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순우리말]] [목차] [clearfix] == 일반적인 의미의 '하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Clear_sky.jpg|width=4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nset02.jpg|width=450]]}}} || 지평선 또는 수평선 위로 보이는 무한대의 넓은 공간. 사람들이 흔히 보는 하늘의 다양한 모습은 [[지구]]의 [[대기]]가 있기에 볼 수 있는 것이지만, 대기가 희박한 [[달]]이나 다른 [[행성]]에서도 땅이 있으면 그와 대비되는 공간을 하늘이라 할 수 있다. 맑은 날에는 기본적으로 아래로 내려갈 수록 진해지는 연한 푸른색을 띈다. 새벽녘이나 노을에는 붉은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이 섞여 다채롭다. 먹구름으로 덮여있을 때엔 푸른빛이 섞인 짙은 회색을 띈다. [[밤(시간)|밤]]이 되면 검게 변하지만, 매우 짙은 [[보라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톰 클랜시]]의 소설 [[레인보우 식스]]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야간작전을 수행하던 저격수가 짙은 보랏빛 길리슈트를 입어 몸을 위장한다.] 구름이 적고 [[빛공해]]로부터 자유로운 자연에 있다면 수많은 별을 볼 수 있다. 해와 달이 번갈아 하늘에 뜬다는 통념과 달리, 달의 공전 주기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의 공전 주기와 다르기 때문에 종종 낮에도 달이 뜬 것을 볼 수 있다. 고대부터 인간은 [[비행|하늘에 닿고 싶어했다]]. 하지만 대부분에 신화 속에서 이런 시도의 결말은 좋지 못하다. 당장 [[성경]]의 [[바벨탑]]에선 건물을 하늘까지 쌓아올리는 인간의 오만에 하느님이 노해 사람들이 각기 다른 언어를 쓰게 만들어 소통하지 못하게 하며,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카루스]]는 밀랍 날개로 하늘을 날게 되었지만 태양빛에 의해 밀랍이 녹아 추락하고 말았다. 동양의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또한 이런 범주에 든다. === 대기과학적 의미 === [[파일:/100/sub/112989_0.gif|width=500]] [[비(날씨)|비]], [[눈(날씨)|눈]], [[우박]]의 출처.[* [[번개]]는 하늘에서 보이는데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번개]] 항목 참고.][* 엄밀히 말하자면 번개가 치고 난 후의 섬광이 하늘에서 치는 것이 아니다. 번개가 구름에서 치기는 하지만 그중 80%는 구름에서 구름으로 치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구름이 생겨나서 비, 눈, 우박 등의 날씨를 일으키는 곳은 하늘 중에서 [[대기권]]의 지상고도 10km까지인 [[대류권]]이고, 그 위로 지상고도 50km까지의 [[성층권]]에 들어가면(제트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곳) 구름이 없다. 그 위로 다시 지상고도 80km까지가 [[중간권]]이고, 지상고도 100km대에 분포하는 전리층을 넘어가면 [[열권]]에 해당한다. [[열권]]부터는 우주산업에서 인정하는 [[우주]]공간으로, 인공위성이 날아다니는 곳은 이 [[열권]]이다. 열권의 영역은 지상고도 1000km까지로 그 너머는 더 이상 지구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열권을 지구 영역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오로라]]가 열권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늘을 [[대류권]]으로 한정하면 그 높이는 10km이고, [[대기권]](전리층까지) 전체로 확장하더라도 그 높이는 100km이다. 마라톤 코스의 길이가 42.195km이니 마라톤 풀코스를 두 번 달리면 하늘 꼭대기까지(전리층까지) 달려간 셈이다. 인간이 수평에 비해 수직을 극복하기가 얼마나 힘든지에 대한 최고의 증거. 하늘의 색이 파란 이유는 대기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분자 단위의 [[레일리 산란]] 공식에 의하면 산란광의 세기는 파장의 네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통의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되어 푸른색의 하늘을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하늘은 머리 위에 따로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라 보는 사람의 눈높이 위로 펼쳐지는 대기권의 가시영역 전체를 말한다. 구덩이를 파고 지하로 들어가서 눈높이가 땅보다 낮아진다 해도 그곳에 공기가 있는 한 보는 사람의 눈높이 위의 공기는 모두 하늘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정의는 대기권 상층부까지 트인 곳만을 이르므로, 반대로 높은 건물이라도 천장에 가려지면 하늘이라 할 수 없다. [[바다]]가 푸른빛을 띠는 까닭은 산란 현상에 의한 것이다. 