종교건물. 이곳은 권리를 박탈당한 사람들이 피난처를 찾기 위해 오는 곳이기도 하고, 불구자들이 기술적인 기적을 찾기 위해 오는 곳이기도 하다. * '''태양 관문''': 필트오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이 거대한 수문이 건설되면서 필트오버는 발로란과 [[슈리마]] 사이의 상업무역 중심지로 거듭났다. '태양 관문'이라는 이름은 슈리마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이 수문은 도시의 필요에 의해 건설되었지만, 건설 도중 발생한 사고로 자운의 넓은 영역이 바다 속에 가라앉고 말았다. '진보의 날'은 필트오버에 무역이 활발해져 도시의 통치자들에게 상상할 수 없는 막대한 부를 가져다 준 태양 관문이 처음으로 열린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반면 자운에서는 동서 교역로가 생김과 동시에 도시의 대부분이 물 속에 잠겨버린 비극적인 지각변동을 기억하는 날이다. 태양 관문 덕분에 필트오버가 청구하는 막대한 군사 통행료에도 불구하고 녹서스 제국이 해안을 따라 급속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했다. * '''Wharfside 부두''': 태양 관문의 아래쪽 끝에 위치한 필트오버의 해협은 매일 주요 항구의 배들이 태양 관문을 통과하는 등 항상 분주하다. || [[파일:발로란에 미치는 영향.jpg|width=100%]] || || 발로란에 미치는 영향 || || 무역은 필트오버의 생명줄입니다. 필트오버는 동서를 잇는 주요 항로를 차지하면서 막대한 부를 쌓아 왔습니다. 그 덕에 군대와 공급 물자가 비교적 쉽게 발로란 전역을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녹서스 제국이 빠르게 확장되었고, 이는 빌지워터의 번영에도 보탬이 되었습니다. 필트오버를 오가는 배를 먹잇감으로 삼는 해적과 약탈자들에게 빌지워터가 좋은 안식처였기 때문이죠. || 발로란 대륙 동서를 잇는 항로를 차지하는 위치이며, 무역을 통해 쌓은 부를 기반으로 발로란 대륙의 문화의 중심지로 손꼽힌다. 한마디로 필트오버의 과학력은 룬테라 제일이며, 발로란 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과학과 학문의 요충지이다. || [[파일:무역과 진보.jpg|width=100%]] || || 무역과 진보 || || 고대 도시 자운은 슈리마 북부의 교역소였지만, 삼천 년 후 필트오버에 수문이 건설되면서 더욱 번영하게 되었습니다. || || [[파일:태양 관문.jpg|width=100%]] || || 태양 관문 || || 이 수문이 건설되면서 필트오버는 발로란과 슈리마 사이의 상업 무역 중심지로 거듭났으며, 도시의 통치자들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습니다. || 필트오버가 있는 절벽 아래에는 [[자매 도시]]인 자운이 있다. 두 도시는 원래 하나의 도시였지만 운하의 개통식 날 원인을 알 수 없는 거대한 폭발로 인한 지진으로 두개의 나라로 나뉘어졌다. 이와 동시에 유독한 화학가스가 유출되면서 자운이 있던 곳을 뒤덮어 현재의 유독한 자운의 환경이 만들어졌다. 필트오버는 이런 지옥같은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라앉은 자운의 상층부에 건설된 도시이다. 즉 자운에서 필트오버가 분화된 것. 현재 유니버스가 창설되어 새롭게 나온 '메다르다 가문의 가보'의 내용을 보면 데마시아와는 무역이 금지되어 있으며[* 아마 데마시아의 마법 혐오 사상 때문으로 보인다. 마법공학도 결국은 마법이기 때문.], 밴들 시티는 요들만 들어갈 수 있는 미지의 공간이라는 설정이 되어서 더 이상 교류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녹서스와 교류를 하며 동시에 녹서스가 필트오버를 침략할 것을 경계하는 상태. == 야생 == == 소속 챔피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필트오버)] 챔피언 수가 워낙 적어 EU 조합의 수가 굉장히 적다. 특히 서포터가 주 포지션으로 쓰이는 챔피언이 없다.[* 오리아나와 하이머딩거에 서포터 태그가 달려있긴 하지만 챔피언 태그의 서포터는 EU스타일의 서포터와는 개념이 다르고, 두 챔피언 역시 서포터로 주류로 쓰인 적이 없다. 카밀의 경우 LCK에서 드물게 기용된 적이 있지만 역시 탑/정글/미드에 비해 주력 포지션이라고 하기는 민망한 픽률과 승률을 보인다.] 다만 미드/서폿 포지션인 세라핀의 출시로 드디어 필트오버에도 서포터 챔피언이 나왔다. 공교롭게도 13년 이후로 챔피언의 출시 수가 굉장히 적은 지역인데 이후 출시된 챔피언들인 [[세라핀]]과 [[카밀]]이 모두 완성도를 비롯한 여러가지 측면에서 비판받는 챔피언들이다. 과학 도시에 걸맞게 유틸리티가 좋은 챔피언들이 다수다. == 기타 == || [youtube(mq3_876lnTw)] || 구 배경의 필트오버는 [[녹서스]]를 지원하는 [[자운]]처럼 [[밴들시티]]와 [[데마시아]]와 협력 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건과 이야기의 중심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구 설정 필트오버의 도시 모습은 [[달라란]]과 매우 흡사했다. 물론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 하지만 2013년 [[바이(리그 오브 레전드)|바이]]의 등장으로 필트오버는 순식간에 가장 팬들이 관심있어 하는 도시로 탈바꿈한다. 특히 특유의 [[스팀펑크]] 분위기를 부각시켰다. 개인적인 배경이 많은 타국의 챔피언들과 달리 필트오버에 관련된 챔피언들은 자국 내의 인물들과 연관이 아주 깊게 설정되어 있는 것도 한 몫을 했다. 냉철하게 범죄자를 쫓는 보안관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과 수사보다는 무모하게 현장으로 들어가려 하는 필트오버의 집행자 [[바이(리그 오브 레전드)|바이]], 홀로 [[자운]]으로 쳐들어가 나라의 위기를 구한 [[슈퍼맨|미래의 수호자]]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까지 히어로물과 형사물의 분위기가 뒤섞여 있다. 아군만 있는 것이 아니라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와 같은 적절한 악역들도 추가되어 챔피언 간의 관계나 표현하기 쉬운 도시 분위기까지[* 설정 정립 이전에는 19세기 유럽풍 도시부터 비교적 현대적인 도시로 묘사되기까지 했다.] 갖추고 있어 필트오버는 한때 기술 발전의 요충지가 아니라 팬픽의 요충지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라이엇 게임즈 특유의 설정 갈아엎기와 유니버스 설립 이후 필트오버에는 부정적인 이미지도 생기고 자운에도 긍정적인 이미지가 여럿 생기고 선악 개념이 많이 옅어지면서 이런 팬픽도 많이 주춤해진 상황이다.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데, 필트오버는 아직 마법공학 진공관을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것 같은 컴퓨터가 없다. 다만 부족한 기술은 마법으로 보충하기에, ai 블리츠크랭크나 인간의 뇌를 완벽하게 업로드한 오리아나 같은 초월적 기술이 탄생할 수 있었다. 녹서스나 아이오니아 등과는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https://event.leagueoflegends.co.kr/piltover/medarda-heirloom.php|메다르다 가문의 무역 지도]]가 공개되었다. 녹서스와 적극적으로 무역을 하고있다.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지역]][[분류:아케인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