물 분자는 붉은색 계통의 빛에 공명하여 붉은빛에 가까운 빛일수록 잘 흡수한다. 따라서 붉은빛 계열에 속한 빛은 20m도 못 가서 모두 흡수된다. 이때 파란색 계열에 속한 빛은 거의 흡수가 되지 않고 주로 물 분자에 부딪쳐 산란된다. 그렇게 푸른빛이 산란되어 바다에서 퍼져 바다가 푸른빛을 띠게 되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t-Fw3VtT5a4|대류권과 성층권이 찍힌 영상이며]] [[https://www.youtube.com/watch?v=xNrtnJQ4q90|하늘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걸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긱블|한 유튜버]]가 고도까지 표시하였으며 추가로 [[치킨]]을 약 14,200M이상 고도의 성층권까지 올려보낸 동영상까지 있다. 전문적으로 날려보낸것은 아니기에 낮은 기온으로 인한 카메라 고장이 발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fF_aOPSr-M|그 와중에 치킨의 상태는 멀쩡했다.]] === 하늘을 주요 소재로 삼은 작품들 === * [[거꾸로 된 파테마]] * [[소라토로보]] * [[소라(게임)]] * [[아이젠 플뤼겔]] * [[하늘이시여]] * [[에어기어]] * [[천공의 성 라퓨타]] * [[테일 콘체르토]] * [[푸른 저편의 포리듬]] * [[하늘의 유실물]] * [[AIR(게임)|AIR]] * [[sola]] *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 [[업(애니메이션)]] * [[펼쳐지는 스카이! 프리큐어]] === 관련 문서 === * [[스카이]] * [[시엘]] * [[천공]] * [[천국]] * [[천계]] * [[푸른 하늘의 날]] * [[하늘색]] * [[하늘나라]]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2>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하늘[ha.nɨl]([[순우리말]]) || ||하ᄂᆞᆶ(hànólh) → 하ᄂᆞᆯ ([[중세 한국어]]) || || [[한자|{{{#373a3c,#ddd '''한자'''}}}]] ||[[天]]([[천]]), 天[[空]]([[천공(동음이의어)|천공]]), [[乾]]([[건]]) || || [[갈리시아어|{{{#373a3c,#ddd '''갈리시아어'''}}}]] ||ceo || ||<|2>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우라노스|ουρανός(ouranós, 우라노스)]] || ||[[https://en.wiktionary.org/wiki/sky/translations|οὐρανός(ŏuranŏs, ouranós)]]([[고전 그리스어]]) || || [[나나이어|{{{#373a3c,#ddd '''나나이어'''}}}]] ||[[보아(동음이의어)|боа(boa, 보아)]] || ||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der Himmel(힘멜)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cælum/caelum(카일룸, 첼룸), mundus(문두스), æther/aether, sīdus/sidus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небо(nebo, 네보)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langit(란기트) || || [[만주어|{{{#373a3c,#ddd '''만주어'''}}}]] ||[[압카|ᠠᠪᡴᠠ(abka, 압카)]] || || [[몰타어|{{{#373a3c,#ddd '''몰타어'''}}}]] ||[[세마|sema(세마)]]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тэнгэр(tenger, 텐게르, 텡글)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trời(쩌이), bầu trời(바우 쩌이), thiên đường || || [[산스크리트어|{{{#373a3c,#ddd '''산스크리트어'''}}}]] ||दिव(divaḥ), [[아카샤|आकाश(ākāśa, 아카샤)]], स्वर्ग(svarga), नभसः(nabʰasaḥ), nábʰas/nabhas || ||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firmamento, cielo || ||<|3>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سماء(samāʾ, 샤마) || ||سما(samāʾ, 샤마)([[이집트 아랍어]]) || ||سما(sama)([[아랍어 방언|히자즈 아랍어]]) || ||<|2>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https://archive.is/vPBDQ|ĉielo]] || ||cielo([[이도]]) || ||<|2> [[영어|{{{#373a3c,#ddd '''영어'''}}}]] ||[[스카이|sky(스카이)]], [[셀레스티아|celestial]] || ||ski, skie, skew([[중세 영어]]) || || [[우드무르트어|{{{#373a3c,#ddd '''우드무르트어'''}}}]] ||[[인|ин(in, 인)]], инбам(inbam, 인밤) || || [[이어|{{{#373a3c,#ddd '''이어'''}}}]] ||[[무|ꃅ(mu, 무)]](사천이어) || ||<|4>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cielo || ||chelu([[사르데냐어]]) || ||celu([[시칠리아어]]) || ||cîl([[프리울리어]]) || ||<|3>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소라|[ruby(空, ruby=そら)](sora, 소라)]], [[오오조라|[ruby(大空, ruby=おおぞら)](ōzora, 오오조라)]], [ruby(天空, ruby=てんくう)](tenkū), [[아메|[ruby(天, ruby=あめ)](ame, 아메)]]([[고어]]), [ruby(天津空, ruby=あまつそら)](아어(雅語)) || ||nis/ニㇱ, kando/カンド(kando)([[아이누어]]) || ||すら([[오키나와어]]) || ||<|4>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ruby(天, ruby=tiān)], [ruby(天空, ruby=tiānkōng)], [ruby(苍穹, ruby=cāngqióng)] || ||[ruby(天, ruby=tin)]([[광동어]]) || ||тян(ti͡an), асмон(asmon), асмар(asmar)([[둥간어]]) || ||[ruby(天, ruby=thie)]([[오어]]) || || [[카탈루냐어|{{{#373a3c,#ddd '''카탈루냐어'''}}}]] ||[[셀|cel(셀)]]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파|ฟ้า(fáa/faa, 파-)]], ท้องฟ้า(tɔ́ɔng-fáa, tĥxngf̂ā, 텅파), ผืนฟ้า(픙파), แผ่นฟ้า(팬파) || ||<|3>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Gökyüzü, Gök || ||𐰚𐰇𐰚(kük /kök/), 𐱅𐰭𐰼𐰃(t²ŋr²i /teŋri/)([[튀르크어족|고대 튀르키예어]]) || ||آسمان(âsmân), سما(semâ), سموات(semâvât)(복수), كوك(gök)([[오스만어]]) || ||<|5>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آسمان(ās[e]mān), سپهر(sepehr), جو(javv) || ||assamän([[파르티아|파르티아어]]) || ||𐭠𐭮𐭬𐭠𐭭(ʾsmʾn /āsmān/)([[페르시아어|중세 페르시아어]]) || ||اسمان(asmān)([[다리어]]) || ||осмон(osmon), фалак(falak)([[타지크어]]) || ||<|2>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céu(세우) || ||ceo([[포르투갈어|고대 포르투갈어]]) || ||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시엘|ciel(시엘)]]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taivas(타이바스) || || [[하우사어|{{{#373a3c,#ddd '''하우사어'''}}}]] ||[[사마|sama(사마)]]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שמים/ שָׁמַיִם(šamáyim, 샤마임)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게르만조어|{{{#373a3c,#ddd '''게르만조어'''}}}]] ||*skiwją, *skiwô || || [[프로이센어|{{{#373a3c,#ddd '''고대 프로이센어'''}}}]] ||[[https://en.wiktionary.org/wiki/sky/translations|dāngs]] || || [[고전 이집트어|{{{#373a3c,#ddd '''고전 이집트어'''}}}]] ||pet(/pit/ → /piʔ/ → /peʔ/) || || [[과라니어|{{{#373a3c,#ddd '''과라니어'''}}}]] ||[[https://archive.is/vPBDQ|yvága]] || || [[교회 슬라브어|{{{#373a3c,#ddd '''교회 슬라브어'''}}}]] ||ⰐⰅⰁⰑ/нєбо(nebo, 네보) || || [[구자라트어|{{{#373a3c,#ddd '''구자라트어'''}}}]] ||આકાશ(ākāś) || || [[꽁옹어|{{{#373a3c,#ddd '''꽁옹어'''}}}]] ||kùu ǂèe || || [[나바호어|{{{#373a3c,#ddd '''나바호어'''}}}]] ||yá || || [[나와틀어|{{{#373a3c,#ddd '''나와틀어'''}}}]] ||iluikatl, ilhuicatl || || [[나우루어|{{{#373a3c,#ddd '''나우루어'''}}}]] ||itůga(이투가)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hemel(헤멜) (de), lucht (de), firmament (het) || || [[네팔어|{{{#373a3c,#ddd '''네팔어'''}}}]] ||आकाश(ākās, aakaash) || || [[달마티아어|{{{#373a3c,#ddd '''달마티아어'''}}}]] ||cil || ||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himmel(힘멜) || || [[디베히어|{{{#373a3c,#ddd '''디베히어'''}}}]] ||އުޑު(uḍu) || || [[라디노어|{{{#373a3c,#ddd '''라디노어'''}}}]] ||sielo || || [[라오어|{{{#373a3c,#ddd '''라오어'''}}}]] ||ທ້ອງຟ້າ(thǭng fā), ຟ້າ(fā) || || [[라트갈레어|{{{#373a3c,#ddd '''라트갈레어'''}}}]] ||dabasi || || [[라트비아어|{{{#373a3c,#ddd '''라트비아어'''}}}]] ||debess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레즈긴어'''}}}]] ||цав(cav) || || [[로망슈어|{{{#373a3c,#ddd '''로망슈어'''}}}]] ||tschiel, tschêl || ||<|4>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cer/чер(제르) || ||tser(아루마니아 방언) || ||țer, tser(메글로-루마니아 방언) || ||țer(이스트로-루마니아 방언) || || [[리보니아어|{{{#373a3c,#ddd '''리보니아어'''}}}]] ||tōvaz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 '''리투아니아어'''}}}]] ||dangus(단구스), padangė || || [[마라티어|{{{#373a3c,#ddd '''마라티어'''}}}]] ||आकाश(aakaash) || || [[마사이어|{{{#373a3c,#ddd '''마사이어'''}}}]] ||enkai || ||<|2> [[마야어|{{{#373a3c,#ddd '''마야어'''}}}]] ||kaʼan || ||vinajel([[마야어|초칠어]]) || || [[마오리어|{{{#373a3c,#ddd '''마오리어'''}}}]] ||rangi(랑이) || || [[말라가시어|{{{#373a3c,#ddd '''말라가시어'''}}}]] ||lanitra || || [[말라말람어|{{{#373a3c,#ddd '''말라말람어'''}}}]] ||ആകാശം(ākāśaṁ) || || [[몽어|{{{#373a3c,#ddd '''몽어'''}}}]] ||ntuj(백몽어) || || [[므엉어|{{{#373a3c,#ddd '''므엉어'''}}}]] ||tlời || || [[미얀마어|{{{#373a3c,#ddd '''미얀마어'''}}}]] ||ကောင်းကင်(kaung:kang), မိုး(mui:), ကောင်းကင(카우기), မိုးကောင်းကင်(moekaunggkain) || ||<|2>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zerua, zeru(제루) || ||*ortzi(오르치), *zelu([[바스크어|원시 바스크어]]) || || [[바시키르어|{{{#373a3c,#ddd '''바시키르어'''}}}]], [[타타르어|{{{#373a3c,#ddd '''타타르어'''}}}]] ||күк(kük) || || [[발루치어|{{{#373a3c,#ddd '''발루치어'''}}}]] ||آزمان(ázmán), آسمان(ásmán)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не́ба(njéba) || || [[발트핀어군|{{{#373a3c,#ddd '''벱스어'''}}}]] ||taivaz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আকাশ(akaś, ākāśa) || || [[볼라퓌크|{{{#373a3c,#ddd '''볼라퓌크'''}}}]] ||sil || || [[부기스어|{{{#373a3c,#ddd '''부기스어'''}}}]] ||langiq || || [[부랴트어|{{{#373a3c,#ddd '''부랴트어'''}}}]] ||тэнгэри(tengeri)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небе́(nebé) || || [[브르타뉴어|{{{#373a3c,#ddd '''브르타뉴어'''}}}]] ||oabl, neñv(br) || || [[사모아어|{{{#373a3c,#ddd '''사모아어'''}}}]], [[통가어|{{{#373a3c,#ddd '''통가어'''}}}]] ||laŋi(랑이) || ||<|2> [[사미어|{{{#373a3c,#ddd '''사미어'''}}}]] ||albmi(북부 사미어) || ||alme(이나리 사미어) || || [[사하어|{{{#373a3c,#ddd '''사하어'''}}}]] ||халлаан(xallaan) || || [[샨어|{{{#373a3c,#ddd '''샨어'''}}}]] ||ၽႃႉ(phâ̰a) || || [[서유구르어|{{{#373a3c,#ddd '''서유구르어'''}}}]] ||kük || ||<|2>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не̏бо, nȅbo || ||nebo(네보)([[크로아티아어]]) || || [[셈어파|{{{#373a3c,#ddd '''셈조어'''}}}]] ||*šamāy- || || [[소말리어|{{{#373a3c,#ddd '''소말리어'''}}}]] ||cir || || [[순다어|{{{#373a3c,#ddd '''순다어'''}}}]] ||awang || || [[카르트벨리어족|{{{#373a3c,#ddd '''스반어'''}}}]] ||დეც || || [[스와힐리어|{{{#373a3c,#ddd '''스와힐리어'''}}}]] ||mbingu(음빙구[* 음빙구는 그대로 음빙구라 읽지 않고 밍+빙 발음을 합친 정도로 발음하면 자연스럽다.]), anga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sky, skyar; himmel(힘멜) || || [[스코트어|{{{#373a3c,#ddd '''스코트어'''}}}]] ||lint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nebo, nébes([[고어]]) || || [[슬로비오|{{{#373a3c,#ddd '''슬로비오'''}}}]] ||небо/nebo || || [[싱할라어|{{{#373a3c,#ddd '''싱할라어'''}}}]] ||අහස(ahasa), ආකාශය(ākāśaya) || || [[아디게어|{{{#373a3c,#ddd '''아디게어'''}}}]] ||ошъуапщэ(oŝ°āpš̍ă) || ||<|2> [[아람어|{{{#373a3c,#ddd '''아람어'''}}}]] ||lܫܡܝܐ(šəmayyā)(신아시리아) || ||שְׁמַיָּא(šəmayyā)(유대 아시리아 아람어) || ||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երկինք(erkinkʿ) || || [[인도이란어파|{{{#373a3c,#ddd '''아베스타어'''}}}]] ||asman, naba || || [[아삼어|{{{#373a3c,#ddd '''아삼어'''}}}]] ||আকাশ(akax) || || [[아스투리아스|{{{#373a3c,#ddd '''아스투리아스어'''}}}]] ||cielu || || [[아이마라어|{{{#373a3c,#ddd '''아이마라어'''}}}]] ||alaxa pacha, laqampu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himinn || || [[아이티 크레올어|{{{#373a3c,#ddd '''아이티 크레올어'''}}}]] ||syèl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göy, səma || || [[아파치|{{{#373a3c,#ddd '''아파치어'''}}}]] ||yáá, yaaʼ(서부 아파치어) || || [[아프리칸스어|{{{#373a3c,#ddd '''아프리칸스어'''}}}]] ||lug || ||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qiell || || [[알타이어|{{{#373a3c,#ddd '''알타이어'''}}}]] ||теҥери || || [[암하라어|{{{#373a3c,#ddd '''암하라어'''}}}]] ||ሰማይ(sämay) || || [[압하스어|{{{#373a3c,#ddd '''압하스어'''}}}]] ||ажәҩан(až°ʿ°an) || || [[대만 제어|{{{#373a3c,#ddd '''야미어'''}}}]] ||angit || || [[어웡키어|{{{#373a3c,#ddd '''어웡키어'''}}}]] ||няӈня(ņaŋņa), няӈна || || [[우랄어족|{{{#373a3c,#ddd '''에르자어'''}}}]] ||менель(menelʹ)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taevas || || [[에트루리아어|{{{#373a3c,#ddd '''에트루리아어'''}}}]] ||𐌀𐌉𐌈𐌕𐌓𐌀(aiθtra) || || [[오로모어|{{{#373a3c,#ddd '''오로모어'''}}}]] ||samii || || [[오로첸어|{{{#373a3c,#ddd '''오로첸어'''}}}]] ||bʊwa || || [[오리야어|{{{#373a3c,#ddd '''오리야어'''}}}]] ||ଆକାଶ(akaśô) || || [[오세트어|{{{#373a3c,#ddd '''오세트어'''}}}]] ||арв(arv), уӕларв(wælarv) || ||<|2> [[오크어|{{{#373a3c,#ddd '''오크어'''}}}]] ||cèl || ||cièl([[프로방스|프로방스어]]) || || [[왈롱어|{{{#373a3c,#ddd '''왈롱어'''}}}]] ||cir || || [[우가리트|{{{#373a3c,#ddd '''우가리트어'''}}}]] ||𐎌𐎎𐎎(šmm) || || [[우르두어|{{{#373a3c,#ddd '''우르두어'''}}}]] ||آسمان(āsmān), آکاش(ākāś), گگن(gagan), امبر(ambar)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osmon(어스먼), samo(사머) || || [[월로프어|{{{#373a3c,#ddd '''월로프어'''}}}]] ||asamaan || ||<|2> [[위구르어|{{{#373a3c,#ddd '''위구르어'''}}}]] ||ئاسمان(asman), كۆك(kök) || ||tnkry(teŋri)([[위구르어|고대 위구르어]]) || ||<|3> [[이누이트어|{{{#373a3c,#ddd '''이누이트어'''}}}]] ||ᕿᓚᒃ(qilak) || ||qiḷak(이누피아툰) || ||qilak([[그린란드어|그린란드어(칼랄리숫)]]) || || [[이디시어|{{{#373a3c,#ddd '''이디시어'''}}}]] ||הימל(himl) || || [[인구시어|{{{#373a3c,#ddd '''인구시어'''}}}]] ||сигале(sigale) || || [[인도유럽조어|{{{#373a3c,#ddd '''인도유럽조어'''}}}]] ||*dyēus, déiwos || || [[인테르링구아|{{{#373a3c,#ddd '''인테르링구아'''}}}]] ||celo || || [[자자어|{{{#373a3c,#ddd '''자자어'''}}}]] ||ezman || ||<|3>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ცა(ca) || ||მცა(mca)([[라즈어]]) || ||ცაშ(caš)([[카르트벨리어족|스반어]]) || || [[좡어|{{{#373a3c,#ddd '''좡어'''}}}]] ||mbwn, fax(방언) || || [[줄루어|{{{#373a3c,#ddd '''줄루어'''}}}]] ||isibhakabhaka, izulu, amafu, ilizulu || || [[브르타뉴어|{{{#373a3c,#ddd '''중세 브르타뉴어'''}}}]] ||neff || || [[베르베르어|{{{#373a3c,#ddd '''중앙 아틀라스 베르베르어'''}}}]] ||ⵉⴳⵏⵏⴰ(ignna) || || [[경파족|{{{#373a3c,#ddd '''징포어'''}}}]] ||lamu || || [[차모로어|{{{#373a3c,#ddd '''차모로어'''}}}]] ||långet || || [[체로키어|{{{#373a3c,#ddd '''체로키어'''}}}]] ||ᎦᎸᎶᎢ(galvloi) || || [[체첸어|{{{#373a3c,#ddd '''체첸어'''}}}]] ||стигал(stigal) || ||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nebe(네베), obloha || || [[추바시어|{{{#373a3c,#ddd '''추바시어'''}}}]] ||тӳпе(tüp̬e)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카바르다어'''}}}]] ||уафэ(wāfă)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аспан(aspan, 아스판), көк(kök) || || [[칸나다어|{{{#373a3c,#ddd '''칸나다어'''}}}]] ||ಆಕಾಶ(ākāśa), ಗಗನ(gagana) || || [[칼미크어|{{{#373a3c,#ddd '''칼미크어'''}}}]] ||теңгр(teñgr) || || [[케추아어|{{{#373a3c,#ddd '''케추아어'''}}}]] ||hanaq pacha || ||<|3> [[켈트어파|{{{#373a3c,#ddd '''켈트어파'''}}}]] ||aer, neamh, spéir([[아일랜드어]]) || ||nem(넴)(고대 [[브르타뉴어]], 고대 [[아일랜드어]]) || ||awyr, wybren, wybr([[웨일스어]]) || || [[코만치어|{{{#373a3c,#ddd '''코만치어'''}}}]] ||tomoobi || || [[코사어|{{{#373a3c,#ddd '''코사어'''}}}]] ||isibhakabhaka, izulu || ||<|2> [[콥트어|{{{#373a3c,#ddd '''콥트어'''}}}]] ||ⲫⲉ(phe)(보하이라 방언) || ||ⲡⲉ(pe)(사히디 방언) || || [[콘월어|{{{#373a3c,#ddd '''콘월어'''}}}]] ||ebron, ebrenn || || [[크메르어|{{{#373a3c,#ddd '''크메르어'''}}}]] ||មេឃ(meik, mekh) || ||<|2> [[쿠르드어|{{{#373a3c,#ddd '''쿠르드어'''}}}]] ||ئاسمان(asman)(소라니 방언) || ||esman(쿠르만지 방언) || || [[키르기스어|{{{#373a3c,#ddd '''키르기스어'''}}}]] ||асман(asman), көк(kök) || || [[키리바시어|{{{#373a3c,#ddd '''키리바시어'''}}}]] ||kárawa(카라와) || || [[타밀어|{{{#373a3c,#ddd '''타밀어'''}}}]] ||ஆகாயம்(ākāyam), வானம்(vāṉam, 바남), வானத்தில்(vāṉattil) || || [[타히티어|{{{#373a3c,#ddd '''타히티어'''}}}]] ||raʻi || || [[테툼어|{{{#373a3c,#ddd '''테툼어'''}}}]] ||lalehan || || [[텔루구어|{{{#373a3c,#ddd '''텔루구어'''}}}]] ||ఆకాశము(ākāśamu), గగనము(gaganamu), ఆకాశంలో(ākāśanlō) || ||<|2> [[토하라어|{{{#373a3c,#ddd '''토하라어'''}}}]] ||eprer(토하라어 A: 카라샤르 방언) || ||iprer(토하라어 B: 쿠처 방언) || || [[티그리냐어|{{{#373a3c,#ddd '''티그리냐어'''}}}]] ||ሰማይ(sämay) || || [[티베트어|{{{#373a3c,#ddd '''티베트어'''}}}]] ||གནམ(gnam) || || [[파슈토어|{{{#373a3c,#ddd '''파슈토어'''}}}]] ||هسک(hask), آسمان(āsmān) || || [[팔라우어|{{{#373a3c,#ddd '''팔라우어'''}}}]] ||eánged(에앙엣) || || [[페니키아어|{{{#373a3c,#ddd '''페니키아어'''}}}]] ||𐤔𐤌𐤌(šmm) || || [[페로어|{{{#373a3c,#ddd '''페로어'''}}}]] ||himin, himmal || || [[펀자브어|{{{#373a3c,#ddd '''펀자브어'''}}}]] ||ਅਸਮਾਨ(asamān), ਆਕਾਸ਼(ākāś), ਅਸਮਾਨ(asamāna) || || [[폴라브어|{{{#373a3c,#ddd '''폴라브어'''}}}]] ||nebü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niebo, firmament || ||<|2> [[프리지아어|{{{#373a3c,#ddd '''프리지아어'''}}}]] ||Heemel(자터란트 프리지아어) || ||himel(서프리지아어) || || [[우토아즈텍어족|{{{#373a3c,#ddd '''피필어'''}}}]] ||ilwikak, ilhuicac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kalangitan || || [[하와이어|{{{#373a3c,#ddd '''하와이어'''}}}]] ||lani(라니)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ég(엑), égbolt, mennybolt || ||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आसमान (āsmān), [[아카샤|आकाश(ākāś, a:ka:sh, akasha, 아카샤)]], अम्बर(ambar), गगन(gagan), नभ(nabh), आभ(ābh) || || [[히타이트#s-4|{{{#373a3c,#ddd '''히타이트어'''}}}]] ||𒉈𒂊𒁉𒅖 (nēpis, nēpiš-) || || {{{#373a3c,#ddd '''힐리가이논어'''}}} ||ginhanan, sielo ||}}}}}}}}} || [[기본어휘]]에 속한다. 하늘은 [[순우리말]]이다. 과거 [[중세 한국어]] 때는 '하ᄂᆞᆶ'의 형태로 나타났다. 하ᄂᆞᆶ은 모음이나 ㄱ, ㄷ, ㅂ 앞에서는 ㅎ이 나타나고, 그 이외에서는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말음 체언]]이었다. 이후 ㅎ이 완전히 탈락하고, 어중의 [[ㆍ|아래아]]가 'ㅡ'가 되었다. 조선 후기의 언중들은 [[동학]]의 예에서 보듯 '한-(큰)'과 '울'(울타리)[* 울타리는 울타리를 뜻하는 '욿'에 '다리'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욿도 [[ㅎ 말음 체언]]이었기에, 더 확신한 듯 하다.]의 합성어가 하늘의 어원이라고 추측한 듯하다. == 색깔 == * [[하늘색]] == 하늘이란 이름을 가진 인물 == 하늘은 세계적으로 남성성에 대응되기에 남성의 이름으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이는 [[바다]]가 문화권을 막론하고 여성의 이름으로 취급되는 것과 대비된다. === 실존인물 === * [[강하늘]]: 뮤지컬 출신 배우. * [[권하늘]]: 여자 축구선수. * [[김하늘(동명이인)|김하늘]] * 배우 [[김하늘]] * 피디 [[김하늘(PD)]] * 변호사 [[김하늘(변호사)]] * 프로골퍼 [[김하늘(골프선수)]] * 프로게이머 [[김하늘(프로게이머)]] *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하늘(피겨 스케이팅)]] * 유튜버 [[김스카이]]의 본명 * [[하늘(차라리단추)]]의 본명 * [[남하늘]]: 축구선수 * [[빈하늘]]: [[아이돌학교]] 출연자 * [[신하늘]]: 前 프로게이머 * [[이하늘]]: 가수 [[DJ DOC]]의 리더[* 본명은 이근배] * [[하느르|정하늘]]: 스트리머 [[하느르]] * 최하늘 * [[최하늘]]: 야구선수 * [[하늘(세러데이)|최하늘]]: 걸그룹 [[세러데이]]의 前 멤버 * 하늘 * 가수 [[로티플스카이]]의 前 예명 * 보이그룹 [[ARGON]]의 멤버 * 인터넷 쇼핑몰 '하늘하늘' 대표/유튜버 - [[하늘(1993)]] * 제명된 프로게이머 - [[하늘(1994)]] * [[하늘1호]]: 자동차 유튜브 채널 [[섬즈자동차공방]]에 출연하는 인물 * [[하늘(KISS OF LIFE)|원하늘]]: 걸그룹 [[KISS OF LIFE]]의 멤버 === 가상인물 === * [[가면라이더 위자드]] - [[타키가와 소라|권하늘]]: [[타키가와 소라]]의 한국판 이름 * [[내연동물]] - [[진하늘]] * [[골판지 전기 W]] - [[오오조라 히로|이하늘]]: [[오오조라 히로]]의 한국판 이름 * [[다음 키즈짱]] - 하늘 * [[대한민국 공군]] - 하늘이: 마스코트 캐릭터 * [[동물전대 쥬오우저]] - [[카자키리 야마토|조하늘]]: [[카자키리 야마토]]의 한국판 이름 * [[러브 딜리버리]] - [[권라떼|권하늘]] * [[러브슬립]] - [[러브슬립/등장인물|진하늘]] * [[매직키드 마수리]] - [[매직키드 마수리/등장인물|정하늘]][* 주인공 마수리와 최이슬의 4학년 때 같은 반 친구로 나온다. 5학년이 된 이후로는 수리, 이슬이와 다른 반이 되면서 아주 가끔씩 나온다.] * [[메탈베이블레이드]] - 하늘: [[아카츠키 소라]]의 한국판 이름 * [[삼학연의]] - [[여포(삼학연의)|하늘]]: 풀네임 '하늘아래태어난눈부신선녀'의 애칭 * [[실례지만 잠시 지구 좀 멸망시키겠습니다]] - 한하늘 * [[심연의 하늘]] - [[강하늘(슈퍼스트링)|강하늘]] * [[아내의 유혹]] - [[정하늘]] * [[아이카츠!]](아이엠스타) - [[오오조라 아카리|하늘]]: [[오오조라 아카리]]의 한국판 이름 * [[외모지상주의(웹툰)|외모지상주의]] - [[박하늘(박태준 유니버스)|박하늘]] * [[여중생A]] - [[박하늘(여중생A)|박하늘]] * [[우주에서 온 모자코]] - [[아마노 소라오|윤하늘]]: [[아마노 소라오]]의 한국판 이름 * [[우주해적 미토의 대모험]] - [[미츠쿠니 아오이|강하늘]]: [[미츠쿠니 아오이]]의 한국판 이름 * [[유희왕 ARC-V]] - [[시운인 소라|최하늘]]: [[시운인 소라]]의 한국판 이름 * [[존잘주의]] - [[연하늘]] * [[천지해]] - 하늘 * [[틴맘]] - 윤하늘 * [[하늘에게]] - 하늘 * [[1을 줄게]] - 유하늘 * [[Go! Go! 다섯 쌍둥이]] - 진하늘: 모리노 [[카부토]]의 한국판 이름 * [[Yes! 프리큐어 5]]&[[Yes! 프리큐어 5 GoGo!]] - [[아키모토 코마치|박하늘]]: [[아키모토 코마치]]의 한국판 이름 == [[철학]]·[[종교]]의 '하늘' == 하늘을 가리키는 한자는 크게 天과 空 두 가지가 있는데, 天은 '하늘나라', '신들이 사는 세계' 같은 개념적인 존재로서의 하늘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실 천(天)은 그 자체로 [[신]]을 뜻하는 말이었다. 본래 [[상나라]]에서는 최고신이 제(帝)였는데, 훗날 [[주나라]]가 상나라를 밀어버리자 주나라의 신이던 천(天)이 제(帝)를 밀어버린 것이다. 이때의 천은 하느님, 야훼와 개념이 비슷하여, 단순한 신을 넘어서 '초월자'의 개념까지 가지고 있다. 그 후 '''지나치게 앞서가는''' 경향이 있던 [[춘추전국시대]]쯤에 종교적 의미는 저 정도로만 남고 [[이신론]]적인 '세상의 이치'와 유사한 개념의 의미가 더해졌으며 [[유교]]에서 사용하는 의미는 이쪽이다.[* 이를테면 [[맹자]]의 경우 토지의 신이나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효과가 없으면 그 신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권력은 천으로부터 나오며, 천의 의지는 민심을 통해서 반드시 드러난다고 보았다. 즉 맹자에게 있어서 '천'은 초월적인 최고신으로서 이해되었거나, 혹은 세상 그 자체의 이치로서 이해되었다.] 즉 '세상의 이치와 법칙으로서의 하늘'인 이법천(理法天) 개념이 정립되었다. 다만 이전의 신적인 개념의 영향으로 "하늘"이 자아를 가진 개체인 것처럼 표현하는 관용어구들이 많다. 空은 '비어있다'는 뜻으로서 딱딱한 물질이 없는(텅 빈 것 같은) 하늘의 성격을 표현한 말이다. '공중'은 빈 곳의 어느 가운데란 뜻이고, '공간'은 빈 곳의 사이라는 뜻이다. 영어의 에어(air)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한편 한국에선 조선 후기 때 성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실학에서 제자백가 시절의 고전유학을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여기서 천의 개념이 재조명되었고 훗날 일부 실학자들이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원인이 되었다. 이들은 천주교가 유학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줄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를 보유론(補儒論)이라고 한다. == 시 == 정규화[* 1949-2007. 1981년 창작과비평사의 13인 신작시집 <우리들의 그리움은>으로 등단했다.]의 시.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오월시'다. 5.18 관련 문학작품 선집인 <5월문학총서>에 실려 있는 시이기도 하다. 시집 <지리산 수첩>(1989년)에서 발표되었다. ||아빠, 아빠는 알 거야 어디가 하늘이고 어디가 망월동인지 아니다 아가..... 캄캄한 어둠속에서는 어른이라도 잘 모른단다 무심코 지나친 산자락에 저렇게 억울한 무덤 생길 줄 알았겠니? 그렇다면 아빠, 망월동이 하늘인가 보죠 억울하게 죽으면 하늘나라에 가는 법이라니까 아가, 너는 아직 모를 거다 예부터 하늘은 높고 푸른 곳에 있었고 개땅쇠[* 갯땅에서 일하는 마당쇠라는 뜻으로, '하와이'와 함께 전라도 사람을 비하하는 멸칭으로 쓰였다.]의 하늘은 개땅쇠의 가슴속에만 있었단다 그러나 아빠. 피 흘리는 [[금남로]]를 봤거든요 절규하는 금남로를 나뒹구는 금남로를 그날 이 작은 눈으로 봤다니까요 아가, 정말 가슴 아픈 일이다 그해 5월 하늘이라고 성했겠니? 망월동엔 죽은 하늘도 묻혔을 거다 아빠, 총은 적을 죽이는 거라 했는데 아빠, 총으로 광주를 쏘았어요 그래서 금남로도 죽고 그래서 광주 사람도 죽엇어요 그래 아가, 미친놈 몇이서 환장을 했던 거지 총만 믿고 미국놈 콧대만 믿고...... 그리고 아가, 네 하늘엔 그렇게 기록해 두어라 그해 5월 군인이 사람을 쐈다고 || == [[空(아이돌 마스터)|아이돌 마스터의 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空(아이돌 마스터))] == [[하늘(그래픽 툴)|DOS용 그래픽 소프트웨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늘(그래픽 툴))] == 대한민국의 가수 [[하성운]]의 [[하늘(HA:NEUL)|팬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늘(HA:NEUL))]